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560A -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560A
KR20180080560A KR1020170001394A KR20170001394A KR20180080560A KR 20180080560 A KR20180080560 A KR 20180080560A KR 1020170001394 A KR1020170001394 A KR 1020170001394A KR 20170001394 A KR20170001394 A KR 20170001394A KR 20180080560 A KR20180080560 A KR 20180080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waterproof sheet
patterns
different types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873B1 (ko
Inventor
김유경
Original Assignee
김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102017000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27M3/0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of composite floor plates per se by assembling or jointing the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50Mixtures of different 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갖는 바닥재(100)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축된 목질 섬유질 소재의 모재(101)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를 부착하고,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홈을 형성하며, 모재의 측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한 암부(300) 내지 수부(400)를 형성한 후에 모재(101)의 측면의 전체 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팽윤(Swelling) 및 뒤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시각적으로 원목 느낌이 향상된 바닥재(100)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Flooring having groove shaped as boundary line between different types of hardwood patter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팽윤(Swelling)이 방지되고 원목질감이 향상된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의 바닥에는 바닥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장판지를 깔아 거친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 하였다. 최근 들어,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아파트, 빌라, 주택 등 주거공간의 고급화가 진행됨에 따라 장판지를 대신하여 PVC 바닥재, 타일, 석재, 카펫류, 목재 등 다양한 바닥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공이 쉬우며 흡음성이 좋은 목재를 가공한 바닥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원목의 경우 변성이 쉽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통나무의 크기 한계로 인해 원목 바닥재는 다소 작은 크기의 사각판 형태로 통상 제작되는데 이에 따라 실내 바닥 완성을 위해서 매우 많은 개수의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게다가, 서로 이어 붙인 원목 바닥재 사이에는 매우 좁은 틈이 존재하게 되어 이러한 틈에 이물질이 끼일 수 있다. 원목 바닥재 사이에 끼인 이물질은 실내 거주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청소에 의해서는 제거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실내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목을 대체하여 목질 재료를 원료로 하는 목섬유를 접착제와 함께 고온 고압으로 압착 성형하여 판재형태로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를 사용한 바닥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는 장판지와 달리 일정한 크기로 분리되어 있어 바닥의 형태에 알맞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 패턴, 소재 등으로 제조됨에 따라 실내 장식효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바닥재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8024호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에 바닥재를 올려 얹어 접착제를 응고시킴으로써 바닥재를 고정시켰으나, 접착제에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등의 유해한 성분이 배출됨에 따라 새집증후군, 아토피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1390호에서는 2mm 내지 5mm의 목재 단판을 적층 접착한 뒤, 목재 단판이 적층 접착된 바닥재의 측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홈 및 돌기를 가공함으로써 각각이 결합되는 마루용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얇은 목재 단판을 적층 접착함으로써 바닥재의 팽윤을 방지하나, 접착제가 사용됨에 따라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적층된 복수 개의 목재 단판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이 형성됨에 따라 원목질감이 향상되어 자연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팽윤이 방지되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바닥재의 제조 방법은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모재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가압단계; 상기 모재의 측면의 일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형태의 암부와 수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모재의 측면의 타면에 상기 암부와 수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측면가공단계; 및 상기 측면이 가공된 모재의 측면의 전체 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재는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보다 더욱 압축되어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상기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팽윤(swelling)에 대해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된다.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는 1차가압단계; 및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는 2차가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가압단계는 온도가 250~270℃ 범위로 유지되는 상기 민무늬의 금형을 상기 모재의 시트 부착면에 밀착시켜 900~1300 톤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상기 2차가압단계는 온도가 온도가 250~270℃ 범위로 유지되는 상기 금형을 상기 모재의 시트 부착면에 밀착시켜 1400~1700 톤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특정 패턴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과 상기 방수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과 반대면에 동시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은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종방향 팽윤과 횡방향 팽윤에 대해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상기 암부는 상기 모재의 하면의 끝단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제 1 수직돌턱, 상기 제 1 수직돌턱의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제 1 수직홈, 상기 제 1 수직홈의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제 1 수평홈, 및 상기 제 1 수평홈의 위쪽에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 1 수평돌턱을 포함하고, 상기 수부는 상기 제 1 수직돌턱이 삽입되는 제 2 수직홈, 상기 제 1 수직홈에 삽입되는 제 2 수직돌턱, 상기 제 1 수평홈에 삽입되는 제 2 수평돌턱, 상기 제 1 수평돌턱과 접촉되는 제 2 수평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단계에서는 옻나무 껍질 농축액과 우레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방수용 조성물은 옻나무 껍질 농축액 40~60 중량%와 우레탄 40~6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 바닥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모재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를 부착하고,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홈을 형성하며 모재의 측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한 암부 내지 수부를 형성하고 측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팽윤이 