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829B1 -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829B1
KR102240829B1 KR1020140169987A KR20140169987A KR102240829B1 KR 102240829 B1 KR102240829 B1 KR 102240829B1 KR 1020140169987 A KR1020140169987 A KR 1020140169987A KR 20140169987 A KR20140169987 A KR 20140169987A KR 102240829 B1 KR102240829 B1 KR 102240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network
secure memory
profile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681A (ko
Inventor
염태선
반형진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29B1/ko
Priority to US14/955,914 priority patent/US9866686B2/en
Publication of KR2016006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81A/ko
Priority to US15/843,770 priority patent/US105675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7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부착된, 탈착 가능한 심,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저장과 삭제가 가능한 보안 메모리,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심을 선택하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 상기 선택된 심을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eUICC(embedded universal IC card) 또는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fier module)은 SIM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er module) 카드, UICC(universal IC card)와 같은 기존 착탈식 카드와 달리, 전자 장치의 제조 시에 내부에 칩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착탈이 불가능하다. eUICC 또는 eSIM은 카드의 착탈 없이 OTA(over the air) 방식으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사업자 변경이 가능하며, 하나의 eUICC 또는 eSIM으로 복수의 프로파일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부착된, 탈착 가능한 심,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저장과 삭제가 가능한 보안 메모리,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탈착 가능한 심과 보안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탈착 가능한 심과 보안 메모리를 구비하고, 전자 장치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등의 상황에 따라 탈착 가능한 심 또는 보안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탈착 가능한 심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해 프로파일을 선택하거나 다운로드 받아 전자 장치의 상황에 맞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의 심 카드와 보안 메모리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하나의 심 카드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편리한 사용자 환경(user experience)과 데이터 서비스의 변경을 위한 조작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탈착 가능한 심(10)이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되는 경우에,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보안 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시에, 탈착 가능한 심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로밍 상태가 되었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보안 메모리를 통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중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되었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보안 메모리에서 현재 사용 중인 프로파일의 사업자 네트워크가 없는 장소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100) 환경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 보안 메모리(20),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심(removable SIM)(10)은 전자 장치(101)에 구비된 소켓(socket)을 통해 전자 장치(101)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이다. 탈착 가능한 심(10)은 SIM(subscriber identifier module)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er module) 카드, UICC(universal IC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심(10)은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01)에서, 가입자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한 심(10) 각각은 해당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 정보, 로밍(roaming) 정보, 인증 정보, 또는, 가입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독립된 OS(operating system)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삭제할 수 있다. 프로파일(MNO(mobile network operator) 프로파일)은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되거나 삭제가 가능한 가입자 식별 모듈로, 통신 사업자 정보, 로밍 정보, 인증 정보(IMSI 등), 가입자 정보(ICCID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OTA(over the air) 방식으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하나의 프로파일은 탈착 가능한 하나의 SIM 카드에 대응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복수의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복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전자 장치(101)의 제조 시에 내부에 칩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착탈이 불가능하며, 독립된 OS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프로파일의 다운로드, 설치, 또는 관리와 관련된 각종 인증 정보(개인키(private key), 공용키(public key), 인증서, 인증서 갱신을 위한 키셋(keyset) 등)를 포함하며, 보안 OTA 채널을 제공하거나, 네트워크 인증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 메모리(20)는 eUICC(embedded universal IC card), eSE(embedded secure element), 마이크로 SD(secure digital), 트러스트 존(trust z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는 각 실시 예에 따라 표준 플랫폼, 내부 구조, 연결되는 유닛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메모리(20)가 eUICC로 구현되면, 보안 메모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communication processor)(미도시)와 연결되고, eUICC 표준에 따른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보안 메모리(20)가 eSE로 구현되는 경우, 보안 메모리(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미도시)과 연결되고, eSE 표준에 따른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보안 메모리(20)가 트러스트 존으로 구현되는 경우, 하나의 물리적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 코어)에서 일반 영역과 구분되는 별개의 보안 영역에 해당하며, 일반 영역과 분리된 CPU, 레지스터, 주소 공간(address space), 메모리, 디바이스, 운영체제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안 메모리(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삭제할 수 있는 모든 보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심(10)과 보안 메모리(20)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가 로밍 네트워크(roaming network)로 변경되거나,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 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거나, 전자 장치(101)가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등에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탈착 가능한 심(10)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 연결은 중단하거나 차단하고,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등록된 네트워크(PS 네트워크와 CS 네트워크 포함)를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한 채, PS 네트워크 연결은 중단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음성 서비스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제공하고, 데이터 서비스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등록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와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나머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지 않은 일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프로파일이 저장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심(10)과 보안 메모리(20) 둘 다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은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또는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서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을 선택하거나,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예: 사업자 정보,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30)는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3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31), 미들웨어(133), 또는 API(13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3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33), API(13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3), API(13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3)는, 예를 들면, API(13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3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7)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 또는 구성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의 선택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지 