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476A -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476A
KR20180077476A KR1020160181868A KR20160181868A KR20180077476A KR 20180077476 A KR20180077476 A KR 20180077476A KR 1020160181868 A KR1020160181868 A KR 1020160181868A KR 20160181868 A KR20160181868 A KR 20160181868A KR 20180077476 A KR20180077476 A KR 20180077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eyedropper
cosmetic
nozz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115B1 (ko
Inventor
정해원
이승환
백두현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8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15B1/ko
Priority to PCT/KR2017/015769 priority patent/WO2018124828A1/ko
Publication of KR2018007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상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트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제공되고, 화장료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단부에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관; 및 상기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COSMETIC HAVING DROPPER WITH SPONGE}
본 발명은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점성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겨져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용기를 뒤집어서 중력에 의해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하거나, 용기에 제공된 소정의 펌프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아이크림 등과 같이 특수한 용도를 갖거나 고가의 화장료들 중 일부는 1회에 정확한 양만큼만 사용되는 것이 권장되나, 상술한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로는 화장료를 정확한 양만 덜어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53126호와 같이 스포이트(dropper)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정해진 양만큼만 취해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스포이트를 이용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료의 점도에 따라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스포이트를 이용해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기는 도중에 스포이트의 단부에서 화장료가 방울져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화장품 제조사로서는 불필요하게 화장료의 점도를 높여서 제품을 만들거나, 저점도의 화장료 용으로는 스포이트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포이트를 이용해 취한 화장료를 신체에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떨어뜨린 후 손가락이나 별도의 화장 도구를 이용하여 도포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126호 (2011.04.01.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저점도의 화장료에도 사용할 수 있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편리하게 화장료를 신체에 도포할 수 있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상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트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제공되고, 화장료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단부에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관; 및 상기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는 상기 노즐을 덮도록 배치되고, 화장료는 상기 스펀지를 통해 상기 노즐로 흡입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스펀지를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고정하며, 내측에 상기 스펀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펀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화장료의 도포 시 상기 스펀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제공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과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지의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은 상기 노즐을 둘러싸며 덮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펀지 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펀지 팁에 형성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 팁과 상기 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펀지 팁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제공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 팁의 장착 시 상기 노즐은 상기 스펀지에 덮이고, 상기 스펀지 팁의 탈거 시 상기 노즐은 외부로 노출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스펀지를 갖는 복수개의 상기 스펀지 팁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관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에는 상기 노즐이 통과할 수 있는 노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노즐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노즐 삽입홀의 입구는 상기 노즐의 삽입을 위해 개방측이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펀지가 고정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의 점도는 100 cps 내지 10,000 cps이고, 상기 스펀지의 밀도는 30 내지 80 PPI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는 상기 관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한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하거나, 파이버를 함유한 발포 폼이거나,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스코리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따르면, 저점도의 화장료도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손가락이나 별도의 화장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포이트가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용기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포이트가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용기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1)은 점성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기(10)와, 용기(10)에 결합되어 화장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취할 수 있는 스포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방이 개구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용기(10)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상측에 화장료의 투입 및 스포이트(20)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입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12)의 외주면에는 스포이트(20)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포이트(20)는 용기(10)의 입구(12)에 결합되는 뚜껑(21)과, 뚜껑(21)에 제공되어 화장료의 흡입을 위한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압부(22)와, 가압부(22)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관(23)과, 관(23)의 단부에 제공되는 스펀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포이트(2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관(23)의 내측과 외측에 압력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관(23)의 입구 측을 통해 화장료가 내부로 빨아올려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방식 및 관의 내측과 외측에 압력 차이를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스포이트와 마찬가지로 가압부(22)가 관(23)과 연결되어 있는 고무 등 연질의 소재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뚜껑(21)의 내측에는 입구(1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뚜껑(21)을 돌리는 방법으로 뚜껑(21)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하거나, 용기(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압부(22)와 관(23)은 뚜껑(21)의 상면을 경계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부(22)와 관(23) 모두 뚜껑(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와 스포이트(20)의 결합이 나사 결합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후크 결합, 억지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공지의 결합 방법이 용기(10)와 스포이트(20)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다.
