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784A -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784A
KR20180079784A KR1020170000387A KR20170000387A KR20180079784A KR 20180079784 A KR20180079784 A KR 20180079784A KR 1020170000387 A KR1020170000387 A KR 1020170000387A KR 20170000387 A KR20170000387 A KR 20170000387A KR 20180079784 A KR20180079784 A KR 20180079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ing target
target device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server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503B1 (ko
Inventor
김상범
이주호
이혜원
이혜진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503B1/ko
Priority to US15/860,253 priority patent/US10944754B2/en
Priority to PCT/KR2018/000037 priority patent/WO2018124845A1/en
Priority to CN201880005711.4A priority patent/CN110121893B/zh
Priority to EP18734064.1A priority patent/EP3545700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6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ource of the receiv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7Fraud detection or preven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statistics of usage or network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H04M15/7652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shared by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14Data or packet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3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shared identity modules, e.g. SIM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고,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수신하고,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METHOD AND ELECTR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SHARING DATA USAGE}
본 개시는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공유 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쉐어링(data sharing) 서비스 또는 데이터 테크(data tech) 서비스는 이동 통신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가 특정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전자 장치로 공유하는 서비스이다. 이하,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전자 장치를 데이터 사용량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구별하여 공유 대상 장치로 칭하고자 한다.
예로, 사용자는 고가의 단말기를 약정 할인으로 구매함에 따라 과도한 데이터 사용 약정에 장기간 귀속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에게는 과도한 데이터 사용량의 일부를 가족 또는 지인에게 공유하고자 할 수 있다.
또는, 상대방(예로, 자녀)이 자신의 전자 장치에 할당된 기본 데이터 사용량을 모두 소진한 경우, 사용자(예로, 부모)가 상대방에게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의 일부를 제공하고자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용도 및 장소에 따라 복수 개의 전자 장치들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 장치들 간에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대상 장치로 공유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대리점을 직접 방문하곤 하였다.
대리점에서는,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데이터 공유용 USIM 모듈(예로,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을 공유 대상 장치에 장착하였다. 이에,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대상 장치와 공유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대리점을 직접 방문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거나 또는 교체할 때마다 이동 통신 사업자의 대리점을 방문해야만 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대리점의 방문 없이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거나 또는 교체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해 준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을 모니터링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밖에,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 간에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대상 장치로 공유하는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가입자 프로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프로파일 저장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가입자 프로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프로파일 저장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 간에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증 서버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증 서버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프라인 대리점이 방문 없이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대리점을 방문하는 거리 상의 제약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해 준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공유 대상 장치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대상 장치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조작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경우에도 신속한 사용자 인지가 가능하여,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남용을 차단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하여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전자 장치에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알리는 메시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을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로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흐름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 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 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 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공유 대상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기존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대상 장치를 등록 또는 변경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대리점을 직접 방문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eUICC(embedded universal IC card) 또는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하, eSIM 모듈로 통칭한다)을 이용하여 공유 대상 장치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eSIM 모듈은 SIM 카드, USIM 카드, UICC와 같은 기존 착탈식 카드와 달리, 제조 시에,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내부에 칩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착탈이 어렵도록 설계한 모듈이다. eSIM 모듈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의 대리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OTA(over the air) 방식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 변경, 또는 해지가 가능할 수 있다.
