KR20180082099A - 드라이버 공구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099A
KR20180082099A KR1020170003364A KR20170003364A KR20180082099A KR 20180082099 A KR20180082099 A KR 20180082099A KR 1020170003364 A KR1020170003364 A KR 1020170003364A KR 20170003364 A KR20170003364 A KR 20170003364A KR 20180082099 A KR20180082099 A KR 2018008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member
shank
housing
members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양근
안두섭
김한솔
정주현
손우철
Original Assignee
방양근
안두섭
손우철
정주현
김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양근, 안두섭, 손우철, 정주현, 김한솔 filed Critical 방양근
Priority to KR102017000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099A/ko
Publication of KR2018008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복수 개의 생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버 공구{DRIVER TOOL}
본 발명은 드라이버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크의 하강에 의해 드라이버의 단부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드라이버 공구에 관한 것이다.
국민 소득 상승으로 인하여 개인의 여가나 취미가 발달하고 있다. 또한 개성이 중시되면서 Do It Yourself (DIY) 가정이나 동호회 등에서 조립식 가구 등의 셀프 인테리어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공업 현장의 현장 근무자들, 또는 가정에서 셀프 인테리어 시 나사를 분해/조립하는 데 있어서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이전의 드라이버는 생크의 교체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했고, 생크를 교체함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맥가이버식 드라이버의 경우 중량이 무겁고 핸들부가 크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드라이버에서 교체가 필요 없는 드라이버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드라이버 공구에 대하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9월 22일에 출원된 KR10-2008-0092519에는 원터치만으로 +자와 -자형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교환할 수 드라이버 공구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현장에서 자주 쓰는 여러 드라이버를 펜슬 형식으로 제작함으로써 교체 시 번거로움을 줄이고, 교체 시간 소모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드라이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규격이 다른 나사 분해/조립 시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타사 제품 대비 휴대성 우수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드라이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공구의 분실을 방지하고 정리 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여러 드라이버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공간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드라이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톱니 결합 구조 및 차단 부재에 의해 생크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드라이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복수 개의 생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제1 생크 부재; 및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2 생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고정 요소는 톱니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4 생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4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부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생크 부재; 및 상기 생크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생크 부재의 인출 또는 인입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생크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돌출 요소; 및 상기 돌출 요소에 압입 가능하게 연결된 누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요소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생크 부재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누름 요소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의 폭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폭보다 크거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생크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제1 생크 부재;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4 생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3 생크 부재 또는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인출에 의해 드라이버 공구의 단부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돌출 요소 및 상기 누름 요소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에 연결된 돌출 요소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에 연결된 돌출 요소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가이드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에 의하면, 현장에서 자주 쓰는 여러 드라이버를 펜슬 형식으로 제작함으로써 교체 시 번거로움을 줄이고, 교체 시간 소모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에 의하면, 규격이 다른 나사 분해/조립 시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복수 개의 생크 부재가 고합금 크롬, 바나듐, 몰리브덴, 철 등의 재질로 마련되어 타사 제품 대비 휴대성 우수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에 의하면, 공구의 분실을 방지하고 정리 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여러 드라이버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공간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에 의하면, 톱니 결합 구조 및 차단 부재에 의해 생크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4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우징으로부터 제2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하우징으로부터 제2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0은 하우징으로부터 제3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은 하우징으로부터 제3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하우징으로부터 제4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3은 하우징으로부터 제4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3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4 생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하우징으로부터 제2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9는 하우징으로부터 제2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은 하우징으로부터 제3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1은 하우징으로부터 제3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2는 하우징으로부터 제4 생크 부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3은 하우징으로부터 제4 생크 부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10)는 하우징(100) 및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작업 시에 손으로 쥐는 부분이다.
