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881A -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881A
KR20180081881A KR1020170002739A KR20170002739A KR20180081881A KR 20180081881 A KR20180081881 A KR 20180081881A KR 1020170002739 A KR1020170002739 A KR 1020170002739A KR 20170002739 A KR20170002739 A KR 20170002739A KR 20180081881 A KR20180081881 A KR 2018008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unit
tagging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화
Original Assignee
이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화 filed Critical 이춘화
Priority to KR102017000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881A/ko
Publication of KR2018008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K2017/00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함 및 인접 배치된 태깅부를 포함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표시하는 표시부, 입출고 될 부품의 종류 및 개수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출고 시 사용자 또는 부품을 센싱하는 센싱부, 입출고를 통합 관리하는 제어부, 및 입출고 완료 시 상기 수납부에 태깅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태깅 또는 상기 센싱에 의해 입출고의 오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및 스마트 디지털 저장 방법{SYSTEM FOR SMART DIGIATL STORAG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을 생산 및 관리하는 공장, 창고 및 사무실 등에서 고가의 부품 입출고 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부품을 생산 및 관리하는 공장, 창고 및 사무실 등에서는 각 업체의 능률적이고 지속적인 생산 및 판매 활동을 위하여 해당 물품의 적절한 보유량을 계획하는 등의 물품의 재고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반도체 부품, 예컨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사이리스터 등은 각각의 제품이 소형일 뿐만 아니라, 그 각각의 제품에 대한 단가가 고가이기 때문에, 재고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기울려야 하는 품목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고가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창고 내에 보관되는 각종 재고 물품에 대한 종류, 수량 등을 직접 확인한 후 수작업으로 기록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고관리를 위한 장치는, 재고 수량이 증감할 때마다 쉽게 지워지고 다시 쓸 수 있는 필기 도구를 이용하여 기재하여야 하나, 필기구가 주위에 있지 않으면, 관리자가 부품을 가져간 후 이를 기록하지 않아 창고 내에서도 재고의 정확한 수량 및 적정 재고가 신속하게 파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장 및 사무실 간에도 재고 수량에 대한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부품에 대한 구매업체로부터의 발주 의뢰 시, 창고에 기록되어 있는 재고 물품의 종류 및 수량을 일일이 파악한 후 발주에 대응하는 경우까지 발생하므로 그 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구매업체로부터 신뢰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4308호(2006. 12. 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부품 등을 생산 및 관리하는 공장, 창고 및 사무실 등에서 고가 부품의 입출고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그 입출고 시 보안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함 및 인접 배치된 태깅부를 포함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표시하는 표시부, 입출고 될 부품의 종류 및 개수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출고 시 사용자 또는 부품을 센싱하는 센싱부, 입출고를 통합 관리하는 제어부, 및 입출고 완료 시 상기 수납부에 태깅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태깅 또는 상기 센싱에 의해 입출고의 오류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태깅부는 ESL(ELECTRIC SHELF RABE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상기 태깅부에 바코드를 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메타 데이터를 상기 ESL에 송신하여 상기 ESL이 상기 메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상기 단말이 획득한 정보가 상기 메타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입출고 오류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납부와 이격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수납부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는 입출고 시 점등되고, 입고 또는 출고에 따라 다른 색으로 발광하고, 입출고의 완료 시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함에 부품이 수납된 영상의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중량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함에 부품의 총 중량 변화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방법은 입출고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입출고 대상 부품이 수납된 영역이 점등되는 제2 단계, 입출고 후 대상 부품의 태깅부를 단말이 태깅하는 제3 단계, 및 입출고 후의 변동 내역이 저장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는 해당 태깅부에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는 태깅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센싱부가 상기 부품이 수납된 영상의 변이 또는 상기 부품의 총 중량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 오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품의 입출고시에 항상 대상 부품 보관함을 태깅하여 부품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므로 입출고 오류를 현저하게 저감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깅에 의한 입출고 오류 보완 뿐만 아니라 입출고 시의 센싱에 의해 더욱 입출고 오류를 보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깅에 의해 입출고가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입출고 편의성이 더욱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수납부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표시부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제어부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센싱부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외관에 대한 렌더링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1000)는 수납부(100), 표시부(200), 입력부(300), 제어부(500) 및 단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1000)는 센싱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수납부(100)는 부품을 수납하고, 입출고 시에 단말(600)이 태깅하는 태깅부(도 2의 참조부호 120, 이하 동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00)는 태깅부(120)가 함께 포함되어 있어 입출고시에 항상 태깅을 수반하여 재고 파악의 정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수납부(100)의 더욱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후술한다.