방지되며 원목질감이 향상된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즉, 홈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의 얇은 두께 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보다 더 압축되어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두꺼운 부분의 팽윤에 대해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되어 바닥재의 팽윤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홈이 형성됨에 따라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인 것과 같은 자연적인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는 여러 개의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인 형태를 갖기 때문에 여러 개의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이는 공정이 하나의 바닥재를 붙이는 공정으로 대체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해지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의 홈은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의 가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원목 바닥재 사이의 틈과는 달리 이물질이 끼기 어렵거나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1차 가압하고 1차 가압된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2차 가압하여 모재를 이중가압함으로써 바닥재의 내부 구조가 치밀해져 바닥재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내부 구조의 공극의 크기가 줄어들어 바닥재로 수분의 침투가 어려움에 따라 수분에 의한 바닥재의 팽윤 및 뒤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50~27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을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밀착시켜 900 톤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수 시트가 모재에 밀착 접착되어 방수 시트가 들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재의 방수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방수 시트가 바닥재의 표면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바닥재의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과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과 반대면에 동시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재의 일면에만 홈이 형성된 경우 보다 모재의 상하 양면에 홈이 형성된 경우 두꺼운 부분의 팽윤에 대해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의 저항이 더욱 커져 바닥재의 팽윤 및 뒤틀림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은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라인을 포함함에 따라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종방향 팽윤과 횡방향 팽윤에 대해 동시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모재의 측면에 서로 맞물림으로써 결합되는 형태의 암부와 수부를 형성하여 맞물림 결합함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바닥재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바닥재는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모재의 홈을 형성하는 가압단계, 모재의 측면에 맞물림 결합되는 암부 내지 수부를 형성하는 측면가공단계, 및 모재의 측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수단계 등으로 이루어진 제조 단계를 통해 제조되어 원목질감이 향상됨에 따라 자연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방수성능, 내마모성, 내충격성이 향상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갖는 바닥재(100)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100)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100) 측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모재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 방수 시트를 부착하고 모재의 방수 시트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홈을 형성함으로써 원목질감이 향상되어 자연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 동시에 팽윤이 방지되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게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갖는 바닥재(100)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을 "모재(101)의 하면"으로 간략하게 호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를 "바닥재"로 간략하게 호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00)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00)의 제조 방법은 부착단계(10), 1차가압단계(20), 2차가압단계(30), 절단단계(40), 측면가공단계(50), 방수단계(60), 및 건조단계(7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205)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203)을 밀착시켜 방수 시트(103)가 부착된 모재(101)를 가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205)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203)을 밀착시켜 가압함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이 형성된 바닥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의 측면에 형성된 암부(300) 및 수부(400)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측면에 암부(300)가 형성된 바닥재(100)이고,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된 제조과정에 따라 측면에 수부(400)가 형성된 바닥재(100)이고, 도 3의 (c)는 암부(300)와 수부(400)가 맞물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조과정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착단계(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00)의 모재(101)로 사용되는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를 부착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바닥재(100)의 모재(101)는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이다.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는 목질 재료를 원료로 하여 얻는 목섬유를 접착제와 함께 고온 고압으로 압착 성형하여 판재로 만든 가공재의 한 종류이다.
가공재는 밀도의 크기에 따라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및 저밀도 섬유판(Low Density Fiberboard)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는 기계 가공성 및 강도가 우수함으로 일반 목재를 대신하여 가구 등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밀도 섬유판의 경우 표면이 단단하고 평평하여 페인트 내지 방수제를 도포하거나 장식용 시트를 접착하여 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 중에서 내부 밀도가 높은 고밀도 섬유판을 사용한다. 만약, 가압단계(20,30)에서 고온 고압의 조건으로 모재(101)를 가압할 시에 내부 밀도가 낮은 섬유판 내지 소재의 모재(101)를 사용하면 모재(101)의 내부 조직이 뒤틀리거나 무너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밀도 섬유판의 경우 고밀도 섬유판에 비해 내부 공극률이 크다. 즉, 고밀도 섬유판에 비해 저밀도 섬유판은 압축강도가 낮기 때문에, 저밀도 섬유판에 1000톤 이상의 고압이 가해지면 저밀도 섬유판의 공극을 기점으로 하여 내부 조직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밀도가 높아 고압으로 가압이 가능한 고밀도 섬유판을 사용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부착단계(10)에서는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모재(101)의 상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를 부착한다.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은 세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두 개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는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원목 느낌이 향상되어 실내 장식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바닥재(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외부의 자극은 엎질러진 물, 산도가 있는 용액, 물체와의 접촉 등 일 수 있다.
