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347A -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 Google Patents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347A
KR20180079347A KR1020187013969A KR20187013969A KR20180079347A KR 20180079347 A KR20180079347 A KR 20180079347A KR 1020187013969 A KR1020187013969 A KR 1020187013969A KR 20187013969 A KR20187013969 A KR 20187013969A KR 20180079347 A KR20180079347 A KR 20180079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plastic injection
machin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832B1 (ko
Inventor
군터 그림
Original Assignee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of an injec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etting or resetting of moulding conditions, e.g. before starting a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4Control of logging system, e.g. decision on which data to store; time-stamping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5/76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y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51Measurement means
    • B29C2945/76461Optical, e.g. laser
    • B29C2945/76464Optical, e.g. laser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39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495Messages to operator in multimedia, voice and image and tex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204Die, mould mak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244Injection m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에 관한 것이며, 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성형될 플라스틱 질량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사출 유닛(3),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공구(7)를 가지는 폐쇄 유닛(4)─폐쇄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9)을 가지며, 공동 내로, 사출 유닛(3)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플라스틱 질량체는 성형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됨─, 기계 제어기(10)─기계 제어기는 기계 제어기(10)를 동작시키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사출 유닛(3) 및 폐쇄 유닛(4)을 제어하도록 설계됨─, 및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를 포함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기계 제어기(10)와 통신하고,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12.1)을 가지며, 기계 제어기(10)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들의 형태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17)를 가지며, 그리고 기계 제어기(1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각각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를 데이터 세트로 수동으로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프로세스 생성기(18)를 가지며, 그리고 프로세스 생성기(18)는 또한, 데이터 메모리(17) 내로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라이팅하도록(write) 또는 연관된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스크린(12.1)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 관한 것이며, 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성형될 플라스틱 질량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사출 유닛(injection unit),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공구를 가지는 폐쇄 유닛(closing unit)─폐쇄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cavity)을 가지며, 이 공동 내로 사출 유닛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플라스틱 질량체는 성형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됨─, 그리고 기계 제어기(machine controller)─기계 제어기는 기계 제어기를 동작시키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사출 유닛 및 폐쇄 유닛을 제어하도록 설계됨─, 및 기계 제어기와 통신하고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가지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ser interface device)를 포함한다.
WO 2007/028721 A1로부터, 사출 성형 설비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사출 성형 섧비는 사출 유닛 및 성형된 부품들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공구들을 갖는 폐쇄 유닛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기계, 및 스크린을 작업 공간과 함께 가지며, 작업 공간은 사출 성형 기계 자체 그리고 적용가능하다면, 작업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카메라들이 제공되는 보조 장비를 포함하며, 여기서 다양한 카메라들의 이미지들은 스크린 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카메라들의 이미지들은 특정가능한 시간의 기간 동안 기록될(recorded) 수 있다.
