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698A -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698A
KR20180080698A KR1020180001217A KR20180001217A KR20180080698A KR 20180080698 A KR20180080698 A KR 20180080698A KR 1020180001217 A KR1020180001217 A KR 1020180001217A KR 20180001217 A KR20180001217 A KR 20180001217A KR 20180080698 A KR20180080698 A KR 2018008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nergy
energy sources
active
power
in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883B1 (ko
Inventor
토미 칸카안란타
빌레 나우마넨
Original Assignee
비제도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제도 오와이 filed Critical 비제도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8008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6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for load balancing, symmetrisation, or sha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4Balancing the load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63H2021/205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the second power unit being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ype, or the like, e.g. a Diesel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63H2021/216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2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ships 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및 상기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에 따라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제어값 및 활성화 한계값 및 비활성화 한계값을 기반으로 하여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한다. 상기 제어값은 상기 전력의 목표값 또는 실제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활성화한다. 활성화 한계값 및 비활성화 한계값 뿐 아니라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순서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특성들 및 전력 시스템의 주요 작동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An electric power system and a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한정적인 예로서 연소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배터리, 및/또는 연료전지와 같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에 관힌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 전력 시스템은 개별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는 각각의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서로 다른 소스들은서로 다른 시점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전력 시스템은, 예를 들어 선박이나 페리의 전력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전력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상기 선박이나 페리의 하나 이상의 추진 모터, 교류 전압망, 및/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선수 추진기 모터와 같은 다른 부하(load)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직류 전압 레일의 직류 전압을 AC-모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전환하기 위한 인버터를 구비하는 교류 “AC” 모터이다. 각 전기 에너지 소스는, 예를 들어 연소 기관 구동 발전기,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일 수 있다.
상술한 종류의 전력 시스템에 내재된 문제점은 전력 시스템의 작동 환경에 따라 최적의 또는 적어도 최적에 가까운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서브 세트가 활성화 되도록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질 전기 에너지 소스의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될 필요가 있는 전력,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작동 비용,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시동(starting) 특성,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사용 수명(serviceable life), 및/또는 해당 전력 시스템의 작동 모드와 같은 다른 요소들. 선박이나 페리의 경우, 작동 모드는 예컨대 해양(open sea) 모드와 항구 모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효율'은 전기 에너지 소스의 출력과 손실의 합에 대한 전기 에너지 소스의 출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시동 특성은, 예를 들어 에너지 소스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활성화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된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시간과 외부 공급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연소 기관 구동 발전기는 연소 기관을 시동하는 데 시간과 외부 공급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발명의 구체예들의 일부 측면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요약을 나타낸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상기 요약은 본 발명의 핵심 또는 중요한 요소를 확인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요약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 예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 서두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본 발명의 일부 개념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 목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 전력 목표값 또는 전력 실제값(actual value)에 따르는 제어값(control value)이 활성화 한계값(activation limit)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inactive)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power sharing)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명령뿐 아니라 상술한 활성화 한계값 및 비활성화 한계값 역시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특성 및 상기 전력 시스템의 주요 작동 모드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제어에 몇 가지 요소들을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 요소들은,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작동 비용,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시동 특성, 및/또는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사용 수명. 상기 에너지 소스들은, 바람직하게는 각 시간에 활성화되는 에너지 소스들이 그들의 바람직한 부하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신규한 제어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출력,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을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 및 다음의 동작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 전력 목표값 또는 전력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소스들 및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신규한 전력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유형의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신규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가능한 처리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전력의 목표값 또는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암호화된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인 다수의 구체예들은 첨부된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구성들 및 작동 방법들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및 비한정적 구체예들 및 그에 대한 추가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특정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구체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하다"라는 동사는 기재되지 않은 특징들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하지도 요구하지도 않는 열린 표현이다. 