가압부(22)는 상술한 것처럼 고무 등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압부(22)를 쥘 수 있도록 뚜껑(21)의 외측에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가압부(22)를 양측에서 누르면 가압부(22)는 압축되며 관(23)을 통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가압부(22)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면 가압부(22)는 팽창하며 관(23)을 통해 외부의 화장료를 빨아올릴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가압부(22)에 가하는 힘을 조절하여 자기가 원하는 양의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부(22)는 버튼 형태로 형성되고, 뚜껑(21)의 내측에는 버튼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이 제공될 수 있으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관(23)으로 화장료가 빨아올려지거나, 관(23)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이와 같은 가압부(22)가 관(23)을 통해 화장료를 흡입, 배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관(23)은 뚜껑(21)의 내측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며, 가압부(22)에 연결되어 가압부(22)의 작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장료를 빨아올리거나 배출할 수 있다. 관(23)의 단부에는 관(23)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크게 하여 화장료가 보다 용이하게 빨아올려질 수 있도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노즐(2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노즐(232)은 화장료의 흡입 및 배출 시 입구 및 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스펀지(25)는 관(23)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화장료가 관(23)의 내부로 흡입되거나 관(23) 외부로 배출될 때 화장료는 스펀지(25)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스펀지(25)는 노즐(232)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25)는 많은 구멍을 갖고 있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용기(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만으로도 일정량의 화장료를 함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펀지(25)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펀지(25)가 발포폼으로 제공되는 경우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펀지(25)로는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가 사용될 수 있다.
스펀지(25)는 상대적으로 관(23)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232)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화장료의 흡입이나 배출 모두 스펀지(25)를 통과해야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스펀지(25)는 액상의 화장료가 관(23)의 단부 및 스펀지(25)로부터 방울져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압부(22)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 차이로도 액상의 화장료가 스펀지(25)를 통과하여 관(23)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화장료의 점도에 따라 소정의 밀도(PPI)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화장료의 점도가 100cps 내지 5000cps인 경우, 스펀지(25)의 밀도는 50PPI 내지 80PPI일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점도가 5000cps 내지 10000cps인 경우, 스펀지(25)의 밀도는 30PPI 내지 60PPI일 수 있다.
관(23)의 단부에는 스펀지(25)가 관(2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236)가 형성된다. 고정부(236)는 관(2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적을 갖는 스펀지(2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관(2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36)의 내측에는 스펀지(2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스펀지(25)는 고정부(236)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즉, 스펀지(25)는 고정부(236)의 내측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과, 고정부(236)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노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36)의 단부에는 스펀지(25)가 임의로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25)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절곡된 걸림돌기(238)가 제공될 수 있고, 스펀지(25)의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238)가 삽입될 수 있는 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펀지(25)는 견고하게 관(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6)의 내측에는 스펀지(25)와 밀착되어 스펀지(25)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34)는 사용자가 스펀지(25)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때 스펀지(25)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관(23)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이때, 스펀지(25)는 고정부(236)에 의한 기구적인 결합에 의해서만 관(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스펀지(25)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접착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화장 도구가 자신의 피부에 사용되는 화장료에 담궈져 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력을 가해 스펀지(25)를 고정부(236)로부터 빼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더러워지거나 오염된 스펀지(25)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스펀지(25)는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깨끗한 화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는 더욱 충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다.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는 용기(10)에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포이트(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료를 취해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뚜껑(21)을 닫은 상태 또는 관(23) 및 스펀지(25)가 화장료에 담궈진 상태에서 스포이트(20)의 가압부(22)를 조작하여 용기(10)에 저장된 화장료를 일정량 관(23)의 내부로 빨아 올릴 수 있다. 이때 화장료는 관(23)의 단부에 장착된 스펀지(25)를 통과하여 관(23)의 내부로 빨아 올려질 수 있다.
