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959A -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959A
KR20180076959A KR1020160181673A KR20160181673A KR20180076959A KR 20180076959 A KR20180076959 A KR 20180076959A KR 1020160181673 A KR1020160181673 A KR 1020160181673A KR 20160181673 A KR20160181673 A KR 20160181673A KR 20180076959 A KR20180076959 A KR 2018007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uid
supply device
static pressure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142B1 (ko
Inventor
윤여송
Original Assignee
윤여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송 filed Critical 윤여송
Priority to KR102016018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1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가압블록(200)으로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정압용기(100);, 제1결합구(311), 제2결합구(312), 제3결합구(313)를 형성하며, 제1노브(320)로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를 선택적 개폐하는 제1밸브(300);, 상기 수용공간(S1) 및 상기 제1결합구(311)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a);을 포함하며, 유체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내부에 유체공급관(701)을 수용하며, 및 상기 유체공급관 개폐 제어용 메인밸브(702)를 수용하는 바디부(710);, 상기 메인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2결합구(312)와 상기 유체공급관(701)을 연통하는 제2연결관(3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Regulated pressure supply and Fluid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정압용기, 제1밸브, 제1연결관에 의해 압력공급장치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발명이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압력공급장치에 공급하는 기술이다.
특허문헌 001은 압력하에 있는 액체를 앰풀, 바이알 등과 같은 충전용기 내에 충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액체의 저장용기 및 공급관을 통해 저장용기와 연결된 분배기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관에는 멸균 필터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가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분배기에 별도의 압력연결부를 설치하여 분배기 내에 있는 액체가 제2 가스압력(P2)하에 놓이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매체 분리 요소로서 사용되는 금속제의 주름형 벨로우즈에 의해 내부 공간을 2개의 챔버로 분할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압력 매체 축압기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2개의 챔버 중 제1 챔버는 가스로 충전되고 상기 제2 챔버는 액상 압력 매체로 충전되며, 유압 포트에 저부 밸브가 마련되고, 이 저부 밸브의 폐쇄 부재는 상기 매체 분리 요소에 의해 작동 가능하고, 상기 저부 밸브는 제2 챔버가 압력 매체로 충전되게하며 제2 챔버가 완전히 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주름형 벨로우즈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전술한 챔버를 대응하는 매체로 확실히 충전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002는 a)상기 제2 챔버를 비우는 단계와, b) 상기 제2 챔버에 압력 매체를 충전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챔버 내에 가스를 충전하는 단계의 조합을 제안한다.
특허문헌 003은 축압식 소화기용 충전 압력 지시계에 관한 것으로, 압력에 따라 그 단면적이 변화되어 팽창되며, 태엽식으로 감긴 부르동관과, 상기 부르동관의 일단에 지침이 결합되고, 부르동관의 중심에는 고정캡이 결합되는 축압식 소화기용 충전 압력 지시계에 있어서, 상기 부르동관은 상부덮개와 하부의 하부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부드동관의 타단인 하부연결관이 하부 고정판 상에 설치된 고정캡의 내부구멍 및 하부 고정판의 연결구멍을 관통한 후,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아답타에 삽입된 후 용접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004는 압력계 지시값을 이용한 밀폐형 보일러의 물 보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위센서를 구비한 밀폐형 보일러에 설치된 압력계의 표시판에는 지침이 물탱크 내 상한 한계수위를 표시하는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표시판의 상한 한계수위 압력 지시 위치에 지침위치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저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밀폐형 보일러에 설치된 압력계의 표시판에는 지침이 정해진 특정압력 위치를 지시할 때 상기 지침의 위치를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하여 마이컴에 전달하는 지침위치 감지수단을 하나 또는 다수 개 설치하되, 상기 지침위치 감지수단으로는 포토 커플러 또는 가변저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물탱크 내 수위변화를 보일러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컴에서 압력계에 설치되어 있는 지침위치 감지수단들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입력받아 밀폐형 물탱크 내의 수위가 저수위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자동으로 물을 보충시켜 줄 수 있어 보일러의 밀폐형 물탱크 내 물 보충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압력계 부품의 조립 개소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 및 공수를 저감할 수 있고, 압력계의 부품 조립에 따른 