eSIM 모듈은 가입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로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판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 망으로 접속하여 OTA 방식으로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프로파일(subscriber profile)(예: MNO 프로파일)을 eSIM 모듈에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을 eSIM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절차를 프로비저닝 프로시저(provisioning procedure)(이하, 프로비저닝)라고 한다. 가입자 프로파일은, SM-DP(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SM-SR(Subscription Manager-Secure Routing)과 같은 인증 서버를 통해 eSIM 모듈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시 인증 서버를 통해 변경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OTA 방식의 프로비저닝을 위해서는, 전자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 전에, 가입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최초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전에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eSIM 모듈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provisioning profile)이 탑재된 상태로 전자 장치가 판매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고, 최초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가 eSIM 모듈에 대해서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는 OTA 방식의 프로비저닝이 가능한 전자 장치 또는 공유 대상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전자 장치에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술한 전자 장치의 일 종류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말(예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2)는 전자 장치(101)의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인증 서버(102)는 프로파일 생성 서버,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 및 프로파일 관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 서버(예: SM-DP)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장치 또는 eSIM 모듈 제조사측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eSIM 모듈에 설치될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 서버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 또는 프로파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 서버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프로파일을 전달할 서버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미도시)는 상기 프로파일 생성 서버로부터 생성된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는 프로파일 생성 서버로부터 하나의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복수의 패킷들(예: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는 전용선(dedicated line)을 이용하여 프로파일 생성 서버로부터 복수의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복수의 패킷들을 대량으로 전송 받을 수도 있다.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는 수신된 복수의 패킷들로부터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 파일 형태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는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는 가입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 및 설치 이외에, 개발이나 검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테스트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 관리 서버(예: SM-SR)는 전자 장치(101)에 내장된 eSIM 모듈에 대한 총괄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관리 서버는 eSIM 모듈 내에 프로파일의 설치, 삭제(delete), 활성화(enable), 비활성화(disable) 등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동작 111에서, eSIM 모듈이 장착된 전자 장치(101)는 서버의 인증을 위한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102)에서 인증이 수행되면, 동작 113에서, 인증 서버(102)는 인증을 확인하는 서버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5에서, 인증 서버(102)는 단말의 인증을 위한 단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115는 동작 113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동작 113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인증이 수행되면, 동작 117에서, 전자 장치(101)는 인증을 확인하는 단말 인증 확인 메시지를 인증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9에서, 인증 서버(102)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은, 예로, 사용자의 가입 정보, ID(eSIM-ID),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및 SRID(SM-SR 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은,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의 특정 가입자와 관련된 파일 구조, 데이터, 어플리케이션들의 집합인 가입자 정보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21에서, 인증 서버(102)는 생성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인증 서버(102)는 암호화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동작 123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eSIM 모듈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25에서, 전자 장치(101)는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된 것을 알리는 설치 확인 메시지를 인증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전자 장치들(201,205)를 이용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들(201,205)는, 예로, 이동 통신 사업자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할당 받는 전자 장치(201) 및 전술한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기존의 사용 중인 공유 대상 장치(205)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202)로 교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로,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205)의 리소스가 낮아서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202)로 교체를 원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205)를 분실하여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202)로 교체를 원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205)를 신규 공유 대상 장치(202)로 변경하는 트리거(trigger) 신호가 발생되면, 동작 211에서, 전자 장치(201)는 공유 대상 장치의 변경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203)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는, 예로, 공유 대상 장치(202)의 식별 정보(예로, 맥 어드레스 또는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트리거 신호는, 예로, 전자 장치(2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예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트리거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공유할 데이터 사용량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리거 신호는, 전자 장치(201)와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202) 간에 다이렉트 연결이 수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된 트리거 신호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전자 장치는 데이터 공유 장치를 설정하는 화면(500)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에는 아이디를 입력하는 UI(user interface)(50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UI(503), 공유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UI(505) 및 선택된 공유 대상 장치(505-1)의 데이터 공유량을 지정하는 UI(507)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공유량의 최대치는 전자 장치(201)에 할당된 기본 데이터 사용량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데이터 공유 장치 설정 화면(5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공유 대상 장치(505-1) 및 데이터 공유량을 지정 후에 확인 버튼(509)을 선택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트리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211의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공유 대상 장치(505-1)의 식별 정보(예로, 맥 어드레스 또는 접속 정보)(505-2)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211에서,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동작 213에서, 인증 서버(203)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203)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전자 장치(2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15에서, 접속 코드를 수신한 전자 장치(201)는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달할 수 있다.