스펀지(25)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화장료가 저점도라고 하더라도 화장료는 안정적으로 스펀지(25)에 함침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이트(20)로 화장료를 빨아올린 후 시간이 조금 경과되거나 스포이트(20)를 움직이더라도 화장료가 방울져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저점도의 화장료라고 하더라도 스포이트(20)를 이용하여 정확한 양만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포이트(20)로 화장료를 취한 후 바로 스포이트(20)를 이용해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즉, 종래처럼 화장료만 피부에 떨어뜨린 후 이를 별도의 화장 도구를 이용하여 바르는 것이 아니라, 스포이트(20)에 화장료를 취한 상태 그대로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장료를 스포이트(20)를 통해서 공급하는 과정과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화장료의 도포는 스펀지(25)에 의해 이뤄지게 되며, 사용자는 스펀지(25)를 피부에 두드리거나 문지르는 등의 동작을 통해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부(22)를 적정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스펀지(25)에 화장료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고, 스펀지(25)에 기본적으로 함침될 수 있는 화장료의 양에 더해 추가적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스포이트는 1회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량이 관의 용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스포이트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정밀한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스펀지(25)가 기본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에 더해 스포이트(20)에서 흡입한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1회에 대용량의 화장료 사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스펀지(25)가 용기(10) 내부에 위치하는 것만으로도 스펀지(25)에는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고, 스펀지(25)는 그 크기 및 밀도에 따라 함유할 수 있는 화장료의 양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압부(22)를 조작하여 화장료를 추가적으로 취하는 것 없이, 화장료에 담겨 있던 스펀지(25)를 꺼내어 일정량만큼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펀지(25)가 연질의 재료이므로 사용자 피부에 접촉 시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펀지(25)가 오염되는 경우 스펀지(25)를 관(23)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화장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사는 정량 사용이 요구되는 화장료에 대해 불필요하게 화장료의 점도를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화장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4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펀지 및 고정부가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공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은, 관(23)에 착탈 가능한 스펀지 팁(2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 팁(24)의 장착 시 노즐(232)은 스펀지에 덮이고, 스펀지 팁(24)의 탈거 시 노즐(23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펀지 팁(24)은 스펀지(25)가 끼워질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며 스펀지(25)를 관에 고정하는 고정부(242)와, 고정부(244)의 내측에 제공되어 화장료 도포 시 스펀지(25)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244)와, 고정부(244)의 단부 측에 제공되어 스펀지(25)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돌기(248)와, 고정부(242)에 형성되고 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팁 결합홈(231)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42)의 결합돌기(246)가 형성된 부분은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펀지 팁(24)을 관(23)의 단부에 끼워넣을 때 결합돌기(246)가 관(23)의 결합홈(231)에 끼워짐으로써 스펀지 팁(24)과 관(23)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함홈(231)이 관(23)에 형성되고 결합돌기(246)가 스펀지 팁(24)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결합홈(231)과 결합돌기(246)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결합홈(231)은 관(23) 및 스펀지 팁(24)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고, 결합돌기(246)는 관(23) 및 스펀지 팁(24)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펀지 팁(24)을 편리하게 관(23)으로부터 분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펀지(25)는 사용됨에 따라 점점 오염되며 깨끗한 화장을 원하는 사용자는 이를 교체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펀지 팁(24)을 간단하게 관(23)으로부터 분리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스펀지 팁(24)을 관(23)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사는 서로 다른 특성, 예를 들어 크기, 모양, 밀도 등을 갖는 스펀지(25)를 갖는 복수 개의 스펀지 팁(24)을 용기(10)와 함께 판매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스펀지 팁(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인의 취향, 피부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펀지 팁(24)을 선택하여 매번 다른 특성의 화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화장료를 용기로부터 취할 때에는 스펀지 팁(24)을 관(23)과 분리하여 노즐(232)이 노출된 상태로 스포이트(20)를 사용하고, 화장료를 도포하고자 할 때에는 스펀지 팁(24)을 관(23)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펀지(25)가 없는 상태에서 스포이트(20)에 화장료를 취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화장료의 흡입이 가능하다는 효과와 함께, 상기의 실시예에서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포이트가 분리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관(23)은 가압부(22)에 연결되는 제1 부분(23a)과 제1 부분(23b)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제공되고 스펀지(25)가 고정되는 제2 부분(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3a)과 제2 부분(23b)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1 부분(23a)과 제2 부분(23b)의 결합 방법은 나사 결합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스펀지(25)가 더러워지거나 오염되는 경우 제2 부분(23b)을 분리하여 세척을 하거나 새로운 제2 부분(23b)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화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에 대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6의 실시예는 도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펀지 및 고정부가 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4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은, 