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23A -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23A
KR20180078523A KR1020160183330A KR20160183330A KR20180078523A KR 20180078523 A KR20180078523 A KR 20180078523A KR 1020160183330 A KR1020160183330 A KR 1020160183330A KR 20160183330 A KR20160183330 A KR 20160183330A KR 20180078523 A KR20180078523 A KR 2018007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ad portion
protective cover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263B1 (ko
Inventor
주진환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 H05K3/305Affixing by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내부 부품의 손상 없이 형성하고, 보호 커버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한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 패드부, 패드부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 및 패드부와 제 1 보호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패드부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배치하여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형성할 때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호 커버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RINTED CIRCIUT BOARD MODUL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예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전자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모바일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또는 표시 화면을 갖는 가전 기기 등의 화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집적 회로(Integrated Chip, IC)들을 내장하고 있다.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을 내장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갖는다. 보호 커버는 메탈 캔(Metal Can)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내장된 집적 회로들과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된 패널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패드부가 필요하다.
기존의 인쇄 회로 기판 모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면에 패드부가 마련된다. 기존의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 마스크의 오픈 영역을 통하여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도포한다. 금속 마스크의 오픈 영역은 패드부와 동일한 위치이다. 접착 부재는 납땜(solder) 페이스트일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의 패드부와 동일하게 금속 마스크의 오픈 영역을 마련하여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을 제조하는 경우, 납량 저하로 인한 냉땜 현상과 낙하 불량 현상이 발생한다. 인쇄 회로 기판 모듈에서 냉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노이즈(Noise)에 취약하게 된다. 또한, 내부 부품과 회로 보호기능 상실로 인하여 추가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내부 부품의 손상 없이 형성하고, 보호 커버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한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 패드부, 패드부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 및 패드부와 제 1 보호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은 인쇄 회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패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패드부 상에 제 1 접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접착 부재 상에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접착 부재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아래에 배치된 하우징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하우징 측벽을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패드부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배치하여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형성할 때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호 커버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보호 커버의 납땜 품질 확보를 통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노이즈 차폐(shielding)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를 감소시켜 초소형 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라운드 배선의 감소로 인하여 회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 및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 및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커버 윈도우(300), 하우징(500), 완충 부재(700), 및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30), 및 가이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분자의 구동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하부 기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마다 마련된 서브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111)의 하측 에지부에는 각 신호 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패널 패드부가 마련된다. 패널 패드부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과 연결된다. 하부 기판(111)의 좌측, 우측, 또는 양 측 에지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형성된다.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해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에 공급한다.
상부 기판(113)은 하부 기판(111)에 마련된 각 화소 영역에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상부 기판(113)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1)과 대향 합착되어 하부 기판(111)의 패널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 기판(111)의 전체를 덮는다.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 중 적어도 하나는 액정의 프리틸트 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액정층은 하부 기판(111) 및 상부 기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각 서브 화소(SP)마다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횡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들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기판(111)의 후면(後面)에는 제 1 편광축을 갖는 하부 편광 부재(115)가 부착되어 있고, 상부 기판(113)의 전면(前面)에는 제 1 편광축과 교차하는 제 2 편광축을 갖는 상부 편광 부재(117)가 부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공통 전극은 공통 전압을 공급받음으로써 화소 전극과 함께 액정 구동 전극으로 사용된다.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은 공통 라인을 통해서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에 연결된다.
하나의 공통 전극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통 전극은 게이트 라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가로 방향으로 40개의 화소 및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세로 방향으로 12개 화소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공통 전극은 480개의 화소와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전극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와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아래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도광판(131), 광원부, 반사 시트(133) 및 광학 시트부(135)를 포함한다.
