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567A -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567A
KR20180077567A KR1020160182037A KR20160182037A KR20180077567A KR 20180077567 A KR20180077567 A KR 20180077567A KR 1020160182037 A KR1020160182037 A KR 1020160182037A KR 20160182037 A KR20160182037 A KR 20160182037A KR 20180077567 A KR20180077567 A KR 2018007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tower
connecting means
pump
turning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567A/ko
Publication of KR2018007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Abstract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지주쌍, 각각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체인(chain) 또는 로프(rope) 등의 연결수단, 그리고 연결수단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권양수단을 포함하여, 펌프타워를 안정적으로 터닝시킬 수 있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Pump Tower Turn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에 펌프타워를 적재한 후, 상기 펌프타워를 리프팅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을 풀어내리거나 감아올려 펌프타워를 터닝시킬 수 있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석유나 석탄에 비해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청정연료로서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상태로 액화가스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LNG 운반선 등의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이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액화가스 화물창에는 액화가스를 화물창의 내부로 공급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된 액화가스를 화물창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펌프타워가 설치된다. 펌프타워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일반적인 액화가스 운반선의 경우 약 30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다.
도 1은 액화가스 화물창에 구비되는 펌프타워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펌프타워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의 측면도이고, (b)는 펌프타워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펌프타워(10)는 운항중 선박의 운동에 의한 액화가스의 유동에 견딜 수 있도록, 대략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고 있다. 삼각기둥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을 이루도록 주 파이프(11, 12, 13)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주 파이프(11, 12, 13) 사이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주 파이프(11, 12, 13)들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재(14)들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펌프타워가 제작되는 공정에서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펌프타워를 터닝(turning)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두 대의 크레인으로 펌프타워를 리프팅(lifting)하여 터닝 작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구조물인 펌프타워를 터닝시키는 작업은 매우 위험하고, 완벽한 터닝을 위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펌프타워의 터닝 작업을 간단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프타워 제작시, 펌프타워를 터닝시키기 위한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는, 펌프타워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주쌍; 상기 지주쌍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지주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권양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쌍은 상기 펌프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는,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를 상기 연결수단에 구속할 수 있는 구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체인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권양수단은 상기 체인을 걸어서 감을 수 있는 트랙션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수단으로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 둘레를 감고, 상기 구속수단의 양단을 각각 상기 체인의 링크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주 파이프를 상기 체인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로프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권양수단은 상기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윈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프타워 제작시,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이용한 펌프타워 터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속수단으로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 둘레를 감고, 상기 구속수단의 양단을 각각 상기 로프에 기형성된 매듭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주 파이프를 상기 로프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타워 터닝 장치는, 펌프타워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주쌍; 및 상기 지주쌍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쌍은 상기 펌프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a) 각각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 상에 상기 펌프타워를 적재하는 단계; (b) 상기 펌프타워에 형성되는 3개의 주 파이프 중 하단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 파이프를 연결수단에 구속하는 단계; (c) 모든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감아올림으로써 적재된 상기 펌프타워를 상승시키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연결수단에 구속된 상기 주 파이프 측에 가까운 제1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리는 단계; (e) 상기 제1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림과 동시에, 상기 제1열과 반대 측에 위치한 제2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감아올리는 단계; (f) 터닝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펌프타워를, 모든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림으로써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타워 터닝 장치는, 펌프타워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주쌍; 및 상기 지주쌍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쌍은 상기 펌프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 상에 펌프타워를 적재하여, 상기 펌프타워의 하단에 위치하는 주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체인에 구속한 후, 상기 복수의 지주 상단에서 상기 연결수단을 풀어내리거나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펌프타워의 터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에 펌프타워를 적재한 후, 상기 펌프타워를 리프팅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을 풀어내리거나 감아올리는 것만으로 펌프타워를 터닝시킬 수 있다.
종래에 두 대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펌프타워를 터닝시키는 것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터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터닝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화가스 화물창에 구비되는 펌프타워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펌프타워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의 측면도이고, (b)는 펌프타워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이용하여 펌프타워를 터닝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a) 내지 (g)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방법의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정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20)는 복수의 지주쌍(21), 각각의 지주쌍(21) 사이를 연결하며 펌프타워(10)가 적재되는 연결수단(22), 그리고 지주쌍(21)을 이루는 각각의 지주(21a, 21b) 상단에 설치되어, 연결수단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권양수단(2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주(21a, 21b)가 펌프타워(10)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어 지주쌍(21)을 이루며, 상기 지주쌍(21)은 펌프타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적어도 두 쌍으로 마련된다. 즉, 펌프타워(10)를 리프팅(lifting) 하기 위해 최소 4개의 지주가 필요한 것이다. 펌프타워(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 지주쌍(21)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주쌍(21)을 이루는 각각의 지주(21a, 21b) 상단에는 연결수단(22)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 수 있는 권양수단(23)이 설치된다.