US 2004/0088073 A1은, 입력 유닛(이 입력 유닛을 통해, 문자 정보가 전자 데이터로서 캡처될 수 있음), 및 입력 유닛을 통해 입력된 문자 정보가 전자 데이터로서 저장되는 메모리를 가지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를 설명한다. 또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여기서, 문자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명령 유닛, 및 문자 정보를 디스플레잉하도록 그리고 다시 말해, 명령 유닛의 명령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잉하도록 설계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WO 2006/089451 A1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셀을 제어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며, 이 때 보조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제조 셀에 연관되며, 여기서 제조 시퀀스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지고 파라미터화되며, 그리고 기계 시퀀스들은 행동적으로(behaviourally) 완전한 컴포넌트들을 기초하여 준비되고, 관리되고 그리고 실행되며, 이는 도메인(domain) 언어로 도메인 모델을 형성하여, 간단히 배울 수 있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사출 성형 기계의 사용 및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AT 513666 A1은 스크린,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사출 성형 기계 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버튼을 가지는 사출 성형 기계를 위한 작동 유닛을 설명하며, 여기서 사출 성형 요소들에 속하는, 사출 성형 기계에서 이용가능한 정보는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DE 10 2006 017 499 A1은 사출 성형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설명하며, 이 제어 디바이스는 가열 배열체들을 제어함으로써 실린더의 부품들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값들로 제어하는 온도 제어 섹션을 가지며; 변위 마이너스 온도(displacement minus temperature)를 부품들의 제어 온도들 미만으로 균일하게 조절하는 변위 마이너스 온도 조절 수단 메모리를 가지며; 이 제어 디바이스는 변위 절대 온도를 부품들의 제어 온도들 미만에서 미리 정해진 온도로 조절하는, 변위 절대 온도 조절 수단 메모리를 가지며; 그리고 이 제어 디바이스는 온도 제어 섹션에 의해 제어되는, 온도 조절 수단 메모리들에서 조절되는 온도들을 부품들의 온도 미만으로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 기계 상태들 및/또는 이벤트들이 기계 조작자에게 특히 명확하게 이송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 의해 해결되며, 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성형될 플라스틱 질량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사출 유닛,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공구를 가지는 폐쇄 유닛─폐쇄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cavity)을 가지며, 공동 내로, 사출 유닛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플라스틱 질량체는 성형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됨─, 기계 제어기(machine controller)─기계 제어기는 기계 제어기를 동작시키는 기계 프로그램(machine program)에 따라 사출 유닛 및 폐쇄 유닛을 제어하도록 설계됨─, 및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ser interface device)를 포함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기계 제어기와 통신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가지며, 기계 제어기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들의 형태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data memory)를 가지며, 그리고 기계 제어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각각의 상태 파라미터(state parameter)를 데이터 세트로 수동으로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프로세스 생성기를 가지며, 그리고 프로세스 생성기는 또한, 데이터 메모리 내로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라이팅하도록(write) 또는 연관된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설계되며, 프로세스 생성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 세트의 수동 할당을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프로세스 모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 프로세스 모드에서, 각각의 데이터 세트는 데이터 메모리 내로 자동으로 라이팅하거나, 연관된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자동으로 판독된다.
수동 할당은,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기계 조작자에 의해 수동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태 파라미터를 활성화된 데이터 세트에 할당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할당은 데이터 세트와 상태 파라미터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 조작자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조작자 각각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제조사에 의한 공장 제공 설정과는 독립적으로 그 자체의 통신 시퀀스들을 특정하며, 즉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퀀스들은 후속 검색을 위해 기계 제어기에 기록되고 저장될 수 있고, 후속 자동 실행을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퀀스들에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개별 이미지들의 형태의, 이미지 시퀀스들의 형태 또는 비디오 필름의 형태의 문자 또는 이미지들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특정 할당된 기계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잉되는 것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잉된 문자 또는 개별 이미지들의 형태로, 이미지 시퀀스들의 형태로, 또는 비디오 필름의 형태로 디스플레잉된 이미지들의 수동적인 확인을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스 생성기(process generator)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 세트의 각각의 수동적인 할당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작동가능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 세트가 할당된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메모리에 라이팅되거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자동으로 판독되는 프로세스 모드에서 작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메라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 장면(scene)을 연속적으로 