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030A -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030A
KR20180080030A KR1020170000905A KR20170000905A KR20180080030A KR 20180080030 A KR20180080030 A KR 20180080030A KR 1020170000905 A KR1020170000905 A KR 1020170000905A KR 20170000905 A KR20170000905 A KR 20170000905A KR 20180080030 A KR20180080030 A KR 20180080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mode
switch
input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030A/ko
Publication of KR2018008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1Bus bri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 및 제1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 및 제1 트랜시버 및 제2 트랜시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트랜시버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함으로써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 및 제2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통신 채널의 추가 증설 없이도 소프트웨어 리플레시가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채널 증설 없이도 한정된 수의 통신 채널을 통해 병렬 연결된 서로 다른 트랜시버 사이의 전환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AN 통신(Controller Area Network)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이다. CAN 통신은 메시지 기반 프로토콜이며 최근에는 차량뿐만 아니라 산업용 자동화기기나 의료용 장비에서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CAN 통신 프로토콜은 CAN 버스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법을 명시한다. 이 방법은 ISO의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모델(Open System Interconnection model)을 따른다. 그리고 이 모델은 통신 네트워크 표준인 일곱 계층으로 되어 있다. 이 OSI 모델은 두 개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계층화된 통신 시스템을 기술하며, 이론상 각 계층은 로컬 모드에서는 오직 자신의 직접적인 위, 아래의 계층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원격 모드에서는 동등한 계층과 통신할 수 있다.
기존의 기술에 따르면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이 하나의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통해 상위 제어기와 로컬 CAN 통신을 하도록 설계된 경우, CAN 통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1 통신 채널 MCU는 2 통신 채널을 통한 CAN 통신이 가능한 MCU로 교체되어야 했다.
또한 기존의 기술에 따르면 한시적인 소프트웨어 리플레시를 위해 MCU 교체와 함께 기존 소프트웨어를 교체된 MCU에 맞도록 업데이트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소프트웨어 리플레시 기능은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니고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이다.
도 1은 기존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icrocontroller unit)(10)와 트랜시버(20)와 연결되고, 트랜시버(20)는 커낵터(connector)(3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커낵터는 외부 버스(bus)(40)에 연결된다. 제어부(10)는 일정 수의 통신 채널을 통해 트랜시버(20)를 이용하여 커낵터(30)를 거쳐서 다른 MCU와 제어 신호의 송수 및 수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일정 수의 통신 채널로 인해 다른 용도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제어부(10)의 소프트웨어 리플레시에 관한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이 필요한 경우 제어 신호의 송수 및 수신이 중단되거나, 채널 수의 증설 및 이에 관한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에 따른 비용 발생이 불가피해 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채널을 증설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리플레시가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first transceiver); 및 상기 제1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상기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second transceiver); 및 상기 제어부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first switch) 및 상기 제어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second switch)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트랜시버 및 제2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경우, 자신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제1 트랜시버의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시버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의 입력 단자에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 및 제어부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어부 사이에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2 트랜시버로부터의 제어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가 턴온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1 트랜시버가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2 트랜시버의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2 트랜시버의 활성화 모드는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operating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채널의 증설 없이도 한정된 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소프트웨어 리플레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은 도 2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3b는 도 2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도 4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b는 도 4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어부(microcontroller unit, MCU)(110), 제1 스위치(121), 제2 스위치(122), 제1 트랜시버(131) 및 제2 트랜시버(132)를 포함하고, 커낵터(140) 및 버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스(150)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제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제어부에 다른 트랜시버, 다른 스위치 및 다른 커낵터가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버스(150)는 송신 버스 및 수신 버스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제1 트랜시버(131)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메모리(미도시) 및/또는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MCU(microcontroller Unit),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0)는 한정된 수의 채널을 통해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정된 수의 채널은 하나의 채널을 의미할 수 있고, 복수의 채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한정된 수의 채널은, 비용을 투자하여 설비 증설에 의해 채널이 추가되지 않는 한 일정 수의 채널이 구비됨을 의미한다.