여부를 설정하거나,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된 사업자 목록 또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목록 중 사용자가 사용할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거나, 어플리케이션별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 또는 보안 메모리(20)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예; 사업자 목록, 또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목록 등)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 중 적어도 하나의 심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 중 프로세서(120)에 의해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이 선택되면, 보안 메모리(20)의 선택된 프로파일을 통해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사용할 구성 요소의 선택과 관계 없이, 탈착 가능한 심(10)에 할당된 전화번호(ex. MSISDN) 또는 사용자 공개번호(ex. PUID)를 통한 통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MS 등의 기능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예: 디폴트 프로파일(default profile)) 또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에서 선택된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101)의 네트워크 정보(예: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위도, 경도 등)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의 임의의 프로파일의 다운로드의 요청에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HTTP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적절한 프로파일을 선택한 뒤, 상기 전자 장치(101)로 푸쉬(예: WAP push)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푸쉬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 또는 상기 프로파일 전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파일을 전달 서버는 상기 보안 메모리(20) 내에 프로파일의 설치, 삭제(delete), 활성화(enable), 비활성화(disable) 등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파일 관리 서버(예: SM-SR(Subscription Manager-Secure Routing)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또는 다른 사업자의 서버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예: 사업자 정보,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이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가 하나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가지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 요소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송수신이 가능하다(예: dual standby single activ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가 복수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가지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통해 동시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송수신이 가능하다(예: dual standby dual active).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 중,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 전자 장치(101)의 이동,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 등의 상황에 따라 선택된 최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 및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프로세서(12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는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심(10)과 보안 메모리(20)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면,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 정보(예: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에 가입 여부, 상기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 여부 등), 상기 보안 메모리(20)에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사업자 정보 또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플랜은 이동 통신 사업자(이하, 사업자)가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전송의 서비스 타입(type)을 나타낸다.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따라 사업자, 연결되는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률, 데이터 전송량에 따른 데이터 전송 요금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상기 발생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타입(type),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설정된 적어도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별로 패킷 데이터가 전달될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에 의한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의 설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보안 메모리(20)를 선택하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이 선택되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통한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의 선택된 프로파일을 통한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한 후,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구성 요소의 선택 결과에 따라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으로 다시 진입하면,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탈착 가능한 심(10)을 선택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한 후,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홈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 홈 네트워크 사업자(home operator)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가 더 경제적이므로, 탈착 가능한 심(1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하고,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면, 예컨대, 전자 장치(101)에서 홈 네트워크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동등한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를 갖는 PLMN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탈착 가능한 심(10)의 로밍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보다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더 경제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에 등록한 후,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패킷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하여,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도,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한 전화, SMS, MMS 등의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상기 전자 장치(101)가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과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와이파이 상태에서 MMS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가 필요한 일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보안 메모리(20)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의 네트워크 등록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상기 보안 메모리(20)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프로파일 목록을 가입자 서버(subscription server)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가입자 서버로 프로파일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download)/삭제(delete), 및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이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포함되어 있지만,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은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이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된 프로파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예: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정보, 또는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랜 등)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프로파일을 통한 PS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표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라우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Network Destination Netmask Gateway Interface Metric
0.0.0.0 0.0.0.0 192.168.0.1 192.168.0.100 10
127.0.0.0 255.0.0.0 127.0.0.1 127.0.0.1 1
192.168.0.0 255255.255.0 192.168.0.100 192.168.0.100 10
192.168.0.100 255.255.255.255 127.0.0.1 127.0.0.1 10
192.168.0.1 255.255.255.255 192.168.0.100 192.168.0.100 10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면, 프로세서(120)는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전자 장치(101)의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에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을 설정할 수 있다. 라우팅 테이블은 특정 IP 패킷이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지를 결정하는 맵핑(mapping) 정보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목적지(network destination)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패킷 데이터)가 향하는 주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서버 주소가 될 수 있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어플리케이션별로 IP 패킷이 향하는 네트워크 목적지가 설정될 수 있다.
