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600A -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600A
KR20180080600A KR1020170001478A KR20170001478A KR20180080600A KR 20180080600 A KR20180080600 A KR 20180080600A KR 1020170001478 A KR1020170001478 A KR 1020170001478A KR 20170001478 A KR20170001478 A KR 20170001478A KR 20180080600 A KR20180080600 A KR 20180080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a content
media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0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600A/ko
Publication of KR2018008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서버부;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추천하는 미디어 서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EDIA CONTEN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정보와 연계된 미디어 콘텐츠 추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박물관 및 전시관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오디오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자와 양방향 교감이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에게 단일 미디어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였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와 오디오를 연계하여 복합형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복합형 미디어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빅 데이터 기술, IoT 기술 및 센싱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개인별 선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104230 호"사물인터넷 기반 모바일디바이스를 이용한 토탈 관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는 사전에 메인서버를 통해 필요한 정보만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동 경로, 관광 목적에 따른 비콘단말의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모바일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까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 모바일디바이스를 이용한 토탈 관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104230 호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에 대해서만 콘텐츠를 제공할 뿐, 개인별로 차별화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 또는 필요한 정보를 추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개인별로 차별화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물관 및 전시관 등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서버부;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추천하는 미디어 서버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등록 서버부는 부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하고, 상기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생성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대한 단말 입력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단말 입력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입력 정보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개인별로 차별화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물관 및 전시관 등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디어 콘텐츠 출력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사용자 단말(10), 디스플레이 장치(20) 및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에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개인 ID 정보, 이름, 신분 번호, 전화번호 및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말에 상응할 수 있고, 개인이 보유한 단말은 복수개가 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은 휴대폰, 스마트워치 등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상응할 수 있고,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게 선호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게 개인별로 차별화된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양방향 서비스 구조, 기능 및 개인화 정보 처리 방법에 비해 개선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비디오 카메라 센서 등을 활용해 사용자, 상황 및 장소 등을 인지하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과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무선랜, 3G, 4G LTE 등의 통신 환경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정보 및 단말정보를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에 전달하고,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추천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고,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등록 서버부(110), 정보 생성부(120) 및 미디어 서버부(130)를 포함한다.
등록 서버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등록 서버부(110)는 사전에 사용자 별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등록 서버부(110)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의 추가/수정/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등록 서버부(110)는 다른 외부 서버와의 부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20)는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생성부(120)는 개인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에 상응할 수도 있다.
즉, 정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별로 개인 정보, 단말 정보 및 개인 선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생성부(120)는 미디어 서버부(130)가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부(130)는 단말 정보와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단말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정보를 입력 받아 미디어 서버부(1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서버부(130)는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서버부(130)는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상황 및 장소를 촬영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서버부(130)는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된 제1 미디어 콘텐츠 추천에 대하여 사용자가 추가 정보, 선호 정보 또는 비선호 정보 등을 입력하여 단말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서버부(130)는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에서 단말 입력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서버부(130)는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생성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생성부(120)는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은 먼저 개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사전에 사용자 별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서버 관리자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 및 단말 정보의 추가/수정/삭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다른 외부 서버와의 부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은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20)는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개인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S220)는 사용자 별로 개인 정보, 단말 정보 및 개인 선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0)는 미디어 서버부(130)가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단말 정보와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30)는 사용자 단말(10)이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단말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정보를 입력 받아 미디어 서버부(1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30)는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0).
단계(S240)는 먼저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1).
이 때, 단계(S241)는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1)는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42).
즉, 단계(S242)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2)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상황 및 장소를 촬영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3).
즉, 단계(S243)는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3)는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단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44).
즉, 단계(S244)는 사용자 단말(10)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44)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한 제1 미디어 콘텐츠 추천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추가 정보, 선호 정보 또는 비선호 정보 등을 입력하여 단말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5).
즉, 단계(S245)는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에서 단말 입력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1), 단계(S242) 및 단계(S243), 단계(S244) 및 단계(S245)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42) 및 단계(S243)의 상황 정보 기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고, 단계(S244) 및 단계(S245)의 단말 입력 정보 기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고, 단계(S241)의 개인 선호 정보 기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계(S240)는 추천된 제1 내지 제3 미디어 콘텐츠 출력 결과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0)는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생성부(120)의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디어 콘텐츠 출력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240)는 먼저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1).
이 때, 단계(S241)는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1)는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42).
즉, 단계(S242)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2)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장착된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상황 및 장소를 촬영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3).
즉, 단계(S243)는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3)는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단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44).
즉, 단계(S244)는 사용자 단말(10)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10)의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44)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한 제1 미디어 콘텐츠 추천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추가 정보, 선호 정보 또는 비선호 정보 등을 입력하여 단말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단말 입력 정보를 미디어 서버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0)는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45).
즉, 단계(S245)는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에서 단말 입력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추천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41), 단계(S242) 및 단계(S243), 단계(S244) 및 단계(S245)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242) 및 단계(S243)의 상황 정보 기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고, 단계(S244) 및 단계(S245)의 단말 입력 정보 기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고, 단계(S241)의 개인 선호 정보 기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242) 내지 단계(S245)의 상황 정보 수집과 단말 입력 정보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계(S240)는 추천된 제1 내지 제3 미디어 콘텐츠 출력 결과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40)는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생성부(120)의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사용자 단말 2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110: 등록 서버부
120: 정보 생성부 130: 미디어 서버부
1100: 컴퓨터 시스템 1110: 프로세서
1120: 버스 1130: 메모리
1131: 롬 1132: 램
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160: 스토리지 1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0: 네트워크

