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456A -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456A
KR20180081456A KR1020180000494A KR20180000494A KR20180081456A KR 20180081456 A KR20180081456 A KR 20180081456A KR 1020180000494 A KR1020180000494 A KR 1020180000494A KR 20180000494 A KR20180000494 A KR 20180000494A KR 20180081456 A KR20180081456 A KR 2018008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position
moving means
stable
side wal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050B1 (ko
Inventor
미셸 몽겔라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8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이 있는 가열조리용 용기와 연동하도록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벽에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압박 부재 및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에서 분리되는 개방위치와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 상에 고정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안정된 개방위치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통과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수단들, 및 초기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지나 안정된 폐쇄위치로 이동수단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잠금 부재의 개방 수단을 포함하고, 개방 수단은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수평면 내에 포함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개방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방 버튼은 이동 수단이 안정된 폐쇄 위치에 있는 휴식 하강 위치와 이동 수단이 안정된 개방위치에 있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Description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REMOVABLE HANDLE EQUIPPED WITH OPENING SYSTEM WITH A PIVOTING BUTTON}
본 발명은 냄비 또는 전골냄비 등 외부로 굽은 부분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이 있는 조리 용기와 연동하도록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착탈식 손잡이를 기술하기 위하여 채택한 "종방향", "횡방향", "수평", "수직", "미만", "초과", "상부", "하부" 등의 용어들은, 그 손잡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수평면상에 놓인 조리 용기의 측벽에 장착되었을 때의 손잡이를 기준으로 한다.
특허문헌 KR101147113을 통하여, 측벽이 있는 조리용기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과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압박 부재 및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에서 분리되는 개방위치와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 상에 고정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안정된 개방위치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거쳐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 및 초기에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던 이동 수단들을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잠금 부재의 개방 수단들을 포함하고, 개방 수단들은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이고 수평면 내에 포함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개방 버튼을 포함한다. 그 개방 버튼은 이동 수단들이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는 상승 휴식 위치와 이동 수단들이 안정된 개방위치에 있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 용기의 손잡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 잠금 부재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개방 버튼을 누른다.
그러나 그러한 손잡이는 상대적으로 소형인 조립체로서, 개방 버튼의 경로가 짧다. 따라서, 이동 수단들을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개방 버튼을 누르려면 강한 힘을 인가해야한다.
그러한 손잡이는 잠금 부재의 폐쇄 위치를 측벽의 다양한 두께에 적용하도록 마련된 용수철 및 레버를 포함하는 너클 조인트를 갖는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을 포함한다. 레버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불안정한 중간 위치를 거쳐서 이동한다. 측벽의 두께가 최대 수용가능치에 근접하면, 레버를 폐쇄위치로부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전환하기 위하여 개방 버튼을 누르려면 더욱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착탈식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는 조리 용기의 조작시, 사용자는 착탈식 손잡이를 파지하면서 실수로 개방 버튼을 누를 수 있다. 그 경우, 잠금 부재는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되고 그 손잡이는 조리 용기에서 탈착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구성은 착탈식 손잡이가 조리 용기에서 탈착될 위험을 내포하며, 이는 사용자나 그 주변 환경에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를 조리 용기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탈착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매우 안전하게 조리 용기를 다룰 수 있게 하도록 개선된 인체공학성을 갖는, 조리 용기와 연동하도록 마련된 착탈식 손잡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현하기에 단순하고 경제적인 디자인의 착탈식 손잡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측벽이 있는 조리용기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과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압박 부재 및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에서 분리되는 개방위치와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 상에 고정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안정된 폐쇄위치에서 안정된 개방위치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거쳐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 및 초기에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던 이동 수단들을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잠금 부재의 개방 수단들을 포함하고, 그 개방 수단들은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이고 수평면 내에 포함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개방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버튼은 이동 수단들이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는 하강 휴식위치와 이동 수단들이 안정된 개방위치에 있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조리 용기로부터 착탈식 손잡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 잠금 부재가 폐쇄위치에 있는 하강 휴식위치로부터 잠금 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승 위치로 개방 버튼을 전환하기 위하여는, 개방 버튼을 상부로 들어오려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개방 버튼을 눌러도 우연히 착탈식 손잡이의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될 위험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버튼은 하강 휴식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중간 상승 위치를 거쳐서 이동하며 개방 수단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추력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추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추력 부재는 개방 버튼이 하강 휴식 위치로부터 중간 상승 위치로 작동되었을 때 이동 수단들 상에 그것의 안정된 폐쇄위치와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사이에서 작용하고, 제2 추력 부재는 버튼이 중간 상승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작동되었을 때 이동 수단들 상에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와 안정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용한다.