입력부(3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입출고가 개시되는 경우 부품의 종류 및 개수를 입력하도록 한다. 입력부(300)에서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부(200)가 작동되어 입출고할 부품 또는 해당 수납함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표시하여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500)는 입출고를 통합 관리하는데 입출고의 정합성 및 입출고의 오류를 감독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600)은 상기한 태깅부에 태깅하여 입출고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입출고 시 태깅부(120)에 코드를 표시하는데, 단말(600)은 이러한 코드를 태깅하여 실제 의도하는 입출고 대상 부품이 실제로 입출고되었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입출고 시의 오류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더욱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태깅에 의한 입출고 오류 보완 뿐만 아니라 입출고 시의 센싱에 의해 더욱 입출고 오류를 보완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수납부(100)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납부(100)는 수납함(110) 및 태깅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함(110)에는 부품(s)이 입출고를 위해 수납되어 있다. 수납함의 하부에는 제2 표시부(220)가 함께 배치된다.
태깅부(120)는 ESL(ELECTRIC SHELF RABE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ESL에는 단말(600)이 태깅할 수 있도록 바코드나 QR코드 또는 이의 등가물이 현출된다. ESL은 종이에 상품의 명칭, 가격, 로고 등을 표기하였던 기존 방식 대신 저전력 무선통신기술,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ESL을 활용할 경우 표기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0)가 입출고 시 선택된 제품과 대응하는 ESL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표시하는데, 이와 동시에 제어부에서 관련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600)이 이를 태깅하여 입출고가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출고 오류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표시부(200)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부(200)는 입출고 시 A부품이 선택되는 경우에 A부품과 인접한 외벽에 설치된 LED를 점등하여 개략적인 위치를 안내하는 제1 표시부(210), 실제 A부품이 배치된 영역의 LED를 점등하여 실제 A부품이 배치된 장소를 안내하는 제2 표시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ESL이 제3 표시부(230)로서 각 부품의 다양한 정보를 더 부가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 표시부(210)는 수납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표시부(220)는 수납부(110)와 인접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표시부(220)는 입고 또는 출고 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여 입출고의 차이를 표시하고, 입출고가 완료되면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표시부가 그 입출고의 개시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점등되어 사용자의 수행 동작을 위한 진입을 매우 효율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제어부(500)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에서 센싱부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500)는 입출고관리모듈(510) 및 센싱탐지모듈(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출고관리모듈(510)은 입출고 시 태깅부(120)에 바코드를 현출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입출고 시 메타 데이터를 ESL에 송신하여 ESL이 메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입출고 시 단말(600)이 획득한 정보가 상기 송신한 메타 데이터가 맞는 경우 입출고의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센싱탐지모듈(520)은 입출고의 오류를 더욱 정합성있게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물체인식모듈(521), 중량인식모듈(523), 및 사용자인식모듈(5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센싱부(400)는 카메라(410), 중량센서(420) 및 진동센서(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메라(410)는 수납함에 부품이 수납된 영상을 시계열적으로 촬상하는데, 물체인식모듈(521)은 영상의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중량센서(420)는 부품이 수납된 수납함의 중량을 센싱하고, 중량인식모듈(523)은 부품의 총 중량 변화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진동센서(430)는 해당 수납함 인근이 아닌 다른 곳의 입출고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여 입출고의 정합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진동센서(430)는 각 수납함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된 수납함이 배치된 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인식모듈(525)은 사용자의 외관이나, 사용자의 ID 태그를 스캔 또는 촬상하여 인가된 사용자의 입출고 행위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은 입출고시에 태깅에 의한 일차 오류 판단 및 센싱에 의한 이차 오류 판단 과정으로 더 포함하여 부품의 입출고 오류 빈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방법은 입출고를 선택하는 제1 단계(S110), 입출고 대상 부품이 수납된 영역이 점등되는 제2 단계(S120), 입출고 후 대상 부품의 태깅부를 단말이 태깅하는 제3 단계(S130) 및 입출고 후의 변동 내역이 저장되는 제4 단계(S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제어부가 태깅부에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3 단계에서 태깅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입출고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3 단계에서는 센싱부가 상기 부품이 수납된 영상의 변이 또는 상기 부품의 총 중량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 오류를 감지하게 되어 2원적 오류 판단에 의해 입출고 정확도가 현저하게 상승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의 외관에 대한 렌더링 이미지인데, 본 이미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에 불과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100: 수납부
200: 표시부
210: 제1표시부
220: 제2표시부
300: 입력부
400: 센싱부
410: 카메라
420: 중량센서
430: 진동센서
500: 제어부
510: 입출고관리모듈
520: 센싱탐지모듈
521: 물체인식모듈
523: 중량인식모듈
525: 사용자인식모듈
600: 단말