도광판(131)은 적어도 일측면에 마련된 입광부를 포함한다. 도광판(131)은 입광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면 방향,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광원부는 도광판(131)의 입광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도광판(131)의 입광부에 광을 조사한다. 광원부는 도광판(131)의 입광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133)는 하우징(500) 내부에 배치되어 도광판(131)의 후면을 덮는다. 반사 시트(133)는 도광판(131)의 하면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31)의 내부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광학 시트부(135)는 도광판(131)의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3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부(135)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이중 휘도 강화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광학 시트부(135) 사이에 배치된 시야각 제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야각 제어 필름은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과 중첩되도록 마련된다. 시야각 제어 필름은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의 광 방출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시야각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한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사각 띠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에지부에 부착된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백라이트 유닛(130)의 각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30)의 유동을 최소화한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시트 지지부(151) 및 패널 지지부(153)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151)는 백라이트 유닛(130), 즉 광학 시트부(135)의 에지부와 중첩되도록 사각 띠 형태로 형성되어 광학 시트부(135)의 에지부를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151)의 하면은 부착 부재(150a)에 의해 반사 시트(133)의 확장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트 지지부(151)는 내부 측면으로부터 도광판(131)과 중첩되도록 돌출된 도광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광판 지지부는 도광판(131)의 하면 에지부를 지지한다.
패널 지지부(153)는 시트 지지부(151)의 상면 에지부로부터 사각 띠 형태로 돌출되어 패널 부착 부재(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에지부에 부착된다. 패널 부착 부재(160)는 양면 테이프,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양면 부착성 폼 패드(foam p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되어 백라이트 유닛(130)을 지지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3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매달리도록 한다.
커버 윈도우(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되어 하우징(500)에 지지된다. 커버 윈도우(300)는 하우징(500)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따라 하우징(500) 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된다.
커버 윈도우(300)는 투명 점착 부재(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편광 부재(117)의 전면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한다. 투명 점착 부재(20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윈도우(3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 윈도우(30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enapnthalate) 및 PNB(polynorborne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우징(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면서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하우징(500)은 커버 윈도우(30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후면과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하우징(500)은 하우징 플레이트(510) 및 하우징 측벽(530)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전도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은 알루미늄(Al) 재질, 인바(invar) 재질 또는 마그네슘(Mg)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전원 공급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갖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거나 또는 교류 전압을 공급받거나 전기적으로 접지(Ground)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우징(500)이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플레이트(510)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으로서 백라이트 유닛(130)의 후면을 덮는다.
하우징 플레이트(51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수납 공간(500s)이 마련될 수 있다. 시스템 수납 공간(500s)에는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800), 통신 모듈, 전원 회로, 메모리, 및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시스템 수납 공간(500s)은 후면 커버(600)에 의해 은폐된다. 후면 커버(600)는 배터리(800)의 교체를 위해, 하우징(500)의 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내장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후면 커버(600)는 사용자에 의한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하우징(500)의 후면과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측벽(530)은 하우징 플레이트(510)의 각 측면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하우징 측벽(530)은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함으로써 커버 윈도우(300)에 매달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하우징 측벽(530)의 상부는 커버 윈도우(300)의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하우징 측벽(5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체 높이(또는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커버 윈도우(300)에 매달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하우징 플레이트(510)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윈도우(300)의 후면에 매달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플레이트(510)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AG)을 포함한다.
에어 갭(AG)은 하우징 측벽(530)의 높이에 의해 하우징 플레이트(510)로부터 이격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하우징 플레이트(51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힘 또는 압력을 가하는 경우, 에어 갭(AG)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커버 윈도우(30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 측벽(530)은 상부 내측면에 마련된 홈부(550)를 포함한다. 홈부(550)에는 탄성 부재(570)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570)는 홈부(550)에 부착되어 커버 윈도우(300)의 후면 에지부와 홈부(50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의해 커버 윈도우(300)가 상하 방향(Z)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부재(57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패드, 양면 부착성 폼 패드,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하우징 측벽(530)의 홈부(550)에 배치된 탄성 부재(57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측벽(530) 사이의 공간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전체를 덮음으로써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측벽(5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완충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우징 플레이트(510)에 배치된다. 