연결부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부품의 단일화로 인해 압력계 적용 기기인 보일러에 있어서 압력센서 및 압력 스위치가 빠지는 공간에 타 부품을 배치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압력센서 또는 압력스위치 등을 통해 검출되는 압력 값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감지 오차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보일러에 설치되어 압력 감지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압력계 자체의 원가부담을 줄일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압력별 적용 분야도 용이하여 보일러 이외의 각종 기기에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KR 10-1999-0064097 A (1999년07월26일) KR 10-2003-0046501 A (2003년06월12일) KR 10-2010-0111654 A (2010년10월15일) KR 10-2014-0013372 A (2014년02월05일)
본 발명은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정압용기, 제1밸브, 제1연결관에 의해 압력공급장치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발명이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압력공급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가압블록(200)으로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정압용기(100);, 제1결합구(311), 제2결합구(312), 제3결합구(313)를 형성하며, 제1노브(320)로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를 선택적 개폐하는 제1밸브(300);, 상기 수용공간(S1) 및 상기 제1결합구(311)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앞에서 제시한 정압용기, 제1밸브, 제1연결관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및 상기 제1연결관은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연결관이 결합되는 챔버(410);, 상기 챔버 및 상기 제1결합구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내부에 유체공급관(701)을 수용하며, 및 상기 유체공급관 개폐 제어용 메인밸브(702)를 수용하는 바디부(710);,
상기 메인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20);, 앞에서 제시한 정압공급기의 의 제2결합구(312)와 상기 유체공급관(701)을 연통하는 제2연결관(3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중력을 이용하므로 외부동력원 없이 일정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부여하는 정압량을 웨이트블록 및 웨이트 수통을 이용하므로 손쉽게 압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정압용기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 및 압력제거구를 구비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캐리어에 의해 이동하므로 관리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복수의 정압용기를 사용하므로 가공이 용이하며 하나의 챔버를 사용하므로 안정적인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공급장치는 별도의 압력측정 없이 원하는 값으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압력공급장치는 기계장치만으로 압력을 제어하므로 고장의 우려가 적으며 전기적 충격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충전과 정압공급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캐리어에 수용된 정압공급기 및 챔버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공급장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릴리프밸브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로타리실린더 및 리니어실린더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도 7은 본 발명의 로터리실린더 작동압력 조절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리니어실린더 작동압력 조절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가압블록(200)으로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정압용기(100);, 제1결합구(311), 제2결합구(312), 제3결합구(313)를 형성하며, 제1노브(320)로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를 선택적 개폐하는 제1밸브(300)
상기 수용공간(S1) 및 상기 제1결합구(311)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a);을 포함한다.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용기에 있어서, 용기에 수용된 유체는 유체의 사용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저하 및 진공발생을 유발하며, 압력저하 및 진공은 유체방출의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용기는 유체사용에 관계없이 일정한 정압을 유지해야 된다.
본 발명은 유체사용에 영향 없이 용기내부 압력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발명이다. 유체가 수용되는 정압용기는 내부에 가압블록을 결합한다. 가압블록은 정압용기 내부에서 이동된다.
수용공간의 유체공급 및 수용공간의 유체배출은 제1연결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연결관은 외부로부터 유체를 수용공간에 공급하기도 하며, 수용공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도 한다.
제1연결관은 제1밸브와 결합된다. 밸브는 제1결합구, 제2결합구, 제3결합구를 형성한다. 제1결합구는 제1연결관과 결합되며, 제2결합구는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하며, 제3결합구는 압력공급장치에 수공공간의 유체를 공급한다.
제1밸브는 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노브의 제1작동은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를 연통하며, 노브의 제2작동은 제1결하구 및 제3결합구를 연통하며, 조브의 제3작동은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를 폐쇄한다.