IP 패킷이 네트워크 목적지의 주소로 향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주소는 인터페이스(interface)에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별 설정에 따라, 프로세스(120)는 라우팅 테이블의 인터페이스 주소에 지정된 주소를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IP 패킷을 상기 지정된 주소를 갖는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우팅 테이블에 IP 패킷의 네트워크 목적지의 주소가 없으면, 프로세서(120)는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주소인 (0,0,0,0)을 네트워크 목적지로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해당 네트워크 목적지의 지정된 네트워크로 IP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라우팅 테이블에 인터페이스가 결정되지 않은 IP 패킷의 경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PS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보내는 IP 패킷을 지정된 네트워크로 보내기 위해서는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서버 주소를 네트워크 목적지에 설정하고, 해당 IP 패킷에 지정된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스로 설정한 새로운 라우팅 엔트리(route entry)를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에 추가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별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부착된, 탈착 가능한 심(10),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저장과 삭제가 가능한 보안 메모리(20),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과 상기 보안 메모리(20)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과,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고,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하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 또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101)의 네트워크 정보(예: MCC, MNC, 위도, 경도 등)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20)은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어플리케이션별로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보안 메모리(20)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구성 요소를 선택하고, 어플리케이션별로 선택된 구성 요소에 기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20)은 상기 발생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타입,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구성 요소 및/또는 상기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210)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또는 상기 사업자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무관하게, 상기 전자 장치(101)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에 의한 네트워크 서비스 계약과 별도로,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계약을 맺을 수 있고, 전자 장치(101)는 그와 같은 서비스 계약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들로부터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와 관계 없이,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를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이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기재된 전자 장치(101)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31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은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가 로밍 네트워크로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이 선택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심(10)과 보안 메모리(20) 중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발생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타입,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33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보안 메모리(2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보안 메모리(20)를 사용하면 34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6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4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메모리(20)에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은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이거나,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될 수 있는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예를 들면,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이용 등)에 따라, 상황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거나, 서버에 접속하거나, 메시지를 통해 망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여, OTA를 통해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35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된 프로파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상기 프로파일을 포함하면, 36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8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6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프로파일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프로파일을 활성화한 후, 상기 프로파일을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 할 수 있다.
370 동작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안에도,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할 수 있다. 2 개의 전화번호(회선)을 유지하는 듀얼 심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나의 전화번호(회선)을 유지하면서,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80 동작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탈착 가능한 심(10)이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되는 경우에,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의 310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41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탈착 가능한 심(10)이 부착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탈착 가능한 심(10)이 부착되어 있으면, 42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43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43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옵션은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와 별개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데이터 서비스 옵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32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서비스 변경에 관한 전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심(10)이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된 상태이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이 있더라도, 심이 없는 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시에,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3의 370 동작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에 관한 설정에 따라서,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51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시에, 전자 장치(101)의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면,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유지한 채로 데이터 서비스 변경에 관한 전체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52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20 동작에서 프로세서(12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는 차단하고,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더라도,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탈착 가능한 심(10)과 보안 메모리(2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1)에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과 상기 보안 메모리(20) 중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선택되고, 상기 보안 메모리(20)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101)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동작은,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 또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동작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101)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20)에 다운로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발생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타입, 상기 전자 장치(101)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사용자 선호도, 사용자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구성 요소 및/또는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또는 상기 사업자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와 관계 없이,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심을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에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이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제거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로밍 상태가 되었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on) 될 수 있다.