캡처링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결함 보고의 경우에, 데이터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캡처링된 장면을 예를 들어 비디오의 형태로 그리고 다시 말해 심지어 오기능(malfunction)이 촉발되는 이벤트 전에 이미 존재하는 시간 기간 동안, 그리고 결과적으로 오기능 리포트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오기능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카메라에 의해 캡처링된 장면은 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오히려 폐기되며,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된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환경의 이미지들을 이미지 정보의 형태로 캡처링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기계 제어기는 본원에서 데이터 메모리에 이미지 정보를 라이팅하거나 각각 기록하도록,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다시 판독하고 그 정보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잉하도록 본원에서 설계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스크린 상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일반적으로 성형될 플라스틱 질량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출 유닛, 사출 유닛의 전방 단부에 배열되는 사출 노즐(사출 노즐은 사출 성형 공구에 커플링될 수 있음), 사출 성형 공구, 및 폐쇄 유닛(폐쇄 유닛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기계 프레임 상에 보통 배열되고, 고정 플래튼 및 가동 플래튼을 가짐)을 포함한다. 사출 성형 공구는 적어도 2개의 금형 절반부들을 포함하며, 2개의 금형 절반부들 중 하나의 금형 절반부는 고정 플래튼 상에 고착되며, 그리고 2개의 금형 절반부들 중 다른 금형 절반부는 가동 플래튼 상에 고착되어, 폐쇄 유닛의 개구에 의해, 즉 고정 플래튼 및 가동 플래튼의 이동 분리부(moving apart)에 의해, 사출 성형 공구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이 비워진다(freed). 사출 유닛은, 탈기(de-gas)가 적용가능하다면, 예컨대 플라스틱 과립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사전-제품(pre-product)을 용융하고, 혼합하고 그리고 균질화하도록 각각 설계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압출기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압출기는 또한,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과립을 피딩하기 위한 충전 호퍼를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는 복수의 기계 부품들을 가진다. 소정의 기계 부품들은 모터 또는 구동부, 특히 유압 또는 전기 모터 또는, 각각, 유압 또는 전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수동 구동 작동에서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유닛은 기계 제어기에서 동작하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기계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예시적 기계 부품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동 구동 작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에서 동작하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기계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사출 유닛은,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의해, 예를 들어, 사출 유닛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조정함으로써, 또는 사출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조정함으로써, 자동으로 또는 수동 구동 작동에서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고, 다른 예시적 기계 부품을 나타낸다.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이 스크린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비상 정지 스위치와 같은 작은 수의 안전 관련 전기기계식 입력 수단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오직 단일 스크린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출력 수단 및 또한 입력 수단을 양자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스크린은 전방 측 상에 배열된다.
기록된 이미지들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기계 제어기에 의해, 그리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스크린 상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잉하도록 배열되는 기계 제어기에 의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기계 상태들 및/또는 이벤트들은 기계 조작자에게 특히 명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개별 이미지, 즉 정적 기록들만이 기계 조작자의 수동 요구 시에 디스플레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 이미지들뿐만 아니라 이미지 시퀀스들, 필름 시퀀스들, 비디오 필름들 및/또는 사운드, 또는 또한 음성 문자 및 음악이 또한 각각 방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시 말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이벤트 및/또는 기계 상태에 따라 기계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촉발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구역으로부터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기록하도록 그리고 이 이미지들을 이미지 정보로서 데이터 메모리에 쌓아두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이미지 정보 또는 추가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기계 제어기는 본원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이미지 메모리 또는 추가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을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하고, 디스플레잉하거나 쌓아놓도록 배열될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기계 프로그램의 수 개의 프로그램 명령들의 시퀀스의 프로그램 명령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에 대해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는 기계 제어기와 통신하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신호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 또는 센서 신호에 대해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상태 파라미터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의 오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기계 제어기는, 기계 제어기에 이송되는 제어 신호가 오기능 유형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포함할 때, 개별적 이미지들의 형태로, 이미지 시퀀스들 또는 필름 시퀀스들 각각의 