정압용기의 유체충전은 제1결합구를 제1연결관과 연결하며, 유체공급장치(K)와 제2연결관을 결합하며, 제1밸브의 노브는 제1작동으로 형성한다. 이는 유체공급장치의 유체가 제2연결관, 제1밸브, 제1연결관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충전된다.
수용공간의 유체가 압력공급장치(P)로 공급되는 과정은 제1밸브의 노브를 제2작동으로 하며, 이는 수용공간과 압력공급장치(P)가 연통되며, 수용공간의 유체가 압력공급장치로 이동된다. 수용공간은 정압을 유지하므로 압력공급장치는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된다.
정압용기가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유체사용량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어야 한다. 이는 가압블록의 이동으로 가능하다. 즉, 유체사용량이 증가될수록 가압블록의 이동량이 증대되어 수용공간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정압용기 내경과 밀착되는 오링(211);을 포함한다.
가압블록은 정압용기 내부에서 이동된다. 수용공간의 유체가 정압용기 및 가압블록의 접촉면 사이로 유출될 수 있다.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블록의 접촉면은 오링을 결합한다. 오링은 복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로 결합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정압용기 내면과 밀착되는 탄성판(212);을 포함한다.
가압블록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는 탄성판을 결합한다. 상기 탄성판은 고무로 형성된다. 탄성판은 정압용기 내경과 탄성 변형된 상태로 밀착된다. 가압블록의 하향이동 및 상향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방향은 변화된다. 탄성판은 수용공간의 유체가 가압블록을 관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블록(221); 또는 웨이트수통(222);을 포함한다.
수용공간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려면, 가압블록이 정압용기 내경을 따라 이동된다. 일정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가압블록은 중량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가압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압블록 상측에 웨이트블록 또는 웨이트수통을 결합한다. 웨이트 블록은 복수의 블록조합으로 하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웨이트수통은 수통내부의 물량에 따라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가압블록과 웨이트블록을 고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가압블록은 중앙에 돌출봉을 형성하며, 웨이트블록은 내부에 돌출봉 결합용 구멍을 형성한다. 돌출봉 외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결합용 구멍은 내부에 암나사를 결합한다. 또는 별도의 너트로 돌출봉 숫나사와 결합한다.
웨이트 수통과 가압블록의 결합은 가압블록에 형성된 클립으로 고정한다. 웨이트 수통은 마개를 형성하며 마개는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한다. 웨이트수통은 투명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물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웨이트수통의 외면에 눈금을 형성하여 눈금으로 물량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개방부에 결합되며, 공기배출구(122)를 형성하는 이탈방지구(121);를 포함한다.
수용공간에 유체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수용량 이상의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가압블록이 정압용기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구가 정압용기의 개방구에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구와 가압블록 사이의 공간이 폐쇄된 경우, 충전과정에서 가압블록의 상승으로 폐쇄공간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구에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탈방지구와 가압블록 사이는 항상 대기압을 유지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 외면 및 상기 정압용기 개방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123);을 포함한다.
수용공간의 유체 충전과정에서, 충전되는 유체량이 과도한 경우, 가압블록은 정압용기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구가 가압블록의 이탈을 방지하여도 수용공간의 압력이 높으면 이탈방지구 또한 동시에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구와 정압용기는 결합수단으로 고정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결합, 홈과 돌기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결합을 형성한다. 즉, 이탈방지구의 외경에 숫나사를 형성하며, 정압용기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된다. 또는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끼움결합으로 체결된다.
앞에서 제시한 나사결합 및 홈과 돌기 결합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2개의 구성을 결합하는 균등한 범위에 해당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측면에 관통 형성된 압력제거구(111);를 포함한다.
수용공간에 유체를 충전하는 과정 중, 수용공간의 유체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유체를 외부에 유출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압력제거구가 정압용기 측면에 형성된다. 압력제거구는 정압용기 상부에 형성되며, 가압블록이 정압용기 부분을 지나치며, 수용공간이 압력제거구에 도달하는 경우, 수공공간의 유체는 압력제거구로 방출된다. 따라서 수용공간의 충전량을 강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거구에 결합되는 경고혼(112);을 포함한다.