이때, 하우징(100)의 외형은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작업 시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제1 생크 부재(210),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의 생크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4개의 생크 부재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제1 생크 부재(210),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중앙에는 제1 생크 부재(210)가 배치되고, 제1 생크 부재(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2 생크 부재(220)가 배치되고, 제2 생크 부재(2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3 생크 부재(230)가 배치되고, 제3 생크 부재(2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제4 생크 부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와 관련하여, 제1 생크 부재(210),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생크 부재(210)는 최소 직경 또는 최소 단부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생크 부재(220)는 제1 생크 부재(210)보다 큰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제3 생크 부재(230)는 제2 생크 부재(220)보다 큰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제4 생크 부재(240)는 제3 생크 부재(230)보다 큰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생크 부재(210),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 순으로 점차 직경이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생크 부재(210)의 길이는 제2 생크 부재(22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제3 생크 부재(230)의 길이는 제2 생크 부재(22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는 제3 생크 부재(23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생크 부재(210)는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생크 부재(210)가 최대 길이를 구비하고, 제2 생크 부재(220)가 최소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는 하우징(100) 내에서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는 하우징(100) 내에서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보다 후방을 향하여 또는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는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보다 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되거나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에서 후단에서 전단을 향하여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 및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여 제1 생크 부재(210),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기 전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생크 부재(210)는 고정 요소(212)에 의해 하우징(100)의 후단에 고정되고 하우징(100)의 전단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 또한 하우징(100)의 전단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생크 부재(210)가 하우징(100)의 전단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된 길이는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가 하우징(100)의 전단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생크 부재(220),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기 전에는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 직경 또는 팁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반면, 제2 생크 부재(2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면, 제2 생크 부재(220)가 제1 생크 부재(210)에서 외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측을 감싸고,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 직경 또는 팁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생크 부재(23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면, 제3 생크 부재(230)가 제2 생크 부재(220)에서 외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측을 감싸고,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 직경 또는 팁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생크 부재(24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면, 제4 생크 부재(240)가 제3 생크 부재(230)에서 외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측을 감싸고,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 직경 또는 팁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의 하우징(100)으로부터의 인출(하강) 또는 인입(승강)으로 인하여 드라이버 공구(10)의 팁 크기가 증가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자주 쓰는 여러 드라이버를 펜슬 형식으로 제작함으로써 교체 시 번거로움을 줄이고, 교체 시간 소모를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10)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10)의 구조에 대하여 상술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1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전단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인출되는 측으로서, 하우징(100)의 전단에는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관통되는 관통 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후단은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하우징(100)에 인입되는 측 또는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가 고정되는 측으로서, 하우징(100)의 후단에는 제1 생크 부재(210)의 고정 요소(212)와 톱니 결합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가이드 부재(110) 및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10)는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1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조절 부재(250), 특히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가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 하우징(100)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0)의 양단에는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는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00) 내에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는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되어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 내에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의 폭(W2)은 가이드 부재(110)의 