종속항들에 기재된 특징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호 자유롭게 결합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등의 단수 형태의 사용은 복수 형태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구체예들 및 그것들의 이점들을 예시적인 관점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비한정적 구체예들은 첨부한 청구항들의 범위 및/또는 적용 가능성을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모든 예시들의 리스트 및 그룹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모든 것을 망라하는 완전한 리스트 및 그룹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시스템은 선박 또는 페리의 전기 시스템의 일부이다. 상기 전력 시스템은 전력 시스템의 부하(1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 107, 108, 109)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은 상기 부하(122)에 연결된 직류 전압 레일(1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122)는 선박 또는 페리의 추진 시스템(119), 선수 추진기 시스템(120), 및 교류 전압망(121)을 포함한다. 상기 부하(122)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 전력 시스템에서, 각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 107)은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직류 전압을 직류 전압 레일(111)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직류-직류 전압 (DC-DC) 변환기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전기 에너지 소스(106)의 배터리는 부호 112로, 전기 에너지 소스(106)의 DC-DC 변환기는 부호 113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전기 에너지 소스들(108, 109)은 연소 기관, 상기 연소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의 전압을 상기 직류 전압 레일(111)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 기관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일 수 있고, 상기 발전기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여기된(excited) 동기 발전기(synchronous generator), 영구 자석 동기 발전기, 또는 비동기 발전기(asynchronous generator)일 수 있다. 도 1에서, 전기 에너지 소스(108)의 연소 기관은 부호 114로, 전기 에너지 소스(108)의 발전기는 부호 115로, 전기 에너지 소스(108)의 변환기는 부호 116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기 에너지 소스(110)는 연료 전지(117) 및 상기 연료 전지(117)의 직류 전압을 직류 전압 레일(111)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 변환기(1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은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101)는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출력(102) 및 상기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P)의 목표값(P_ref)을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103)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P)은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각각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합이다. 배터리(112)가 충전될 때,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106)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은 음의 값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 소스(107)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이 음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1)는, 제어값(CV)이 활성화 한계값(L_act)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10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값(CV)은 상기 전력(P)의 목표값(P_re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값(CV)은 상기 전력(P)의 실제값(P_act)일 수도 있다. 목표값(P_ref)을 대응 실제값(P_act)으로 각각 변화시키는 데는 지연 시간이 발생하므로, 제어값(CV)으로서 목표값(P_ref)을 사용하는 것은 제어값(CV)으로서 실제값(P_act)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욱 선도적(proactive) 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활성화되어질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서 후술된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상술한 제어값(CV)이 비활성화 한계값(L_dac)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비활성화되어질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서 후술된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상기 목표값(P_ref)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공유는, 예를 들어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C ≤ 1이고, C는 모든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하여 같은 값이고, C×(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의 합)이 목표값(P_ref)인 경우,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C×(고려 대상인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의 최대 전력) 만큼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는 동일 비율의 그의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비율은 목표값(P_ref)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의 특성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서로 같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활성화 한계값(L_act)은, 예를 들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에 대한 제1 기설정 비율(predetermined proportion)일 수 있다.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C×(그것의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C가 상기 제1 기설정 비율을 초과할 때,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가 활성화된다. 상기한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은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에 대한 제2 기설정 비율일 수 있다.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C×(그것의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C가 상기 제2 기정 비율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가 비활성화된다. 상기 제2 기설정 비율은 상기 제1 기설정 비율보다 작다. 즉, 활성화 및 비활성화 사이의 진동(oscillations)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은 활성화 한계값(L_act)보다 작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상기 제어값(CV)이 활성화 한계값(L_act)을 초과할 때 활성화되도록 선택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화 한계값(L_act)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 한계값(L_act)은 예를 들어 K_act×(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일 수 있고, 상기 K_act는 필요시에 활성화되도록 선택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필요시 활성화되도록 선택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의 시동 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시동 특성들은, 예를 들어 해당 에너지 소스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에너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된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활성화되는데 시간 및 외부 공급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연소 기관 구동 발전기는 연소 기관을 시동하는 데 시간과 외부 공급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활성화되도록 선택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배터리인 경우, K_act는 0.75일 수 있다. 