620 동작에서 탈착 가능한 심(10)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탈착 가능한 심(10)의 전원이 온 되더라도, 보안 메모리(20)의 전원은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6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CS 네트워크 및 PS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6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6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예: 탈착 가능한 심(10)의 홈 네트워크를 벗어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가 되면, 전자 장치(100)는 66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50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6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6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가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의 요청 시,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검색된 주변 네트워크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 요청 시,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보안 메모리(20)의 ID(예: EID) 또는 전자 장치(100)가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예: SRID)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는 전자 장치(100)와 관련하여 보안 메모리(20)의 ID 및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를 미리 알고 있으나, 오픈 마켓에서 구입한 전자 장치(100)에 대해서는 해당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의 요청 시, 보안 메모리(20)의 ID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후,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보안 메모리(20)의 ID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의 전달 요청을 받아,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에 보안 메모리(20)의 ID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보안 메모리(20)의 ID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의 ID는 보안 메모리(20) 또는 보안 메모리(20)의 각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로,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을 통해 보안 메모리(20)로부터 상기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에 상기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6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보안 메모리(20)에 프로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다운로드하는 프로파일은 서버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네트워크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현재 상태에 가장 적합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가 LA이고,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를 검색한 결과 TMO와 AT&T의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했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파일 다운로드의 요청 시, 서버로 LA의 위치 정보와 TMO 및 AT&T의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LA의 위치 정보와 TMO 및 AT&T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 받고, 전자 장치(100)가 L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프로파일들 중 TMO 또는 AT&T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69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이 활성화됨을 확인하면, 탈착 가능한 심(10)의 PS 네트워크를 등록 해제(예: PS 네트워크 detach)하고,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를 등록(예: PS 네트워크 attach)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심(10)의 PS 네트워크가 등록 해제되더라도,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 네트워크의 등록은 유지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 가능한 심(10)에서 PS 네트워크 등록이 해제되고,보안 메모리(20)에서 PS 네트워크 등록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되어있고,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중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 전자 장치의 설정이 해제되었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CS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이고,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PS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7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의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을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 해제에 따라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PS 네트워크 등록을 해제하고,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하여 PS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 네트워크 등록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예: 탈착 가능한 심(10)의 홈 네트워크를 벗어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를 벗어나면(예: 탈착 가능한 심(10)의 홈 네트워크로 복귀), 전자 장치(100)는 75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40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7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7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삭제(delete)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가 프로파일의 삭제를 요청하는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가 될 수 있다.
7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의 삭제 요청에 대응하여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7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의 삭제가 완료되면, 보안 메모리(20)의 전원은 오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되었더라도,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이면, 전자 장치(100)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다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를 벗어나지 않았으면,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다시 설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PS 네트워크에의 등록을 해제하고,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다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P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 중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프로파일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서버에 해당 프로파일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 중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 없으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새로운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되면, 이전에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설정이 해제되더라도,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에 있다면, 전자 장치(100)가 로밍 상태를 벗어날 때까지,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의 삭제를 유보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보안 메모리에서 현재 사용 중인 프로파일의 사업자 네트워크가 없는 장소로 이동하였을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CS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이고, 임베디드 심(20)을 통해 PS 네트워크에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가 보안 메모리(20)에서 현재 사용 중인 프로파일의 사업자 네트워크가 없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8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가 보안 메모리(20)의 프로파일의 사업자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에서 PS 네트워크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탈착 가능한 심(10)에서 PS 네트워크 등록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여, 보안 메모리(20)의 PS 네트워크를 이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이 탈착 가능한 심(10)의 PS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다른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프로파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220)을 통해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예: 사업자 정보 등)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전자 장치(100)의 보안 메모리(20)에 사용 가능한 다른 프로파일이 없으면, 전자 장치(100)는 860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8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8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현재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임베디드 심(20)의 새로운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 또는 프로파일 전달 서버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프로파일의 다운로드의 요청 시, 검색된 주변 네트워크 정보,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 또는 EID나 SRID 등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87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보안 메모리(20)에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프로파일이 활성화되면, 탈착 가능한 심(10)의 PS 네트워크를 등록 해제(예: PS 네트워크 detach)하고,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PS 네트워크를 등록(예: PS 네트워크 attach)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또는 문자 서비스와 같은 CS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이용할 수 있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할 수 있다.