접속 코드는, 예로, 전자 장치(201)에게 기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의 할당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 코드는 공유 대상 장치(202)가 전송할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가 신규 데이터 요금제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의 할당을 위함이 아닌, 전자 장치(201)에 기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의 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내는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코드는, 예로, 전자 장치(201)의 식별 정보로서, 전자 장치(201)에 부여된 전화 번호 또는 전자 장치(201)의 고유 번호(예로, 맥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접속 코드는, 전자 장치(201)의 사용자 정보로서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접속 코드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전에 이동 통신 망에 접속 가능한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접속 코드가 QR 코드 또는 바코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유 대상 장치(202)는 전자 장치(201)에 디스플레이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촬영하여 접속 코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동작 217에서, 접속 코드를 수신한 공유 대상 장치(202)는 수신된 접속 코드와 함께 인증 서버의 인증을 위한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203)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코드 및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인증이 수행되면, 동작 219에서, 인증 서버(203)는 인증을 확인하는 서버 인증 확인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작 221에서, 인증 서버(203)는 단말의 인증을 위한 단말 인증 요청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동작 223에서, 공유 대상 장치(202)는 인증을 확인하는 단말 인증 확인 메시지를 서버(203)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대상 장치(202) 및 인증 서버(203)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동작 225에서, 인증 서버(203)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에는, 예로, 공유 대상 장치(202)에 부여된 전화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 번호는 전자 장치(201)에 부여된 전화 번호와 페어링(paring) 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227에서, 인증 서버(203)는 생성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29에서, 공유 대상 장치(202)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저장 모듈은, 예로, eSIM 모듈일 수 있다.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되면, 동작 231에서, 공유 대상 장치(202)는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된 것을 알리는 설치 확인 메시지를 인증 서버(2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공유 대상 장치(202)는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201)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에서 인증 서버(203)는 생성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201)를 통해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1)가 공유 대상 장치(202)를 위한 프로파일 수신하여, 공유 대상 장치(202)로 전달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공유 대상 장치(202)가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한 이후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 229 이하 동작에 대응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황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305)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302)로 교체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305)를 신규 공유 대상 장치(302)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동작 311에서, 전자 장치(301)는 공유 대상 장치의 변경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303)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동작 313에서, 인증 서버(303)는 인증 서버(303)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공유 대상 장치(3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접속 코드를 수신한 공유 대상 장치(302)는 수신된 접속 코드와 함께 인증 서버의 인증을 위한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303)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대상 장치(302) 및 인증 서버(303)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서버(303)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공유 대상 장치(302)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대상 장치(302)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른, 동작 317 내지 동작 329는, 전술한 도 2의 동작 219 내지 동작 231에 대응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상황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405)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402)로 교체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405)를 신규 공유 대상 장치(402)로 변경하는 트리거(trigger) 신호가 발생되면, 동작 411과 같이,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402)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4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트리거 신호는, 예로, 공유 대상 장치(40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예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유 대상 장치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된 트리거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공유할 데이터 사용량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리거 신호는, 전자 장치(401)와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402) 간에 다이렉트 연결이 수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된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는 전자 장치(401)의 식별 정보 또는 전자 장치(401)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는 공유 대상 장치(4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413과 같이, 공유 대상 장치(402)는 인증 서버(403)의 인증을 요청하는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4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411 전에 동작 413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작 411 및 동작 413이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동작 415에서, 인증 서버(403)는 전자 장치(401)로 공유 대상 장치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는 공유 대상 장치(4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전자 장치(401) 및 공유 대상 장치(402)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417에서,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1)는 공유 대상 장치(402)가 전자 장치(401)의 데이터 사용량의 공유가 가능한 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공유 대상 장치(402)의 인증이 수행되면, 동작 419에서, 전자 장치(401)는 공유 대상 장치(402)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인증 서버(403)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403)는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에 응답으로 서버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공유 대상 장치(402)의 인증이 확인되면 가입자 프로파일을 공유 대상 장치(402)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대상 장치(402)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른, 동작 421 내지 동작 433은, 전술한 도 2의 동작 219 내지 동작 231에 대응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대상 장치와 공유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공유 대상 장치의 사용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부모인 경우, 공유 대상 장치의 사용자는 데이터 사용량을 일부 제공 받은 자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공유 대상 장치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면서, 공유 대상 장치가 과도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제한하고자 할 수 있다.
먼저, 동작 611에서,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서로 간의 전송되는 알림 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 코드 생성기가 설치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 데이터 사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각각은, 예로, 주기적으로 동일한 값의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코드의 동기화를 위하여, 전자 장치(601)의 인증 코드 및 공유 대상 장치(602)의 인증 코드가 일정 주기마다 동시에 갱신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601) 또는 공유 대상 장치(602) 중 일 장치에서 인증 코드가 갱신 시에, 갱신에 따른 시간 정보가 다른 일 장치로 전송되어 시간 정보에 기초한 인증 코드가 다른 일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601) 또는 공유 대상 장치(602) 중 일 장치의 인증 코드 생성기가 암호화 키 및 복호화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호화 키를 다른 일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611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의 전송을 위한 보고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통하여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에 따른 알림 정보가 발생하는 데이터 사용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예로, 데이터 사용 규칙은 공유 대상 장치(602)가 누적 데이터 사용량(예로, 1G byte)를 초과하거나 또는 데이터 사용량이 일정 값(예로, 100M byte)을 초과할 때마다, 공유 대상 장치(602)로부터 전자 장치(601)로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고 이벤트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간에 데이터 쉐어링 약정에 기초하여, 동작 613과 같이, 공유 대상 장치(602) 및 기지국(603)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이 동작 611에서 정의된 데이터 사용 규칙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601)가 공유 대상 장치(602)로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을 요청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615와 같이, 공유 대상 장치(602)는 전자 장치(601)로 데이터 사용량을 보고할 수 있다.