관(23)을 따라 관(23)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232)은 승강부(26)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승강부(26)는 관(23)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260)와, 바디(260)의 단부에 제공되어 스펀지(27)를 고정하는 고정부(266)와, 고정부(266)의 내측에 제공되어 스펀지(27)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264)와, 고정부(266)의 단부측에 제공되어 스펀지(27)의 홈(27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68)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60)는 관(23)을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23)의 외주면과 바디(260)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233, 2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바디(260)를 회전시키면, 바디(260)는 관(23)의 나사산(233)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26)의 이동을 위해 나사산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디(260)는 관(23)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될 수 있으며, 관(23)과 바디(260)에는 바디(26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나 걸림부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펀지(27)는 고정부(26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 노즐(232)이 삽입될 수 있는 노즐 삽입홀(2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 삽입홀(272)의 입구(274)는 노즐(232)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측이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26)가 상승되면 노즐(232)은 노즐 삽입홀(272)에 끼워지게 되고, 승강부(26)의 상승에 따라 노즐(232)은 스펀지(27)를 더욱 측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스펀지(27)는 탄성 변형되어 압축될 수 있다(도 6의 (b)). 승강부(26)를 하강시키면 스펀지(27)는 다시 탄성 변형되어 본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도 6의 (a)).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승강부(26)를 관(23)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노즐(232)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승강부(26)를 관(23)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스펀지(27)가 관(23)의 단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부(26)를 관(23)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스펀지(27)가 돌출된 상태 및 노즐(232)이 돌출된 상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승강부(27)을 더욱 회전시켜 관(23)으로부터 분리한 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액상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기; 및 용기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포함하고, 스포이트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 뚜껑에 제공되고, 화장료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압부; 가압부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단부에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관; 및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2는, 스펀지는 노즐을 덮도록 배치되고, 화장료는 스펀지를 통해 노즐로 흡입되는 항목 1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3은,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스펀지를 노즐에 인접하게 고정하며, 내측에 스펀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스펀지는 고정부의 내측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항목 1 및 항목 2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4는, 고정부의 내측에는 화장료의 도포 시 스펀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5는, 스펀지는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과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스펀지의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은 노즐을 둘러싸며 덮는 형태로 제공되며, 고정부에는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6은, 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펀지 팁을 더 포함하고, 고정부는 스펀지 팁에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7은, 스펀지 팁과 관 중 어느 하나에는 스펀지 팁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8은, 스펀지 팁의 장착 시 노즐은 스펀지에 덮이고, 스펀지 팁의 탈거 시 노즐은 외부로 노출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9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스펀지를 갖는 복수개의 스펀지 팁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0은, 관의 외주면을 따라 관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고정부는 승강부의 단부에 제공되며, 노즐은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1은, 스펀지에는 노즐이 통과할 수 있는 노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노즐은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노즐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노즐 삽입홀의 입구는 노즐의 삽입을 위해 개방측이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2는, 관은, 가압부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제1 부분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펀지가 고정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1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3은, 화장료의 점도는 100 내지 10,000 cps이고, 스펀지의 밀도는 30 내지 80 PPI인 항목 1 내지 항목 12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4는, 스펀지는 관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한 항목 1 내지 항목 13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항목 15는 스펀지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하거나, 파이버를 함유한 발포 폼이거나,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스코리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4의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유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10: 용기
12: 입구 20: 스포이트
21: 뚜껑 22: 가압부
23: 관 24: 스펀지 팁
25, 27: 스펀지 26: 승강부

Claims (15)

  1. 액상의 화장료를 저장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스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트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제공되고, 화장료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단부에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관; 및