개방 버튼의 횡축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2개의 추력 부재는 개방 버튼이 하강 휴식 위치로부터 중간 상승 위치 너머로 조작될 때 이동 수단들이 2개의 경로에서 상당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짧은 제1 경로는 제1 추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고 긴 제2 경로는 제2 추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다.
유리하게는, 제1 추력 부재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토크의 작용하에 놓일 때, 이동 수단들을 안정된 폐쇄위치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도록 제1 강도를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제2 추력 부재는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토크의 작용하에 놓일 때, 이동 수단들을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서 안정된 개방위치로 전환하도록 제2 강도를 이동 수단들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제1 추력 부재에 의해 발생 되는 제1 강도는 개방 버튼이 그것의 하강 휴식 위치에서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로 전환되는 짧은 제1 경로를 생성한다. 제2추력 부재에 의해 발생 되는 제2 강도는 개방 버튼이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에서 그것의 상승 위치로 전환되는 긴 제2 경로를 생성한다.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 버튼 상에 인가되는 동일한 토크의 작용 하에서,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된 제1 강도의 값은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된 제2 강도의 값을 초과한다.
이동 수단들을 안정된 폐쇄위치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1 강도는 높으며, 이동 수단들의 짧은 제1 경로 상에 적용된다.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서 안정된 개방위치로 이동 수단들을 전환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2 강도는 제1 강도 미만이며 이동 수단들의 긴 제2 경로 상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개방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작용하에 이동할 때, 이동 수단들이 포함하고 있는 제1 수용면 및 제2 수용면에 각각 대향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이동 수단들이 그것의 안정된 개방 위치로 구동되도록 제1 수용면 및 제2 수용면을 각각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제1 추력 부재는 이동 수단들이 그것의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수용면 상에 작용한다. 제2 추력 부재는 이동 수단들이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부터 그것의 안정된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수용면 상에 작용한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횡축을 따라 개방 버튼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토크의 작용하에, 개방 버튼에 의해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각각 단 레버 아암 및 장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그 단 레버 아암은 이동 수단들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장 레버 아암은 이동 수단들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개방 버튼이 그것의 하강 휴식 위치에서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로 이동할 때, 개방 버튼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토크는, 이동 수단들을 안정된 폐쇄위치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강한 제1 강도를 짧은 제1 경로 상에서 그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기 위하여 단 레버 아암에 의해 전달된다. 개방 버튼이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에서 그것의 상승 위치로 이동할 때, 개방 버튼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동일한 토크는, 이동 수단들을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서 안정된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더 약하지만 충분한 제2 강도를 긴 제2 경로 상에서 그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기 위하여 장 레버 아암에 의해 전달된다.
유리하게는, 단 레버 아암은 제1 수용면과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외형 설정된 제1 구동 단부를 포함하고, 장 레버 아암은 제2 수용면과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설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단 레버 아암의 외형 설정된 제1 구동 단부는 이동 수단들이 포함하고 있는 제1 수용면과 대향 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이동 수단들을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구동하도록 그 제1 수용면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장 레버 아암의 외형 설정된 제2 구동 단부는 이동 수단들이 포함하고 있는 제2 수용면과 대향 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이동 수단들을 그것의 안정된 개방 위치로 구동하도록 그 제2 수용면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각각 단 캠 및 장 캠을 포함하고, 그 단 캠은 제1 강도를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게 되어 있고, 장 캠은 제2 강도를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게 되어 있다.