수용공간의 유체가 기체의 경우, 기체가 압력제거구로 유출시 압력제거구에 장착된 경고혼에 의해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소리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발생된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및 상기 제1연결관은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연결관이 결합되는 챔버(410);, 상기 챔버 및 상기 제1결합구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b);을 포함한다.
정압용기의 직경이 크면, 많은 량의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압용기의 직경이 증대되면, 가압블록의 외경이 증대되어야 하며, 가압블록에 결합되는 오링의 직경이 증대되어야 한다.
직경이 큰 원통의 내경가공은 정밀도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대직경 오링은 실링 효과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즉 생산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압공급기의 정압용기 내경은 소직경으로 형성한다. 소직경의 정압용기는 수용량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용량의 확대를 위해 복수의 정압용기를 사용한다. 복수의 정압용기는 동일한 압력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복수의 정압용기 동일압력형성을 위해 침버가 사용된다. 정압용기들은 각각의 제1연결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관들은 하나의 챔버와 연통된다. 따라서 챔버와 복수의 정압용기들은 동일한 내부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밸브의 제1연결구는 챔버와 결합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상기 제1밸브, 상기 챔버를 수용하는 캐리어(4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정압용기와 챔버는 상당한 공간을 형성하며 중량이다. 또한 압력공급장치가 고정된 경우, 정압용기를 이동해야 된다. 중량의 정압용기와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캐리어에는 복수의 정압용기, 챔버 및 제1밸브를 수용한다. 복수의 정압용기 및 챔버는 하나의 케이스에 형성되거나, 하나의 밴드로 일체화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대(430);를 포함한다.
캐리어 이동성 확보를 위해 캐리어 하부에는 캐스터를 장착한다. 캐스터의 선택적 이동 및 고정을 위해 브레이크를 장착한다.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캐스터의 이동 및 고정을 선택할 수 있다. 캐리어는 지면과 수평을 유지한다. 수평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동블록이 편심이동 되므로 유체유출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에 수평지지대를 장착한다.
수평지지대는 3개의 지지대와 높이조절나사를 형성한다. 3개의 지지대는 지면과 고정되며, 높이조절나사는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는 수평계(440);를 포함한다.
캐리어의 수평을 측정하기 위해 캐리어는 수평계를 장착한다. 캐리어 수평지지대에 장착된 높이조절나사를 조절하며 수평계의 수평정도를 판단한다. 수평계는 2축수평계가 사용되므로 지면을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내부에 유체공급관(701)을 수용하며, 및 상기 유체공급관 개폐 제어용 메인밸브(702)를 수용하는 바디부(710);, 상기 메인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20);, 앞에서 제시한 실시예들 정압공급기들의 제2결합구(312)와 상기 유체공급관(701)을 연통하는 제2연결관(332);을 포함한다.
압력이 충전되는 압력공급장치(P)에 일정압력을 충전하는 경우, 유체공급장치가 결합된 후 유체공급장치로부터 유체를 압력공급장치 내부에 진입시킨다. 본 발명은 바디부가 유체공급장치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바디부는 유체공급관을 형성한다. 유체공급관은 일측에 제2연결관이 결합되며 타측에 노즐이 형성된다. 유체공급관은 메인밸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공급관의 유체진입을 개폐한다. 제2연결관의 일측은 바디부와 결합되며, 타측은 제1밸브와 결합된다.
유체공급장치(P)는 바디부와 결합되며, 바디부는 제2연결관에 결합되며, 제2열결관은 제1밸브에 결합되며, 제1밸브는 제1연결관에 결합되며, 제1연결관은 정압용기와 결합된다.
모든 관로가 개방상태가 되면, 정압용기와 유체공급장치는 동일한 압력이 형성될 때까지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정압용기와 유체공급장치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면 유체이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압용기의 설정된 압력으로 압력공급장치와 압력평형에 의해 압력을 공급한다.
