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208A - 수중 집어등 - Google Patents

수중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208A
KR20180081208A KR1020170002130A KR20170002130A KR20180081208A KR 20180081208 A KR20180081208 A KR 20180081208A KR 1020170002130 A KR1020170002130 A KR 1020170002130A KR 20170002130 A KR20170002130 A KR 20170002130A KR 20180081208 A KR20180081208 A KR 20180081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emitting
outside
ope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우
Original Assignee
김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우 filed Critical 김관우
Priority to KR102017000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208A/ko
Publication of KR2018008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를 잡을 때 물속에 넣어 사용하는 수중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와, LED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LED 발광용 회로가 내부에 수용되는, 투광성이 있는 발광봉과; 상기 발광봉의 상반부를 수용하는, 투광성이 있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발광봉의 하반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광성이 있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수중 집어등으로서, 상기 발광봉은 상단이 외부로부터 폐쇄되고 하단이 외부에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로는 액상의 밀폐제가 주입 및 응고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가 수용된 내부가 상기 응고된 밀폐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상기 LED 발광용 회로는 수중에서 물을 매개로 통전이 가능한 한 쌍의 스위칭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으로써 상기 응고된 밀폐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노출된 한 쌍의 스위칭 단자를 수용함과 동시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점등과 소등이 편리하고 사용수명이 길며 방수효과가 뛰어난 수중 집어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집어등{UNDERWATER FISH-LURING LIGHT}
본 발명은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는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속에서 사용하는 수중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중 집어등(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의 상부케이스(11)와 부품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12)가 나사결합되는 사이에 방수(防水)를 위해 오링(13)이 개재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부케이스(12)에 내장되는 회로 및 배터리(도면 미도시)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는 LED(14)가 빛을 발생시키면 상부케이스(11)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수중 집어등(10)을 사용하려면 먼저, 상부케이스(11)를 돌려 개방한 다음 하부케이스(12)에 내장되는 스위치(도면 미도시)를 온(ON) 시켜줌으로써 LED(14)를 켜고, 다시 상부케이스(11)를 닫아줌으로써 비로소 집어등(10)을 물속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중 집어등(10)은 사용할 때마다 케이스(11, 12)를 개폐시켜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물속에서 건져낸 다음에는 대개의 경우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둠에 따라 배터리 방전으로 폐기처분되는 일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수중 집어등(10)은 사용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수중 집어등(10)은 상,하부 케이스(11, 12)의 나사결합 구조에 오링(13)이 결합되는 방수구조는 외부충격에 취약하고, 결합부위나 갈라진 틈새를 타고 물이 침투됨에 따라 쉽게 고장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등과 소등이 편리하고 사용수명이 길며 방수효과가 뛰어난 수중 집어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배터리와, LED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LED 발광용 회로가 내부에 수용되는, 투광성이 있는 발광봉과; 상기 발광봉의 상반부를 수용하는, 투광성이 있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발광봉의 하반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광성이 있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수중 집어등으로서, 상기 발광봉은 상단이 외부로부터 폐쇄되고 하단이 외부에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로는 액상의 밀폐제가 주입 및 응고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가 수용된 내부가 상기 응고된 밀폐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상기 LED 발광용 회로는 수중에서 물을 매개로 통전이 가능한 한 쌍의 스위칭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으로써 상기 응고된 밀폐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노출된 한 쌍의 스위칭 단자를 수용함과 동시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제로는 에폭시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가 수용된 상기 발광봉의 개구로는 뚜껑이 상기 발광봉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칭 단자는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주입되는 밀폐제는 상기 개구 측 내주면에서 상기 뚜껑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덮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단에 걸림고리 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하단에 걸림고리 또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집어등에 의하면, LED 발광용 회로를 작동개시하기 위한 한 쌍의 스위칭 단자가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개방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중 집어등을 물에 넣는 행위만으로도 LED가 점등되게 할 수 있고 물에서 빼내는 행위만으로도 LED가 소등되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점등과 소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에는 항상 LED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사용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다.
또한, 발광봉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는 상기 발광봉 하단부 개구에 주입 및 응고되는 밀폐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밀폐됨에 따라 우수한 방수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외부충격에 강하고 결합부위나 갈라진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물이 침투되는 현상 및 이로 인한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수중 집어등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수중 집어등의 일 구성요소인 발광봉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수중 집어등의 내부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수중 집어등의 변형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이들 케이스(110, 12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봉(130)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발광봉(13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발광용 회로(150)가 상기 LED(140)와 함께 수용된다.
이를 위해 발광봉(130)은 하단이 개방된 개구(131, 도 5 참조)를 이루고 반대로 상단은 돔 형태로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LED(140) 및 LED 발광용 회로(150)는 개구(131)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용된다.
LED 발광용 회로(150)의 표면으로는 LED(140)의 구동을 위한 회로(도 4 참조)가 형성되며, 반대측 표면으로는 수은전지와 같은 배터리(도면 미도시)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회로는 트랜지스터(15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약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LED 발광용 회로(150)는 LED(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회로기판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가 형성된다.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 사이에 전류가 통하게 되면 LED 발광용 회로(150)는 스위칭 온(ON) 됨으로써 LED(14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100)은 물속에 담겨진 상태에서 LED(140)의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므로, 상기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가 함께 물속에 잠기는 경우 극성을 갖는 물을 매개로 하여 단자(151) 간 통전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는 수중에서 외부의 물이 닿을 수 있도록 LED 발광용 회로(150)가 발광봉(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봉(130)의 하단 개구(131)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개구(131)를 통해 뚜껑(160)이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발광봉(1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LED 발광용 회로(150)를 가압 지지하도록 한 다음, 에폭시 수지와 같은 액상의 밀폐제(170)를 상기 개구(131)를 통해 주입 및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배터리(도면 미도시), LED(140) 및 LED 발광용 회로(150)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킨다.
이때, 뚜껑(16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161)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가 상기 구멍(161)의 좌우 양단부를 통해 관통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개구(1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에폭시 수지는 개구(131)에 삽입된 뚜껑(160)의 표면에 도포되어 상하 축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여 개구(131)측 내주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한편, 개구(131)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는 외부의 물이 닿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20)의 하단부에는 상기와 같이 개구(1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스위칭 단자(도 4의 15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S)은 측면에 형성되는 절개부(1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수용공간(S)은 절개부(121)와 함께 하부케이스(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공을 이룬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21)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한 쌍의 스위칭 단자(151)에 닿음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LED(도 4의 14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발광봉(130)을 포함하여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는 투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광봉(130)은 빛의 단순한 통과가 아닌 확산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확산 PC(Polycarbonate)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2 등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110)의 상단과 하부케이스(120)의 하단에는 각각 걸림고리(111, 122)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줄이나 고리 등에 쉽게 걸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의 상단과 하부케이스(120)의 하단에 각각 걸림홀(112, 123)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줄이나 고리 등에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6에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외주면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출부(113, 124)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하부 케이스(110, 120)를 잡고 회전시켜 서로 결합 내지 해체하기 쉽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수중 집어등(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수중 집어등 110: 상부케이스
111: 걸림고리 112: 걸림홀
113: 돌출부 120: 하부케이스
121: 절개부 122: 걸림고리
123: 걸림홀 124: 돌출부
130: 발광봉 131: 개구
140: LED 150: LED 발광용 회로
151: 스위칭 단자 152: 트랜지스터
160: 뚜껑 161: 구멍
170: 밀폐제