폭(W1)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의 최소 폭(W2)은 가이드 부재(110)의 폭(W1)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폭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게다가,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는 가이드 부재(110)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간격(L)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간격(L)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반 타원형(half-elliptic)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는 제1 차단 부재(120a), 제2 차단 부재(120b), 제3 차단 부재(120c), 제4 차단 부재(120d), 제5 차단 부재(120e) 및 제6 차단 부재(120f)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는 생크 부재(200)의 개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 내에 5개의 생크 부재(200)가 수용되는 경우,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의 총 개수는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부재(120a), 제2 차단 부재(120b) 및 제3 차단 부재(120c)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0)의 후단에 인접하게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4 차단 부재(120d), 제5 차단 부재(120e) 및 제6 차단 부재(120f)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0)의 전단에 인접하게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차단 부재(120a)에는 초기 상태에서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누름 요소(2542)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4 차단 부재(120d)에는 제2 생크 부재(220)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누름 요소(2542)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 부재(120b)에는 초기 상태에서 제3 생크 부재(230)에 연결된 제2 누름 요소(2544)가 고정될 수 있고, 제5 차단 부재(120e)에는 제3 생크 부재(230)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제3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2 누름 요소(5244)가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차단 부재(120c)에는 초기 상태에서 제4 생크 부재(240)에 연결된 제3 누름 요소(2546)가 고정될 수 있고, 제6 차단 부재(120f)에는 제4 생크 부재(240)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제4 생크 부재(240)에 연결된 제3 누름 요소(2546)가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에 의해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가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로부터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하우징(10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는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에 작용되는 외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제1 생크 부재(21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 직경 또는 단부 형상은 제1 타입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생크 부재(210)의 단부에는 고정 요소(21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212)의 외측면에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00)의 내측면 또는 하우징(100)의 단부와 톱니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생크 부재(210)는 하우징(10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톱니 결합 구조에 의해 작업 시 제1 생크 부재(210)에 작용되는 토크를 상쇄시킬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제2 생크 부재(22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생크 부재(220)의 길이는 제1 생크 부재(2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제3 생크 부재(230) 및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 직경 또는 단부 형상은 제2 타입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입의 나사는 제1 타입의 나사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제2 생크 부재(220) 내에는 제1 생크 부재(210)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생크 부재(220)의 일면, 예를 들어 제2 생크 부재(220)의 상면에는 조절 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250)는 제2 생크 부재(22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조절 부재(250)를 사용하여 제2 생크 부재(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250)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252) 및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생크 부재(22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252) 중 제1 돌출 요소(2522) 및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 중 제1 누름 요소(254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 요소(2522)는 제2 생크 부재(22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생크 부재(220)의 일면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 요소(2522)의 상단 높이는 제4 생크 부재(240)의 상면보다 높고 가이드 부재(110)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요소(2522)의 단부에는 제1 누름 요소(254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 요소(2542)는 제1 돌출 요소(2522)에 압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돌출 요소(2522) 내에 스프링 같은 탄성 요소가 배치되어 제1 누름 요소(254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1 누름 요소(2542)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제1 누름 요소(2542)의 높이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누름 요소(2542)의 상면은 하우징(100) 내 또는 가이드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하우징(100)의 일면 또는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누름 요소(2542)의 형상은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 특히 제1 차단 부재(120a) 및 제4 차단 부재(120d)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누름 요소(2542)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해 제1 누름 요소(2542)를 제1 차단 부재(120a) 또는 제4 차단 부재(120d)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2 생크 부재(22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고, 제1 누름 요소(2542)가 제1 차단 부재(120a) 또는 제4 차단 부재(120d)에 도달되었을 때 제1 누름 요소(2542)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제2 생크 부재(22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여, 