정압용기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블록의 무게로 압력을 부여한다. 즉 파스칼의 원리로 작용한다. 정압용기의 직경은 고정적으로 정해지며, 가압블록의 무게에 의해 무게/면적으로 압력이 계산된다. 즉 메인밸브의 개방시 설정된 압력으로 유체가 공급되며, 압력평형시 유체이동이 정지된다. 이는 가압블록의 정지로부터 유체유동의 정지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종래의 장치들은 압력계를 측정하여 공급되는 압력을 측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미 설정된 압력압력부터 압력을 공급하므로 기술적 상식이 존재하지 않는 자도 압력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양측이 압력공급장치(P) 및 제어부와 연통되며, 압력공급장치의 압력을 이용하여 메인밸브를 작동시키는 제어부(720)에 압력공급장치의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관(7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1의 경우, 정압용기의 유체량을 고려하지 않은 조건이다. 기체의 경우, 실시예 3-1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오일과 같은 유체의 경우, 오일의 자체무게가 고려되지 않은 오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오일과 같은 유체의 경우, 공급되는 압력을 측정해야 된다.
실시예 3-2는 바디부 노즐에 유체공급관과 별도의 압력측정관을 형성한다. 유체공급관은 유체를 압력공급장치에 공급하는 목적이며, 유체측정관은 압력공급장치의 압력을 측정하는 목적이다. 즉,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별도의 관로를 통해 측정한다. 압력측정관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어부에서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에 따라 메인밸브를 차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측정관(730)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741);, 상기 압력센서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밸브 모터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742);를 포함한다.
실시예 3-3의 발명은 압력측정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한다. 압력센서 신호는 콘트롤러에 전달되며, 콘트롤러는 압력센서 신호의 크기에 따라 메인밸브를 작동시켜 유체공급관을 차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구가 압력측정관(730)과 연결되는 릴리프밸브(751);, 릴리프밸브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로터리실린더(752);, 상기 로터리 실린더와 축결합되는 상기 메인밸브를 포함한다.
실시예 3-4의 발명은 압력측정관으로 진입되는 유체압력을 릴리프 밸브와 연동시킨다. 일정압력 이전에는 릴리프 밸브가 작동하지 않으나, 일정압력 이상에서는 릴리프 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릴리프 밸브 작동시 유체가 분출되며, 분출된 유체는 다시 로터리 실린더로 연결된다. 따라서 로타리 실린더가 회전되며, 로터리 실린더는 메인밸브와 결합되어 메인밸브를 차단한다. 이는 별도의 전자장치 없이 작동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릴리프 밸브의 개폐압력조절을 통해 압력설정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구가 압력측정관(730)과 연결되는 릴리프밸브(761);, 릴리프밸브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선형실린더(762);, 상기 선형실린더의 로드에 형성된 래크기어(763);, 상기 래크기어와 치결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764);, 상기 피니언과 축결합되는 메인밸브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발명의 제어부는 압력측정관의 압력을 릴리프 밸브에 전달한다. 릴리프 밸브는 설정된 압력까지 작동하지 않으나, 설정압력 도달 시 작동된다. 설정압력에 도달된 경우, 유체가 분출되며, 분출된 유체는 선형 실린더에 공급된다. 선형실린더는 로드에 래크기어를 형성하며, 래크기어는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핀니언은 메인밸브와 연결되며 메인밸브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압력공급장치의 내부압력을 이용하여 메인밸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구가 압력측정관(730)과 연결되는 릴리프밸브(771);, 릴리프밸브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선형실린더(772);, 상기 선형실린더의 피스톤에 부착된 링크(773);, 상기 링크와 결합되며, 메인밸브와 축 결합되는 회전판(774);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발명의 제어부는 압력측정관의 압력을 릴리프 밸브에 전달한다. 릴리프 밸브는 설정된 압력까지 작동하지 않으나, 설정압력 도달 시 작동된다. 설정압력에 도달된 경우, 유체가 분출되며, 분출된 유체는 선형 실린더에 공급된다. 선형실린더의 로드는 링크를 작동시키며, 링크의 회전운동으로 메인밸브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압력공급장치의 내부압력을 이용하여 메인밸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구가 압력측정관(730)과 연결되는 선형실린더(811);, 선형실린더의 내부압력으로 작동되는 로드(812);, 로드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813);, 로드의 직선운동을 메인밸브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814)을 포함한다.