즉, 제어값(CV)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75%를 초과하면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된다. 또 다른 예로, 활성화되도록 선택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시동에 시간과 외부 에너지가 필요한 연소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인 경우, K_act는 0.60일 수 있다. 즉, 제어값(CV)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60%를 초과하면 이미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화 한계값(L_act)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 한계값(L_act)은 예를 들어 Q_act×(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들력의 합)일 수 있고, 상기 Q_act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최대 효율 또는 최대에 가까운 효율로 작동할 수 있는,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바람직한 부하 범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력(P)이 예컨대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50% ... 70%일 때,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바람직한 부하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다면, 상술한 Q_act는 예컨대 0.75일 수 있고, 이로써 전력(P)이 증가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더 이상 바람직한 부하 범위에서 작동될 수 없을 때,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전력(P)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에 대한 바람직한 비율을 가지는 상황을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가능한 비활성화 이후에 활성을 유지하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은 예를 들어 K_dac×(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일 수 있고, 상기 K_dac는 상기 가능한 비활성화 이후 활성이 유지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과 관련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남아있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얼마나 빠르게 전력의 목표값(P_ref)의 갑작스러운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K_dac는, 남아있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전력 수요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린 경우보다 전력 수요에 반응하는 속도가 빠른 경우에 더 크다. 다른 예로, 상술한 데이터는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최대 효율 혹은 최대에 가까운 효율로 작동할 수 있을 때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바람직한 부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P)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50% … 70% 범위에 있을 때, 각각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바람직한 부하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면, 상술한 K_dac는 예를 들어 0.45일 수 있고, 이로써 전력(P)이 감소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가 비활성화 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바람직한 부하 범위에서 더 이상 작동될 수 없을 때,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비활성화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전력(P)이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에 대하여 바람직한 비율을 가지는 상황을 회복할 수 있다.
활성화 한계값(L_act) 및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을 결정하는 상기 원리들은 비한정적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많은 원리들 역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한계값(L_act) 및 비활성화 한계값(L_dac)을 결정하는 데 둘 이상의 다른 원리들이 적용되어, 예비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한 후, 상기 예비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한계값을 기반으로 하여 적절한 수학적 및/또는 논리적 연산을 사용하여 활성화 한계값(L-act) 및 비활성화 한계값(L-dac)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prevailing) 비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되어질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가장 오랜 시간 동안 비활성 상태에 있었던 하나의 특정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비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는 에너지 소스별 가중치(energy source-specific weight factors)로 가중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주요 비활성 기간의 가중된 시간 길이가 가장 긴 특정의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대해 서로 다른 적합도를 갖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적합하지 않은 에너지 소스들보다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보다 적합한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가장 오랜 시간 동안 활성 상태에 있었던 하나의 특정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된다.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는 에너지 소스별 가중치로 가중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가중된 주요 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가 가장 긴 하나의 특정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기 에너지 소스가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서로 다른 적합도를 가질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적합하지 않은 에너지 소스들보다 반복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보다 적합한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누적 서비스 시간이 가장 짧은 하나의 특정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된다. 이 방법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은 에너지 소스별 가중치로 가중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가중된 누적 서비스 시간이 가장 짧은 하나의 특정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기 에너지 소스들이 서로 다른 작동 수명을 가질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작동 수명이 긴 에너지 소스들보다 작동 수명이 짧은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더 높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마모율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누적 서비스 시간이 가장 긴 하나의 특정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된다. 이 방법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은 에너지 소스별 가중치로 가중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가중된 누적 서비스 시간이 가장 긴 특정한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전기 에너지 소스가 서로 다른 작동 수명을 가질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작동 수명이 긴 에너지 소스들보다 작동 수명이 짧은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더 높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마모율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효율이 가장 높은 하나의 특정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체 전력 시스템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효율이 가장 낮은 하나의 특정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체 전력 시스템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작동 비용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시간당 작동 비용이 가장 낮은 하나의 특정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체 전력 시스템의 작동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작동 비용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비활성화가 발생할 필요가 있을 때, 시간당 작동 