완충 부재(700)는 하우징 플레이트(51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에어 갭(AG)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대향된다. 완충 부재(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변형 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플레이트(510) 간의 물리적인 접촉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손상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700)는 하우징 플레이트(51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700)는 소프트 재질, 예를 들어 PU(polyuretha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300),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아래에 배치된 하우징 플레이트(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하우징 측벽(530)을 갖는 하우징(500), 및 하우징(500)의 아래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동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은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910), 패드부(920), 제 1 접착 부재(931), 제 2 접착 부재(932), 제 1 보호 커버(941), 및 제 2 보호 커버(942)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중앙에 배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전도성 라인 또는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내장된 집적 회로 또는 칩 등의 전자 부품을 연결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전자 부품을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전도층을 갖는다. 각각의 전도층 사이에는 유전체층(substrate)이 마련된다. 유전체층은 전도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각각의 전도층은 비아(via) 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비아 홀은 천공 홀중 하나의 종류이다. 비아 홀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아 홀은 전기 도금되거나 작은 리벳을 삽입하여 형성한다. 비아 홀은 다른 전도층과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비아 홀은 인쇄 회로 기판(910) 전체를 통과하는 스루-홀(through-hole) 비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고밀도의 인쇄 회로 기판(910)의 경우, 비아 홀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한쪽 면에서만 시인할 수 있는 블라인드(blind) 비아 또는 적층 기판 내부에 파묻혀 양쪽면 모두 볼 수 없는 배리드(buried) 비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제 1 면, 제 2 면, 및 측면을 갖는다. 제 1 면과 제 2 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넓은 면이다. 제 1 면이 상부 면 또는 전면(前面)이고, 제 2 면이 하부 면 또는 후면(後面)일 수도 있다. 또는, 제 1 면이 하부 면 또는 후면(後面)이고, 제 2 면이 상부 면 또는 전면(前面)일 수도 있다.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좁은 면이다.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전도층과 유전체층의 적층 구조가 시인될 수 있는 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은 평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서는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외부 측면에는 별도의 층을 균일하게 마련하거나 덮을 수 있다.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다. 제 1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고, 하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다. 패드부(92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Cu, Ag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도금(pl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모서리,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 및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부 면의 테두리 일부와, 측면 전부, 및 하부 면의 테두리 일부를 덮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920)는 상부 면과 하부 면을 연결하면서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920)는 상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과 하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에서 생성한 신호를 모두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패드부(92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도금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메탈 캔(Metal Can)일 수 있다. 메탈 캔은 인쇄 회로 기판(910)과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평면부와, 일 측 모서리에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을 감싸기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메탈 캔은 측면에서는 'ㄱ'자 혹은 'ㄴ'자 형태를 갖는다. 메탈 캔은 강도가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보호한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보호 커버(941)는 메탈 캔(Metal Can)일 수 있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보호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패드부(920)와 제 1 보호 커버(941) 사이에 마련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패드부(920)의 측면과 제 1 보호 커버(941)의 내부 측면 사이에 마련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제 1 보호 커버(941)의 내부 측면을 패드부(920)의 측면에 부착시킨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땜납(solder) 페이스트일 수 있다. 땜납 페이스트는 납땜을 이용하여 패드부(920)와 제 1 보호 커버(941)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패드부(920)와 제 2 보호 커버(942) 사이에 마련된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패드부(920)의 측면과 제 2 보호 커버(942)의 내부 측면 사이에 마련된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제 2 보호 커버(942)의 내부 측면을 패드부(920)의 측면에 부착시킨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땜납(solder) 페이스트일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가 땜납(solder) 페이스트인 경우, 형성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충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 납량 저하로 인한 냉땜 현상과 낙하 불량 현상이 발생한다. 인쇄 회로 기판 모듈에서 냉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노이즈(Noise)에 취약하게 된다. 또한, 내부 부품과 회로 보호기능 상실로 인하여 추가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 부재(931)를 내부 부품의 손상 없이 형성하고, 제 1 보호 커버(941) 및 제 2 보호 커버(942)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는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 부재(931)와 연결된 제 1 보호 커버(941)와 제 2 접착 부재(932)와 연결된 제 2 보호 커버(942)는 독립적인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 1 보호 커버(941)와 제 2 보호 커버(94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덮도록 마련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910)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은 인쇄 회로 기판(910)을 마련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패드부(920)를 형성하는 단계, 패드부(920) 상에 제 1 접착 부재(931)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접착 부재(931) 상에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941)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접착 부재(931)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910)을 마련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패드부(920)를 형성하는 단계, 패드부(920) 상에 제 1 접착 부재(931)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은 평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서는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외부 측면에는 별도의 층을 균일하게 마련하거나 덮을 수 있다.