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070A -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070A
KR20130025070A KR1020110088379A KR20110088379A KR20130025070A KR 20130025070 A KR20130025070 A KR 20130025070A KR 1020110088379 A KR1020110088379 A KR 1020110088379A KR 20110088379 A KR20110088379 A KR 20110088379A KR 20130025070 A KR20130025070 A KR 2013002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data
subscriber
service
data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웅 filed Critical 최재웅
Priority to KR102011008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070A/ko
Publication of KR2013002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1Interprogram communication via adapters, e.g. between incompatib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동시 서비스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여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인터넷상의 공용 데이터 저장 공간 없이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시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Data Sha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상의 공용 데이터 저장 공간 없이도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가 운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클라우드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복잡한 인프라 구조인 인터넷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인터넷상에서 각종 파일 등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단일의 공용 서버에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 단말을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여 저장시킨 후, 각종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집이나 회사에서 공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열어보고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공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미디어 파일 등을 다운로드 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가 공용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열어 보거나 편집할 때 필요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개인 단말에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개인 단말을 통해 공용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웹(Web) 상에서 열어 보거나 편집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용 서버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인터넷상에서 각종 파일 등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단일의 공용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개인 작업도 수행할 수 있고, 그 공용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을 매개로 여러 클라이언트 단말 간에 저장 데이터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장점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데이터를 공용 서버에 보관할 수 있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보유하지 못한 사용자 계층도 공용 서버에 접속하기만 한다면, 개인적인 컴퓨팅 환경을 누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인이 가지고 다녀야 하는 컴퓨터 관련 장비나 저장 공간의 제약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식은 그 시스템 구조상 단일의 공용 서버에 여러 사용자가 각종 개인 자료를 저장하기 때문에, 공용 서버가 해킹당할 경우 개인 자료가 쉽게 유출될 수 있고, 공용 서버가 손상되거나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공용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나 자료를 이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시의 보안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089270000 B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상의 공용 데이터 저장 공간 없이도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구동시 서비스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여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인터넷상의 공용 데이터 저장 공간 없이도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시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은 구동시 서비스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서비스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110)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통신망(300)을 통해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망(300)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와도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타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동일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모바일 통신 및 인터넷 통신에 의한 정보 검색 등과 같은 컴퓨터 기능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기로서,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및 모니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탑재하고, 텍스트, 이미지, 영상, 미디어 파일 및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을 탑재하며, 3G 및 4G 등의 모바일 통신을 지원하는 GSM 기반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나 WCDMA 기반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 모듈 및 이더넷(Ethernet),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한 인터넷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며, 전화번호나 전자 메일 주소 등이 수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탑재하고, 중력 감지(Gyroscope Sense) 기능, 촬영 기능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기반의 증강 현실(AR) 구현 기능 및 지도 구현 기능 등을 탑재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Television), PMP(Portable Media Player) 또는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서, 통신망(300)을 통해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문메시지(SMS)나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또는 전자 메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콜백(Call Back) URL 링크(Link)를 따라,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고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소프트웨어 모듈(110)을 다운로드 하여 자체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예를 들어, 윈도우 시리즈, 유닉스, 맥, 리눅스, 심비안 또는 안드로이드 등)상에 설치하며, 클라이언트 식별정보 및 MM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가입자 아이디/패스워드(ID/PW)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등록함으로써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110)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동기화/비동기화(Synchronization/Asynchronization)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의 다운로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110)은 텍스트, 이미지, 영상, 미디어 파일 등과 같은 각종 파일의 미리 보기 기능을 지원하는 뷰 플레이어(View Player) 등의 프로그램이나, 각종 파일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동, 복사, 삭제, 편집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시간, 특정 기간,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은 경우 또는 MM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구동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이벤트에 의해 구동할 수 있고, 구동시 서비스 서버(200)와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서버(200)의 가입자 인증 승인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제공부(111)와, 메모리부(112)와, 식별정보 생성부(113)와, 접속 조건 설정부(114), 가입자 검색부(115)와, 접속 관리부(116)와, 데이터 검색부(117)와, 공유 권한 설정부(118)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제공부(111)는 서비스 서버(200)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의 위치 정보는 GPS 기반의 위치 정보, 모바일 통신 기반의 위치 정보 및 IP 주소 기반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112)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MM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공유를 위해 선택된 공유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부(112)에 저장되는 공유 데이터는 개인화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웹페이지 형식의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메모리부(112)에 저장되는 공유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또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운영체제상에 설치된 인터넷 브라우저(Browser) 등의 구동에 의해 활성화되어 MMI를 통해 인터넷 창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2)에 저장되는 공유 데이터는 예컨대, 광고의 목적을 가진 홍보용 무료 데이터 및 판매의 목적을 가진 유료 데이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식별정보 생성부(113)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커널 정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통신 모듈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모듈(110)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일련번호, 전화번호 및 IP 주소 등의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접속 조건 설정부(114)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MM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허용 시간 및 접속 허용 지역 등과 같은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 조건 설정부(114)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 요청을 받으면,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요청이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접속을 요청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허용하고, 메모리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검색 권한을 부여하는 반면에,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을 요청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접속이 불가함을 통보한다.