캠이라 함은, 개방 버튼에 의해 구동되고 반경이 변동되는 원통을 의미한다. 단 캠은 최대 반경이 (R1)이고 장 캠은 최대 반경이 (R2)이며, (R2)는 (R1)을 초과한다.
그와 같이, 개방 버튼이 그것의 하강 휴식 위치로부터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자에 의해 그 개방 버튼 상에 제공된 토크는, 이동 수단들을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강한 제1 강도를 짧은 제1 경로 상에서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도록 단 캠에 의해 전달된다. 개방 버튼이 그것의 중간 상승 위치로부터 그것의 상승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자에 의해 개방 버튼 상에 제공된 동일한 토크는, 이동 수단들을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부터 안정된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더 약하지만 충분한 제2 강도를 긴 제2 경로 상에서 이동 수단들 상에 인가하도록 장 캠에 의해 전달된다.
유리하게는, 이동 수단들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거쳐서,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벗 축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의 폐쇄위치, 개방위치 및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는 각각 이동수단들의 안정된 폐쇄위치, 안정된 개방위치 및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 해당한다. 그러한 이동식 레버로써 다루기 간단하고 용이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을 수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레버가 제1 및 제2 수용면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레버 상에 직접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버튼은 종방향에 대하여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의 각거리 상으로 하강 휴식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피벗 한다.
따라서, 개방 버튼은 그것의 상승 위치에서 거의 수직이며 개방 버튼의 배치는 사용자가 그의 엄지를 하강 휴식 위치에 있는 개방 버튼 상에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인체공학적 위치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이동 수단들은 잠금 부재들에 연결된 크랭크 및 그 크랭크에 연결된 용수철을 포함하고, 그 용수철은 잠금 부재의 위치가 측벽의 두께에 적용되도록 마련된다.
크랭크는 레버가 피벗 할 때 잠금 부재가 병진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 구성으로써 매우 인체공학적인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을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그러한 수단들은 잠금 부재의 위치가 측벽의 두께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착탈식 손잡이는 측벽과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고정식 압박 부재, 및 측벽이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 사이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는 개방 위치와 착탈식 손잡이가 측벽 상에 고정되도록 측벽이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 사이에 압박되어 있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는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한다. 그 부재는 그것의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로부터 이격 되어 측벽이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그것의 폐쇄위치에서는 측벽이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 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측벽에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 부재의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그 부재 사이에 측벽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그립 본체는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파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하강 휴식 위치에 있는 개방 버튼 상에 엄지를 올려놓을 수 있고 그 엄지로 착탈식 손잡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개방 버튼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를 향하여 굽은 플랜지(flange)에 의해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착탈식 손잡이로 형성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 변형 실시예에서, 굽은 플랜지는 수직 중간부 및 단부 에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 양태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비한정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와 연동하는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시각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III-III)을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개방 버튼이 상승 위치에 있는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도이다.
도 7은 개방 버튼은 하강 휴식 위치에 있고 이동 수단들은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는,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개방 버튼 및 이동 수단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개방 버튼은 중간 상승 위치에 있고 이동 수단들은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 있는,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개방 버튼 및 이동 수단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개방 버튼은 상승 위치에 있고 이동 수단들은 안정된 개방위치에 있는, 도 1의 착탈식 손잡이의 개방 버튼 및 이동 수단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1)는, 수평 바닥 벽(70) 및 그 수평 바닥 벽(70)으로부터 기립하고 외부로 연장되는 굽은 플랜지(64)에 의하여 상향 연장되는 측벽(61)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60)와 연동하도록 마련된다. 측벽(61)은 내면(62) 및 외면(63)을 포함한다. 굽은 플랜지(64)는 측벽(61)을 연장하고 조리용기(60)의 상부 개방부를 한정한다. 굽은 플랜지(64)는 수직 중간부(65) 및 하향 자유 단부(67)를 구비한 단부 에지(6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착탈식 손잡이(2)는 구조 부품(10)이 상부에 배치된 그립 본체(2)를 포함한다.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으로 연장된다. 구조 부품(10)은 단부에 2개의 측면 족부(foot)(11a, 11b)를 포함하는 금속성의 단일 부품이다. 2개의 측면 족부(11a, 11b)는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구조 부품(10)의 단부에 배치된다. 2개의 측면 족부(11a, 11b)는 하향 연장되고 각각의 단부에 측벽(61)의 굽은 플랜지의 수직 중간부(65)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부 압박 구역(12a, 12b)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는 측벽(61)의 외면(63)과 연동하게 되어 있는 제1 및 제2 외부 압박 구역(14a, 14b)을 포함하는 외부 압박 부재(14)를 포함한다.