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모서리,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 및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부 면의 테두리 일부와, 측면 전부, 및 하부 면의 테두리 일부를 덮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920)는 상부 면과 하부 면을 연결하면서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920)는 상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과 하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에서 생성한 신호를 모두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패드부(92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도금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 1 접착 부재(931) 상에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941)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도 6에서는 제 1 접착 부재(931)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용융과 경화 과정을 거치면서 패드부(920)와 제 1 보호 커버(941)를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은 패드부(920) 상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접착 부재(932) 상에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94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접착 부재(932)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910)을 상하로 180° 반전시킨 후, 패드부(920) 상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도 8에서는 제 2 접착 부재(932) 상에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942)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이후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킨 다음, 인쇄 회로 기판(910)을 다시 상하로 180° 반전시키는 경우 도 3과 같은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을 완성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910), 제 1 패드부(921), 제 2 패드부(922), 제 1 접착 부재(931), 제 2 접착 부재(932), 제 1 보호 커버(941), 및 제 2 보호 커버(942)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중앙에 배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전도성 라인 또는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내장된 집적 회로 또는 칩 등의 전자 부품을 연결한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전자 부품을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전도층을 갖는다. 각각의 전도층 사이에는 유전체층(substrate)이 마련된다. 유전체층은 전도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각각의 전도층은 비아(via) 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비아 홀은 천공 홀중 하나의 종류이다. 비아 홀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아 홀은 전기 도금되거나 작은 리벳을 삽입하여 형성한다. 비아 홀은 다른 전도층과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비아 홀은 인쇄 회로 기판(910) 전체를 통과하는 스루-홀(through-hole) 비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고밀도의 인쇄 회로 기판(910)의 경우, 비아 홀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한쪽 면에서만 시인할 수 있는 블라인드(blind) 비아 또는 적층 기판 내부에 파묻혀 양쪽면 모두 볼 수 없는 배리드(buried) 비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제 1 면, 제 2 면, 및 측면을 갖는다. 제 1 면과 제 2 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넓은 면이다. 제 1 면이 상부 면 또는 전면(前面)이고, 제 2 면이 하부 면 또는 후면(後面)일 수도 있다. 또는, 제 1 면이 하부 면 또는 후면(後面)이고, 제 2 면이 상부 면 또는 전면(前面)일 수도 있다.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좁은 면이다.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전도층과 유전체층의 적층 구조가 시인될 수 있는 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은 중앙부에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중앙 부분에 있는 층들의 넓이가 상부 또는 하부에 있는 층들의 넓이보다 넓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계단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외부 측면에는 별도의 층을 마련할 때 중앙부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다.
제 1 패드부(92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다. 제 1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고, 하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다. 제 1 패드부(921)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Cu, Ag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도금(pl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2 패드부(92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마련된다. 제 1 모서리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인 경우, 제 2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하측 모서리이고, 제 1 모서리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하측 모서리인 경우, 제 2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이다. 제 2 패드부(922)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Cu, Ag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도금(pl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드부(921)와 제 2 패드부(92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양 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드부(921)와 제 2 패드부(922)는 상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과 하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제 1 패드부(921)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메탈 캔(Metal Can)일 수 있다. 메탈 캔은 인쇄 회로 기판(910)과 대응하는 넓이를 갖는 평면부와, 일 측 모서리에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을 감싸기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메탈 캔은 측면에서는 'ㄱ'자 혹은 'ㄴ'자 형태를 갖는다. 메탈 캔은 강도가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보호 커버(94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보호한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제 2 패드부(922)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보호 커버(941)는 메탈 캔(Metal Can)일 수 있다. 제 2 보호 커버(94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보호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제 1 패드부(921)와 제 1 보호 커버(941) 사이에 마련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제 1 패드부(921)의 외부 표면과 제 1 보호 커버(941)의 내부 측면 사이에 마련된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제 1 보호 커버(941)의 내부 측면을 제 1 패드부(921)의 외부 표면에 부착시킨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땜납(solder) 페이스트일 수 있다. 