예로, 공유 대상 장치(602)는 데이터 사용량을 보고하는 알림 정보를 문자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자 장치(60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공유 대상 장치(602)는 알림 정보와 인증 코드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공유 대상 장치(602)의 사용자가 임의의 데이터 사용량이 기재된 거짓 메시지를 전자 장치(601)로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체크하기 위하여 알림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코드는 공유 대상 장치(602)의 인증 코드 생성기에서 생성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이, 메시지 화면을 통하여 인증 코드(801-1) 및 알림 정보(801-2)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801)가 표시될 수 있다.
문자 메시지(801)를 수신한 전자 장치(601)는 인증 코드(801-1)를 검증할 수 있다. 검증 결과, 수신된 인증 코드(801-1)가 전자 장치(601)의 인증 코드 생성기에서 생성된 인증 코드와 동일한 경우, 전자 장치(601)는 알림 정보(801-2)가 유효한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601)는 수신된 알림 정보(801-2)가 유효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팝업 화면(802)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알림 정보(801-2)는 공유 대상 장치(602)의 인증 코드 생성기에서 발생된 암호화 키에 의하여 암호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601)는 공유 대상 장치(602)로부터 수신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된 알림 정보(801-2)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공유 대상 장치(602)의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인증 코드(801-1) 및 알림 정보(801-2)가 수신되는 경우, 인증 코드(801-1)가 유효한 경우에만, 알림 정보(801-2)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801-2)에 기초하여,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617에서, 전자 장치(601)는 기지국(603)을 통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로 공유 대상 장치(602)로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하는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한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 제한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면, 전자 장치(601)는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603)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의 제한하는 최대 임계 값을 기 설정해 놓은 경우, 수신된 공유 대상 장치(602)의 데이터 사용량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자 장치(601)는 자동으로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제3 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601)의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상담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서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619에서, 전자 장치(601)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하는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602)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공유 대상 장치(602)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는, 명령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메시지와 함께 문자 메시지의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공유 대상 장치(602)의 사용자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 동작 621에서, 공유 대상 장치(602)는 공유 대상 장치(602)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중지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 중지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6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중지 알림 메시지는, 명령어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메시지와 함께 상기 문자 메시지의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공유 장치(602)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동작 623과 같이,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간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은 예외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공유 장치(602)가 데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급박한 상황에서, 데이터 공유 장치(602)가 데이터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601)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601) 및 공유 대상 장치(602)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의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709에서, 공유 대상 장치(702)의 사용자가 기 설정된 데이터 사용량을 임의로 변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사용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또는 데이터 사용량 제한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701)의 사용자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었거나 또는 데이터 사용량이 임의로 조작한 것을 인지하고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할 필요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동작 711 내지 동작 715와 같이, 전자 장치(701)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을 요청하는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공유 대상 장치(702)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주기는, 예로, 약 30분 내지 60분 간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701)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서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을 요청하는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를 비주기적으로 공유 대상 장치(7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는, 명령어 또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메시지와 함께 상기 문자 메시지의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701)가 주기적으로 데이터 사용량을 요청했음에 불구하고, 동작 717과 같이, 소정의 규칙을 만족하는 무응답이 발생될 수 있다. 예로, 일정 횟수(약 5회 내지 10회)만큼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음에도 공유 대상 장치(702)로부터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예로, 비주기적인 데이터 사용량을 요청한 경우, 비주기적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 전송 후 무응답인 경우, 일정 횟수만큼 데이터 사용량 요청 메시지를 추가로 전송했음에도 공유 대상 장치(702)로부터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719와 같이, 전자 장치(701)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701)는 “데이터 사용량의 조작 가능성이 있습니다”라는 알림 메시지를 팝업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이 임의로 조작된 것으로 인지하고,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동작 721에서, 전자 장치(701)는 기지국(703)을 통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로 공유 대상 장치(702)로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하는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701)의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제3 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중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701)의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상담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서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공유 대상 장치(702)의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삭제된 경우, 전자 장치(701)의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702)는 동작 721과 같이, 이동 통신 사업자가 데이터 공유 장치(702)로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도록 직접 요청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데이터 공유 장치(702)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동작 723과 같이, 전자 장치(701) 및 공유 대상 장치(702) 간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은 예외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들을 데이터 공유 대상 장치로서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901)를 사용하고, 사용자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는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903,904,905)이 위치할 수 있다.