실시예 3-7 발명의 제어부는 압력측정관의 압력으로 선형실린더를 작동시킨다. 선형실린더 내부의 압력은 피스톤에 힘으로 작용된다. 피스톤에 작용된 힘은 스프링에 압축하중으로 변환되며, 스프링의 형상 및 재질조건에 따라 하중에 따른 처짐값이 변화된다. 즉, 선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선형실린더의 로드 변위값이 변화된다. 로드의 변위는 변환수단을 통해 메인밸브를 회전시킨다. 상기 변환수단은 통상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구조물에 해당되며, 바람직하게는 랙과 피니언, 링크구동이 포함된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 장력조절장치(815)가 포함된다.
장력조절장치는 선형실린더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나사구동에 의해 축이동 된다. 축이동되는 장력조정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된다. 스프링의 타측은 피스톤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장력조절장치에 따라서 밸브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 3-9)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입구가 압력측정관(730)과 연결되는 회전실린더(821);, 회전실린더와 메인벨브를 결합하는 연결축(822);, 연결축에 삽입되며, 연결축에 비틀림 하중을 부여하는 비틀림스프링(823)을 포함한다.
실시예 3-9 발명의 제어부는 압력측정관의 압력으로 회전실린더를 작동시킨다. 회전실린더 내부에는 유체압력으로 작동되는 로터리 피스톤이 존재한다. 로터리 피스톤은 압력공급에 의회 회전하며, 상기 회전은 연결축을 통해 메인밸브에 전달된다. 따라서 압력공급으로 회전하는 회전실린더의 로터리피스톤이 메인밸브를 구동하게 된다. 로터리 피스톤의 구동력을 제어하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이 연결축에 결합된다.
(실시예 3-10) 본 발명의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는 실시예 3-9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삽입되며, 일측이 비틀림스프링 일측과 고정되는 비틀림 조절판(824);, 상기 비틀림 조절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825)을 포함한다.
비틀림 스프링의 고정측 각도조절은 비틀림스프링의 굽힘응력을 조절하므로 비틀림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로터리 피스톤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목적을 가지게 된다. 각도조절수단의 회전각도는 웜과 웜기어의 구동으로 작동되며, 구체적으로 비틀림 조절판을 웜기어로 형성하며, 상기 웜기어에 결합되는 웜을 형성하여, 웜의 회전으로 비틀림조절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조절판을 회전노브로 형성하며, 회전노브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일방향 라쳇이 비틀림 조절판에 형성되어 비틀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S1 : 수용공간 P : 압력공급장치
100 : 정압용기 111 : 압력제거구
112 : 경고혼 121 : 이탈방지구
122 : 공기배출구 123 : 결합수단
200 : 가압블록 211 : 오링
212 : 탄성판 221 : 웨이트블록
222 : 웨이트수통 300 : 제1밸브
311 : 제1결합구 312 : 제2결합구
313 : 제3결합구 320 : 제1노브
330 : 연결관 331a : 제1연결관
331b : 제1연결관 332 : 제2연결관
333 : 제3연결관 410 : 챔버
420 : 캐리어 430 : 수평지지대
440 : 수평계 710 : 바디부
701 : 유체공급관 702 : 메이밸브
720 : 제어부 730 : 압력측정관
741 : 압력센서 742 : 콘트롤러
743 : 모터 751 : 릴리프밸브
752 : 로터리실린더 761 : 릴리프밸브
762 : 선형실린더 763 : 래크기어
764 : 피니언 771 : 릴리프밸브
772 : 선형실린더 773 : 제1링크
774 : 제2링크 811 : 선형스프링
812 : 로드 813 : 스프링
814 : 변환수단 815 : 장력조절장치
821 : 회전실린더 822 : 연결축
823 : 비틀림스프링 824 : 비틀림조절판
825 : 각도조절수단

Claims (3)

  1. 정압공급기에 있어서,
    가압블록(200)으로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정압용기(100);,
    제1결합구(311), 제2결합구(312), 제3결합구(313)를 형성하며, 제1노브(320)로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를 선택적 개폐하는 제1밸브(300);,
    상기 수용공간(S1) 및 상기 제1결합구(311)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a);을 포함하는 정압공급기.