제1 스위치(121)는 제어부(110)의 송신 버스를 통한 데이터 송신 기능을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21)는 제1 트랜시버(131)로의 송신 및 제2 트랜시버(132)로의 송신을 모두 제어하기 위해, 제1 트랜시버(131) 및 제2 트랜시버(132)의 공통 노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스위치(121)는 제어부 버스에서 제2 트랜시버(132)로의 분기 이후에 제1 트랜시버(131)로의 송신 기능만을 제어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제 2 스위치(122)는 제어부(110)의 수신 버스를 통한 데이터 수신 기능을 제어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스위치(122)는 제어부 버스에서 제2 트랜시버(132)로의 분기 이후에 제2 트랜시버(131)로의 수신 기능만을 제어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트랜시버(131)는 제어부(110)와 다른 제어부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트랜시버(131)의 양 단 중에서, 하나의 단은 제어부(110)에 연결되고, 다른 단은 커넥터(140)에 연결된다. 하나의 단 중에서 송신 노드와 제어부의 송신 노드 사이에는 제1 스위치(12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132)는 제어부(110)와 다른 제어부 또는 제어부(110)와 외부 모듈(미도시) 사이에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트랜시버(132)의 양 단 중에서, 하나의 단은 제어부(110)에 연결되고, 다른 단은 커넥터(140)에 연결된다. 하나의 단 중에서 수신 노드와 제어부의 수신 노드 사이에는 제1 스위치(121)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0)의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에 관한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제1 트랜시버(131) 및 제2 트랜시버(132)를 버스(150)에 연결시킨다. 즉 커낵터(140)의 일단은 제1 트랜시버(131)와 연결되고 다른 단은 버스(150)를 통해 다른 제어부의 커넥터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110) 및 커낵터(140) 사이에 제1 트랜시버(131)과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132)에 대해서도, 커낵터(140)의 일단은 제2 트랜시버(132)와 연결되고 다른 단은 버스(150)를 통해 다른 제어부의 커넥터와 연결된다.
버스(15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버스 및 수신 버스를 포함한다.
도 3a는 도 2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제1 실시예는 제어부(210)가 제1 트랜시버(231)의 모드 전환을 직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제2 트랜시버(232)는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트랜시버(232)는 CAN_B_Reflash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232)가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경우, 자신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킨다. 즉 제2 트랜시버(232)는 CAN_EN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232)는 제2 스위치가 턴온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트랜시버(232)의 INH 단자에서 HIGH 신호가 출력되고 이 HIGH 신호는 제2 스위치(22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차례로 도통시킨다.
제어부(210)는 제1 트랜시버(231)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제1 트랜시버(231)의 INH 단자로 LOW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트랜시버(231)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제2 트랜시버(232)에서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1 트랜시버(231)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제2 트랜시버(232)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221) 및 제2 스위치(222)는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모스 펫은 PMOS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2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2 트랜시버(332)가 제1 트랜시버(331)의 모드 전환을 직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구성요소의 동작에 관해 상기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것에 한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트랜시버(332)는 제1 트랜시버(331)의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트랜시버(332)의 INH 단자에서 HIGH 신호가 출력되고 이 HIGH 신호는 제2 스위치(32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차례로 도통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HIGH 신호는 제1 트랜시버(331)의 INH 단자로 입력되어 제1 트랜시버(331)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송수신 방법은 통신 준비 단계(S100),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의 입력 단자에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단계(S200)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트랜시버의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즉 제1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계속 통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단계(S300),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지 감지하는 단계(S400),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제2 트랜시버의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즉 제2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계속 통신하는 단계(S450) 및 상기 입력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준비 단계(S10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전원이 ON되는 단계 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 및 제어부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어부 사이에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와 구별되는 S311 내지 S314 및 S511 및 S51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311에서 OBD(Reflash) 용도의 CAN 제 2트랜시버의 INH 단자는 HIGH 신호를 출력한다.
S312에서 제2 스위치(22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이 도통되고, 제어부(210)는 제2 트랜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다.
S313에서 제어부(210)는 제1 트랜시버(231)의 INH 단자에 LOW 신호를 입력시켜 제1 트랜시버(231)의 모드를 변환시킨다.
S314에서 제2 트랜시버(232)는 CAN 통신을 시작한다.
S511에서 제2 트랜시버(232)는 INH 단자에서 LOW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제2 트랜시버(232)는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S512에서 상기 LOW 신호는 제2 스위치(22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OFF시키고, 제어부(210)는 제2 트랜시버(232)의 OFF를 감지한다.