땜납 페이스트는 납땜을 이용하여 패드부(920)와 제 1 보호 커버(941)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제 2 패드부(922)와 제 2 보호 커버(942) 사이에 마련된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제 2 패드부(922)의 외부 표면과 제 2 보호 커버(942)의 내부 측면 사이에 마련된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제 2 보호 커버(942)의 내부 측면을 제 2 패드부(922)의 외부 표면에 부착시킨다. 제 2 접착 부재(932)는 땜납(solder) 페이스트일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가 땜납(solder) 페이스트인 경우, 형성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충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 납량 저하로 인한 냉땜 현상과 낙하 불량 현상이 발생한다. 인쇄 회로 기판 모듈에서 냉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노이즈(Noise)에 취약하게 된다. 또한, 내부 부품과 회로 보호기능 상실로 인하여 추가 신뢰성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 부재(931)를 내부 부품의 손상 없이 형성하고, 제 1 보호 커버(941) 및 제 2 보호 커버(942)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접착 부재(931)와 제 2 접착 부재(932)는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 1 접착 부재(931)와 연결된 제 1 보호 커버(941)와 제 2 접착 부재(932)와 연결된 제 2 보호 커버(942)는 독립적인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 1 보호 커버(941)와 제 2 보호 커버(942)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덮도록 마련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910)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은 인쇄 회로 기판(910)을 마련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모서리 상에 제 1 패드부(921)를 형성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모서리 상에 제 2 패드부(922)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패드부(920) 상에 제 1 접착 부재(931)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접착 부재(931) 상에 패드부(920)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941)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접착 부재(931)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910)을 마련하는 단계,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모서리 상에 제 1 패드부(921)를 형성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모서리 상에 제 2 패드부(922)를 형성하는 단계, 제 1 패드부(921) 상에 제 1 접착 부재(931)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은 중앙부에 돌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중앙 부분에 있는 층들의 넓이가 상부 또는 하부에 있는 층들의 넓이보다 넓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계단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외부 측면에는 별도의 층을 마련할 때 중앙부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다.
제 1 패드부(921)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다. 제 1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고, 하측 모서리가 될 수도 있다. 제 1 패드부(921)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Cu, Ag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도금(pl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2 패드부(92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과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마련된다. 제 1 모서리가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인 경우, 제 2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하측 모서리이고, 제 1 모서리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하측 모서리인 경우, 제 2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상측 모서리이다. 제 2 패드부(922)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Cu, Ag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도금(pl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드부(921)와 제 2 패드부(922)는 인쇄 회로 기판(910)의 양 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패드부(921)와 제 2 패드부(922)는 상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과 하부 면에 연결된 전도층에서 생성한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 1 접착 부재(931) 상에 제 1 패드부(921)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941)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도 12에서는 제 1 접착 부재(931)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제 1 접착 부재(931)는 용융과 경화 과정을 거치면서 제 1 패드부(921)와 제 1 보호 커버(941)를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제조 방법은 제 2 패드부(922) 상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형성하는 단계, 제 2 접착 부재(932) 상에 제 2 패드부(922)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94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접착 부재(932)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910)을 상하로 180° 반전시킨 후, 제 2 패드부(920) 상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도 14에서는 제 2 접착 부재(932) 상에 제 2 패드부(922)에 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942)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이후에 제 2 접착 부재(932)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킨 다음, 인쇄 회로 기판(910)을 다시 상하로 180° 반전시키는 경우 도 9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을 완성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제 1 내지 제 N 배선층(L1~LN), 그라운드 배선(GND), 및 비아 홀(VH)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N 배선층(L1~LN)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내부에 적층된다. 제 1 내지 제 N 배선층(L1~LN)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910) 내부에서 생성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N 배선층(L1~LN) 각각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N 베선층(L1~LN)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라운드 배선(GND)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라운드 배선(GND)은 인쇄 회로 기판(910)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라운드 배선(GND)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그라운드 배선(GND)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표면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임의의 장소에 정전기를 방출시킬 수 있는 출력 단자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패드부(920)는 인쇄 회로 기판(910)에 마련된 그라운드 배선(G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910)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표면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임의의 장소에 정전기를 방출시킬 수 있는 출력 단자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그라운드 배선(GND)은 적어도 1개의 배선층(L1~LN)을 사이에 두고, 인쇄 회로 기판(910)의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그라운드 배선(GND)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표면이 아닌 내부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900)은 인쇄 회로 기판(910)의 각층 외곽부에 생성되는 그라운드 영역을 삭제할 수 있어 인쇄 회로 기판(9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910)의 그라운드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 인쇄 회로 기판(910)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단가가 인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패드부를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배치하여 패드부 상에 접착 부재를 형성할 때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호 커버를 냉땜 현상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보호 커버의 납땜 품질 확보를 통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노이즈 차폐(shielding)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를 감소시켜 초소형 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라운드 배선의 감소로 인하여 회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11: 하부 기판 113: 상부 기판