880 동작에서 확인 결과,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 중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 있으면, 전자 장치(100)는 해당 프로파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이전 프로파일의 비활성화 및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구현 방법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요청 없이 내부적으로 보안 메모리(20)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활성활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50)에, 도 9의 좌측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와 다른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이 있음을 알려주고,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의 로밍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보다 더 유리한 조건(예: 데이터 전송률, 데이터 서비스 요금 등)으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더라도,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기존의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시겠습니까?”의 질문에 대하여 “예”를 선택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네트워크 정보(예: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위도, 경도 등), 상태 정보 등을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서버 또는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전자 장치(101)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적합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도 9의 우측과 같이 디스플레이(150)에 전자 장치(101)가 현재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정보(예: 사업자 목록, 데이터 서비스 타입 목록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의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가 한국의 사업자이고, 전자 장치(101)가 한국을 벗어나 미국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사업자들(예: Verizon, AT&T, T-Mobile, Clearwire, Sprint 등)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데이터 서비스 설정의 변경을 통해,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20)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과 별개로, 전자 장치(101)는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전자 장치가(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지 않더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이 입력되면,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별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좌측 화면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 옵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전자 장치(101)는,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전자 장치가(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더라도, 도 9에 표시된 화면과 같이,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것 없이, 자동으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하나인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가 설정되면(켜짐(on)이면),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예: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입한 국가)을 벗어나는 경우에, 자동으로 탈착 가능한 심(10)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에서 보안 메모리(20)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의 좌측 화면에서, 사용자는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설정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가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예: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입한 국가)을 벗어난 경우, 상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화면에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 플랜의 목록(또는 사업자 목록 등)을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10)의 사업자와 제휴된 사업자 또는 제3 사업자(지역과 무관하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휴된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휴된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제3 사업자가 제공하는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에의 가입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지역에 따라 개별적으로 새로운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 없이, 한 번의 가입으로 복수의 지역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현재 사용 중인 보안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파일이 선불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해당하면, 해당 프로파일이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남은 사용량을 화면에 표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프로파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남은 사용량은 사용된 패킷의 양, 시간, 또는 장소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현재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고 있음을 화면의 상단의 상태 표시줄에 아이콘(예; 1010), 글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도 10의 좌측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별 설정을 선택하여, 도 10의 우측 화면과 같이,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사용 여부를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상기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별로 데이터 서비스 옵션의 설정을 통하여, 불필요한 데이터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보안 메모리(20)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면, 프로세서(120)는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IP 패킷이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지가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라우팅 테이블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정에 따른 IP 패킷을 지정된 주소의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설정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0의 좌측 화면에서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 기능이 오프(꺼짐)되면, 도 10의 좌측 화면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별 설정 또는 남은 데이터 사용량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1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1110), 통신 모듈(1120), (가입자 식별 모듈(1124), 메모리(1130), 센서 모듈(1140), 입력 장치(1150), 디스플레이(1160), 인터페이스(1170), 오디오 모듈(1180), 카메라 모듈(1191), 전력 관리 모듈(1195), 배터리(1196), 인디케이터(1197), 및 모터(11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1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11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3), 블루투스 모듈(1125), GPS 모듈(1127), NFC 모듈(11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1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1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11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1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프로세서(11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1123), 블루투스 모듈(1125), GPS 모듈(1127) 또는 NFC 모듈(11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3), 블루투스 모듈(1125), GPS 모듈(1127) 또는 NFC 모듈(11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1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1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121), WiFi 모듈(1123), 블루투스 모듈(1125), GPS 모듈(1127) 또는 NFC 모듈(11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124)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132) 또는 외장 메모리(11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1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1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1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1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1140A), 자이로 센서(1140B), 기압 센서(1140C), 마그네틱 센서(1140D), 가속도 센서(1140E), 그립 센서(1140F), 근접 센서(1140G), 컬러(color) 센서(11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1140I), 온/습도 센서(1140J), 조도 센서(11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1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11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101)는 프로세서(11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1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1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1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152),(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154), 키(key)(11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1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1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1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1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11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158)는 마이크(예: 마이크(11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60)(예: 디스플레이(150))는 패널(1162), 홀로그램 장치(1164), 또는 프로젝터(11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162)은 터치 패널(11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1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1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60)는 패널(1162), 홀로그램 장치(1164), 또는 프로젝터(11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172), USB(universal serial bus)(11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176), 또는 D-sub(D-subminiature)(11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11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182), 리시버(1184), 이어폰(1186), 또는 마이크(11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1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1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1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1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97)는 전자 장치(11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11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11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1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탈착 가능한 심
20: 보안 메모리
100: 네트워크
101: 전자 장치
102: 전자 장치
104: 서버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31: 커널
132: 미들웨어
133: API
134: 어플리케이션
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 터치 스크린
160: 통신 인터페이스
162: 네트워크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부착된, 탈착 가능한 심;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저장과 삭제가 가능한 보안 메모리;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모리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안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모리가 선택되고, 상기 보안 메모리가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안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파일 또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을 이용하여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선택된 것인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구성 요소를 어플리케이션별로 선택하고, 어플리케이션별로 선택된 구성 요소에 기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의 데이터 서비스 플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와 관계 없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를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제거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전자 장치.