형태로,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비디오 필름의 형태로 각각의 오기능 유형과 연관된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 수동 입력을 위해 그리고 표시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에서 저장되는 이미지 정보는 본원에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의 각각의 아이템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 존재하는 그래픽 및/또는 문자-지향(text-oriented) 프로그래밍 환경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가능한 어플리케이션(programmable application)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자유롭게 프로그래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본원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유롭게 프로그래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필름- 또는 비디오 시퀀스들 각각의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문서화 목적들을 위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 이벤트들을 기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또한 센서 신호들을 캡처링하고 기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계 조작자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의 자유롭게 프로그래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는 기계 프로그래밍의 특정 이벤트들 및/또는 상태들에 반응할 수 있고, 자동 기록을 시작하거나 각각 또한 이 자동 기록을 다시 정지시킬 수 있다. 기록된 이미지 정보 또는 기록된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필름- 또는 비디오 시퀀스들 각각으로,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이벤트들이 문서화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특정 오작동 또는 고장 동안의 기록은, 예를 들어, 시간에서의 이후의 지점에서 볼 수 있어, 예를 들어, 오작동 또는 고장을 각각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필름- 또는 비디오 시퀀스들 각각의 형태로 기록된 특정된 방식의 명령들은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 쌓일 수 있고, 스크린 상에 그리고, 다시 말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오작동 또는 고장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령은 자동으로 디스플레잉되거나 기계 조작자에게 플레잉될(played) 수 있으며, 여기서, 오작동 또는 고장을 각각 수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계 조작자가 수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조작과 같은 단계들이 취해진다. 이에 의해, 기계 조작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에서 특정 이벤트들 또는 상태들 각각에 그리고 다시 말해, 영구적으로 저장되거나 각각 프로그래밍된 명령들에 따라 반응할 수 있으며, 이는 그 후, 기계 조작자가 각각의 경우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도시한다. 또한, 기계 제어기는 기계 조작자의 액션(action)을 인지하도록 그리고 기계 조작자가 실제로 인지할 때 기계 프로그램의 추가 자동 동작을 단지 허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계 안전 디바이스가 응답하는 경우에, 기계 조작자는 재료 잔여물들이 성형 포스트들에 유지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립하기 위해 시험 디바이스에 의해 모든 성형 포스트들, 즉 공동들을 수동으로 확인하는데 요구되며, 이는 기록될 수 있고, 그리고 그 후, 기록이 저장되어 있거나 기계 조작자가 요청에 의한 실행을 각각 인지할 때,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새로워진 시동(starting-up)만이 발생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기계 제어기는 이미지들을 기록하도록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에서 이미지 정보로서 이미지들을 쌓아두도록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의 수동의 가동의 경우에 배열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는 개별 이미지들의 형태로, 이미지 시퀀스들의 형태로 또는 비디오 필름의 형태로 이미지들을 기록하도록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 상에 이 이미지들을 쌓아두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한 적용의 예시적 경우는, 예를 들어, 안전 컴포넌트들의 제조일 수 있으며, 여기서 플라스틱으로 주변을 사출하기 전에, 안전 관련 삽입 부품이 사출 금형 내로 삽입되며, 이 삽입 부품은, 사출 프로세스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사출되며, 따라서 더 이상 식별불가능하다. 탈형(demolding) 후, 안전 관련 삽입 부품은 더 이상 식별될 수 없다. 특히 사출 성형된 부품에 속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안전 관련 삽입 부품을 사출 금형 내로 삽입하는 프로세스가 기록되고, 그리고 적용가능하다면, 또한 문서화됨으로써, 사출 프로세스는 언제든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지 하나의 사진의 캡처링은 이미 충분할 수 있거나, 이미지 시퀀스 또는 비디오 필름을 캡처링될 수 있다. 각각의 안전 관련 삽입 부품은 또한, 기록에 의해 또한 등록되고 데이터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예컨대, 숫자 코드와 같은 개별 식별 마크(distinguishing mark)를 가질 수 있다.
자유롭게 프로그램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부가의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피스 카운터의 날짜, 시간 또는 현재 값과 같은 다른 정보가 기록에서 등록되고 데이터 메모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컴포넌트들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부품들의 조립에서의 프로세스들은, 설치 중에, 특히, 비디오 시퀀스로 또한 기록될 수 있다. 그러한 기록들은 그 후 또한, 증거의 목적들을 위해, 예를 들어, 순서와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기계 작동자의 수동 활동들은 또한, 데이터 메모리 상에 캡처링될 수 있고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첨부된 도식적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도면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체적인 특징들은 또한, 적용가능하다면,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조합들로 간주되어, 특징들이 언급되는 구체적인 내용과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의 예시적 제1 실시예 변경의 도식적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예시적 실시예 변경의 도식적 예시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3은 예시적 기계 제어기의 도식적 예시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예시적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는 기계 프레임(2)을 가지며, 이 기계 프레임 상에 사출 유닛(3) 및 폐쇄 유닛(4)이 배열된다.