내부 압박 부재(1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내부 압박 구역(12a, 12b) 및 외부 압박 부재(14)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외부 압박 구역(14a, 14b)은 착탈식 손잡이(1)를 조리 용기(60) 상에 조립할 때 측벽(61) 및 굽은 플랜지(64)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수직축을 따라 서로 어긋나있다.
도 3 및 도 6에 따라, 착탈식 손잡이(1)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3)으로 병진 운동하는 빗장(20)으로 형성된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빗장(20)은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4)으로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도 6)를 포함하는 차단 벽(21)을 포함한다.
빗장(20)의 개방 위치에서, 차단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는 내부 압박 부재(12)와 외부 압박 부재(14) 사이에 측벽(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내부 압박 구역들(12a, 12b)이 굽은 플랜지(64)의 수직 중간부(65)와 맞닿게 될 수 있고 또한 외부 압박 구역(14a, 14b)이 측벽(61)의 외면(63)과 맞닿게 될 수 있도록 내부 압박 부재(12)로부터 이격 되도록 되어 있다.
빗장(20)의 폐쇄 위치에서, 차단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는 하향 자유 단부(67)와 맞닿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하향 자유 단부(67)를 차단벽(21)과 맞대어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따라, 착탈식 손잡이(1)는 안정된 폐쇄 위치로부터 안정된 개방 위치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거쳐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빗장(20)으로 형성된 잠금 부재의 이동 수단들(30)을 포함한다. 이동 수단들(30)은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4)으로 연장되는 피벗 축(34)을 중심으로 피벗 하도록 그립 본체(2) 상에 장착된 레버(35)를 포함하고, 그 레버(35)가 피벗 할 때 빗장(20)을 이동시킬 수 있는 크랭크(40)를 포함한다. 크랭크(40)는 축(43)을 중심으로 제1 단부(41)에 의하여 피벗하도록 빗장(20)에 조립되고, 레버(35) 내에 구현된 장방형 개방부(31) 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된 축(44)을 중심으로 제2 단부(42)에 의하여 피벗하도록 레버(35)에 조립된다.
레버(35)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거쳐 피벗 축(3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 외에, 이동 수단들은 또한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된 축(44)과 레버(35)의 횡단 벽(32) 사이에 배치된 압축 용수철(47)을 포함한다. 그 압축 용수철(47)은 조리 용기(60)의 굽은 플랜지(64)의 기하학 형태에 따라 폐쇄 위치에서 빗장(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따라, 레버(35)의 폐쇄 위치에서, 제2 단부(42)가 그 둘레로 피벗하는 축(44)은 피벗 축(33)과 축(43)을 통과하는 직선(6) 상부에 위치한다. 제2 단부(42)는 압축 용수철(47)의 작용하에 그립 본체(2)의 내벽과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빗장(20)은,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1) 상에서 소정의 힘을 유지하지 않아도, 자연히 그것의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레버(35)는 제2 단부(42)가 둘레로 피벗하는 축(44)이 피벗 축(34)과 축(43)을 통과하는 직선 하부로 이동할 때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1)는 초기에 안정된 폐쇄 위치에 있던 이동 수단들(30)을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개방 수단들(50)을 포함한다. 개방 수단들(50)은 구조 부품(10)의 개방부(80) 내에 그립 본체(2)의 상부 표면상에 배치된 개방 버튼(50a)을 포함한다. 