제3 생크 부재(23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생크 부재(230)의 길이는 제1 생크 부재(210) 및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보다는 짧고 제2 생크 부재(220)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 직경 또는 단부 형상은 제3 타입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타입의 나사는 제2 타입의 나사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제3 생크 부재(230) 내에는 제2 생크 부재(220)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생크 부재(230)의 일면, 예를 들어 제3 생크 부재(230)의 상면에는 조절 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부재(250)는 제3 생크 부재(23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조절 부재(250)를 사용하여 제3 생크 부재(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3 생크 부재(23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252) 중 제2 돌출 요소(2524) 및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 중 제2 누름 요소(2544)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 요소(2524)는 제3 생크 부재(23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생크 부재(230)의 일면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 요소(2524)의 상단 높이는 제4 생크 부재(240)의 상면보다 높고 가이드 부재(110)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 요소(2542)의 상단 높이는 제1 돌출 요소(2522)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출 요소(2524)의 단부에는 제2 누름 요소(254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름 요소(2544)는 제2 돌출 요소(2524)에 압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돌출 요소(2524) 내에 스프링 같은 탄성 요소가 배치되어 제2 누름 요소(2544)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 누름 요소(2544)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제2 누름 요소(2544)의 높이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누름 요소(2544)의 상면은 하우징(100) 내 또는 가이드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하우징(100)의 일면 또는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누름 요소(2544)의 형상은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 특히 제2 차단 부재(120b) 및 제5 차단 부재(120e)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누름 요소(2544)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해 제2 누름 요소(2544)를 제2 차단 부재(120b) 또는 제5 차단 부재(120e)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3 생크 부재(23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고, 제2 누름 요소(2544)가 제2 차단 부재(120b) 또는 제5 차단 부재(120e)에 도달되었을 때 제2 누름 요소(2544)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제3 생크 부재(23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3 생크 부재(230)의 일면, 예를 들어 제3 생크 부재(230)의 상면에는 가이드 부재(110)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1 가이드 요소(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요소(232)는 제3 생크 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생크 부재(2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가 제3 생크 부재(2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요소(2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요소(232)의 길이는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의 경로 길이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요소(232)의 폭은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의 폭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여, 제4 생크 부재(24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는 제1 생크 부재(210)의 길이보다는 짧고 제2 생크 부재(220) 및 제3 생크 부재(230)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 직경 또는 단부 형상은 제4 타입의 나사를 분해 또는 조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4 타입의 나사는 제3 타입의 나사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제4 생크 부재(240) 내에는 제3 생크 부재(230)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4 생크 부재(240)의 일면, 예를 들어 제4 생크 부재(240)의 상면에는 조절 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부재(250)는 제4 생크 부재(24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조절 부재(250)를 사용하여 제4 생크 부재(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4 생크 부재(24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252) 중 제3 돌출 요소(2526) 및 복수 개의 누름 요소(254) 중 제3 누름 요소(2546)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돌출 요소(2526)는 제4 생크 부재(24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생크 부재(240)의 일면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1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 요소(2526)의 상단 높이는 가이드 부재(110)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출 요소(2546)의 상단 높이는 제1 돌출 요소(2522) 및 제2 돌출 요소(2524)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돌출 요소(2526)의 단부에는 제3 누름 요소(254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누름 요소(2546)는 제3 돌출 요소(2526)에 압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돌출 요소(2526) 내에 스프링 같은 탄성 요소가 배치되어 제3 누름 요소(2546)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3 누름 요소(2546)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제3 누름 요소(2546)의 높이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누름 요소(2546)의 상면은 하우징(100) 내 또는 가이드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되거나, 하우징(100)의 일면 또는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누름 요소(2546)의 형상은 복수 개의 차단 부재(120), 특히 제3 차단 부재(120c) 및 제6 차단 부재(120f)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누름 요소(2546)에 하방으로 외력을 가해 제3 누름 요소(2546)를 제3 차단 부재(120c) 또는 제6 차단 부재(120f)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4 생크 부재(24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고, 제3 누름 요소(2546)가 제3 차단 