사출 유닛(3)은 성형될 플라스틱 질량체를 프로세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사출 유닛(3)은 압출기(5)를 가진다. 압출기(5)는, 탈기(degas)가 적용가능하다면,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과립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사전 제품을 용융하고, 혼합하고 그리고 균질화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또는 예컨대, 플라스틱 과립의 피딩(feeding) 각각을 위해, 압출기(5)는 충전 호퍼(charging hopper)(6)를 가진다.
사출 유닛(3)의 전방 단부 또는 압출기(5)의 전방 단부 각각에서, 더 상세하게 예시되지 않고 사출 성형 공구(7)에 커플링되는 사출 노즐이 배열된다. 사출 성형 공구(7)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기계 프레임(2) 상에 보통 배열되고 고정 플래튼(8.1) 및 가동 플래튼(8.2)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폐쇄 유닛(8)에 배열된다. 사출 성형 공구(7)는 적어도 2개의 금형 절반부들(7.1 및 7.2)을 가지며, 하나의 금형 절반부(7.1)는 고정 플래튼(8.1) 상에 고착되며, 그리고 다른 금형 절반부(7.2)는 가동 플래튼(8.2) 상에 고착되어, 폐쇄 유닛(8)의 개구 상에서, 즉 고정 플래튼(8.1) 및 가동 플래튼(8.2)의 이동 분리부(moving apart) 상에서, 사출 성형 공구(7)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9)이 비워진다(freed).
이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는 복수의 기계 부품들을 가진다. 소정의 기계 부품들은 모터 또는 구동부, 특히 유압 또는 전기 모터 또는, 각각, 유압 또는 전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수동 구동 작동에서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유닛(4)은 기계 제어기(10)에서 동작하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기계 제어기(10)에 의해 제어되는 예시적 기계 부품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에 의해 수동 구동 작동에서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사출 유닛(3)은, 기계 제어기(10)에서 동작하는 기계 프로그램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기계 제어기(10)에 의해 제어되는 예시적 기계 부품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압출기(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조정함으로써, 또는 사출 유닛(3)의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더 상세하게 예시되지 않음)를 제어하거나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에 의해 수동 구동 작동에서 수동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기계 제어기(1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5)에 의해 캡처링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구역으로부터 이미지들의 이미지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하도록 그리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17)에 이미지 정보를 쌓아두도록 배열된다.
특히, 도 2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기계 제어기(10)와 통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는 하우징(14), 복수의 입력 수단들(13.1 내지 13.4) 및 출력 수단(12)을 가지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12)은 스크린(12.1)으로서 설계된다. 기계 제어기(10)는 여기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에서 수동 입력을 위해 그리고 표시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16)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해, 즉 출력 수단(12)에서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의 스크린(12.1) 상에서 각각 출력하는 것을 위해 설계되며, 여기서 데이터 메모리(17)(도 3)에서 저장되는 이미지 정보는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16, 16a, 16b, 16c)의 각각의 표시된 아이템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계 제어기(10)는 이미지 정보 또는 추가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 메모리(17)를 가지며, 여기서 기계 제어기(10)는, 이미지 정보 또는 추가의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을 데이터 메모리(17)에 기록하고, 표시하거나 쌓아두기 위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에 따라 배열된다.
기계 제어기(10)는 수개의 데이터 세트들의 형태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17),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로 데이터 세트 각각을 수동으로 할당하기 위해 설계되는 프로세스 생성기(18)를 가지며, 그리고 프로세스 생성기(18)는 할당된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17) 내로 각각의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라이팅하도록 또는 스크린(12.1)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추가적으로 설계된다.
프로세스 생성기(18)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데이터 세트를 각각 수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프로세스 모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 프로세스 모드에서, 할당된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 세트는 데이터 메모리(17) 내로 자동으로 라이팅되거나, 스크린(12.1)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자동으로 판독된다.