비용이 가장 높은 하나의 특정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체 전력 시스템의 작동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전력 시스템의 주요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작동 모드 신호(Op_mode)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시스템은 선박 또는 페리의 전기 시스템의 일부이며, 상기 작동 모드 신호(Op_mode)는 예를 들어 정박지로 운전중이거나 정박되어 있는지에 따라 작동 모드가 해양 작동인지, 항구 작동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상기 작동 모드 신호가 제1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중 제2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priorities)를 높이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제1 작동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한 해양 작동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연료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108~110)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하고,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 108)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상기 작동 모드 신호가 제2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제2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소스들의 상기한 활성화 우선순위를 낮추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작동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한 정박 시 항구 작동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많은 항구들에서 해안으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에너지를 받을 수 있으므로, 연료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108~110)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하고,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 108)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비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지속적인 해양 작동중에는, 항구에서 선박 또는 페리를 좁은 루트에서 운전할 때와는 다른 세트의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항구 운전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은 양호한 전원 반응과 조향 반응을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소스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104)는 서로 다른 기정의된 작동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정의된 활성화 및 비활성화 세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선택하는 상술한 원리들은 비한정적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많은 원리들 역시 적용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둘 이상의 선택 원리와 관련된 데이터에 적절한 수학적 및/또는 논리적 연산을 적용하여 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는, 예를 들어 누적 서비스 시간, 효율, 작동 비용, 시동 특성, 작동 모드에 따른 활성화 및 비활성화 우선순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컨트롤러(104)는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의 활성화 동안에 활성화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가 전력을 생산할 준비가 될 때까지 상기 전력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활성화 동안에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부하 경감은, 예컨대 추진 시스템(119)의 하나 이상의 변환기들 및/또는 상기 부하(122)의 다른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1)의 구현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회로들, 하나 이상의 디지털 처리 회로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처리 회로는 적합한 소프트웨어, 또는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과 같은 설정 가능 하드웨어 프로세서가 구비된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회로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1)는 예를 들어 임의 접근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회로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은, 예를 들어 정격 전력, 최대 전력, 효율, 시간 단위당 작동 비용, 시동 특성, 및/또는 상술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고정 형식 데이터 개체들(fixed format data entities)로서 제어 장치(101)에 제공되어, 활성화가 필요할 때 활성화될 에너지 소스를 선택 및/또는 비활성화가 필요할 때 비활성화될 에너지 소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기 에너지 소스가 해당 전기 에너지 소스의 유형과 무관하게 고정 형식 데이터 개체로 묘사되므로, 상기 제어 장치(101)는 서로 다른 전기 에너지 소스 세트들에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및 비한정적 구체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동작 단계들을 포함한다:
- 동작 단계 201: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 동작 단계 202: 상기 전력의 목표값 또는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동작 단계 203: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 동작 단계 204: 상기 전력의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활성화 한계값은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제1 기설정 비율이고, 비활성화 한계값은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제2 기설정 비율이며, 상기 제2 기설정 비율은 상기 제1 기설정 비율보다 작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할 때 활성화되는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비활성화 후에 활성을 유지하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비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비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동작 단계들을 포함한다:
- 전력 시스템의 주요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작동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작동 모드 신호가 제1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제2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시키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시키는 단계;
- 상기 작동 모드가 제2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제2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시키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시키는 단계,
-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비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구체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과 관련된 동작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처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그램 가능한 처리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동작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 전력 시스템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 또는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처리 시스템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툴(tool)에 의해 구현되는 서브루틴들 또는 함수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 일 구체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암호화된 콤팩트 디스크("CD”)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및 비한정적 일 구체예에 따른 신호는 본 발명의 예시적 일 구체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암호화된다.
상술한 설명에 기재된 비한정적 특정 예시들은 첨부한 청구항들의 범위 및/또는 적용 가능성을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모든 예시들의 리스트 및 그룹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모든 것을 망라하는 완전한 리스트 및 그룹은 아니다.