부재(120c) 또는 제6 차단 부재(120f)에 도달되었을 때 제3 누름 요소(2546)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제4 생크 부재(24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4 생크 부재(240)의 일면, 예를 들어 제4 생크 부재(240)의 상면에는 가이드 부재(110) 및 제1 가이드 요소(232)와 연통되게 형성된 제2 가이드 요소(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요소(242)는 제4 생크 부재(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 및 제3 생크 부재(230)에 연결된 제2 돌출 요소(2524)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생크 부재(2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가 제3 생크 부재(2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요소(232) 및 제4 생크 부재(24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요소(24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생크 부재(23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3 생크 부재(230)에 연결된 제2 돌출 요소(2524)가 제4 생크 부재(24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요소(24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요소(242)의 길이는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의 경로 길이 또는 제3 생크 부재(230)에 연결된 제2 돌출 요소(2524)의 경로 길이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요소(242)의 폭은 제2 생크 부재(220)에 연결된 제1 돌출 요소(2522)의 폭 및 제3 생크 부재(230)에 연결된 제2 돌출 요소(2524)의 폭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10)는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제2 생크 부재(220)는 다음과 같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우선, 제1 누름 요소(2542)에 대하여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제1 누름 요소(2542)가 제1 차단 부재(120a)로부터 이탈된다. 그런 다음 제1 돌출 요소(2522) 및 제1 누름 요소(2542)가 가이드 부재(110)의 하면을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제1 누름 요소(2542)가 제4 차단 부재(120d)에 도달되면 제1 누름 요소(2542)에 대한 외력을 제거하여 제1 누름 요소(2542)가 제4 차단 부재(120d) 내에 고정된다. 이때, 제4 차단 부재(120d)의 형상에 의해 제4 차단 부재(120d)으로부터 제1 누름 요소(254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돌출 요소(2522) 및 제1 누름 요소(2542)가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될 때, 제3 생크 부재(2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요소(232) 및 제4 생크 부재(24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요소(242)를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제2 생크 부재(2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3 생크 부재(230)는 다음과 같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우선, 제2 누름 요소(2544)에 대하여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제2 누름 요소(2544)가 제2 차단 부재(120b)로부터 이탈된다. 그런 다음 제2 돌출 요소(2524) 및 제2 누름 요소(2544)가 가이드 부재(110) 의 하면을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제2 누름 요소(2544)가 제5 차단 부재(120e)에 도달되면 제2 누름 요소(2544)에 대한 외력을 제거하여 제2 누름 요소(2544)가 제5 차단 부재(120e) 내에 고정된다. 이때, 제5 차단 부재(120e)의 형상에 의해 제5 차단 부재(120e)으로부터 제2 누름 요소(254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돌출 요소(2524) 및 제2 누름 요소(2544)가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될 때, 제4 생크 부재(24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요소(242)를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13을 참조하여, 제2 생크 부재(220) 및 제3 생크 부재(2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4 생크 부재(240)는 다음과 같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우선, 제3 누름 요소(2546)에 대하여 하방으로 외력을 가하여 제3 누름 요소(2546)가 제3 차단 부재(120c)로부터 이탈된다. 그런 다음 제3 돌출 요소(2526) 및 제3 누름 요소(2546)가 가이드 부재(110)의 하면을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제3 누름 요소(2546)가 제6 차단 부재(120f)에 도달되면 제3 누름 요소(2546)에 대한 외력을 제거하여 제3 누름 요소(2546)가 제6 차단 부재(120f) 내에 고정된다. 이때, 제6 차단 부재(120f)의 형상에 의해 제6 차단 부재(120f)으로부터 제3 누름 요소(254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10)는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구동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한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거나, 복수 개의 생크 부재(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된 후에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공구는 규격이 다른 나사 분해/조립 시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복수 개의 생크 부재가 고합금 크롬, 바나듐, 몰리브덴, 철 등의 재질로 마련되어 타사 제품 대비 휴대성 우수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공구의 분실을 방지하고 정리 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여러 드라이버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공간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드라이버 공구
100: 하우징
110: 가이드 부재
120: 복수 개의 차단 부재
120a: 제1 차단 부재
120b: 제2 차단 부재
120c: 제3 차단 부재
120d: 제4 차단 부재
120e: 제5 차단 부재
120f: 제6 차단 부재
200: 복수 개의 생크 부재
210: 제1 생크 부재
212: 고정 요소
220: 제2 생크 부재
230: 제3 생크 부재
232: 제1 가이드 요소
240: 제4 생크 부재
242: 제2 가이드 요소
250: 조절 부재
252: 복수 개의 돌출 요소
2522: 제1 돌출 요소
2524: 제2 돌출 요소
2526: 제3 돌출 요소
254: 복수 개의 누름 요소
2542: 제1 누름 요소
2544: 제2 누름 요소
2546: 제3 누름 요소

Claims (12)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복수 개의 생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는 드라이버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제1 생크 부재; 및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2 생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드라이버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고정 요소는 톱니 결합 구조를 갖는 드라이버 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되는 드라이버 공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4 생크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4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드라이버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드라이버 공구.