    상기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상기 노즐을 덮도록 배치되고, 화장료는 상기 스펀지를 통해 상기 노즐로 흡입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스펀지를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고정하며, 내측에 상기 스펀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펀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화장료의 도포 시 상기 스펀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제공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과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지의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은 상기 노즐을 둘러싸며 덮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펀지 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펀지 팁에 형성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팁과 상기 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펀지 팁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제공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팁의 장착 시 상기 노즐은 상기 스펀지에 덮이고,
    상기 스펀지 팁의 탈거 시 상기 노즐은 외부로 노출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9. 제6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스펀지를 갖는 복수개의 상기 스펀지 팁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관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에는 상기 노즐이 통과할 수 있는 노즐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노즐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노즐 삽입홀의 입구는 상기 노즐의 삽입을 위해 개방측이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펀지가 고정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점도는 100 내지 10,000 cps이고,
    상기 스펀지의 밀도는 30 내지 80 PPI인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상기 관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 가능한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하거나, 파이버를 함유한 발포 폼이거나,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스코리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KR1020160181868A 2016-12-29 2016-12-29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KR101909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68A KR101909115B1 (ko) 2016-12-29 2016-12-29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PCT/KR2017/015769 WO2018124828A1 (ko) 2016-12-29 2017-12-29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68A KR101909115B1 (ko) 2016-12-29 2016-12-29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633A Division KR101911938B1 (ko) 2018-10-02 2018-10-02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76A true KR20180077476A (ko) 2018-07-09
KR101909115B1 KR101909115B1 (ko) 2018-10-17

Family

ID=6270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68A KR101909115B1 (ko) 2016-12-29 2016-12-29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9115B1 (ko)
WO (1) WO20181248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53Y1 (ko) * 2019-09-03 2020-04-2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292B2 (en) 2019-06-23 2022-01-11 Toly Managment Ltd. Cosmetic applicator with heat transfer component
US11957230B2 (en) 2019-06-23 2024-04-16 Toly Management Ltd. Cosmetic applicator with heat transfer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881Y1 (ko) * 2005-04-25 2005-07-07 주식회사 태평양 스포이트 타입 립글로스 용기
KR20100065532A (ko) * 2008-12-08 2010-06-17 정규천 스포이드
KR200475968Y1 (ko) * 2013-11-18 2015-01-21 (주)아모레퍼시픽 액상 화장품 용기의 용기패킹 구조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163B2 (ja) * 2003-10-17 2010-07-21 道正 秦名 フィルム状の美爪化粧料及び化粧方法並びにその化粧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881Y1 (ko) * 2005-04-25 2005-07-07 주식회사 태평양 스포이트 타입 립글로스 용기
KR20100065532A (ko) * 2008-12-08 2010-06-17 정규천 스포이드
KR200475968Y1 (ko) * 2013-11-18 2015-01-21 (주)아모레퍼시픽 액상 화장품 용기의 용기패킹 구조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53Y1 (ko) * 2019-09-03 2020-04-2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21045384A1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828A1 (ko) 2018-07-05
KR101909115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752B1 (en)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1909115B1 (ko)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US1005266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fluids and wiping surfaces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101911938B1 (ko)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US201400597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fluids and wiping surfaces
US20170326578A1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20170136048A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790244B1 (ko) 캡형 물티슈
KR101684241B1 (ko) 함침부재에 화장료저장홈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10043127A (ko) 화장품 용기
JP2010275003A (ja) 液体パック容器及び液体注出器
KR20100065532A (ko) 스포이드
EP1917900B1 (en) Shoe care device
KR1015839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779373B1 (ko) 립글로스 용기
JP2004154557A (ja) 2つの受け器を一体化できる結合部材を備えた包装兼塗布器具
KR101703705B1 (ko) 체크밸브를 갖는 이동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6983081B2 (ja) ポンプ容器
EP1576917A1 (en) Surface-polishing block
KR101859572B1 (ko)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