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846A -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 Google Patents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846A
KR20220033846A KR1020200116212A KR20200116212A KR20220033846A KR 20220033846 A KR20220033846 A KR 20220033846A KR 1020200116212 A KR1020200116212 A KR 1020200116212A KR 20200116212 A KR20200116212 A KR 20200116212A KR 20220033846 A KR20220033846 A KR 2022003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lure
live
fis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277B1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김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filed Critical 김재문
Priority to KR102020011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2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47Hollow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8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cent dispers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생미끼에 의한 맛과 향기 확산을 통하여 주변 고기의 유인 효과를 향상시킴과 함께 고기의 입질시 생미끼의 촉감을 느끼게 되는 이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어 액상의 미끼 재료(S)가 보관되는 미끼 보관공간(20)과; 상기 미끼 보관공간(20) 내에 보관되는 미끼 재료(S)의 외부 배출을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Lure for live fishing bait}
본 발명은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 낚시미끼인 루어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시각적 효과 뿐만 아니라 향 및 생미끼의 촉감을 이용하여 고기의 유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어낚시란 지렁이 등 날 미끼가 아닌 인조미끼(lure)를 사용하는 낚시를 말하며 이를 얼마만큼 살아 있는 미끼처럼 보이게 하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어분 등을 만지지 않기 때문에 여성들도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편이지만 대낚시와는 달리 밤낚시가 극히 힘들다. 한국에서 잡히는 민물고기는 쏘가리·꺽지·강준치·메기·가물치·송어·메기·배스·산천어 등이고, 바닷고기는 농어·우럭·볼락·노래미·가자미·넙치·황어 등이 있다.
한편, 루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어종별로 나뉘어 있으므로 이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릴 낚시로 루어를 멀리 던진 후 릴을 감으면서 루어를 헤엄치듯 움직여 고기를 유인한다.
형태별로 분류하면 스푼·스피너·웜·플러그·지그·콤비네이션·내추럴 이미테이션 등이 있고, 동작별로 분류하면 탑 워터 플러그, 서피스 플러그, 딥 다이빙, 웨트 플러그, 러스터 플러그, 포퍼 등이 있다.
특히 상기 내추럴 이미테이션은 비닐·고무 등을 이용해서 개구리나 작은 물고기, 지렁이 등을 모사해서 사실적인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추럴 이미테이션에서의 인조미끼의 움직임이 중요하며 최대한 미끼가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루어 낚시를 하는 낚시꾼은 인조미끼가 살아있는 것처럼 보여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릴 낚시로 루어를 멀리 던진 후 릴을 감으면서 루어를 헤엄치듯 움직여 고기를 유인한다. 결국 인조 미끼는 낚시꾼이 낚싯대를 어떻게 채며, 이에 따라 얼마만큼 진짜 고기처럼 보이게 하여 낚을 고기를 유인하느냐가 관건이다
이러한 인조미끼의 종래 일 예로, 국내 특허공개 제2016-13735호(2016.02. 05. 공개)에서는 "루어낚시용 미끼"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인조미끼는 액션을 이용한 단순한 시각적 효과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가까이 있는 고기에 대한 유인은 가능하지만, 근거리나 원거리에 있는 고기의 유인에 어려움이 있으며 고기의 입질시 생미끼 느낌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66291호(2012.06.22.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72177호(2000.12.0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조미끼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냄새를 이용한 고기의 유인기능을 구현함과 함께 입질시 생미끼의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시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루어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액상의 미끼 재료가 보관되는 미끼 보관공간과; 상기 미끼 보관공간 내에 보관되는 미끼 재료의 외부 배출을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생미끼 대용 루어는, 내부에 저장된 생미끼에 의한 맛과 향기 확산을 통하여 주변 고기의 유인 효과를 향상시킴과 함께 고기의 입질시 생미끼의 촉감을 느끼게 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기존 생미끼 낚시의 장점과 루어 낚시의 장점을 조합하여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낚시 경험이 많지 않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어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루어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루어에 미끼 재료가 충진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루어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어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생미끼 대용 루어는 합성수지 재료의 성형 제작을 통해 일정 길이의 유선형 형상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 내에는 액상의 생미끼를 포함하는 미끼 재료(S)가 보관되는 미끼 보관공간(20)이 형성되고, 미끼 보관공간(20) 내에 보관되는 미끼 재료(S)의 외부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출공(30)이 본체부(10)에 형성된다.
특히, 미끼 보관공간(20)에 보관되는 미끼 재료(S)는 갯지렁이, 꽁치, 새우 등의 재료가 액상의 형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스포이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배출공(30)을 통해 주입하거나 또는 액상 재료가 보관되는 수조내에 담가놓고 서서히 내부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 제작되어 입질시 최대한 생미끼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생미끼 대용 루어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생미끼 대용 루어는 도 5에서와 같이 낚시바늘(100)에 끼워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속에서 생미끼의 냄새가 서서히 확산되어 주변 고기의 유인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루어 내부의 미끼 보관공간(20)에 주입된 생미끼 재료(S)는 주변 수류에 의해 조금씩 배출공(30)을 통해 방출되어지게 되며, 고기가 접근하여 입질시에는 본체부(10)의 이완.수축 작용에 의해 배출공(30)이 벌어지면서 보다 많은 양의 생미끼 재료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배출공(30)을 통해 방출된 생미끼의 향은 주변으로 확산이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저장된 생미끼에 의한 맛과 향기 확산을 통하여 주변 고기의 유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고기의 입질시 실리콘 재질 특성 및 생미끼 향의 방출에 의해 생미끼의 촉감 및 느낌을 줄 수 있게 되어 히트(고기가 바늘에 잡히는)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입질 후 고기가 본체부(10)를 완전히 물었을 때 낚시바늘(100)에 의해 쉽게 포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어는, 기존 생미끼 낚시의 장점과 루어 낚시의 장점을 조합하여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낚시 경험이 많지 않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생미끼 또는 어분 등을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고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되어 낚시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배출공(30)에는 배출량 조절을 위한 브러쉬(31)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10)는 주재료인 실리콘 60~80중량%, 수팽창 재료인 벤토나이트 10~20중량%, 유기화합물인 폴리카르복시산 1~10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1~5중량%, 산화붕소 1~5중량%, 알콕사이드 1~5중량%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브러시(31)의 구성으로 인해 배출공(30)을 통한 생미끼 재료의 과다한 배출이 방지됨과 함께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인 생미끼 재료의 배출 및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루어 본체부(10)의 재료에 벤토나이트가 혼합됨으로써 물속에 투입시 팽창 효과를 나타내게 되고, 폴리카르복시산은 실리콘의 경화를 방지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루어의 내구성을 강화하여 표면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산화붕소는 불과의 접촉에 따른 산화 반응을 통한 변색 발생을 방지하고, 알콕사이드는 전체 혼합재료 상호간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생미끼 대용 루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특정한 형상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 생미끼 대용 루어의 형상이나 모양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생미끼 재료의 주입방식은 스포이드를 사용하는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미끼 보관공간
30 : 배출공 100 : 낚시바늘
S : 생미끼 재료(갯지렁이, 꽁치, 새우 등)