Claims (15)

  1.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출력(102), 및
    - 상기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을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10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 전력 목표값 또는 전력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전력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1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한계값은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제1 기설정 비율(predetermined proportion)이고, 상기 비활성화 한계값은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의 제2 기설정 비율이며, 상기 제2 기설정 비율은 상기 제1 기설정 비율보다 작은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상기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할 때 활성화될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에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최대 전력들의 합 및 상기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가능한 비활성화 이후에 활성을 유지하는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화 한계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비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주요 비활성 기간의 시간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누적 서비스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효율을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 전력 시스템의 주요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작동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작동 모드 신호가 제1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제2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시키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시키는 단계;
    - 상기 작동 모드가 제2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상황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제2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하여 제1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는 하강시키고, 비활성화 우선순위는 상승시키는 단계,
    -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의 비활성화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에서 비활성화될 전기 에너지 소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12. 전기 에너지 소스들(106∼110) 및 상기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101)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 에너지 소스들은 연소 기관으로 구동되는 발전기(115), 배터리(112) 및 연료 전지(117)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14.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전력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을 수신하는 단계(201)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전력 목표값 또는 전력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202),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203), 및
    - 상기 전력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2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가능한 처리 시스템이 하기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상기 전력 시스템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력의 목표값 또는 상기 전력의 실제값에 따르는 제어값이 활성화 한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비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 제어값이 비활성화 한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에 반응하여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 중 하나의 전기 에너지 소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 상기 목표값 및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에 대해 규정되는 전력 공유에 따라 활성 전기 에너지 소스들을 제어하는 단계.
KR1020180001217A 2017-01-04 2018-01-04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20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0237.0A EP3346567B1 (en) 2017-01-04 2017-01-04 An electric power system and a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same
EP17150237.0 2017-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98A true KR20180080698A (ko) 2018-07-12
KR102420883B1 KR102420883B1 (ko) 2022-07-13

Family

ID=5775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217A KR102420883B1 (ko) 2017-01-04 2018-01-04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73243B2 (ko)
EP (1) EP3346567B1 (ko)
JP (2) JP7288290B2 (ko)
KR (1) KR102420883B1 (ko)
CN (1) CN10828195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618A (ko) * 2018-10-04 2020-04-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55969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부하에 따른 전원 공급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4314A (ko) * 2018-11-29 2020-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KR20230103234A (ko) * 2021-12-31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배전시스템 및 배전시스템에서의 전력 분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3180A1 (de) * 2018-08-07 2020-02-13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Netzes eines Unterwasserfahrzeugs und Unterwasserfahrzeug, welches zu einer derartigen Regelung ausgestaltet ist
CN112078772B (zh) * 2020-08-28 2021-08-03 江苏大学 一种船用内燃机与燃料电池的混合动力系统及其控制方法
JP7290212B1 (ja) 2022-06-10 2023-06-13 株式会社三井E&S 船舶用発電システム、船舶用発電方法、および船舶用発電システムの制御用プログラム
WO2024010687A1 (en) * 2022-07-05 2024-01-11 8Me Nova,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optimization.
US11482864B1 (en) * 2022-07-05 2022-10-25 8Me Nova,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optimiz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001A (ja) * 2006-05-02 2010-10-07 Siemens Ag 船舶推進システムの運転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船舶推進システム
KR20150030307A (ko) * 2013-09-11 2015-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전력 관리시스템 및 전력 관리방법
KR20150143902A (ko) * 2014-06-13 2015-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 배전 및 제어 시스템
JP2016078565A (ja) * 2014-10-15 2016-05-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船舶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4523A (ja) * 1984-10-12 1986-05-13 信濃電気株式会社 負荷按分方式
JPS61102132A (ja) * 1984-10-24 1986-05-20 株式会社東芝 発電プラント運転制御装置
JPH0640707B2 (ja) * 1988-05-09 1994-05-25 富士電機株式会社 給電電流指令値演算回路