개방 버튼(50a)은 착탈식 손잡이(1)의 종방향(3)에 대하여 수평한 횡축(5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버튼(50a)은, 레버(35)가 그것의 폐쇄 위치에 있는 휴식 하강 위치(도 7) 및 레버(35)가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 있는 중간 상승 위치(도 8) 및 레버(35)가 그것의 개방 위치에 있는 상승 위치(도 9) 사이에서 이동한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착탈식 손잡이(1)는 그립 본체(2)의 내벽 및 빗장(20)에 포함된 제동 장치(22) 사이에 배치된 빗장(20)의 복원 수단(5)을 포함한다. 복원 수단(5)은 빗장(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압축되어 작동하며 레버(35)가 그것의 완전한 개방 위치로 구동될 때 빗장(20)을 그것의 개방 위치로 구동하기 위하여 복원력을 제동 장치(22) 상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따라, 개방 수단들(50)은 횡축(51)을 중심으로 개방 버튼(50a)과 함께 회전 운동하는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횡방향(4)으로 개방 버튼(50a)의 양측에 돌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각각 외형 설정된 제1 및 제2 구동 단부(54b, 54c)를 포함하는 단 레버 아암(52b) 및 장 레버 아암(52c)을 각각 포함한다. 레버(35)는 제1 및 제2 외형 설정된 구동 단부(54b, 54c)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제1 및 제2 수용 면(33a, 33b)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 레버 아암(52b)의 외형 설정된 구동 단부(54b)는 레버(35)가 포함하고 있는 제1 수용면(33a)과 대향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개방 버튼(50a)이 하강 휴식 위치(도 7 참조)에서 중간 상승 위치(도 8 참조)로 조작될 때 레버(35)의 짧은 제1 경로를 생성한다. 단 레버 아암(52b)은 짧은 제1 경로 상에서 이동 수단들을 그것의 안정된 폐쇄 위치에서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수용면(33a)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따라, 개방 버튼(50a)의 하강 휴식 위치에서, 크랭크(40)의 제2 단부(42)가 둘레로 피벗하는 축(44)은 크랭크(40)의 제1 단부(41)가 둘레로 피벗하는 축(43)과 피벗 축(34)을 통과하는 직선(6)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동 수단들(30)은 자연히 용수철(47) 및 복원 수단(5)의 작용하에 그것의 안정된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도 8에 따라, 개방 버튼(50a)의 중간 상승 위치에서, 장 레버 아암(52c)의 외형 설정된 제2 구동 단부(54c)는 제2 수용면(33b)을 구동하기 시작하는 반면, 단 레버 아암(52b)의 외형 설정된 제1 구동 단부(54b)는 제1 수용면(33a)을 떠나기 시작하고, 축(44)은 축(43)과 피벗축(34)을 통과하는 직선(6)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동 수단들은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 있고 안정된 개방 위치로 전환될 준비가 된다.
도 8 및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장 레버 아암(52c)의 외형 설정된 제2 구동 단부(54c)는 레버(35)가 포함하고 있는 제2 수용면(33b)에 대향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개방 버튼(50a)이 중간 상승 위치(도 8 참조)에서 상승 위치(도 9 참조)로 조작될 때 레버(35)의 긴 제2 경로를 생성한다. 장 레버 아암(52c)은 긴 제2 경로 상에서 이동 수단들을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부터 그것의 안정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수용면(33b)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따라, 개방 버튼(50a)의 상승 위치에서, 축(44)은 축(43)과 피벗 축(34)을 통과하는 직선(6)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레버(35)는 제2 강도의 작용 하에 그것의 개방 위치로 구동된다.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레버(35)가 이동함으로써, 크랭크(40)를 통하여 빗장(20)이 그것의 개방 위치로 구동되게 된다. 그 결과, 착탈식 손잡이(1)는 조리 용기(60)로부터 잠금 해제된다.