연결수단(22)의 양단은 각각의 지주(21a, 21b) 상단에 설치된 권양수단(23)에 감겨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쌍(21) 사이를 연결수단(22)이 늘어져 있는 상태로 서로 연결한다.
지주쌍(21) 사이에 늘어져 있는 복수의 연결수단(22) 상에 펌프타워(10)를 적재할 수 있고,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림으로써 적재된 펌프타워(10)를 위아래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수단(22)은 체인(chain)일 수 있으며, 이때 권양수단(23)은 체인이 걸린 상태로 감길 수 있는 트랙션 휠(traction 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22)은 체인 대신 로프(ro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권양수단(23)은 로프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윈치(winch)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연결수단(22) 및 권양수단(23)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수단(22)과 펌프타워(10)의 주 파이프는 구속수단(도 3의 부재번호 24 참조)에 의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펌프타워(10)에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3개의 주 파이프 중 하나의 파이프는, 상기 구속수단에 의해 연결수단(22)에 구속되어, 펌프타워(10)가 터닝되는 동안 연결수단(22)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속수단은 주 파이프를 연결수단(22)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수단은 보조체인일 수 있으며, 보조체인으로 주 파이프의 둘레를 감고 보조체인의 양단을 연결수단(22)의 일정 위치에 체결함으로써 주 파이프를 연결수단(22)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속수단과 연결수단(22)와의 체결은, 연결수단(22)이 체인인 경우에는 체인의 링크를, 연결수단(22)이 로프인 경우에는 로프에 미리 형성된 매듭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구속수단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 파이프를 연결수단(22)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이용하여 펌프타워를 터닝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a) 내지 (g)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터닝 방법의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펌프타워(10)가 적재된 펌프타워 터닝 장치(20)를 A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것으로, 최전방에 배치되는 지주쌍(21)을 제외한 나머지 지주쌍(21)은 최전방의 지주쌍(21)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다.
하기에서 서술하는 제1열(1)은 도 3에서 왼편에 위치하는 지주(21a, 도면에서 가려진 상태의 지주 포함)를 의미하며, 제2열(2)은 도 3에서 오른편에 위치하는 지주(21b, 도면에서 가려진 상태의 지주 포함)를 의미한다.
도 3의 (a) 내지 (g)를 참조하여, 펌프타워(10) 터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a)는 지주쌍(2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2) 상에 펌프타워(10)를 적재하는 단계이다. (제1단계)
다음으로, 도 3의 (b)는 펌프타워(10)에 형성되는 3개의 주 파이프(11, 12, 13) 중 왼쪽 하단에 위치하는 주 파이프(12)를 연결수단(22)에 구속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
주 파이프(12)의 연결수단(22)에의 구속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속수단(2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의 (c)는 제1열(1) 및 제2열(2)에 위치하는 모든 지주에서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감아올림으로써 적재된 펌프타워(10)를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제3단계)
다음으로, 도 3의 (d)는 제1열(1)에 위치하는 지주에서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풀어내리는 단계이다. (제4단계)
제4단계에 의하면, 연결수단(22)에 구속된 주 파이프(12)는 연결수단(22)이 풀어짐에 따라 우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펌프타워(10)는 전체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터닝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3의 (e)는 제1열(1)에 위치하는 지주에서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풀어내림과 동시에, 제2열(2)에 위치하는 지주에서는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감아올리는 단계이다. (제5단계)
제5단계에 의하면, 연결수단(22)의 일단은 제1열(1)에 위치하는 지주 측에서 풀어내려짐과 동시에 연결수단(22)의 타단은 제2열(2)에 위치하는 지주 측으로 감아올려짐으로써, 연결수단(22)에 구속된 주 파이프(12)는 제2열(2)과 가까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원래 상단에 위치하던 주 파이프(11) 및 우측 하단에 위치하던 주 파이프(13)는 연결수단(22)의 안내를 받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터닝된다.
즉, 상기 제4단계와 제5단계에 의해 펌프타워(10)의 터닝이 이루어지며, 도 3의 (f)에 120° 터닝된 상태의 펌프타워(10)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g)는 제1열(1) 및 제2열(2)에 위치하는 모든 지주에서 권양수단(23)으로 연결수단(22)을 풀어내림으로써 적재된 펌프타워(10)를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제6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a) 내지 (g)를 참조하면, 펌프타워(10)에 형성되는 3개의 주 파이프 중 왼쪽 하단에 위치하는 주 파이프(12)를 연결수단(22)에 구속하여 펌프타워(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터닝시킨다.