JPH09310674A (ja) * 1996-05-20 1997-12-02 Toshiba Eng Co Ltd 水車発電機の起動制御装置
US6949916B2 (en) * 2002-11-12 2005-09-27 Power-On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int-of-load regulator
DE10353967A1 (de) * 2003-11-19 2005-07-07 Siemens Ag Energieerzeugungs-, Verteilungs- und Bordstromversorgungssystem für emissionsarme Überwasser-Marine(Navy)-Schiffe unterschiedlicher Klassen und Größen
CN103560576B (zh) * 2006-11-16 2016-05-11 康明斯发电Ip公司 发电系统及方法
JP5111154B2 (ja) 2008-02-25 2012-12-26 中国電力株式会社 発電機自動運転装置
US8706330B2 (en) * 2008-11-14 2014-04-22 Hybrid Innovation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energy storage units and a combined serial and parallel hybrid marine propulsion system
PL2218638T3 (pl) * 2009-02-16 2012-09-28 Christophel Claus D System napędowy dla statku
EP2424065A1 (en) * 2010-08-31 2012-02-29 Alcatel Lucent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ES2578712T3 (es) * 2010-10-18 2016-07-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Un sistema de protección para un sistema de distribución de potencia eléctrica usando detección de corriente direccional y lógica dentro de relevos de protección
CN104471851B (zh) 2012-03-30 2017-06-06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功率转换装置
EP4071993A1 (en) * 2012-07-06 2022-10-12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9368972B2 (en) * 2012-07-27 2016-06-14 Kohler Co. Generator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a time to activate and deactivate generators based on the load level
JP6194523B2 (ja) 2012-08-03 2017-09-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56458B2 (en) * 2012-12-04 2016-05-31 Paul M. Nevins Switch-controlled energy cycling apparatus
US9318893B2 (en) * 2013-07-24 2016-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Isolated batter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601923B2 (en) * 2014-05-30 2017-03-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rrent limit management for multi-function systems
JP2016082740A (ja) * 2014-10-17 2016-05-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発電設備の運転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装置
CN107210621A (zh) * 2015-01-23 2017-09-26 西门子股份公司 船舶上的电能的分配
US10095254B2 (en) * 2015-03-25 2018-10-09 Cisco Technology, Inc.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JP6757570B2 (ja) * 2016-02-01 2020-09-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電力システム
GB2548631B (en) * 2016-03-25 2020-01-15 Jaguar Land Rover Ltd Electrical load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001A (ja) * 2006-05-02 2010-10-07 Siemens Ag 船舶推進システムの運転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船舶推進システム
KR20150030307A (ko) * 2013-09-11 2015-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전력 관리시스템 및 전력 관리방법
KR20150143902A (ko) * 2014-06-13 2015-12-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 배전 및 제어 시스템
JP2016078565A (ja) * 2014-10-15 2016-05-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船舶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618A (ko) * 2018-10-04 2020-04-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55969A (ko) *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부하에 따른 전원 공급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4314A (ko) * 2018-11-29 2020-06-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선박
KR20230103234A (ko) * 2021-12-31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배전시스템 및 배전시스템에서의 전력 분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81089B2 (en) 2022-07-05
KR102420883B1 (ko) 2022-07-13
US20180191164A1 (en) 2018-07-05
US20200251908A1 (en) 2020-08-06
EP3346567A1 (en) 2018-07-11
CN108281953A (zh) 2018-07-13
JP2022105671A (ja) 2022-07-14
JP7300038B2 (ja) 2023-06-28
EP3346567B1 (en) 2020-02-19
US10673243B2 (en) 2020-06-02
JP2018110515A (ja) 2018-07-12
CN108281953B (zh) 2023-07-18
JP7288290B2 (ja)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883B1 (ko) 전력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205334B2 (en) Power supply system, transporta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349874B1 (ko) 선박 추진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9983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to a power system for an aircraft
JP571717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9278832A (ja) 電源装置および電動工具システム
US8143835B2 (en) Method of driving DC/DC converter, method of controlling DC/DC converter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peration of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fuel cell system
EP1225082A2 (en) Control device for fuel cell powered vehicle
EP3255755B1 (en) High voltage power generating system
JP2014003771A (ja) 電源装置
US11601006B2 (en) Control of DC voltage distribution system
JP4148468B2 (ja) 電池の充電制御装置
KR20190052353A (ko) 모듈들을 그룹별로 제어하는 컨버터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2795A (ko)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 시스템
KR20210108305A (ko)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KR102081780B1 (ko) 다중 배터리용 에너지 관리 장치
JP2015177603A (ja)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装置
KR20190034069A (ko) 발전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하는 회전 전기 조립체, 운전 방법
JP2003169421A (ja)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10868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6131426A (zh) 光储用系统及光储用系统控制方法
CN115765131A (zh) 充电装置和充电控制方法
JP2021016260A (ja) 同期発電機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力供給システム
KR20200007470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ngh et al. Priority-Based Hierarchical Switching Charging-Discharging System For Continuous BESS Sustain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