1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2 기계 프레임
3 사출 유닛
4 폐쇄 유닛
5 압출기
6 충전 호퍼
7 사출 성형 공구
7.1 하나의 금형 절반부
7.2 다른 금형 절반부
8 폐쇄 유닛
8.1 고정 플래튼
8.2 가동 플래튼
9 공동
10 기계 제어기
11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12 출력 수단
12.1 스크린
13.1 내지 13.4 입력 수단들
14 하우징
15 카메라
16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
17 데이터 메모리
18 프로세스 생성기
P1, P2, P3 상태 파라미터

Claims (9)

  1.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plastic injection-moulding machine)로서,
    성형될 플라스틱(plastic) 질량체를 프로세싱하기(processing) 위한 사출 유닛(3),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공구(7)를 가지는 폐쇄 유닛(4)─상기 폐쇄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cavity)(9)을 가지며, 상기 공동 내로, 상기 사출 유닛(3)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상기 플라스틱 질량체는 성형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됨─, 기계 제어기(machine controller)(10)─상기 기계 제어기(10) 상에서 동작하는 기계 프로그램(machine program)에 따라 상기 사출 유닛(3) 및 상기 폐쇄 유닛(4)을 제어하도록 설계됨─, 및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ser interface device)(11)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기계 제어기(10)와 통신하고,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16)를 디스플레잉하기(displaying)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screen)(12.1)을 가지며,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들의 형태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data memory)(17)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각각의 상태 파라미터(state parameter)(P1, P2, P3)를 데이터 세트로 수동으로 할당하도록 설계되는 프로세스 생성기(18)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스 생성기(18)는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17) 내로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라이팅하도록(write) 또는 상기 연관된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상기 스크린(12.1)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세트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프로세스 생성기(18)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대한 데이터 세트의 수동 할당을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프로세스(process) 모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 모드에서, 상기 할당된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세트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17) 내로 자동으로 라이팅되거나, 상기 스크린(12.1)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자동으로 판독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구역으로부터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15)에 의해 캡처링되는(captured), 이미지들의 이미지 정보(16)를 자동으로 기록하도록(record),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상기 데이터 메모리(17)에 이미지 정보를 쌓아두도록, 배열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17)는 상기 이미지 정보(16) 또는 추가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정보의 저장을 위해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상기 이미지 정보(16) 또는 추가의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을 상기 데이터 메모리(17)에 기록하고, 디스플레잉하거나 쌓아두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에 따라 배열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는 상기 기계 프로그램의 수 개의 프로그램 명령들의 시퀀스의 프로그램 명령인,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분사 성형 기계(1)의 상태 파라미터(P1, P2, P3)는 상기 기계 제어기(10)와 통신하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신호인,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의 상기 상태 파라미터(P1, P2, P3)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에서 오기능(malfunction)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인,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상기 기계 제어기(10)에 이송되는 제어 신호가 상기 오기능 유형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물품을 포함할 때, 개별적 이미지들의 형태로, 이미지 시퀀스들의 형태로,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의 스크린(12.1) 상의 비디오 필름의 형태로, 각각의 오기능 유형에 할당된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잉하도록 설계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제어기(10)는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1)에서 수동 입력을 위해 그리고 표시된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16)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해 설계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17)에서 저장되는 이미지 정보는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16)의 각각의 아이템으로 할당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1)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13.1 내지 13.3)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기계 제어기(1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13.1 내지 13.3)의 수동의 가동에 의해, 상기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17)에서 이미지 정보로서 상기 이미지들을 쌓아두기(deposit) 위해 배열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KR1020187013969A 2015-10-30 2016-08-05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KR10242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8570.9A DE102015118570A1 (de) 2015-10-30 2015-10-30 Kunststoff-Spritzgießmaschine mit einem Datenspeicher zum Speichern von Text- und/oder Bildinformationen