  7.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부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한 생크 부재; 및
    상기 생크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생크 부재의 인출 또는 인입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생크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돌출 요소; 및
    상기 돌출 요소에 압입 가능하게 연결된 누름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요소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드라이버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생크 부재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차단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누름 요소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의 폭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폭보다 크거가 같게 형성되는 드라이버 공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생크 부재는,
    제1 생크 부재;
    상기 제1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2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제4 생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3 생크 부재 또는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인출에 의해 드라이버 공구의 단부 직경이 조절되는 드라이버 공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크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생크 부재, 상기 제3 생크 부재 및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돌출 요소 및 상기 누름 요소가 각각 연결되는 드라이버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생크 부재에 연결된 돌출 요소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3 생크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2 생크 부재 및 상기 제3 생크 부재에 연결된 돌출 요소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4 생크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가이드 요소가 형성되는 드라이버 공구.
KR1020170003364A 2017-01-10 2017-01-10 드라이버 공구 KR20180082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364A KR20180082099A (ko) 2017-01-10 2017-01-10 드라이버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364A KR20180082099A (ko) 2017-01-10 2017-01-10 드라이버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99A true KR20180082099A (ko) 2018-07-18

Family

ID=6304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364A KR20180082099A (ko) 2017-01-10 2017-01-10 드라이버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0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759A (ko) 2022-09-20 2024-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드라이버공구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59Y1 (ko) * 2002-05-02 2003-02-06 장유덕 드라이버
JP2007181901A (ja) * 2006-01-10 2007-07-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ドライバー
KR20110007651U (ko) * 2010-01-26 2011-08-03 민경준 양방향 슬라이드형 드라이버
KR20150105507A (ko) * 2014-03-06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KR20160100113A (ko) * 2015-02-13 2016-08-23 임주혁 커터 칼 원리를 이용한 맞춤 일체형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59Y1 (ko) * 2002-05-02 2003-02-06 장유덕 드라이버
JP2007181901A (ja) * 2006-01-10 2007-07-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ドライバー
KR20110007651U (ko) * 2010-01-26 2011-08-03 민경준 양방향 슬라이드형 드라이버
KR20150105507A (ko) * 2014-03-06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라이버
KR20160100113A (ko) * 2015-02-13 2016-08-23 임주혁 커터 칼 원리를 이용한 맞춤 일체형 드라이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759A (ko) 2022-09-20 2024-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드라이버공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30585T2 (de) Struktur einer rohrverbindung und reinigungsgerät
EP1932623A1 (en) Combined screw strip and strip-advancing mechanism for a screw driving gun
JP5917171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9458962B2 (en) Extension/retraction device
JP2019181147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EP2462004B1 (de) Steckvorrichtung nach art eines zigarettenanzünderstecker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6578394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レールキット
US8683657B2 (en) Press button-controlled retractable bar
KR20180082099A (ko) 드라이버 공구
US8267408B2 (en) Hand tool that can replace tips easily and quickly
AU2014393342B2 (en) Telescopic rod for hand tool
US20200232752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 stock portion on a gunstock and gunstock comprising such a device
CN108430212B (zh) 修剪工具,特别是分枝修剪器、高枝剪或修枝剪
EP3030065B1 (en) Cable management arm supporting device and mounting assembly thereof
US10800018B2 (en) Crimping tool
JP6565617B2 (ja) シフトノブ構造
US20030015641A1 (en) Telescopic boom for use in model building
JP4124299B2 (ja) 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の分解組立装置
GB2400812A (en) Telescopic handle with flanged lock
KR101845293B1 (ko) 안전 커터
KR101554814B1 (ko) 로프의 길이 조절장치
US20120060331A1 (en) Hook assembly for a sunshade screen
EP1669661B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463579B1 (ko) 다기능 공구
CN104912889A (zh) 空心铆钉设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