가입자 검색부(115)는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나열된 가입자 검색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MMI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 검색부(11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주소록과 서비스 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주소록에 수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가면서 주소록에 수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들 중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GPS 위치 기반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 또는 지도 구현 기능과 서비스 서버(200)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면서 증강현실 또는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할 수도 있다.
접속 관리부(116)는 가입자 검색부(115)를 통해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임의의 타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요청한 후, 그 접속 요청을 받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을 허용함에 따라, 접속을 허용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연결한다.
데이터 검색부(117)는 접속 관리부(116)를 통해 접속 연결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받으면,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해 준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공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MMI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공유 권한 설정부(118)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MM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유 데이터의 무단 복제 및 배포 등을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 각각의 데이터 공유 권한(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기간, 데이터 복사 허용 횟수, 데이터 이동 허용 횟수 및 데이터 미리보기 허용 여부 등과 같은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공유 권한 설정부(118)는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 설정시, 공유 데이터의 최초 출처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가입자 정보 등을 공유 데이터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이더넷, 와이브로, 와이파이 등을 포함한 인터넷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제공부(210)와, 가입자 DB(220)(Database)와, 가입자 인증부(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공부(2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프트웨어 모듈(110)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자 DB(2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서비스 가입 절차 수행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가입자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단말(100)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가입자 DB(2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등록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에 업데이트 방식으로 등록한다.
가입자 인증부(2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의 가입자 인증 요청 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가입자 정보가 가입자 DB(22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가입자 인증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통보한다.
한편, 통신망(300)은 예컨대, 3G 및 4G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망(300)과, 이더넷, 와이브로 및 와이파이 등과 같은 인터넷망 등의 각종 유무선 통신망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프트웨어 모듈(110)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통신망(300)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10).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한 단계 S10 이전에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문메시지(SMS)나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또는 전자 메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콜백 URL 링크를 따라,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고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소프트웨어 모듈(110)을 다운로드 하여 자체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운영체제상에 설치하며, 서비스 서버(200)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10에서의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아이디/패스워드(ID/PW) 및 클라이언트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커널 정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통신 모듈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모듈(110)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ESN, 일련번호, 전화번호 및 IP 주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0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110)이 특정 이벤트에 의해 구동함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와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게 된다(S15).
상기한 단계 S15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서비스 서버(200)로 가입자 인증 요청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면, 서비스 서버(2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정보가 가입자 DB(22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15를 통해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내부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공유 데이터가 선택되면(S20), 그 선택된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하는 한편(S25),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한다(S3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25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공유 기간, 데이터 복사 허용 횟수, 데이터 이동 허용 횟수 및 데이터 미리보기 허용 여부 등과 같은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게 되고, 상기한 단계 S3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허용 시간 및 접속 허용 지역 등과 같은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30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의 가입자 DB(220)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나열된 가입자 검색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가입자 검색 리스트는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검색되면, 탑재된 주소록과 서비스 서버(200)의 가입자 DB(220)의 연동을 통해, 주소록에 수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서비스 서버(200)의 가입자 DB(220)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가면서 주소록에 수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들 중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상에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검색되면, 탑재된 GPS 위치 기반의 증강현실 구현 기능과 서비스 서버(200)의 가입자 DB(220)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면서 증강현실 화면 또는 지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서비스 가입자 단말, 즉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증강현실 화면 또는 지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35를 통해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임의의 타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그 선택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요청한 후, 접속 요청을 받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을 허용함에 따라, 접속을 허용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접속한 다음, 접속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받으면,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해 준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공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사용하되, 공유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공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설정된 공유 기간 내에서 데이터 미리보기, 실행, 복사, 이동 또는 편집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에 설정된 데이터 공유 권한을 확인한 결과 공유 데이터가 데이터 복사/이동 허용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공유 데이터를 복사/이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30 이후,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 요청을 받으면(S35),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요청이 상기한 단계 S30을 통해 설정된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
상기한 단계 S40을 통한 확인 결과,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요청이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접속을 요청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접속이 불가함을 통보한다(S45).
한편, 상기한 단계 S40을 통한 확인 결과,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요청이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접속을 요청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한 단계 S20을 통해 선택된 공유 데이터의 검색 권한을 부여한다(S50).