또한, 부착단계(10)에서는 방수 시트(103)로 HPL(High Pressure Laminate)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HPL 시트는 멜라민 수지에 함침한 데코페이퍼와 페놀수지에 함침한 크래프트페이퍼를 적층하여 고온 고압으로 가압함으로써 제조된 시트로서, 다양한 표면 질감과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 HPL 시트는 데코페이퍼에 따라 무늬목 HPL, 메탈 HPL 등으로 분리되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를 가지는 무늬목 HPL 시트를 사용하여 바닥재(100)를 제조하였다.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된 HPL 시트는 원목 느낌을 주어 실내 장식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바닥재(100)의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방수 시트(103)의 일면은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이며, 타면은 민무늬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된 방수 시트(103)는 민무늬의 방수 시트(103) 타면을 모재(101)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가압단계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압함으로써 방수 시트(103)를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된 방법 이외에도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의 상면 사이에 접착 물질이 도포 내지 분무 될 수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할 시에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최소의 양을 사용하도록 한다. 방수 시트(103)를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방수 시트(103)를 모재(101)에 부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단계(20,30)에서는 부착단계(10)에서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가 부착된 모재(101)를 이중 가압하여 내부 밀도를 높이며, 모재(101)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함에 따라 바닥재(100)의 팽윤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다. 가압단계(20,30)는 1차가압단계(20)와 2차가압단계(30)로 나누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금형을 "제 1 금형",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을 "제 2 금형"으로 간략하게 호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을 "돌출 라인"으로 간략하게 호칭할 수 있다.
1차가압단계(20)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제 1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한다. 1차가압단계(20)에서 민무늬의 제 1 금형의 온도는 250 ~ 270℃로 유지되며, 900 ~ 1300 톤의 높은 압력으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가압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1차 가압을 실시하면 모재(101)의 내부 밀도가 높아져 모재(101)의 내부 조직이 치밀해짐에 따라 모재(101)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내부 조직이 치밀해짐에 따라 내부 조직의 공극률을 낮아지게 되어, 내부 조직으로의 수분 침투가 어려워진다. 1차가압단계(20)에서는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제 1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모재(101)의 상면을 동일한 힘으로 가압함에 따라 내부 밀도는 균일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조건으로 1차 가압을 실시하면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되는 방수 시트(103)는 모재(101)의 상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부착단계(10)에서 방수 시트(103)는 모재(101)의 상면에 핀으로 고정되거나 접착 물질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만으로는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는 밀착 접촉될 수 없으며, 밀착 접촉되지 못한 방수 시트(103)는 방수 기능을 저하되어 모재(101)로 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차 가압단계에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25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약 1000 톤의 강한 압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방수 시트(103)가 모재(101)의 상면에 밀착 접촉 되도록한다.
1차가압단계(20)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제 1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할 뿐만 아니라,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한 쌍의 제 1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할 수 있다. 즉,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만 제 1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거나, 방수 시트(103) 부착면 및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한 쌍의 제 1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할 수 있으며 모재(101)를 상하로 동시에 가압할 시에는 모재(101)의 내부 밀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 만을 가압하거나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은 바닥재(100)의 용도에 따른 작업자의 판단 하에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2차가압단계(30)에서는 1차 가압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제 2 금형(203)을 밀착시켜 가압한다. 2차가압단계(30)에서는 제 2 금형(203)의 온도를 250 ~ 270 ℃로 유지하며, 1400 ~ 1700 톤의 압력으로 1차 가압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2차가압함으로써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제 2 금형(203)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에 대응되며 동시에 방수 시트(103)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위치에 홈(105,107)을 형성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은 세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두 개의 횡방향 직선라인으로 구성된다.
한편, 1차가압단계(20)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모재(101)의 팽윤을 방지하기 위해서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제 1 금형으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하였다. 그러나 모재(101)의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하기 위해 모재()의 전면을 고압으로 수회 가압을 반복하게 되면 바닥재의 제조에 매우 큰 동력이 요구되어 바닥재 제조가 어렵고 제작 단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모재(101)의 내부 조직 중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등 모재(101)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히려 모재(101)의 손상에 의해 바닥재(100)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차 가압과 같은 방식을 수회 반복하지 않고 서로 다른 원목 타입의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제 2 금형(203)을 이용 하여 2차가압을 실시함으로써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특정 부분을 더욱 가압하여, 특정 부분의 밀도를 더욱 높게 하여 바닥재(100)의 팽윤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모재(101)의 전면을 가압하지 않고 서로 다른 원목 타입의 패턴간의 경계 라인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가압함으로써 매우 작은 동력으로도 매우 우수한 밀도를 얻을 수 있어 바닥재(100)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전면 가압에 따른 조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2차가압단계(30)에서 제 2 금형(203)으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가압하게 되면,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은 제 2 금형(203)의 돌출라인과 맞닿지 않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비해 더욱 강한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서 제 2 금형(203)의 돌출라인과 맞닿는 부분은 제 2 금형(203)의 돌출라인과 맞닿지 않는 부분에 비해 더욱 가압되어 제 2 금형(203)의 돌출라인과 대응되는 라인 형태의 홈(105,107)이 형성된다. 제 2 금형(203)의 돌출라인과 대응되는 라인 형태의 홈(105,107)은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특히 높은 내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즉, 2차가압단계(30)에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형성된 세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 및 두 개의 횡방향 직선 라인 홈(107)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바닥재(100) 내부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고강도 프레임이 삽입된 듯한 효과를 나타내어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에 의해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 사이의 내부 물질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이 방지되게 된다.
