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634A -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 Google Patents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634A
KR20180079634A KR1020170000024A KR20170000024A KR20180079634A KR 20180079634 A KR20180079634 A KR 20180079634A KR 1020170000024 A KR1020170000024 A KR 1020170000024A KR 20170000024 A KR20170000024 A KR 20170000024A KR 20180079634 A KR20180079634 A KR 2018007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ing
powder
artificial bait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현일
Original Assignee
추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현일 filed Critical 추현일
Priority to KR102017000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634A/ko
Publication of KR2018007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cent dispers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플라스틱 펠릿과 생미끼향 분말, 야광 분말, 반짝이 분말중 하나 이상을 혼합해서 성형한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로서, 고기를 유인하여 미끼를 물 수 있게, 실물 미끼인 꽁치나 오징어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유지비용과 작업 비용이 저렴한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AN ARTIFICIAL BAIT FOR FISH IN OCEAN}
본 고안은 해양 어업의 낚시의 미끼로 사용되는 인조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끼로 이용하는 오징어, 꽁치 또는 돼지 고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 인조미끼에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유인물을 포함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어업에서 낚시를 이용해서 고기를 잡는 어업형태는 연승업과 채낚시업이 있다. 연승업은 낚시줄 하나에 낚시를 여러 개 달아 일정한 수심에 수평으로 부설하여 고기가 스스로 낚 시에 걸리도록 하여 수산물을 포획하는 어업형태이며, 근거지에 따라 크게 참치기지, 참치독항으로 나누어지는데, 참치기지란 해외에 기지를 둔 다랑어류 및 새치류 잡이 연승업을 가리키며, 참치독항이랑 자국내에 모항을 둔 연승업을 말한다. 연승 어선은 100km가 넘는 대형 주낙의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아리줄을 달고 그 끝에 낚시를 매달아 물고기를 잡는다. 미끼를 50cm간격으로 사용할 경우에 엄청량의 미끼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채낚시(주낚시)업은 낚시줄 1줄에 낚시 1개 또는 여러 개를 수직방향으로 달아 사람이 직접 손으로 고기를 낚는 어업형태입니다. 태평양과 인도양에서의 가다랑어 및 새치류, 상어 채낚기업과 남미 포클랜드 수역에서의 오징어 채낚기업이 대표적이다. 주낚시도 하나의 낚시줄에 많은 수의 낚시를 걸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미끼의 량은 연승 낚시 처럼 많이 소용된다.
연승 낚시와 채낚시는 근해 및 원양어업 형태이며, 근해에서도 조업을 출항후 해도 적어도 2일 내지 3일거린다. 따라서 이러한 어업에 종사하는 자는 먼저 미끼로 사용할 꽁치나 오징어를 충분히 확보해야한다. 따라서 이들의 미끼를 충분히 확보하여 냉동고에 보관해야 하고 그리고 이들을 다시 어선내의 냉동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조업시에 이를 끄집어 내어 절단해서 바늘에 끼어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 미끼로 사용되는 꽁치나 오징어의 가격이 점차 높아져서 미끼의 물량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들의 보관할 냉동고를 1년 내에 사용하기 때문에, 냉동고의 놓을 수 있는 땅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전기요금 및 관리비용이 많이들고 있다. 그리고 이를 다시 어선의 냉동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조업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어선의 냉동고도 필요하다.
그리고 좁은 어선에 탑승해서 미끼를 절단해서 끼우는 작업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좁은 어선에서 이러한 작업은 고된 작업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업활동에 미끼 비용, 선원급여, 연료비 등의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서 현재로서 이러한 어업을 경제적으로 지속할 수 없을 정도에 있다.
인조 미끼와 관련해서 특허 등록번호 10-1480298(등록일자 2015년01월02일)의 "오징어의 뼈가 함유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 바늘 조립체"에서는 갑오징어의 뼈 분말이 성형원료와 혼합된 후 성형틀에 투입되어 성형한 것으로 이를 집어효과을 향상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는 미끼로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출원번호 10-2016-0126570(출원일 2016년 9월30일)의 인조 미끼와 이의 제조 방법에서 인조 미끼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대량의 미끼를 사용하는 연승 낚시와 채낚시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의 미끼는 아니다.