상기한 단계 S50 이후, 타 클라이언트 단말은 접속을 허용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접속한 다음,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받으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 및 사용하되, 상기한 단계 S25를 통해 공유 데이터에 설정된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공유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S55). 즉,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설정된 공유 기간 내에서 데이터 미리보기, 실행, 복사, 이동 또는 편집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55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에 설정된 데이터 공유 권한을 확인한 결과 공유 데이터가 데이터 복사/이동 허용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공유 데이터를 복사/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단계 S55에서 공유 데이터가 무료 데이터인 경우에 타 클라이언트 단말은 공유 데이터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유료 데이터인 경우에는 소정의 결제 절차를 거쳐 공유 데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55를 통해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공유 권한 변경 요청을 받음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그 요청받은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상기한 단계 S25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 공유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 110: 소프트웨어 모듈
111: 위치 제공부 112: 메모리부
113: 식별정보 생성부 114: 접속 조건 설정부
115: 가입자 검색부 116: 접속 관리부
117: 데이터 검색부 118: 공유 권한 설정부
200: 서비스 서버 210: 소프트웨어 제공부
220: 가입자 DB 230: 가입자 인증부
300: 통신망

Claims (13)

  1. 구동시 서비스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Software Module)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공유를 위한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부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는 접속 조건 설정부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인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는 가입자 검색부와;
    상기 가입자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 그 접속 요청을 받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을 허용함에 따라, 접속을 허용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통신 접속을 연결하는 접속 관리부와;
    상기 접속 관리부를 통해 접속 연결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받으면, 데이터 검색 권한을 부여해 준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와;
    공유 데이터의 무단 복제 및 배포 방지를 위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는 공유 권한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권한 설정부는,
    데이터 공유 권한 설정시, 공유 데이터의 최초 출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공유 데이터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프트웨어 모듈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제공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서비스 가입 절차 수행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가입자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DB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가입자 인증 요청 시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정보가 가입자 DB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입자 인증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가입자 인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DB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등록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에 업데이트 방식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6.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로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여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가입자 인증 승인 시, 타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공유 데이터의 데이터 공유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과;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개시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 접속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 타 클라이언트 단말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들 중 특정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접속하여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 및 사용하되, 공유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공유 데이터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 요청을 받으면,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요청이 상기 통신 접속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접속을 요청한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속을 허용하고, 공유 데이터의 검색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과;
    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접속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데이터를 검색 및 사용하되, 공유 데이터에 설정된 데이터 공유 권한에 따라 공유 데이터를 사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데이터 공유 권한 변경을 요청받음에 따라, 그 요청받은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 공유 권한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아이디/패스워드 및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탑재된 운영체제의 커널 정보, 클라이언트 단말에 탑재된 통신 모듈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시리얼 코드, 클라이언트 단말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일련번호, 전화번호 및 IP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1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접속 조건은,
    타 클라이언트 단말의 접속 허용 시간 및 접속 허용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터 공유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공유 권한은,
    데이터 공유 기간, 데이터 복사 허용 횟수, 데이터 이동 허용 횟수 및 데이터 미리보기 허용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 방법.
KR1020110088379A 2011-09-01 2011-09-01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5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79A KR20130025070A (ko) 2011-09-01 2011-09-01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79A KR20130025070A (ko) 2011-09-01 2011-09-01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070A true KR20130025070A (ko) 2013-03-11

Family

ID=4817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79A KR20130025070A (ko) 2011-09-01 2011-09-01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0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51B1 (ko) * 2013-08-22 2014-01-17 (주)지란지교소프트 공유자의 제어에 의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39115B1 (ko) * 2013-05-31 2014-09-16 금명성 지역 및 위치기반 정보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535952B1 (ko) * 2014-03-20 2015-07-24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인식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WO2018124845A1 (en) * 2017-01-02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115B1 (ko) * 2013-05-31 2014-09-16 금명성 지역 및 위치기반 정보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352451B1 (ko) * 2013-08-22 2014-01-17 (주)지란지교소프트 공유자의 제어에 의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35952B1 (ko) * 2014-03-20 2015-07-24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인식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WO2018124845A1 (en) * 2017-01-02 2018-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US10944754B2 (en) 2017-01-02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a sharing target device for sharing data usage of th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573B2 (en) Postponed carrier configuration
KR101874081B1 (ko) 개선된 보안 기능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US96973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cepting call for service by application
US8577334B1 (en) Restricted testing access for electronic device
TWI473019B (zh) 用於可部署物件階層內之應用程式管理的方法及系統
US90716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oning applications from an electronic source device to an electronic target device
US9513888B1 (en) Virtual preloads
CA2693723C (en) Automatic license key injection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US105551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ervice provision between applications
US20110082900A1 (en) System and Methods to Store, Retrieve, Manage, Augment and Monitor Applications on Appliances
KR101971225B1 (ko)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40023674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Tso et al. iPhone social networking for evidence investigations using iTunes forensics
KR20130025070A (ko)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449152B2 (en) License acquisition scheme ind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1879812B1 (ko)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 클라우드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CN102625334B (zh) 检测移动运营商网络
US9497194B2 (en) Protection of resources downloaded to portable devices from enterprise systems
CN102761656A (zh) 用于更新通信设备中通讯簿的方法和设备
US20240106652A1 (en) Providing and Using a User Login Protection Service
US20150254449A1 (en) Coordinated Passcode Challenge for Securing a Device
KR101710488B1 (ko)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500651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 방법
KR20140096690A (ko) 전자 미디어 열람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