반면,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지 않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은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는 부분에 비해 더 적은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서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지 않는 부분은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는 부분에 비해 덜 가압된다. 제 2 금형(203)의 돌출 라인과 맞닿지 않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은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패턴 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홈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보다 더욱 압축되어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팽윤에 대해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바닥재(100)의 내부 조직으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실내 공간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바닥재(100)는 팽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바닥재(100)가 끼워 맞추어 조립되어 팽윤에 의한 바닥재(100)의 변형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재(100)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구부러지며 팽윤된다. 이때, 2차가압단계(30)에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형성된 세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 및 두 개의 횡방향 직선 라인 홈(107)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부분에 비해 내부 밀도가 높고 내부 구조가 견고함에 따라, 보다 두꺼운 두께부분이 팽윤하여도 함께 팽윤하지 않으며 보다 두꺼운 두께부분이 더 이상 팽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2차가압단계(30)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제 2 금형(203)으로 가압할 뿐만 아니라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한 쌍의 제 2 금형(203)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반대면에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반대면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반대면에 형성되는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과 횡방향 직선 라인 홈(107)은 상하 대칭되어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반대면을 한 쌍의 제 2 금형(203)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하 대칭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함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대칭되는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의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팽윤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바닥재(100)의 팽윤 현상은 더욱 방지된다. 또한, 도 2-4를 참조하면, 2차가압단계(30)에서 형성되는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은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U"자형의 홈은 이물질 끼기 어렵거나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물건의 걸림이 적은 이점이 있다.
1차가압단계(20) 및 2차가압단계(30)는 모두 250 ℃ 이상의 고온 및 900 톤 이상의 고압 조건으로 실시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조건은 부착단계(10)에서 모재(101)에 부착된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가 밀착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부착단계(10)에서 방수 시트(103)를 모재(101)에 부착할 시에 핀으로 고정하거나 접착물질을 도포 내지 분무하여 부착시키면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방수 시트(103)가 들뜨거나 모재(10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압단계(20,30)에서는 고온 고압으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을 가압함으로써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 사이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진공과 유사한 상태로 만든다. 공기층이 제거됨에 따라 방수 시트(103)와 모재(101)는 더욱 밀착 접촉되며, 이에 따라 방수 시트(103)가 들뜨거나 모재(10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바닥재(100)의 산화 내지 변형 등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2차가압단계(30)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 내지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100)의 원목질감을 더욱 향상시켜 자연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되는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는 굴곡이 없이 평평함에 따라 원목 패턴간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인위적인 느낌을 주고, 원목질감이 강조되지 못하여 자연적인 실내분위기의 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가압단계(20,30)에서는 모재(101)의 상면에 부착된 방수 시트(103)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을 따라 홈(105,107)을 형성하여 평평한 면에 굴곡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의 원목질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수 시트(103)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을 따라 형성된 홈(105,107)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100)는 여러 개의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인 형태를 갖기 때문에 바닥에 여러 개의 원목 바닥재를 이어 붙이는 공정이 하나의 바닥재(100)를 붙이는 공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100)는 시공이 간단함에 따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재(100)의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은 원목 바닥재의 사이의 틈과는 달리 이물질이 끼기 어렵고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바닥에 원목 바닥재와 본 실시예에 따라 홈(105,107)이 형성된 바닥재(100)를 시공하게 되면, 원목 바닥재의 경계라인은 각각의 원목 바닥재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이물질이 끼기 쉽고 이물질의 제거가 어렵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00)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라인은 각각의 원목 바닥재 사이의 틈과 달리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제 2 금형(203)에 의해 형성된 홈(105,107)으로 이물질이 끼기 어렵고 이물질의 제거가 쉽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이 가압단계(20,30)는 1차가압단계(20) 및 2차가압단계(30)로 분리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바닥재(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재(101)의 소재의 종류에 따라 1차가압단계(20)를 생략하고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하는 2차가압단계(30)만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된 바는 모재(101)의 소재, 바닥재(100)의 용도 등에 따른 작업자의 판단 하에 결정될 수 있다.