IoT 장치들(903,904,905)은, 전술한 전자 장치(901)의 종류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에 따라 전자 장치(901)에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을 IoT 장치들(903,904,905)이 공유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할 수 있다. 즉,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은 전술한 공유 대상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911 내지 동작 915에서, 전자 장치(901)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인증 서버(902)로부터 접속 코드를 수신하여 이를 IoT 장치들(903,904,905)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이 인증 서버(902)로부터 접속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코드는 IoT 장치들(903,904,905) 모두에게 동일한 값의 접속 코드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의 접속 코드일 수도 있다.
동작 917 내지 동작 921에서,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은 접속 코드를 인증 서버(902)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23에서, 인증 서버(902)는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복수의 가입자 프로파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IoT 장치들(903,904,905) 및 인증 서버(902) 간에 서로 인증하는 절차가 더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도 2 내지 도 4의 공유 대상 장치 및 인증 서버 간의 인증 절차에 대응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가입자 프로파일들에는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을 대상으로 데이터 사용 목적 또는 사용하는 데이터 속성을 고려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동작 925 내지 동작 929에서, 인증 서버(902) 복수의 가입자 프로파일들을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931 내지 동작 935에서,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한 IoT 장치들(903,904,905) 각각은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IoT 장치(903)에 설치된 가입자 프로파일이 호(call) 서비스의 이용만 가능하도록 제한된 경우, 제1 IoT 장치(903)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 호 서비스만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2 IoT 장치(904)에 설치된 가입자 프로파일이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만 가능하도록 제한된 경우, 제2 IoT 장치(904)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 데이터 서비스만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제3 IoT 장치(905)에 설치된 가입자 프로파일이 호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3 IoT 장치(905)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데이터 서비스 및 호 서비스 이용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IoT 장치(903, 904, 905)에 대한 가입자 프로파일은 그룹 프로파일로 관리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받아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IoT 장치(903, 904, 905)의 프로파일을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룹 프로파일은 공통 정보와 개별 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공통정보는 전자 장치(90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정보는 각 IoT 장치(903, 904, 905)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IoT 장치(903, 904, 905)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901)는 복수의 IoT 장치(903, 904, 905)가 사용하는 데이터 사용량을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로, 전체 IoT 장치(903, 904, 905)의 데이터 공유량을 설정할 수 있고, 전체 IoT 장치(903, 904, 905)의 데이터 사용량을 결합 관리하여 복수의 IoT 장치(903, 904, 905)의 데이터 사용량을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IoT 장치에 대해서 개별적인 데이터 공유량을 설정하고, 전체 IoT 장치들에 대해서 그룹 데이터 공유량을 설정할 수 있고, 개별 데이터 허용량을 초과할 때는 해당 IoT 장치에 대해서만 데이터 사용을 제한하고, 그룹 데이터 공유량을 초과할 때는 그룹에 속한 모든 IoT 장치에 대해서 데이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2000)는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 프로비저닝 지원 모듈(2020), 프로파일 저장 모듈(2030), 인증 모듈(2040) 및 통신부(20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은 프로파일의 수량, 이동 통신 사업자 정보(MNO information), 프로파일 종류(예: 선불, 후불) 등에 기초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은 프로파일 생성 서버에 대응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비저닝 지원 모듈(2020)은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에서 생성된 패킷 형태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압축되지 않은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만들 수 있다.