DE102015118570.9 2015-10-30
PCT/EP2016/068800 WO2017071850A1 (de) 2015-10-30 2016-08-05 Kunststoff-spritzgiessmaschine mit einem datenspeicher zum speichern von text- und/oder bildinformatio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347A true KR20180079347A (ko) 2018-07-10
KR102424832B1 KR102424832B1 (ko) 2022-07-22

Family

ID=5680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969A KR102424832B1 (ko) 2015-10-30 2016-08-05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11878A1 (ko)
EP (1) EP3368268B1 (ko)
KR (1) KR102424832B1 (ko)
CN (1) CN108136640B (ko)
DE (1) DE102015118570A1 (ko)
WO (1) WO2017071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8814B2 (ja) * 2018-03-29 2022-01-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JP6773738B2 (ja) * 2018-09-19 2020-10-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状態判定装置及び状態判定方法
JP7099977B2 (ja) * 2019-03-27 2022-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射出成形解析方法および射出成形解析システム
JP6947771B2 (ja) * 2019-03-28 2021-10-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システム
JP6982022B2 (ja) * 2019-03-28 2021-12-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システム
JP7314074B2 (ja) * 2020-01-31 2023-07-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JP2022080045A (ja) * 2020-11-17 2022-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成形機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13942204B (zh) * 2021-08-23 2024-01-16 海天塑机集团有限公司 一种注塑机动作自由编程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038B1 (en) * 2000-09-11 2003-08-19 Milacron Inc. Multi-media enhanced program controlled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9188A1 (de) * 2001-06-19 2003-02-06 Dm Technologies Gmbh & Co Multimediale Maschinensteuerung
JP2004168031A (ja) * 2002-10-29 2004-06-17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の表示装置
DE502006007371D1 (de) * 2005-02-28 2010-08-19 Netstal Ag Maschf Giesserei Verfahren zur steuerung und bedienung einer produktionszelle sowie eine steuervorrichtung
US7218990B2 (en) * 2005-04-14 2007-05-15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DE202005013954U1 (de) 2005-09-06 2005-12-15 Krauss-Maffei Kunststofftechnik Gmbh Spritzgießanlage mit visueller Arbeitsraumüberwachung
AT513666B1 (de) * 2012-11-26 2018-12-15 Engel Austria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Spritzgießmaschine
DE202015103287U1 (de) * 2015-06-23 2015-08-14 Netstal-Maschinen Ag Steuervorrichtung mit integrierbarer SP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038B1 (en) * 2000-09-11 2003-08-19 Milacron Inc. Multi-media enhanced program controlled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1878A1 (en) 2018-11-01
CN108136640A (zh) 2018-06-08
DE102015118570A1 (de) 2017-05-04
EP3368268B1 (de) 2020-05-27
KR102424832B1 (ko) 2022-07-22
EP3368268A1 (de) 2018-09-05
CN108136640B (zh) 2020-08-25
WO2017071850A1 (de)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832B1 (ko) 문자 정보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US20130103184A1 (en) Molding Machine
US7346425B2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1121299A (zh) 注射成型机的型芯动作设定装置
TW200911506A (en) Mold monitoring device
CN102555175A (zh) 金属模监视装置
JP2009012318A (ja) 射出成形機の工程時間表示装置
JP2006305814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CN101096122A (zh) 射出成型机的顶出器控制装置
US9701054B2 (en) Injection molding system
JP4005922B2 (ja) 記憶媒体が搭載された検出器を備えた射出成形機
TWI791686B (zh) 射出成形機
KR20180079348A (ko)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계
JP5680369B2 (ja) 射出成形機
JP6722836B1 (ja) 異常監視装置、異常監視方法、及び、異常監視プログラム
JP7445029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
US20210069899A1 (en) Method for validating programmed execution sequences or teaching programs for a robot in a working cell, and robot and/or robot controller for said method
JP4642733B2 (ja) 成形条件設定装置及び成形条件設定方法
JP2006297746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2006305815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JP2020185779A (ja) バルブゲート制御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JPH0691716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動作状態グラフィック表示方法
JP2023170138A (ja) 射出成形機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射出成形機
JP7132082B2 (ja)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システム
JP5820701B2 (ja) 成形機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