절단단계(40)에서는 가압된 모재(101)를 용도에 맞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며, 크기는 바닥재(100)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재(101)의 절단에는 절단기, 톱, 절삭기 등의 도구 내지 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모재(101)의 절단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장비들은 상기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시트(103) 부착된 모재(101)를 절단할 시에 가압단계에서 형성된 모재(101)의 "U"자형의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이 형성된 얇은 두께 부분을 중심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홈이 형성되지 않은 두꺼운 두께 부분을 중심으로 절단할 수 있다.
측면가공단계(50)에서는 방수 시트(103)가 부착된 모재(101)의 측면의 일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암부(300)와 수부(40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모재(101)의 측면의 타면에 암부(300)와 수부(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암부(300)는 모재(101)의 하면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제 1 수직돌턱(301), 제 1 수직돌턱(301)의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제 1 수직홈(303), 제 1 수직홈(303)의 안쪽으로 일정 깊이만큼 파인 제 1 수평홈(305), 및 제 1 수평홈(305)의 위쪽에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 1 수평돌턱(307)으로 구성되며, 암부(3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부(400)는 제 1 수직돌턱(301)이 삽입되는 제 2 수직홈(401), 제 1 수직홈(303)에 삽입되는 제 2 수직돌턱(403), 제 1 수평홈(305)에 삽입되는 제 2 수평돌턱(405), 제 1 수평돌턱(307)과 접촉되는 제 2 수평홈(407)으로 구성되며, 수부(4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암부(300)를 구성하는 제 1 수직돌턱(301), 제 1 수직홈(303), 제 1 수평홈(305), 제 1 수평돌턱(307)과 수부(400)를 구성하는 제 2 수직홈(401), 제 2 수직돌턱(403), 제 2 수평돌턱(405), 제 2 수평홈(407) 각각은 서로 밀착 접촉됨으로써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300)의 제 1 수직돌턱(301)은 수부(400)의 제 2 수직홈(401)에 삽입되고, 암부(300)의 제 1 수직홈(303)에 수부(400)의 제 2 수직돌턱(403)이 삽입되며. 암부(300)의 제 1 수평홈(305)에 수부(400)의 제 2 수평돌턱(405)이 삽입된다. 또한, 암부(300)의 제 1 수평돌턱(307)이 수부(400)의 제 2 수평홈(407)에 삽입됨으로써 암부(300)와 수부(400)는 맞물림 결합된다. 암부(300)와 수부(400)는 밀착 접촉되며 각각의 암부(300)와 수부(400)를 구성하는 상기의 요소들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바닥재(100)는 서로 어긋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민무늬 형태의 측면을 가지는 바닥재를 실내 공간의 바닥에 배치 및 조립할 시에는 각각의 바닥재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발생, 측면마모, 이물질 끼임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서로 맞물림으로써 결합 가능한 암부(300)와 수부(400)를 형성하여 바닥재(1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등의 유해물질의 배출량이 줄어들게 되어 친환경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측면이 가공된 각각의 바닥재(100)들을 맞물림 결합하면 각각의 바닥재(100)들의 측면이 맞닿으면서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과 동일한 형태의 결합라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c)와 같이 바닥재(100)에 형성된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과 동일한 형태의 결합라인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의 종방향 직선 라인 홈(105)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팽윤이 더욱 방지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방수 시트(103)가 부착된 모재(101)는 네 개의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소 하나의 측면을 가공하며, 최대 네 개의 측면을 모두 가공한다. 예를 들어, 조립식 바닥재(100)는 실내 바닥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바닥재(100)와 실내 바닥의 외곽에 배치되어 측면의 일면이 실내 벽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바닥재(100)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 바닥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바닥재(100)의 경우 네 개의 측면의 전체면에 모두 암부(300)와 수부(400)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실내 바닥의 외곽에 배치되며 측면의 일면이 실내 벽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바닥재(100)는 네 개의 측면의 중 하나의 면 내지 세 개의 면에 암부(300) 내지 수부(400)가 형성되어야 하며, 나머지 면은 암부(300)와 수부(400)가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의 형태를 가진다.
방수단계(60)에서는 측면가공단계(50)에서 측면이 가공된 바닥재(100)의 측면을 포함하는 모재(101)의 모든 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단계(10)에서 모재(101)의 상면에 방수 시트(103)가 부착됨으로 별도로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수단계(60)에서는 모측면가공단계(50)에서 측면이 가공된 모재(101)의 측면의 전체 면을 포함하는 모재(101)의 모든 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상기된 방수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수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의 시판되는 방수용 조성물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방수용 조성물은 옻 농축액과 수용성 우레탄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옻 농축액은 옻 나뭇가지를 법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법제란 한방에서 자연 상태의 식물이나, 동물, 광물 등을 약으로 사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으로 부피가 큰 것은 나누고 단단한 것은 무르게 하며, 독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옻나무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주로 중국, 한국, 일본에서 자라며 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어 나오는 수액을 옻이라 한다. 옻은 공업용, 약용 등 다양하게 활용되며, 옻의 주성분은 경도가 높고 광택이 좋은 우루시올(C15H25~31)이다. 옻은 오래 저장하여도 상태가 변하지 않으며 산, 알칼리에 강하고 70 ℃ 이상의 고온에서도 열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옻은 물질의 표면에 도포하면 표면에 견고하고 단단한 막을 형성함에 따라 물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을 향상시킨다.