프로파일 저장 모듈(2030)은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에서 생성된 패킷들과, 프로세서(2020)에서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인증 모듈(2040)은 통신부(2050)를 통하여 연결된 전자 장치(2100)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모듈(2040)은 미리 정의된 키 셋(key set) 또는 지그(jig)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100)를 인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0)가 인증되면, 프로세서(2020)는 프로파일 저장 모듈(203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전자 장치(2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100)가 부팅되는 경우, 수신된 이미지 파일에 기반하여 eSIM에 가입자 프로파일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 및 프로비저닝 지원 모듈(2020)은 각각 프로파일 생성 서버 및 프로비저닝 지원 서버에 대응되어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 및 프로비저닝 지원 모듈(2020)은 무선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0)는 프로파일의 설치, 삭제, 활성화 또는 비활성를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미도시)은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패킷들을 OTA 방식으로 전자 장치(2100)에 전달하는 프로파일 관리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전자 장치(3000)는 전술한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0)는 버스(3010), 프로세서(3020), 메모리(3030),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 디스플레이(3050), 통신부(3060), 인증 모듈(3070) 및 eSIM 모듈(3080)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30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20)는, 예를 들면, 버스(301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은, 인증 서버(3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형태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메모리(3030)의 보안 영역에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전자 장치(3000)가 부팅되면, 상기 메모리(3030)의 보안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서 eSIM 모듈(3070)에 프로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메모리(3030),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300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3030)는, 인증 서버(320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메모리(3030)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30)는, 프로세서(30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30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30)는 개발용 서명 키, 상용 서명 키 및 전자 장치(30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30)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3010), 프로세서(3020) 또는 메모리(30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은 상기 미들웨어, 상기 API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자 장치(30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는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커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는 어플리케이션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대하여 전자 장치(30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3010), 프로세서(3020) 또는 메모리(30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는 어플리케이션이 커널 또는 미들웨어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본 개시의 알림 정보의 설정 및 표시가 가능한 데이터 사용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통신 사업자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스(3010)를 통해 프로세서(3020), 메모리(3030), 통신부(30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30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은, 예를 들면, 버스(3010)을 통해 프로세서(3020), 메모리(3030), 통신부(30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예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는 프로세서(3020)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3050)를 제외하고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사용량을 시각적 정보로 표시하지 않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040)를 통하여 청각적 또는 촉각적 정보로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050)는 전자 장치(3000)의 구현에서 제외될 수 있다.
통신부(3060)는 전자 장치(30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증 서버(3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5G,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eSIM 모듈(3070)은 인증 서버(320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3060)는 eSIM모듈(3070)에 포함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의 가입 정보에 따른 사업자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인증 서버(1200)는 프로세서(1210), 통신부(1220) 및 메모리(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 프로세서(1210)는 도 10의 프로파일 생성 모듈(2010), 프로비저닝 지원 모듈(2020) 및 인증 모듈(204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20)는 도 10의 통신부(205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30)는 프로파일 저장 모듈(20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10)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30)는, 인증 서버(1200)가 동작 시에 프로세서(1210)가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자 장치 또는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통신부(12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공유 대상 장치가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전자 장치 또는 공유 대상 장치로 통신부(1220)를 통하여 전송하고,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접속 코드를 통신부(12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30)는 인증 서버(1200)가 동작 시에 프로세서(1210)가,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통신부(12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로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220)를 통하여 전송하고,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통신부(12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공유 대상 장치로 통신부(1220)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인증 서버(1200)의 동작 및 구성은 도 12의 설명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 중 서버, 인증 서버의 동작 및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전자 장치(1300)은 프로세서(1310), 통신부(1320) 및 메모리(1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프로세서(1310)은 도 11의 프로세서(3020)에 대응될 수 있고, 통신부(1220)은 도 11의 통신부(3060)에 대응될 수 있고, 메모리(1330)은 도 11의 메모리(3030)에 대응될 수 있다.