  13.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착 가능한 심과 보안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통해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 이벤트는 상기 탈착 가능한 심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의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탈착 가능한 심 또는 상기 보안 메모리의 프로파일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벗어남,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설정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동작은,
    어플리케이션별로 상기 탈착 가능한 심과 상기 보안 메모리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할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별로 선택된 구성 요소에 기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모리가 선택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보안 메모리가 선택되고, 상기 보안 메모리가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프로파일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동작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보안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선택된 것인 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와 관계 없이,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을 통한 CS(circuit-switched) 네트워크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하는 방법.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성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심을 통한 PS(packet-switched)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의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탈착 가능한 심이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제거되면, 상기 보안 메모리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중단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69987A 2014-12-01 2014-12-01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4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87A KR102240829B1 (ko) 2014-12-01 2014-12-01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4/955,914 US9866686B2 (en) 2014-12-01 2015-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twork registration through a selected component for data service
US15/843,770 US10567576B2 (en) 2014-12-01 2017-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twork registration through a selected component for dat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87A KR102240829B1 (ko) 2014-12-01 2014-12-01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81A KR20160065681A (ko) 2016-06-09
KR102240829B1 true KR102240829B1 (ko) 2021-04-15

Family

ID=5608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87A KR102240829B1 (ko) 2014-12-01 2014-12-01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66686B2 (ko)
KR (1) KR102240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6647B4 (de) * 2013-12-19 2021-0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oaming-Verwaltung in einer Mobilfunkeinheit, Infotainment-Anlage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N111431847A (zh) * 2016-02-01 2020-07-17 上海途鸽数据科技有限公司 虚拟用户识别模块鉴权方法和装置
US9867037B2 (en) 2016-03-24 2018-01-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file deletion codes in subscription management systems
US9826403B2 (en) * 2016-03-24 2017-11-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tected smart card profile management
KR102550591B1 (ko) * 2016-06-14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IT201600069354A1 (it) * 2016-07-04 2018-01-04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effettuare una gestione remota di un modulo sim a sottoscrizione multipla, e corrispondente modulo sim e prodotto informatico
KR20190058584A (ko) * 2016-10-04 2019-05-2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임베디드 sim 관리 시스템, 노드 장치, 임베디드 sim 관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등록자 장치
CN106793063B (zh) * 2016-12-20 2020-04-03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数据附着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973377B (zh) * 2017-03-28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数据通信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以及管理设备和终端
CN107181647A (zh) * 2017-05-10 2017-09-19 深圳布罗克城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系统
CN112839334B (zh) * 2017-08-28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验证方法及相关设备
WO2019042541A1 (en) 2017-08-30 2019-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M SUPPLY
US10368235B1 (en) * 2018-01-12 2019-07-30 Apple Inc. Wireless device SIM activation while roaming
US10334428B1 (en) * 2018-01-19 2019-06-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ower on pulling for M2M SIM profile downloads
KR102442706B1 (ko) * 2018-03-08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정보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78869A1 (zh) * 2018-03-23 2019-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eSIM卡的开户方法及终端
US11223942B2 (en) 2018-08-07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horizing remote profile management
CN109100944B (zh) * 2018-08-24 2021-11-09 福建星网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ims的数据采集与处理系统
CN109688576B (zh) * 2018-11-13 2022-05-27 东信和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下载Profile的方法及系统
US11032692B2 (en) 2019-01-24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oaming subscription with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KR20200114392A (ko) * 2019-03-28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프로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39296B2 (en) * 2019-07-08 2021-06-1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 carrier eSIM profile