Claims (10)

  1.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함 및 인접 배치된 태깅부를 포함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표시하는 표시부;
    입출고 될 부품의 종류 및 개수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출고 시 사용자 또는 부품을 센싱하는 센싱부;
    입출고를 통합 관리하는 제어부;및
    입출고 완료 시 상기 수납부에 태깅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태깅 또는 상기 센싱에 의해 입출고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부는 ESL(ELECTRIC SHELF RABE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상기 태깅부에 바코드를 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메타 데이터를 상기 ESL에 송신하여 상기 ESL이 상기 메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출고 시 상기 단말이 획득한 정보가 상기 메타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입출고 오류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납부와 이격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수납부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입출고 시 점등되고, 입고 또는 출고에 따라 다른 색으로 발광하고, 입출고의 완료 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함에 부품이 수납된 영상의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중량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함에 부품의 총 중량 변화를 연산하여 입출고의 정합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9. 입출고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입출고 대상 부품이 수납된 영역이 점등되는 제2 단계;
    입출고 후 대상 부품의 태깅부를 단말이 태깅하는 제3 단계; 및
    입출고 후의 변동 내역이 저장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계에서는 해당 태깅부에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는 태깅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상기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는 센싱부가 상기 부품이 수납된 영상의 변이 또는 상기 부품의 총 중량 변이를 연산하여 입출고 오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저장방법.

KR1020170002739A 2017-01-09 2017-01-09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KR20180081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39A KR20180081881A (ko) 2017-01-09 2017-01-09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39A KR20180081881A (ko) 2017-01-09 2017-01-09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881A true KR20180081881A (ko) 2018-07-18

Family

ID=6304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39A KR20180081881A (ko) 2017-01-09 2017-01-09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88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77A (ko) * 2009-05-04 2010-11-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71759A (ja) * 2011-02-23 2012-09-10 Fujitsu Ltd 物品管理システム
KR20130046258A (ko) * 2011-10-27 2013-05-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송용기 기반 물류관리시스템
KR20130082528A (ko) * 2011-12-07 2013-07-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관리 시스템 및 창고 관리 방법
JP2015125535A (ja) * 2013-12-26 2015-07-06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77A (ko) * 2009-05-04 2010-11-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171759A (ja) * 2011-02-23 2012-09-10 Fujitsu Ltd 物品管理システム
KR20130046258A (ko) * 2011-10-27 2013-05-0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송용기 기반 물류관리시스템
KR20130082528A (ko) * 2011-12-07 2013-07-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관리 시스템 및 창고 관리 방법
JP2015125535A (ja) * 2013-12-26 2015-07-06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71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or tracking products in a retail shopping facility
JP6487553B2 (ja) 注文照合システム
CN111684477A (zh) 配备有电子货架标签的货架的相机实现的商品布局控制方法
JP2007153577A (ja) 仕分システム
CN112085446A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US20090251294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KR20090059616A (ko) Rfid 및 센싱 기술을 활용한 온습도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120113202A (ko) Rfid 및 센싱 기술을 활용한 온습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13024481U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TW201706922A (zh) 配送管理系統及配送管理方法
JP2007182280A (ja) 仕分システム
JP2006290617A (ja) 物品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物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12052A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72012A (ja) 電子棚札システム
KR20170133999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관계사 재고관리 및 위치정보 시스템
KR20110019087A (ko) 전자가격표시기를 이용한 구매자의 패턴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2128230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CN113537889A (zh) 一种基于智能冷库的供应链管理方法及系统
KR101706082B1 (ko) 약품 피킹 시스템
KR20180081881A (ko) 스마트 디지털 저장 시스템
US105462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US201801507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related consumer products with unique identifiers
CA3212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KR101706079B1 (ko) 약품 피킹 시스템
KR101042199B1 (ko) Rfid를 이용한 용기 투입물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