장 레버 아암(52c)의 긴 제2 경로 말기에, 용수철(47) 및 복원 수단(5)의 작용 하에, 레버(35)는 제2 추력 부재(50c)가 레버 상에 더는 힘을 인가하지 않는 그것의 개방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것의 완전한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작동중에, 조리 용기(60)의 착탈식 손잡이(1)를 분해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립 본체(2)를 파지하고, 단 레버 아암(52b) 및 장 레버 아암(52c)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 추력 부재(50b, 50c)를 피벗시키기 위하여 엄지로 토크를 인가함으로써 개방 버튼(50a)을 들어올린다. 그러면, 단 레버 아암(52b)의 외형 설정된 제1 구동 단부(54b)는 짧은 제1 경로 상에서, 레버(35)를 그것의 폐쇄 위치에서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 수용면(33a)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한다. 장 레버 아암(52c)의 외형 설정된 제2 구동 단부(54c)는 긴 제2 경로 상에서, 레버(35)를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에서 그것의 개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2 수용면(33b)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한다. 레버(35)가 그것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빗장(20)이 크랭크(40)를 통하여 그것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착탈식 손잡이(1)를 조리 용기(60) 상에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립 본체(2)를 파지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작동법을 따라 빗장(20)을 그것의 개방 위치로 가져온다. 그에 따라, 차단 벽(21)은 내부 압박 부재(12)로부터 이격된다. 사용자는 수직 중간부(65)를 내부 압박 부재(12a, 12b)와 맞닿게 하고 측벽(61)의 외면(63)을 외부 압박 구역(14a, 14b)과 맞닿게 하기 위하여, 굽은 플랜지(64) 및 측벽(61)을 내부 압박 부재(12)와 압박 부재(14) 사이에 삽입한다. 그 후, 사용자는 레버(35)를 그것의 개방 위치에서 그것의 폐쇄 위치로 전환하고 따라서 빗장(20)을 그것의 개방 위치로부터, 차단 벽(21)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압박부(21a, 21b)가 단부 에지(66)의 하강 자유 단부(67)와 맞닿고 따라서 내부 및 외부 압박 부재(12, 14)에 대향하여 굽은 플랜지(64)를 고정하는 빗장(20)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 레버(35)를 누른다. 그 결과, 착탈식 손잡이(1)는 조리 용기(60) 상에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제공된, 상술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이 가능하며, 특히 여러 요소의 구성면에서, 또는 동등한 기술로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변형 실시예에서, 개방 수단들이 갖고 있는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단 캠 및 장 캠을 각각 포함하는데, 단 캠은 이동 수단들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장 캠은 캠들에 의해 구동되는 팔로어(follower)를 형성하는 이동 수단들 상으로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호적으로, 개방 수단들은 이동 수단들이 갖고 있는 제1 및 제2 추력 부재 상에 힘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유일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추력 부재는 각각 단 캠 프로필 및 장 캠 프로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측벽과 맞닿게 되어 있는 고정식 압박 부재는 고정식 조오(jaw)로 형성되고 잠금 부재는 이동식 집게로 형성된다.

Claims (14)

  1. 측벽(61)이 있는 조리 용기(60)와 연동하게 되어 있는 착탈식 손잡이(1)로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종방향(3)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61)과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압박 부재(12, 14) 및 상기 착탈식 손잡이(1)가 상기 측벽(61)에서 분리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착탈식 손잡이(1)가 상기 측벽(61) 상에 고정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안정된 개방위치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위치를 통과하여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잠금 부재(20)의 이동 수단들(30) 및 초기에 그것의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던 상기 이동 수단들(30)을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너머로 구동시키도록 마련된 잠금 부재(20)의 개방 수단들(50)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수단들(50)은 상기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수평면 내에 포함된 축(5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개방 버튼(50a)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버튼(50a)은 상기 이동 수단들(30)이 상기 안정된 폐쇄위치에 있는 하강 휴식 위치와 상기 이동 수단들(30)이 상기 안정된 개방위치에 있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버튼(50a)은 상기 하강 휴식 위치로부터 상기 상승 위치로 중간 상승 위치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방 수단들(5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추력 부재(5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추력 부재(5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추력 부재(50b)는 상기 개방 버튼(50a)이 상기 하강 휴식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 상승 위치로 조작될 때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그것의 안정된 폐쇄위치와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 사이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2 추력 부재(50c)는 상기 개방 버튼(50a)이 중간 상승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조작될 때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그것의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와 그것의 안정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력 부재(50b)는 상기 개방 버튼(50)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토크의 작용하에 놓일 때, 상기 이동 수단들(30)을 상기 