인조 미끼는 고기를 유인해서 낚시 바늘에 걸리게 할 목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기가 쉽게 오인하여 낚시 바늘에 걸리는 효과는 계속 발전되고 있으며. 그리고 이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계속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를 유인하여 미끼를 물 수 있게, 실물 미끼인 꽁치나 오징어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유지비용과 작업 비용이 저렴한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고기가 물지 않은 미끼에 대해서는 3회 이상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는 플라스틱 펠릿에 생미끼향 분말, 야광 분말 및 반짝이를 혼합하여 실물 미끼의 형태로 성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끼의 내구성을 향상을 위해서, 즉 생미끼향을 액화하여 이를 톱밥이나 왕겨에 베어 있게 해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미끼향 분말로서 생꽁치나 오징어 등의 생물과 혼합 반죽한 왕겨와 톱밥을 급속 건조시켜서 만든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미끼향은 꽁치, 돼지고기, 새우, 미꾸러지, 지렁이, 오징어, 문어의 향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서는 생미끼향 분말은 5-10중량%이며, 나머지는 플라스틱 펠릿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의 인조 미끼는 반짝이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의 인조 미끼는 야광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서는 추가로 수심의 깊이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 색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기가 쉽게 유인되어 물 수 있는 실물 미끼인 꽁치나 오징어와 거의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유지비용과 작업 비용이 저렴하고, 2 내지 3번 이상 교체없이 사용가능한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낚시 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오징어 조각 형태의 인조 미끼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꽁치 조각 형태의 인조 미끼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서의 유인물들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의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출원번호 10-2016-0126570(출원일 2016년 9월30일)의 인조 미끼와 이의 제조 방법의 일부분을 본 발명 명세서에 통합해서 여기에 포함하고자 한다.
지금 도 1을 참조하면, 참돔, 옥돔, 북어등 잡어를 잡는 연승 낚시 통을 도시한 것하며, 연승 낚시 통은 긴줄(약 100m)에 약 1m간격으로 줄을 달고 그 줄끝에 낚시를 달아서 통외주연에 순서대로 질서있게 나열한 다음 바다에 투입할 때에는 통 외주에 나열된 순서대로 하나씩 풀어 바다에 투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연승 낚시 통을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또한 그 안에 에 실물 미끼, 꽁치 조각이 걸린 상태를 . 이러한 작업은 실제 육지에서 할 수 없고, 조업을 나가서 냉동중인 꽁치를 절단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어선에 많은 인부를 탑승시켜야 하고 이러한 작업은 좁은 선상에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징어의 일부분을 절단해서 사용하는 한 실시 예로서 인조 미끼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꽁치의 일부분을 절단해서 사용하는 한 실시 예로서 인조 미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조 미끼는 플라스틱 펠릿, 및 생미끼향 분말, 반짝이 분말 및 야광 분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인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출성형한 오징어 및 꽁치 조각 형상의 인조 미끼를 도시한다. 이런 유인물은 인조 미끼의 두께의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생미끼향 분말은 꽁치, 돼지고기, 새우, 미꾸러지, 지렁이, 오징어, 문어의 향의 분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포획 어류에 따라서 다양한 향기의 분말, 예를 들어, 가재 분말, 오징어 간장 분말(Squid lipid powder; SLP), 오징어 간장오일(Squid liver oil SLO), 오징어 간장농축액(Squid liver Soluble SLS), 오징어 내장 분말, 오징어 살 분말, 새우 분말, 문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미끼향 성분은 5-10중량%이며, 나머지는 플라스틱 고무인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펠릿, 적합하게는 실리콘이다. 이들 모두는 생미끼향이 실제로 미량으로 분출되거나 얼마 되지 않아서 사라져서 인조 미끼의 수명을 단축한다. 본 발명의 생미끼향 성분은 인조 미끼의 두께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생미끼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실제 꽁치와 오징어의 냄새를 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생미끼향은 또한 생꽁치나 오징어를 빻아서 이를 왕겨와 톱밥에 혼합하여, 급속 건조, 양호하게는 냄새가 날아가지 전에 건조, 약 1시간 이내로 건조해서 이를 분말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실제 인조 미끼에 꽁치나 오징어의 향기를 낼 수 있다.