S513에서 제어부(210)는 제1 트랜시버(231)의 INH 단자로 HIGH 신호를 입력시킨다. 이 경우 제1 트랜시버(231)는 동작 모드로 전환된다.
S514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1 트랜시버(231)를 이용하는 상위 제어부(또는 다른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해 대기한다.
도 5b는 도 4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4와 구별되는 S321 내지 S323 및 S521 및 S52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S321에서 제2 트랜시버(332)는 INH 단자에서 HIGH 신호를 출력한다.
S322에서 제2 스위치(32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이 도통된다. 이 경우 제1 트랜시버(331)는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S323에서 제2 트랜시버(332)는 OBD(Reflash) 용도의 CAN 통신을 시작한다.
S521에서 제2 트랜시버(332)는 INH 단자에서 LOW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제2 트랜시버(332)는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S522에서 제2 스위치(332)의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이 OFF된다. 이 경우 제1 트랜시버(331)의 INH 단자로 LOW 신호가 입력되면, 제1 트랜시버(331)는 동작 모드로 전환된다.
S523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1 트랜시버(331)를 이용하는 상위 제어부(또는 다른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해 대기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10, 210, 310: 제어부,
121, 221, 321: 제1 스위치,
122, 222, 322: 제2 스위치,
20, 131, 231, 331: 제1 트랜시버,
132, 232, 332: 제2 트랜시버,
30, 140, 240, 340: 커낵터,
40, 150, 250, 350: 버스

Claims (25)

  1.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first transceiver); 및
    상기 제1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상기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second transceiver); 및
    상기 제어부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first switch) 및 상기 제어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second switch)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트랜시버 및 제2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경우,
    자신을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스위치가 턴온되게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제1 트랜시버의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시버의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7. 청구항 2에서,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9. 청구항 1에서,
    상기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1.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와 병렬로 연결된 제2 트랜시버의 입력 단자에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트랜시버 및 제어부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어부 사이에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로부터의 제어부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가 턴온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가 동작 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청구항 14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상기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청구항 14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청구항 11에서,
    상기 데이터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동작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8. 청구항 14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9. 청구항 18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시버의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청구항 18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트랜시버의 활성화 모드는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1. 청구항 19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operating mode)로 전환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2. 청구항 20에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3. 청구항 12 또는 13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및 모스 펫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4. 청구항 11에서,
    상기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5.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소프트웨어 리플레시(software reflash)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170000905A 2017-01-03 2017-01-03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80080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05A KR20180080030A (ko) 2017-01-03 2017-01-03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05A KR20180080030A (ko) 2017-01-03 2017-01-03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30A true KR20180080030A (ko) 2018-07-11

Family

ID=6291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05A KR20180080030A (ko) 2017-01-03 2017-01-03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0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5378B2 (ja) 汎用入力/出力(uio)を有する遠隔端末ユニット(rtu)及び関連する方法
CN106557446B (zh) 总线系统
KR100276257B1 (ko)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88232A1 (en)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US20130318380A1 (en) Handling of Wake-Up Messages in Controller Area Networks
KR20040017084A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무선 랜 모듈 전원 관리방법 및 그장치
US9367121B2 (en) Universal serial bus USB 3.0 compatible host with lower operation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reducing operation power consumption of a USB compatible 3.0 host
US20080144540A1 (en) Network switching apparatus and network switching method for computer system
CN103078756B (zh) 模式切换方法及can网络
US20040088441A1 (en) Serial ATA control circui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path
CN102445981B (zh) 数据传输系统以及数据传输方法
CN105703935A (zh) 具自动切换共享网络功能的服务器系统
JP2001067156A5 (ja)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180080030A (ko)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372528B2 (en) Universal serial bus (USB) 3.0 compatible host with lower operation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reducing operation power consumption of a USB 3.0 compatible host
JPH11150876A (ja) パ−ソナルコンピュ−タの電源供給方法および電源供給装置
JP2009248711A (ja)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10525476A (ja) 電子的処理装置及び構成方法
JP2012128695A (ja) 入出力二重化装置
US8755291B2 (e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with power management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7890678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uxiliary IO apparatus and system setup method thereof
US20050221860A1 (en) Electronic device
CN111641633A (zh) 一种针对存储器的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568095B1 (ko) 저전력 캔 트랜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2310753A (zh) 一种智能插座、智能插座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