안정된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추력 부재(50c)는 상기 버튼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토크의 작용 하에 놓일 때, 상기 이동 수단들(50)을 상기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로부터 상기 안정된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개방 버튼(50a) 상에 제공하는 동일한 토크의 작용 하에서,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인가된 제1 강도 값은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인가된 제2 강도 값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상기 개방 버튼(50a)을 통한 사용자의 작용 하에 이동할 때, 상기 이동 수단들(30)이 포함하고 있는 제1 및 제2 수용면(33a, 33b)에 각각 대향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이동 수단들(30)을 그것의 안정된 개방위치를 향하여 구동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용면(33a, 33b)을 각각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횡축(51)을 따라 상기 개방 버튼(50a)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각각 단 레버 아암(52b) 및 장 레버 아암(5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 레버 아암(52b)은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장 레버 아암(52b)은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 레버 아암(52b)은 상기 제1 수용면(33a)과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외형 설정된 제1 구동 단부(54b)를 포함하고, 상기 장 레버 아암(52c)은 상기 제2 수용면(33b)과의 접촉을 보장하도록 마련된 제2 단부(5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추력 부재(50b, 50c)는 각각 단 캠 및 장 캠을 포함하고, 상기 단 캠은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1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장 캠은 상기 이동 수단들(30) 상에 제2 강도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들(30)은 종방향(3)에 대하여 횡방향(4)을 따라 연장되는 피벗 축(34)을 중심으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불안정한 중간 평형 위치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레버(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1. 제10항에 있어서, 제5항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용면(33a, 33b)은 상기 레버(35)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버튼(50a)은 하강 휴식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3)에 대하여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의 각거리 상으로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들(30)은 상기 잠금 부재(20)에 연결된 크랭크(40) 및 상기 크랭크(40)에 연결된 용수철(47)을 포함하고, 상기 용수철(47)은 상기 잠금 부재(20)의 위치를 상기 측벽(61)의 두께에 적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는 상기 측벽(61)과 맞닿게 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고정식 압박 부재(12, 14), 및 상기 측벽(61)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12, 14) 사이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는 개방위치와 상기 측벽(61) 상에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1)가 고정되도록 상기 측벽(61)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압박 부재(12, 14) 사이에서 압박되어 있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잠금 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1).
KR1020180000494A 2017-01-06 2018-01-03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KR102440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0125A FR3061645B1 (fr) 2017-01-06 2017-01-06 Poignee amovible munie d'un systeme d'ouverture avec un bouton pivotant
FR1750125 2017-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56A true KR20180081456A (ko) 2018-07-16
KR102440050B1 KR102440050B1 (ko) 2022-09-06

Family

ID=5850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494A KR102440050B1 (ko) 2017-01-06 2018-01-03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345520B1 (ko)
JP (1) JP7109192B2 (ko)
KR (1) KR102440050B1 (ko)
CN (2) CN209220051U (ko)
ES (1) ES2894950T3 (ko)
FR (1) FR3061645B1 (ko)
PL (1) PL3345520T3 (ko)
WO (1) WO2018127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645B1 (fr) * 2017-01-06 2019-05-17 Seb S.A. Poignee amovible munie d'un systeme d'ouverture avec un bouton pivotant
FR3118569B1 (fr) * 2021-01-07 2023-01-06 Seb Sa Poignée amovible présentant un assemblage optimisé
IT202100010910A1 (it) * 2021-04-29 2022-10-29 Tognana Porcellane S P A Pentol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manico per pentol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07B1 (ko) * 2002-07-24 2010-10-01 세브 에스.아.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KR20110060780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태일금속 조리용기용 분리형 손잡이
KR20140102666A (ko) * 2011-11-04 2014-08-22 아메파 프랑스 인덱싱 없는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940A (ja) * 1999-08-23 2001-03-06 Nikkei Products Co 容器の着脱式取手
IT1314444B1 (it) * 2000-10-13 2002-12-13 Maria Grazia Fiocco Sistema di aggancio per impugnature amovibili o staccabili di variutensili, in particolare di pentole, padelle o simili.