한편, 펌프타워(10)에 형성되는 3개의 파이프 중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는 파이프(13)를 연결수단(22)에 구속하여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에서 제1열(1)과 제2열(2)의 동작을 반대로 구성하면, 펌프타워(10)를 시계 방향으로 터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에 펌프타워를 적재한 후, 상기 펌프타워를 리프팅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을 풀어내리거나 감아올리는 것만으로 펌프타워를 터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두 대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펌프타워를 터닝시키는 것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터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터닝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펌프타워 11, 12, 13 : 주 파이프
20 : 펌프타워 터닝 장치 21 : 지주쌍
22 : 연결수단 23 : 권양수단
24 : 구속수단

Claims (8)

  1. 펌프타워 제작시, 펌프타워를 터닝시키기 위한 펌프타워 터닝 장치에 있어서,
    펌프타워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주쌍;
    상기 지주쌍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지주쌍을 이루는 각각의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권양수단;
    을 포함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쌍은 상기 펌프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를 상기 연결수단에 구속할 수 있는 구속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체인이며,
    상기 권양수단은 상기 체인을 걸어서 감을 수 있는 트랙션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로프이며,
    상기 권양수단은 상기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윈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으로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 둘레를 감고,
    상기 구속수단의 양단을 각각 상기 체인의 링크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주 파이프를 상기 체인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으로 상기 펌프타워의 주 파이프 둘레를 감고,
    상기 구속수단의 양단을 각각 상기 로프에 기형성된 매듭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주 파이프를 상기 로프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장치.
  8. 펌프타워 제작시, 펌프타워 터닝 장치를 이용한 펌프타워 터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타워 터닝 장치는,
    펌프타워가 적재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주쌍; 및
    상기 지주쌍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쌍은 상기 펌프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며,
    (a) 각각의 지주쌍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수단 상에 상기 펌프타워를 적재하는 단계;
    (b) 상기 펌프타워에 형성되는 3개의 주 파이프 중 하단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주 파이프를 연결수단에 구속하는 단계;
    (c) 모든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감아올림으로써 적재된 상기 펌프타워를 상승시키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연결수단에 구속된 상기 주 파이프 측에 가까운 제1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리는 단계;
    (e) 상기 제1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림과 동시에, 상기 제1열과 반대 측에 위치한 제2열에 위치하는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감아올리는 단계;
    (f) 터닝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펌프타워를, 모든 지주 측의 연결수단을 풀어내림으로써 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타워 터닝 방법.
KR1020160182037A 2016-12-29 2016-12-29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KR20180077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7A KR20180077567A (ko) 2016-12-29 2016-12-29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7A KR20180077567A (ko) 2016-12-29 2016-12-29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67A true KR20180077567A (ko) 2018-07-09

Family

ID=6291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37A KR20180077567A (ko) 2016-12-29 2016-12-29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2284A (zh) * 2019-05-14 2019-08-06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海上风电单桩基础钢管桩翻桩和起吊施工的吊具及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2284A (zh) * 2019-05-14 2019-08-06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海上风电单桩基础钢管桩翻桩和起吊施工的吊具及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4375T3 (es) Mejoras relacionadas con la manipulación de componentes, en particular la manipulación de componentes de turbina eólica
US7112010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JP2018502776A (ja) 貨物倉点検用の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
CN102476262B (zh) 起重机支柱的制造方法及起重机支柱
KR20180077567A (ko) 펌프타워 터닝 장치 및 방법
KR20140030476A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KR20140098362A (ko) 윈치 가이드 장치
JP2018505808A (ja) 貨物倉点検用ガントリータワークレーンの設置方法
WO2020037987A1 (zh) 一种球罐内部定检用液压载人装置
KR102045025B1 (ko) 해양구조물용 대형 원통 구조물의 진원도 유지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0479690Y1 (ko) 선박 및 창고 내부 검사 및 수리용 크레인
CN203546619U (zh) 一种桥梁施工用水平式简易放索盘
WO2014208705A1 (ja) 円筒型タンクの構築方法
CN101466966B (zh) 用于安装能量导链系统的方法
JP5737571B2 (ja) 解体方法
KR102615496B1 (ko)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KR20220170140A (ko) 발판 구조물용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KR101739392B1 (ko) 해양구조물의 플레어팁 교체용 크레인의 설치방법
JP5770571B2 (ja) 貯蔵タンクの解体方法
KR102022061B1 (ko) 해양플랜트용 조립식크레인의 설치방법
KR20240038334A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족장 서포팅 유닛
KR101794103B1 (ko) 족장 구조물
KR101934403B1 (ko) 유체이송호스 권취장치
JP2023131474A (ja) 鉄塔解体組立装置、鉄塔解体方法、及び鉄塔組立方法
KR20140049180A (ko) 선박 건조용 쉘터 운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