수용성 우레탄은 우레탄 결합(-NH-CO-)을 갖는 합성고분자인 우레탄 수지를 유화한 것으로 유성 우레탄에 비해 건조시간이 짧으며, 냄새가 적고 화재의 위험이 적은 이점이 있다. 수용성 우레탄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재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방수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먼저, 옻 껍질을 벗긴 뒤에 일정시간 동안 옻을 말려주고, 말린 옻을 용기에 담아 타지 않을 정도로 볶아 준다. 이어서, 볶아진 옻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8 ~ 10 시간 정도 끓여줌으로써 옻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 농축액과 수용성 우레탄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조성물은 옻 농축액 40 ~ 60 중량%와 수용성 우레탄 40 ~ 6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 방수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조성물 제조에서 옻 농축액이 4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물체의 표면에 옻 성분에 의한 보호막 형성이 어려워 방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옻 농축액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조된 방수용 조성물의 도포 내지 분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용 조성물 제조에서 수용성 우레탄이 4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물체의 표면에 수용성 우레탄에 의한 보호막 형성이 어려워 방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용성 우레탄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용성 우레탄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 성분에 의해 거품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모재(101)의 측면에 도포하는 작업이 어렵고 방수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옻 농축액과 수용성 우레탄의 조성비의 설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방수용 조성물을 모재(101)의 측면의 전체면에 도포함으로써 바닥재(100)의 측면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재(100)의 팽윤을 방지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모재(101)의 하면은 콘크리트 바닥과 맞닿아 있으므로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지는 않으나, 필요에 따라 완벽한 방수를 위해 모재(101)의 하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바닥재(100)의 팽윤을 방지할 수 있다. 모재(101)의 하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은 바닥재(100)의 용도 및 사용장소 등에 따라 작업자의 판단하에 실시될 수 있다.
건조단계(70)에서는 측면에 상기의 방수용 조성물이 도포된 모재(101)를 완전 건조함으로써 바닥재(10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건조는 상온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착단계(10), 가압단계(20,30), 측면가공단계(50), 및 방수단계(60)로 구성되는 제조과정으로 제조된 바닥재(100)는 내부 조직이 견고하고 치밀하여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보다 더 압축되어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보다 두꺼운 두께부분의 팽윤에 대해 보다 얇은 두께부분이 저항함으로써 바닥재의 팽윤을 방지한다. 게다가, 가압단계(20,30)에서는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함에 따라서 바닥재(100)의 원목질감이 향상되어 자연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1>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전술된 실시예의 내용을 따른다. 먼저,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소재의 모재()의 상면에 복수(6개)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HPL 방수 시트를 부착하였다. 이 후, HPL 방수 시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양끝을 핀으로 고정한 뒤에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1차가압하였다. 이이서, 1차 가압된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2차 가압하였다.
가압된 모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뒤에 모재의 네 개의 측면 중 하나의 면에 암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모재의 측면의 전체면과 모재의 하면에 옻 농축액 52 중량%와 수용성 우레탄 48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방수용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방수용 조성물을 완전건조함으로써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전술된 실시예의 내용을 따른다. 먼저,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소재의 모재()의 상면에 복수(6개)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HPL 방수 시트를 부착하였다. 이 후, HPL 방수 시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양끝을 핀으로 고정한 뒤에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였다.
가압된 모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뒤에 모재의 네 개의 측면 중 하나의 면에 암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모재의 측면의 전체면과 하면에 옻 농축액 52 중량%와 수용성 우레탄 48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방수용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방수용 조성물을 완전건조함으로써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전술된 실시예의 내용을 따른다. 먼저,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소재의 모재()의 상면에 복수(6개)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HPL 방수 시트를 부착하였다. 이 후, HPL 방수 시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양끝을 핀으로 고정한 뒤에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1차가압하였다. 이이서, 1차 가압된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2차 가압하였다.
2차 가압된 모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뒤에 모재의 네 개의 측면 중 하나의 면에 암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모재의 측면의 전체면과 하면에 옻 농축액 70 중량%와 수용성 우레탄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방수용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수용성 우레탄을 완전건조함으로써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3>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전술된 실시예의 내용을 따른다. 먼저,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소재의 모재()의 상면에 복수(6개)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HPL 방수 시트를 부착하였다. 이 후, HPL 방수 시트가 흔들리지 않도록 양끝을 핀으로 고정한 뒤에 모재의 HPL 방수 시트 부착면과 HPL 방수 시트 부착면의 반대면을 동시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이 부착된 유압프레스를 작동시킨 뒤 모재에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였다.