FR2937237B1 (fr) * 2008-10-16 2011-03-25 Tele Shopping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d'un recipient culinaire et recipient culinaire pourvu d'un tel dispositif.
KR101140398B1 (ko) * 2009-02-27 2012-07-12 조철환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N201445424U (zh) * 2009-08-28 2010-05-05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可脱卸的锅手柄
JP2011206510A (ja) * 2010-03-26 2011-10-20 Namsun Co Ltd 調理容器用分離型取っ手
CN102743118B (zh) * 2011-04-18 2015-03-18 陆意祥 一种可拆装式锅柄
KR101276510B1 (ko) * 2011-07-15 2013-06-18 김종문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5266425B1 (ja) * 2012-09-07 2013-08-21 克子 小林 調理用鍋の着脱把手
KR101437758B1 (ko) * 2013-01-02 2014-09-03 킴스핸들 주식회사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N203088884U (zh) * 2013-02-25 2013-07-31 苏州河艺岭进出口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锅手柄
FR3017040B1 (fr) * 2014-02-06 2016-07-22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d'un recipient culinaire a pince de serrage
DE202015001953U1 (de) * 2015-03-13 2015-03-24 Ds Produkte Gmbh Abnehmbarer Griff für ein Kochgefäß
FR3038505B1 (fr) * 2015-07-08 2017-07-07 Seb Sa Poignee amovible
FR3061645B1 (fr) * 2017-01-06 2019-05-17 Seb S.A. Poignee amovible munie d'un systeme d'ouverture avec un bouton pivot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907B1 (ko) * 2002-07-24 2010-10-01 세브 에스.아.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KR20110060780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태일금속 조리용기용 분리형 손잡이
KR20140102666A (ko) * 2011-11-04 2014-08-22 아메파 프랑스 인덱싱 없는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72361B (zh) 2023-04-25
CN209220051U (zh) 2019-08-09
CN108272361A (zh) 2018-07-13
KR102440050B1 (ko) 2022-09-06
FR3061645A1 (fr) 2018-07-13
FR3061645B1 (fr) 2019-05-17
PL3345520T3 (pl) 2022-01-17
WO2018127663A1 (fr) 2018-07-12
EP3345520A1 (fr) 2018-07-11
ES2894950T3 (es) 2022-02-16
JP2018134391A (ja) 2018-08-30
JP7109192B2 (ja) 2022-07-29
EP3345520B1 (fr)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1456A (ko)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US10362891B2 (en) Pressure-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that operates asymmetrically
AU759670B2 (en) Safety system to prevent the functioning of a blender or food processor if the top of its cup is not in place
US6000100A (en) Removable container holding device
CA2629869C (en)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KR101671826B1 (ko)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KR102474739B1 (ko) 착탈식 손잡이
US6220477B1 (en) Flip-handle cookware
JPH09164085A (ja) 容器用の取外し可能なハンドル
CN101977536A (zh) 烹饪容器
KR102474736B1 (ko) 2개의 피벗식 버튼이 있는 개방 시스템을 구비한 착탈식 손잡이
CN210276847U (zh) 由配备有挂耳的烹饪容器和可拆卸手柄形成的烹饪组件
EP3009055A1 (en) Two-handed attachable-and-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CN104486980A (zh) 与突耳协作的可拆卸的手柄
US8667893B2 (en) Side door switching mechanism for a toaster
CN1281672A (zh) 一种用于具有凹入锅盖的压力锅的开启/关闭装置
KR20110011200U (ko) 냄비
EP3589178A1 (en) Food processor with enhanced lid handle and process for operation thereof
KR20160114720A (ko) 클램프를 갖는 조리 용기용 탈부착 가능한 그립 장치
KR20120016512A (ko) 조리용기용 집게
JP6955247B2 (ja) 調理器具の耳状保持部材のための脱着可能な把持具
US2537839A (en) Jack
JP2001029246A (ja)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WO2016102090A1 (en) A food preparation appliance
CN217659217U (zh) 操作方便的电饭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