Claims (20)

  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서버부;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추천하는 미디어 서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 서버부는
    부가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하고, 상기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생성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상황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대한 단말 입력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단말 입력 정보를 더 고려한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13.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한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결과에 기반한 사용자 단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선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출력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입력 정보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방법.
KR1020170001478A 2017-01-04 2017-01-04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80080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478A KR20180080600A (ko) 2017-01-04 2017-01-04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478A KR20180080600A (ko) 2017-01-04 2017-01-04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00A true KR20180080600A (ko) 2018-07-12

Family

ID=6292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478A KR20180080600A (ko) 2017-01-04 2017-01-04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884B1 (ko) * 2020-07-17 2020-12-02 주식회사 에프엘이에스 운세 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및 인공지능 시스템
WO2024101644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884B1 (ko) * 2020-07-17 2020-12-02 주식회사 에프엘이에스 운세 정보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및 인공지능 시스템
WO2024101644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29814B (zh) 用于在多个装置之间传输数据的方法和系统
KR101800890B1 (ko) 위치 기반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686354B2 (en)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1533083B1 (ko)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방법,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장치 및 전자장치
WO2014178364A1 (ja) メッセージの送受信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2128538A2 (ko) 식별 코드 처리 시스템, 그의 식별 코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20075580A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한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29693B2 (en) System of real-time sharing scribbling and tracking information based on ma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322403C (zh) 便携终端装置、打印处理方法和程序
KR20120126529A (ko) 촬영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간 연관성 분석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0600A (ko) 미디어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30017907A (ko)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한 위치정보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4485A (ko) Poi 연관 동영상 제공 방법, poi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09479054A (zh) 服务提供系统、服务通信系统、服务提供方法和记录介质
KR10229701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전시물 상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서버
CN101742705B (zh) 一种通信方法和系统
EP3438838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ng receiv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EP3159801A1 (en) Shared experience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US20150302059A1 (en) Conten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20110069993A (ko) 멀티미디어 정보 지오 태깅 서비스 방법
KR20210048121A (ko)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제품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491136A (zh) 一种影像传输系统和方法
KR101631932B1 (ko) 사용자 기반 지리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311664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03682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