2차 가압된 모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뒤에 모재의 네 개의 측면 중 하나의 면에 암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모재의 측면의 전체면과 하면에 옻 농축액 70 중량%와 수용성 우레탄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방수용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수용성 우레탄을 완전건조함으로써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시험예 1에서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압축강도를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압축강도는 KSF 2405 시험 규정에 의거하여 평가되었으며, 공시체(재질의 역학적인 시험을 하기위해 일정한 규격에 따라 만들어진 시험재료)는 20 ± 3 ℃에서 재령(재료가 만들어지고부터의 경과 일수) 후 28일 동안 양생된 것을 사용하였다. 압축강도를 측정할 시에, 공시체에 매초당 1.5 ~ 3.5 Kg/cm2 이내의 일정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였으며,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가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5 ~ 10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압축 강도(Kg/cm2) 123 101.5
실시예 1은 1차 가압하여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한 뒤에 2차 가압함으로써 모재의 상면 및 하면에 종방향 직선 라인 홈 및 횡방향 직선 라인 홈을 형성하였으며, 비교예 1은 1차 가압만 실시하여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한 차이가 있다.
표 1의 결과를 통해 비교예 1의 1차 가압만을 실시할 때 보다 실시예 1의 1차 가압 및 2차 가압을 실시하여 이중 가압함으로써 내부 조직이 더욱 치밀해지고 종방향 직선 라인 홈 및 횡방향 직선 라인 홈 부분의 내부 밀도는 특히 더 높음에 따라 바닥재의 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시험예 2에서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의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성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를 각각 1 inch × 1 inch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였으며, 두께는 동일하다.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염성은 바닥재의 방수 성능 및 수분 침투에 따른 바닥재의 팽윤 현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23 ± 2 ℃ 조건에서 수조에 증류수(팽윤), 5% 황산(H2SO4)용액(내산성), 5% 수산화나트륨(NaOH)용액(내알칼리성), 및 10 % 염화나트륨(NaCl)용액(내염성)을 준비하였다.
이후, 각각의 수조에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2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를 각각 투입하고 2일 동안 담근 뒤 바닥재를 꺼내어 바닥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여기에서, 내산성은 물체가 높은 산도에 견디는 성질을 말하고, 내알칼리성은 알칼리 수용액 및 알칼리 증기 등의 알칼리 상태에서 물체가 견디는 성질을 말하며, 내염성은 물체가 염에 견디는 성질을 말한다.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염성
실시예 1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1 회방향 팽윤 횡방향 팽윤 종방향 팽윤
비교예 2 횡방향 팽윤 및 바닥재의 측면이 손상됨 횡방향 팽윤 종방향 팽윤 및 바닥재의 측면이 손상됨
비교예 3 종방향과 횡방향의 팽윤 및 바닥재의 측면이 손상됨 종방향과 횡방향 팽윤 및 바닥재의 측면이 손상됨 종방향과 횡방향 팽윤
먼저, 표 2에 따라서, 1차 및 2차 가압된 바닥재의 경우 팽윤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1차 가압만 실시된 바닥재의 경우 종방향과 횡방향으로의 팽윤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서, 1차 가압 및 2차 가압을 실시하여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동시에 바닥재의 상하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직선 라인의 홈을 형성함에 따라 바닥재의 팽윤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2의 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비로 제조된 방수용 조성물이 도포된 실시에 1 및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따른 조성비로 제조되지 않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팽윤 정도가 더 심하며,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성이 더욱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내산성, 내염성, 내알칼리성의 경우 용액 속에서 방수제가 충분히 방수 기능을 하지 못하여 바닥재의 내부 조직으로 용액이 침투되어 팽윤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방수용 조성물의 경우 방수효과가 더욱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부착단계 20 : 1차가압단계
30 : 2차가압단계 40 : 절단단계
50 : 측면가공단계 60 : 방수단계
70 : 건조단계 100 : 바닥재
101 : 모재 103 : 방수 시트
105 : 종방향 직선 라인홈 107 : 횡방향 직선 라인 홈
200 : 유압프레스 203 : 금형
300 : 암부 301 : 제 1 수직돌턱
303 : 제 1 수직홈 305 : 제 1 수평홈
307 : 제 1 수평돌턱 400 : 수부
401 : 제 2 수직홈 403 : 제 2 수직돌턱
405 : 제 2 수평돌턱 407 : 제 2 수평홈

Claims (9)

  1.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축된 목재 섬유질 소재의 모재(101)의 일면에 복수 타입의 원목 패턴이 혼합된 무늬의 방수 시트(103)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203)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하는 가압단계;
    상기 모재(101)의 측면의 일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형태의 암부(300)와 수부(40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상기 모재(101)의 측면의 타면에 상기 암부(300)와 수부(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측면가공단계; 및
    상기 측면이 가공된 모재(101)의 측면의 전체 면에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따라 형성되는 모재(101)의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보다 더욱 압축되어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상기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팽윤(swelling)에 대해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민무늬의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는 1차가압단계; 및