115: 하부 편광 부재 117: 상부 편광 부재
130: 백라이트 유닛 131: 도광판
133: 반사 시트 135: 광학 시트부
150: 가이드 프레임 150a: 부착 부재
151: 시트 지지부 153: 패널 지지부
160: 패널 부착 부재 200: 투명 점착 부재
300: 커버 윈도우 500: 하우징
500s: 시스템 수납 공간 510: 하우징 플레이트
530: 하우징 측벽 550: 홈부
570: 탄성 부재 600: 후면 커버
700: 완충 부재 800: 배터리
900: 인쇄 회로 기판 모듈 AG: 에어 갭
910: 인쇄 회로 기판 920: 패드부
921: 제 1 패드부 922: 제 2 패드부
931: 제 1 접착 부재 932: 제 2 접착 부재
941: 제 1 보호 커버 942: 제 2 보호 커버
GND: 그라운드 배선 L1~LN: 제 1 내지 제 N 배선층
VH: 비아 홀

Claims (13)

  1.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제 1 보호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 1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모서리,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패드부와 상기 제 2 보호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 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은 중앙부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마련된 제 1 패드부;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마련된 제 2 패드부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 및
    상기 제 2 패드부와 상기 제 2 보호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 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마련된 그라운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배선은 적어도 1개의 배선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으로부터 이격된, 인쇄 회로 기판 모듈.
  8. 인쇄 회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패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부 상에 제 1 접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 부재 상에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을 덮는 제 1 보호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접착 부재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모서리,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와 상에 제 2 접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접착 부재 상에 상기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접착 부재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은 중앙부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1 모서리 상에 형성되는 제 1 패드부;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과 대향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이 만나는 제 2 모서리 상에 형성되는 제 2 패드부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드부 상에 제 2 접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접착 부재 상에 상기 제 2 패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을 덮는 제 2 보호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접착 부재를 용융시킨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의 제조 방법.
  13.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아래에 배치된 하우징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하우징 측벽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인쇄 회로 기판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83330A 2016-12-30 2016-12-30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3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30A KR102563263B1 (ko) 2016-12-30 2016-12-30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30A KR102563263B1 (ko) 2016-12-30 2016-12-30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23A true KR20180078523A (ko) 2018-07-10
KR102563263B1 KR102563263B1 (ko) 2023-08-03

Family

ID=6291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30A KR102563263B1 (ko) 2016-12-30 2016-12-30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91A (ko) * 2018-11-26 2020-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334A (ja) * 2002-10-04 2004-04-22 Hitachi Metals Ltd 高周波電子部品
JP2013168520A (ja) * 2012-02-15 2013-08-29 Fujitsu Component Ltd 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334A (ja) * 2002-10-04 2004-04-22 Hitachi Metals Ltd 高周波電子部品
JP2013168520A (ja) * 2012-02-15 2013-08-29 Fujitsu Component Ltd 電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91A (ko) * 2018-11-26 2020-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263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81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129281B2 (en) Flexible circuit film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1326071B (zh) 柔性显示模块以及包括该柔性显示模块的电子装置
CN202887620U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KR10254372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37499B1 (ko)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자 기기
EP2541371A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20140001576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4711B1 (ko) 전자 기기
US10394351B2 (en) Display device
CN111064829B (zh) 一种显示装置及终端设备
WO2019165889A1 (zh) Lcd显示器件及电子设备
KR20200129646A (ko) 방열 시트 및 벤딩 고정 부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633441B1 (ko) 표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US11856741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02887B1 (ko) 모바일 단말기
CN107643635B (zh) 显示装置及其接地装置
KR20180078523A (ko)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3716B1 (ko) 이동 단말기
CN108254967B (zh) 光源模块以及包括其的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KR20220096204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1562A (ko)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용 분할형 폼 테이프
KR1024231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0019B1 (ko) 전자 기기
KR102578184B1 (ko)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