추가로 반짝이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하고, 야광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펠릿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연질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펠릿은 Moprene MP-1900으로 Teknor Apex Company에서 시판되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양호하게는 인조미끼에 전자 케미를 설치하여 고기의 유인해서 집어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4은 도 3의 A부분 표면을 확대한 도면으로, 꽁치 형태의 인조 미끼에 분포된 생미끼향 성분(21), 반짝이 성분(22), 야광 성분(23)을 설명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성분들은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기재에 골고루 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생미끼향 성분(21)은 물 속에 인조 미끼의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물속에 들어가면 약간 부풀려져서 생미끼향 성분(21)이 방출하여 고기를 유인한다.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반 투명한 성분 때문에 인조 미끼에 분포된 반짝이 성분(22) 및 야광 성분(23)은 고기를 유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심 깊이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는, 즉 다시 말해서 온도에 따라서 변화되는 열변색 색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의 선호 색깔에 따라서 미끼의 색깔로 변경할 수 있어서, 포획 고기를 보다 더 유인하여 잡을 수 있다. 고기들은 적정 수온을 찾아서 상하이동하고 수심이 깊은 곳은 온도가 가장 낮고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포획 고기가 활동하는 온도에서는 그 고기가 좋아하는 색깔로 미끼가 변하도록 열변색 색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서 4 내지 6℃ 에서는 자주색으로 변하고 4 내지 8℃에서는 파란색으로 변하는 색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미끼에 인해서, 꽁치 및 오징어를 보관할 냉동고가 육지나 어선에 필요 없으며, 처음에 육지에서 낚시 통에 미리 인조 미끼를 끼워서 출항할 수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생미끼는 통상적으로 6시간 내지 8시 이후에는 교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인조미끼는 낚시를 걸어 올리지전 까지는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한 번 사용한 인조 미끼를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는 생미끼향이 재사용해서 오래갈 수 있도록 생미끼향에 톱밥이나 왕겨에 베게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21: 생미끼향 성분
22: 야광 성분
23: 반짝이 성분

Claims (9)

  1. 플라스틱 펠릿에 생미끼향 분말, 야광 분말 및 반짝이를 혼합하여 실물 미끼의 형태로 성형한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미끼향을 액화하여 이를 톱밥이나 왕겨에 베어 있게 성형한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미끼향 분말로서 꽁치나 오징어 등의 생물과 혼합 반죽한 왕겨와 톱밥을 급속 건조시켜서 분말을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미끼향은 꽁치, 돼지고기, 새우, 미꾸러지, 지렁이, 오징어, 문어의 향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미끼향 분말은 5-10중량%이며, 나머지는 플라스틱 펠릿인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6. 제1항에 있어서,
    반짝이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7. 제1항에 있어서,
    야광 분말을 5-10중량% 더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8.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케미를 더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9. 제1항에 있어서,
    수심의 깊이에 따라서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 색소를 더 포함하는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0170000024A 2017-01-02 2017-01-02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80079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24A KR20180079634A (ko) 2017-01-02 2017-01-02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24A KR20180079634A (ko) 2017-01-02 2017-01-02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34A true KR20180079634A (ko) 2018-07-11

Family

ID=6291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024A KR20180079634A (ko) 2017-01-02 2017-01-02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6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3702A (zh) * 2019-12-02 2020-01-21 界首市兴华渔具有限公司 一种含金葱粉的仿生鱼饵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3846A (ko) * 2020-09-10 2022-03-17 김재문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CN110713702A (zh) * 2019-12-02 2020-01-21 界首市兴华渔具有限公司 一种含金葱粉的仿生鱼饵
KR20220033846A (ko) * 2020-09-10 2022-03-17 김재문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evecchi Interactions between fisheries and seabirds
Calado Marine ornamental shrimp: biology, aquaculture and conservation
KR20180079634A (ko)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Reglero et al. Vertical distribution of Atlantic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and bonito Sarda sarda larvae is related to temperature preference
Aladin et al. The history and future of the biological resources of the Caspian and the Aral Seas
Xavier et al. LIfe beyond the ice: marine ecosystems in the Southern Ocean
Kron Ancient fishing and fish farming
Horn Diversity and ecological roles of noncommercial fishes in California marine habitats
Phillips et al. Spawning behavior and nest association by Dionda diaboli in the Devils River, Texas
Ateşşahin et al. The effect of hook size, spinner colour and fishing season on catching efficiency in angling for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Casalini et al. The effect of crowding and density on male mating behaviour in the rose bitterling (Rhodeus ocellatus)
US20090074908A1 (en) Crustacean bait
Roberts et al. Predator feeding preferences for a benthic stream fish: effects of visible injected marks
Isaksson et al. Atlantic salmon ranching: past problems and future management
JP2004321092A (ja) 刺し餌
Sahoo et al. Hatchery Production of the Yellow Catfish Horabagrus brachysoma in India
Liao et al. Sallow-skin horseshoe crabs (late juvenile Tachypleus tridentatus) as osmoconformers
Sun Fine-Scale Movements and Behaviors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a Seasonal Aggregation near Al Lith, Saudi Arabia
Chang et al. Attracting effect of baits used the by-product for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pots
Pennell et al. Open systems: the culture of fish for release into natural systems
US20150216152A1 (en) Imitation fish eggs
Kailasam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feeds for nursery rearing of Asian sea bass, Lates calcarifer (Bloch)
Rundupadang et al. Effectiveness of milkfish (Chanos chanos) live bait from aquaculture versus live bait from nature in Pole and line fisheries.
Lujan Sea lamprey: characteristics, habitat, diet, life cycle, and control
Munley et al. Laboratory investigations into alternative baits for the channeled whelk (Busycotypus canaliculatus) fish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