    상기 1차 가압된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하는 2차가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가압단계는 온도가 250~270℃ 범위로 유지되는 상기 민무늬의 금형을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밀착시켜 900~1300 톤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상기 2차가압단계는 온도가 온도가 250~270℃ 범위로 유지되는 상기 금형을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에 밀착시켜 1400~1700 톤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상기 방수 시트(103) 부착면의 반대면에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과 동일한 라인 형태의 돌출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금형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상기 모재(101)의 방수 시트(103) 부착면과 반대면에 동시에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105,10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은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종방향 직선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직선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보다 두꺼운 두께 부분의 종방향 팽윤과 횡방향 팽윤에 대해 상기 보다 얇은 두께 부분이 저항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300)는 상기 모재의 하면의 끝단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제 1 수직돌턱(301), 상기 제 1 수직돌턱(301)의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제 1 수직홈(303), 상기 제 1 수직홈(303)의 안쪽으로 일정깊이만큼 파인 제 1 수평홈(305), 및 상기 제 1 수평홈(305)의 위쪽에 일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 1 수평돌턱(307)을 포함하고,
    상기 수부(400)는 상기 제 1 수직돌턱(301)이 삽입되는 제 2 수직홈(401), 상기 제 1 수직홈(303)에 삽입되는 제 2 수직돌턱(403), 상기 제 1 수평홈(305)에 삽입되는 제 2 수평돌턱(405), 상기 제 1 수평돌턱(307)과 접촉되는 제 2 수평홈(4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단계에서는 옻나무 껍질 농축액과 우레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방수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조성물은 옻나무 껍질 농축액 40~60 중량%와 우레탄 40~60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가공방법.
  9.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
KR1020170001394A 2017-01-04 2017-01-04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91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94A KR101916873B1 (ko) 2017-01-04 2017-01-04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94A KR101916873B1 (ko) 2017-01-04 2017-01-04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60A true KR20180080560A (ko) 2018-07-12
KR101916873B1 KR101916873B1 (ko) 2018-11-08

Family

ID=6291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394A KR101916873B1 (ko) 2017-01-04 2017-01-04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703U (ko) * 1985-05-07 1986-11-13
KR20050090976A (ko) * 2005-09-01 2005-09-14 최진식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20100098414A (ko) * 2007-11-19 2010-09-06 뵈린게 이노베이션 벨지움 비브이비에이 내마모성 표면을 갖는 섬유 기재 패널
KR20130137790A (ko) * 2012-06-08 2013-12-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리섬유시트의 수지조성물 도포용 자외선 경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703U (ko) * 1985-05-07 1986-11-13
KR20050090976A (ko) * 2005-09-01 2005-09-14 최진식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20100098414A (ko) * 2007-11-19 2010-09-06 뵈린게 이노베이션 벨지움 비브이비에이 내마모성 표면을 갖는 섬유 기재 패널
KR20130137790A (ko) * 2012-06-08 2013-12-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리섬유시트의 수지조성물 도포용 자외선 경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73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541B1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4791437B2 (ja) 竹集成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42482B1 (ko) 탄소강화 압축목재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하여 제작한 압축목재 및 목재패널
KR101299918B1 (ko) 합판 마루판재 제조방법
EP4328397A2 (en)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oard and a panel comprising such board material
KR101916873B1 (ko) 서로 다른 타입의 원목 패턴간의 경계 라인 형태의 홈을 갖는 바닥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216415B1 (ko) 대나무 필름을 이용한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100111849A (ko) 고경도 다층 천연 무늬목이 결합된 마루판 제조방법 및 고경도 다층 천연무늬목이 결합된 마루판
KR101201356B1 (ko) 대나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27469B1 (ko) 상판 분리형 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상판 분리형 마루판
KR20090093129A (ko) 대나무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266093B1 (ko) 압축 마루 및 압축 집성 마루 제작 방법
KR10057307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방법
JP6083692B2 (ja) 積層合板の製造方法
KR100717125B1 (ko) 모자이크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6206902B2 (ja) 植物成型体及びその成型方法
KR100538834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093384B1 (ko) 대나무를 소재로 한 집성목의 제조방법
KR100558147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CN205742889U (zh) 防水抗温变复合竹木地板
KR200358864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101290788B1 (ko) 배수기능을 가지고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마루판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 구조체
JP6014396B2 (ja) 積層合板
CN101852003A (zh) 一种具有弹性层的实木复合地板
JP6083691B2 (ja) 積層合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