메모리(1330)는 프로세서(1310)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30)는 전자 장치(1300)가 동작 시에 프로세서(1310)가 전자 장치(1300)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통신부(13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코드를 공유 대상 장치로 통신부(3060)를 통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프로파일은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330)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1310)가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로 통신부(1320)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1300)의 동작 및 구성은 도 13의 설명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 중 전자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공유 대상 장치(1400)는 프로세서(1410), 통신부(1420), 메모리(1430) 및 프로파일 저장 모듈(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 프로세서(1410)은 도 11의 프로세서(3020)에 대응될 수 있고, 통신부(1420)은 도 11의 통신부(3060)에 대응될 수 있고, 메모리(1430)은 도 11의 메모리(3030)에 대응될 수 있고, 프로파일 저장 모듈(1430)은 도 11의 eSIM 모듈(307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프로세서(1410)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30)는 공유 대상 장치(1400)가 동작 시에, 프로세서(1410)가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전자 장치 또는 인증 서버로부터 통신부(14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코드를 인증 서버로 통신부(1420)를 통하여 전송하고,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통신부(142)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1430)에 저장하고,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저장 모듈(1430)에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은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30)는 공유 대상 장치(1400)가 동작 시에,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통신부(1420)를 통하여 전송하고,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 및 전자 장치 간에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통신부(14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1430)에 저장하고,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430)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공유 대상 장치(1400)가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로 통신부(1320)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공유 대상 장치(1400)의 동작 및 구성은 도 14의 설명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 중 공유 대상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501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 전자 장치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전자 장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전자 장치는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수신된 접속 코드를 공유 대상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601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전자 장치 또는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03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수신된 접속 코드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05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07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609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701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 공유 대상 장치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인증 서버 및 전자 장치 간에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동작 1703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05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707에서, 공유 대상 장치는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801에서, 인증 서버는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자 장치 또는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803에서, 인증 서버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공유 대상 장치가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전자 장치 또는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805에서, 인증 서버는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접속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807에서, 인증 서버는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901에서, 인증 서버는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903에서, 인증 서버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로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동작 1905에서, 인증 서버는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907에서, 인증 서버는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또는 “~부” 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 (예: 프로세서(30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비일시적 기록매체란,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레지스터, 캐쉬, 버퍼 등과 같이 연산 또는 전송을 위하여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신호(signal), 전류(current) 등과 같이 만질 수 없는 무형의 전송 매개체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해당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 모듈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ROM 또는 RA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 모듈은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로 판매, 대여, 청약 또는 양도를 위하여 다운로드(download)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프로그램 모듈은 프로그램의 제공자(예를 들면, 프로그램 개발자, 프로그램 관리자, 프로그램 테스터, 프로그램 수정자 또는 프로그램의 제조사)에 의하여 서버에 판매, 대여, 청약 또는 양도를 위하여 업로드(upload)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 모듈이 서버에서 전자 장치로 제공되는 경우, 프로그램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전송을 위하여 서버의 버퍼에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의 버퍼가 본 개시의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이 중계 서버(예로,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중계 서버)를 거쳐서 전자 장치로 판매되는 경우, 프로그램들의 적어도 일부가 중계 서버의 버퍼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서버의 버퍼가 본 개시의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방법(예를 들면,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술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된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일시적 기록매체로 저장될 수 있는 상품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한다는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비일시적 기록매체 형태로 존재하는 상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황에 따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되는 매개물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비일시적 기록매체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은, 예로, 전자 마켓(예로,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판매되는 어플리케이션 상품 자체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실행 주체 및 저장 주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저장 주체가 서버인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실행 주체는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여 일 기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설치된 다른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하는 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0: 전자 장치
3010: 버스
3020: 프로세서
3030: 메모리
3040: 입출력 인터페이스
3050: 디스플레이
3060: 통신부
3070: eSIM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가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하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은,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 간에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대상 장치로 공유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접속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가입자 프로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프로파일 저장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이 가능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대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부여된 전화 번호 및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이동 통신 서비스의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대상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은,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대상 장치.
  17.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가입자 프로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프로파일 저장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사용량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자 장치 간에 상기 공유 대상 장치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공유 받은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대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기존의 공유 대상 장치를 새로운 공유 대상 장치로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대상 장치.
