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50A - 인조 미끼 - Google Patents

인조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50A
KR20210060850A KR1020190148342A KR20190148342A KR20210060850A KR 20210060850 A KR20210060850 A KR 20210060850A KR 1020190148342 A KR1020190148342 A KR 1020190148342A KR 20190148342 A KR20190148342 A KR 20190148342A KR 20210060850 A KR20210060850 A KR 2021006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present
artificial
artificial fishing
fishing b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해
Original Assignee
김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해 filed Critical 김명해
Priority to KR102019014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850A/ko
Publication of KR2021006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인조 낚시 미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폐기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인조 낚시 미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미끼는 젤라틴을 포함하여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므로 바다 속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 미끼가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므로 그 성형성이 좋고, 감촉의 조절이 자유로워 어종의 취향에 따라 촉감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 미끼와 흡사하게 조성될 수 있고, 촉감 또한 비슷하므로 바닷속에서 물기기들을 효과적으로 모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 미끼{Fishing lure}
본 출원은 인조 낚시 미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폐기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인조 낚시 미끼에 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미끼로는 지렁이, 굼뱅이, 구더기, 작은물고기 등의 살아있는 생물류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인조 미끼가 사용된다. 이들 인조 미끼는 pvc겔이나 우레탄겔 또는 열가소성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 등을 바인더 수지로 하고 여기에 가소제 및 가미제 등의 참가제가 혼합된 조성물로 만들어 지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인조 미끼는 물 속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으며 인조 미끼를 삼킨 물고기를 사람이 그대로 취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렁이나 굼뱅이 등의 살아 있는 생물들로 된 미끼는 효과가 크지만 가격이 비싸고 다루기에 혐오감을 일으키고 취급의 난이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5-0073828호(공개일자 2005년 07월 18일) 공개특허 특2002-0045227호(공개일자 2002년 06월 19일) 공개특허 제10-2011-0088314호(공개일자 2011년 08월 03일) 공개특허 특2000-0017760호(공개일자 2000년 04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무독성이면서도 물에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아잇는 생물들과 탄성과 촉감 및 모양이 매우 우수하여 미끼 효과가 우수한 특성을 지닌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미끼는 젤라틴을 포함하여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므로 바다 속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 미끼가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므로 그 성형성이 좋고, 감촉의 조절이 자유로워 어종의 취향에 따라 촉감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 미끼와 흡사하게 조성될 수 있고, 촉감 또한 비슷하므로 바닷속에서 물기기들을 효과적으로 모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미끼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미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미끼(10)는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한천, 글리세린 등의 기소제, 젓갈류, 어분, 깻묵, 번데기분말 등의 가미제, 아민류, 포름알데히드 공여체, 글리옥산, 붕산 등의 가교제 및 기타 색소 첨가제 등이 가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젖갈류, 어분 등을 가미할 수 있으므로 어류의 입맛에 맞게 미끼의 맛을 낼 수 있다. 그래서 특정 어류가 좋아하는 맛이 나도록 미끼를 구현할 경우 원하는 어종을 낚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인조 미끼는 젤라틴으로 만들어지므로 성형성과 촉감이 매우 우수하다. 그래서 외관을 생 미끼와 매우 흡사하게 만들 수 있으며 그 촉감도 생 미끼와 비슷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조 미끼의 경우 수중에 넣어지면 단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자연 분해된다. 그래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인조 미끼

Claims (1)

  1. 젤라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미끼.
KR1020190148342A 2019-11-19 2019-11-19 인조 미끼 KR20210060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42A KR20210060850A (ko) 2019-11-19 2019-11-19 인조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42A KR20210060850A (ko) 2019-11-19 2019-11-19 인조 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50A true KR20210060850A (ko) 2021-05-27

Family

ID=7613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342A KR20210060850A (ko) 2019-11-19 2019-11-19 인조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8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096B1 (ko) * 2022-06-24 2023-05-18 조영일 바다낚시용 미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다낚시용 미끼
WO2023190245A1 (ja) * 2022-03-31 2023-10-0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生分解性人工餌用組成物、及び生分解性人工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0A (ko) 1999-11-18 2000-04-06 진천규 인조미끼 제조방법
KR20020045227A (ko) 2000-12-08 2002-06-19 홍청석 생분해성 인조미끼 조성물
KR20050073828A (ko)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젤라틴 낚시미끼
KR20110088314A (ko) 2010-01-28 2011-08-03 박정곡 생분해성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0A (ko) 1999-11-18 2000-04-06 진천규 인조미끼 제조방법
KR20020045227A (ko) 2000-12-08 2002-06-19 홍청석 생분해성 인조미끼 조성물
KR20050073828A (ko)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젤라틴 낚시미끼
KR20110088314A (ko) 2010-01-28 2011-08-03 박정곡 생분해성 인조미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0245A1 (ja) * 2022-03-31 2023-10-0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生分解性人工餌用組成物、及び生分解性人工餌
KR102534096B1 (ko) * 2022-06-24 2023-05-18 조영일 바다낚시용 미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다낚시용 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nnox et al. What makes fish vulnerable to capture by hook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review of key determinants
Kovacs Bearded seal: Erignathus barbatus
US2590461A (en) Fish lure
Von der Emde et al. The senses of fish: adaptations for the reception of natural stimuli
WO2003020049A3 (en) Biodegradable fishing lure and material
KR20210060850A (ko) 인조 미끼
Dixson et al. Ontogenetic changes in responses to settlement cues by Anemonefish
CN104982396A (zh) 一种仿生鱼饵
Vasantharajan et al.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Lethrinus lentjan (lacepede, 1802) and Lethrinus nebulosus (forsskal, 1775) exploited in Thoothukudi coast, Tamil nadu, India
Dissanayake Ocean acidification and warming effects on crustacea: Possible future scenarios
Choi et al. Feeding habits of larval Clupea pallasii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KR20110088314A (ko) 생분해성 인조미끼
Sahayaraju et al. Loss of marine fish stock in south west India: Examining the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genous fishermen
Abramchuk et al. Current state of the fishing industry in the Krasnodar reg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country's food security
CN103583487A (zh) 一种专捕甲鱼的诱饵
CN212993904U (zh) 一种仿生型拟饵
Gilliand The effects of change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behavior of the hermit crab Pagurus longicarpus
JP2002223670A (ja) 生分解性人工餌組成物
Petrescu-Mag The blobfish Psychrolutes marcidus (McCulloch, 1926), among the strangest fish in the world
Hamilton Fish
KR200338901Y1 (ko) 낚시용 미끼
Morgan Stickiness
KR0146481B1 (ko) 낚시용 미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3846A (ko) 낚시용 생미끼 대용 루어
Jalali et al. An investigation of ontogenic development of mouth and its size in (Vimba vimba), larval and juven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