Claims (5)

  1.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배터리와, LED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LED 발광용 회로가 내부에 수용되는, 투광성이 있는 발광봉과;
    상기 발광봉의 상반부를 수용하는, 투광성이 있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발광봉의 하반부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광성이 있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수중 집어등으로서,
    상기 발광봉은 상단이 외부로부터 폐쇄되고 하단이 외부에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로는 액상의 밀폐제가 주입 및 응고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가 수용된 내부가 상기 응고된 밀폐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상기 LED 발광용 회로는 수중에서 물을 매개로 통전이 가능한 한 쌍의 스위칭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으로써 상기 응고된 밀폐제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노출된 한 쌍의 스위칭 단자를 수용함과 동시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제는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LED 및 LED 발광용 회로가 수용된 상기 발광봉의 개구로는 뚜껑이 상기 발광봉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스위칭 단자는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주입되는 밀폐제는 상기 개구 측 내주면에서 상기 뚜껑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단에 걸림고리 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하단에 걸림고리 또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KR1020170002130A 2017-01-06 2017-01-06 수중 집어등 KR20180081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130A KR20180081208A (ko) 2017-01-06 2017-01-06 수중 집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130A KR20180081208A (ko) 2017-01-06 2017-01-06 수중 집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208A true KR20180081208A (ko) 2018-07-16

Family

ID=6304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130A KR20180081208A (ko) 2017-01-06 2017-01-06 수중 집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2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822A (zh) * 2021-05-11 2021-08-06 温岭市绿能机电有限公司 一种智能诱鱼灯及其捕鱼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822A (zh) * 2021-05-11 2021-08-06 温岭市绿能机电有限公司 一种智能诱鱼灯及其捕鱼方法
CN113207822B (zh) * 2021-05-11 2022-02-11 温岭市绿能机电有限公司 一种智能诱鱼灯及其捕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68B1 (ko) 집어등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US6942354B2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US4680682A (en) Waterproof flashlight
KR20120033400A (ko) 전자찌
US8054191B2 (en) Optical signaling device for electrical monitoring devices
KR20180081208A (ko) 수중 집어등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JP7235314B2 (ja) 集魚灯及び集魚灯を用いた漁法
GB2089015A (en) Improvements in waterproof light emitting devices
US3978330A (en) Battery hand lamp
KR20090005824U (ko) 발광 낚시찌
KR102258180B1 (ko) 낚시용 케미라이트
KR101406448B1 (ko) 핸드헬드 발광봉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2010263876A (ja) 疑似餌
TWM559595U (zh) 電子發光棒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2002100203A (ja) 水中照明装置
ES1171408U (es) Foco sumergible
KR20000017709A (ko)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집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