Claims (5)

  1.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내에 구비되어 액상의 미끼 재료(S)가 보관되는 미끼 보관공간(20)과;
    상기 미끼 보관공간(20) 내에 보관되는 미끼 재료(S)의 외부 배출을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3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끼 재료(S)는 액상의 생미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유선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30)에는 배출량 조절을 위한 브러쉬(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실리콘, 벤토나이트, 폴리카르복시산, 고밀도 폴리에틸렌, 산화붕소, 알콕사이드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KR1020200116212A 2020-09-10 2020-09-10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KR10249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12A KR102491277B1 (ko) 2020-09-10 2020-09-10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212A KR102491277B1 (ko) 2020-09-10 2020-09-10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846A true KR20220033846A (ko) 2022-03-17
KR102491277B1 KR102491277B1 (ko) 2023-01-26

Family

ID=8093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212A KR102491277B1 (ko) 2020-09-10 2020-09-10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2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77A (ko) 2000-08-11 2000-12-05 김경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200293037Y1 (ko) * 2002-07-31 2002-10-25 김동혁 낚시용 루어
KR200408875Y1 (ko) *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20120066291A (ko) 2010-12-14 2012-06-22 이찬구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101863449B1 (ko) * 2016-09-30 2018-05-31 선계종 낚시용 인조 미끼 및 제조 방법
KR20180079634A (ko) * 2017-01-02 2018-07-11 추현일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77A (ko) 2000-08-11 2000-12-05 김경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200293037Y1 (ko) * 2002-07-31 2002-10-25 김동혁 낚시용 루어
KR200408875Y1 (ko) *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20120066291A (ko) 2010-12-14 2012-06-22 이찬구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101863449B1 (ko) * 2016-09-30 2018-05-31 선계종 낚시용 인조 미끼 및 제조 방법
KR20180079634A (ko) * 2017-01-02 2018-07-11 추현일 해양어업 낚시용 인조 미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277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6622C (en) Contracting fishing lure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765572A (en) Fish lure
CN202145801U (zh) 一种背钩式软体假饵
US20070261289A1 (en) Modular reinforced soft bait lure system
CN101711516A (zh) 金枪鱼拟饵及其专用缓释诱食剂
KR200488163Y1 (ko) 발광 루어
US9161522B2 (en) Fishing lure
US6571508B2 (en) Fish catching system
KR102491277B1 (ko)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CN204206947U (zh) 一种人造软饵
KR20210060850A (ko) 인조 미끼
KR200408875Y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180036234A (ko) 낚시용 인조 미끼 및 제조 방법
US8733013B1 (en) Flexible fishing lure with rods as bubble releasing mechanism
JP2006121963A (ja) 集魚用調合剤、集魚用仕掛け、集魚用仕掛けの製造方法
US20020108293A1 (en) Dough bait retention fishing lure
KR200289647Y1 (ko) 낚시용 루어
CN214206888U (zh) 一种新型假饵
KR20240000328U (ko) 두족류 낚시용 루어
CN201585352U (zh) 一种便于诱捕水下生物的容器
AU2018100640A4 (en) large hollow storage compartment chamber for soft plastic fishing lures
JP3207733U (ja) ハードルアー
CN105379692A (zh) 一种鱼钩防挂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