CN110505618B (zh) * 2019-07-10 2023-11-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方法和服务器
JP7322777B2 (ja) * 2020-03-26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122488A (ko) * 2020-04-01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rat 검색 방법
CN111866850A (zh) * 2020-06-28 2020-10-30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配置文件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979940B2 (en) * 2020-10-14 2024-05-07 Flo Live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enhanced SIM profiles as standard eUICC profiles
US11671501B2 (en) * 2021-07-22 2023-06-0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and using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 network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2523A1 (en) 2004-09-30 2006-04-06 Richardson David C SIP user agent with simultaneous multiple registrations
US20060172772A1 (en) 2004-12-30 2006-08-03 Jorgen Bjorkner Alternative routing
US20120123870A1 (en) 2010-11-16 2012-05-17 Gen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ersonalization of data service plans
US20120135715A1 (en) 2009-06-05 2012-05-31 Lg Electronics Inc. Dual sim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20270602A1 (en) 2011-04-25 2012-10-25 Card Robert A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troller
US20140057558A1 (en) 2012-08-22 2014-0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s-based soft subscriber identit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866B1 (ko) 2008-02-13 2008-04-28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다수의 usim 카드들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usim 카드 전환 방법
KR101026247B1 (ko) * 2009-06-29 2011-03-31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가입자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및 가입자 식별 번호 설정 방법
US8996002B2 (en) * 2010-06-14 2015-03-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subscriber identity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20120030331A1 (en) * 2010-07-30 2012-02-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cessing policy profile restrictions
JP5589784B2 (ja) 2010-11-10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の制御方法
US20130281085A1 (en) 2012-04-23 2013-10-24 Apple Inc. Selecting a Subscriber Identity in a User Equipment Device Hav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ties
US9241239B2 (en) * 2012-05-03 2016-01-1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vity based on location
US9585000B2 (en) 2012-05-25 2017-02-28 Kt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subscriber profile of eUICC based on change of network
US9170718B2 (en) * 2012-07-25 2015-10-27 Devicescape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engagement
US8983543B2 (en) * 2012-09-12 2015-03-17 Li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within a secure element
US20140364118A1 (en) * 2013-06-10 2014-12-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Detection in a Dual SIM Single RF Communication Device
US9854004B2 (en) * 2014-05-09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fferent types of registrations for IMS services on SIM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2523A1 (en) 2004-09-30 2006-04-06 Richardson David C SIP user agent with simultaneous multiple registrations
US20060172772A1 (en) 2004-12-30 2006-08-03 Jorgen Bjorkner Alternative routing
US20120135715A1 (en) 2009-06-05 2012-05-31 Lg Electronics Inc. Dual sim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20123870A1 (en) 2010-11-16 2012-05-17 Gen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ersonalization of data service plans
US20120270602A1 (en) 2011-04-25 2012-10-25 Card Robert A Multip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troller
US20140057558A1 (en) 2012-08-22 2014-0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s-based soft subscriber identit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81A (ko) 2016-06-09
US20160157085A1 (en) 2016-06-02
US20180109676A1 (en) 2018-04-19
US10567576B2 (en) 2020-02-18
US9866686B2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829B1 (ko)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558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ICC and EUICC
KR102468974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47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EP3016419B1 (en) Method of changing profile using identifica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US98830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forward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27473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KR102390046B1 (ko)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1044055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ing secure element and method thereof
KR20170058597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44917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성능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50591B1 (ko)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11178710B2 (en)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2106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가입자 식별 모듈 기반의 소프트웨어 설정 방법
CN106105279B (zh) 设备之间呼叫转移的方法
KR2016012365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운영 방법
US20170245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US1051196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00068658A1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of
KR20160105031A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