  19.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증 서버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가 상기 인증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를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코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가입자 프로파일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20. 이동 통신 사업자와 관련된 인증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게 할당된 데이터 사용량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 받을 공유 대상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증 서버가 동작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요청하는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장치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장치 설정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대상 장치의 인증을 확인하는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인증 확인 메시지에 기반하여, 가입자 프로파일을 상기 공유 대상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KR1020170000387A 2017-01-02 2017-01-02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8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87A KR102589503B1 (ko) 2017-01-02 2017-01-02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5/860,253 US10944754B2 (en) 2017-01-02 2018-01-02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PCT/KR2018/000037 WO2018124845A1 (en) 2017-01-02 2018-01-02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N201880005711.4A CN110121893B (zh) 2017-01-02 2018-01-02 配置用于共享电子设备的数据使用的共享目标设备的方法、认证服务器和电子设备
EP18734064.1A EP3545700B1 (en) 2017-01-02 2018-01-02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387A KR102589503B1 (ko) 2017-01-02 2017-01-02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84A true KR20180079784A (ko) 2018-07-11
KR102589503B1 KR102589503B1 (ko) 2023-10-16

Family

ID=6270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387A KR102589503B1 (ko) 2017-01-02 2017-01-02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4754B2 (ko)
EP (1) EP3545700B1 (ko)
KR (1) KR102589503B1 (ko)
CN (1) CN110121893B (ko)
WO (1) WO2018124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819B2 (ja) * 2016-10-17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96016B2 (en) * 2018-03-28 2020-10-0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Untethered resourc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US10917790B2 (en) * 2018-06-01 2021-02-09 Apple Inc. Server trust evaluation based authentication
IT201900001669A1 (it) 2019-02-05 2020-08-05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condividere un profilo di operatore di comunicazioni mobile in carte a circuito integrato e corrispondente sistema e prodotto informatico
CN109714757B (zh) * 2019-03-12 2021-12-0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共用准备eSIM卡的方法及装置
US11039296B2 (en) * 2019-07-08 2021-06-1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 carrier eSIM profile
CN110493754B (zh) * 2019-08-12 2022-05-03 深圳市优克联新技术有限公司 一种sim卡资源分配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519761B (zh) * 2019-08-12 2022-09-09 深圳市优克联新技术有限公司 用户身份识别卡的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519350B (zh) * 2019-08-15 2023-11-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的调度方法及装置
KR20210049603A (ko) * 2019-10-25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권한 정보에 기초한 인증서를 사용하여 액세스 컨트롤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498055B (zh) * 2020-03-20 2022-08-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及通信设备
CN112815598A (zh) * 2021-03-22 2021-05-18 上海海事大学 共享冰箱系统
CN115277395B (zh) * 2022-07-29 2024-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配置方法、配置装置、第一设备及配置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2595A1 (en) * 2009-01-28 2014-06-12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20150365778A1 (en) * 2014-06-17 2015-12-17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On-device movement of an existing mobile numb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2955A2 (en) * 2000-07-14 2002-01-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s and devices of allocating slots to child stations
KR101367387B1 (ko) * 2008-12-19 2014-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PMIPv6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인증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2166024A1 (en) * 2011-05-27 2012-1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ubscription module assignment managing server and subscription module assignment managing method
KR20130025070A (ko) 2011-09-01 2013-03-11 최재웅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027108B2 (en) * 2012-05-23 2015-05-05 Bo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file portability between mobile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KR20140060181A (ko)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CN103491183A (zh) 2013-09-29 2014-01-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分享的方法、移动终端及云服务器
KR102331692B1 (ko) 2014-06-30 2021-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프로파일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191017B1 (ko) 2014-07-19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eSIM 프로비저닝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US9526032B2 (en) * 2014-09-26 2016-12-20 Apple Inc. Network bandwidth sharing for small mobile devices
KR102318877B1 (ko) 2014-10-02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9350556B1 (en) 2015-04-20 2016-05-24 Google Inc. Security model fo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in encrypted communications using delegate certificate chain bound to third party key
KR101701407B1 (ko) 2015-05-27 2017-02-0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데이터 사용요금의 과금 방법 및 과금서버
US9973409B2 (en) * 2015-11-23 2018-05-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llocating and monitoring data usage of a user device
US9655114B1 (en) * 2015-11-30 2017-05-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bandwidth between subscribers of a communications network
EP3446504B1 (en) * 2016-04-21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scriber-driven sharing of a communications service using a vsi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2595A1 (en) * 2009-01-28 2014-06-12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20150365778A1 (en) * 2014-06-17 2015-12-17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On-device movement of an existing mobile nu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4754B2 (en) 2021-03-09
EP3545700A1 (en) 2019-10-02
WO2018124845A1 (en) 2018-07-05
EP3545700B1 (en) 2021-12-29
US20180191728A1 (en) 2018-07-05
CN110121893B (zh) 2021-08-27
CN110121893A (zh) 2019-08-13
EP3545700A4 (en) 2019-11-27
KR102589503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503B1 (ko) 데이터 사용량을 공유 받는 공유 대상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9076331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控制方法
CN106664544B (zh) 用于嵌入式sim供应的方法和设备
US10547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EP2975870B1 (en) Loading sim profile
ES2745227T3 (es) Provisión de servicio de red a un dispositivo electrónico externo
KR102254849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40829B1 (ko)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0046B1 (ko)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CN107077671B (zh) 使用安全模块的支付装置和方法
KR2017004215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지원 방법
KR20180110410A (ko) 외부의 IoT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7322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기능 제공 방법
KR20180098932A (ko) 무선 라우터 및 무선 라우터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의 운영 방법
KR20170109433A (ko) 보안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54680A (ko) 전자 장치 간 통신 연결 수립 방법 및 장치
KR2017002924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리 방법
KR102222696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5330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