  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압용기 및 상기 제1연결관은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연결관이 결합되는 챔버(410);,
    상기 챔버 및 상기 제1결합구를 연통하는 제1연결관(331b);을 포함하는 정압공급기.
  3. 내부에 유체공급관(701)을 수용하며, 및 상기 유체공급관 개폐 제어용 메인밸브(702)를 수용하는 바디부(710);,
    상기 메인밸브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7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2결합구(312)와 상기 유체공급관(701)을 연통하는 제2연결관(332);을 포함하는 유체공급장치.
KR1020160181673A 2016-12-28 2016-12-28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KR10191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673A KR101919142B1 (ko) 2016-12-28 2016-12-28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673A KR101919142B1 (ko) 2016-12-28 2016-12-28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59A true KR20180076959A (ko) 2018-07-06
KR101919142B1 KR101919142B1 (ko) 2018-11-15

Family

ID=6292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673A KR101919142B1 (ko) 2016-12-28 2016-12-28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197A (ja) * 1990-07-06 1992-03-06 Bishiyounen Shuzo Kk 金箔入り酒の充填方法
JP2007505796A (ja) * 2003-09-22 2007-03-15 バッテル メモリアル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コンテナ充填アッセンブリ
JP2007176713A (ja) * 2005-12-27 2007-07-12 Seiko Instruments Inc 水素発生設備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6513777A (ja) * 2013-03-14 2016-05-16 テレフレック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力調節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197A (ja) * 1990-07-06 1992-03-06 Bishiyounen Shuzo Kk 金箔入り酒の充填方法
JP2007505796A (ja) * 2003-09-22 2007-03-15 バッテル メモリアル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コンテナ充填アッセンブリ
JP2007176713A (ja) * 2005-12-27 2007-07-12 Seiko Instruments Inc 水素発生設備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6513777A (ja) * 2013-03-14 2016-05-16 テレフレック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圧力調節装置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7-505796호(2007.03.15.) 1부.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6-513777호(2016.05.1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142B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902B1 (ko) 공압기기 및 수압기기의 압력 변환 방법과 장치
US6257000B1 (en)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featuring interiorly disposed and exteriorly adjustable regulator for high flow dispensing of gas
US3942551A (en) Hydraulic damping means for hinged check valve
JPS5953914A (ja) 圧力調整器
JPS5984800A (ja) 流れ調節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20039315A (ko) 고압가스 실린더 밸브
NO339332B1 (no) Metoder og apparat til lading av akkumulatorapparat
US8684238B2 (en) Aerosol refill cartridge
CN110667808B (zh) 一种浮力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101511654B (zh) 具有安全功能的液压制动装置
KR20150065876A (ko) 가스 스프링 어큐뮬레이터
CN113412347A (zh) 冲扫系统及其监测方法
KR101919142B1 (ko) 정압공급기 및 정압공급기를 이용한 유체공급장치
US8313475B2 (en) Liquid dispenser
AU2002340621A1 (en) Liquid dispenser
US20020152816A1 (en) Apparatus for filling gauge and sensor protectors with pressure transmitting fluid, diaphragm housing used therefor, and method using such apparatus
US7789201B2 (en) Gear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pressure in the gear unit
US4193307A (en) Apparatus for indicating subsea well head pressure
CN202485858U (zh) 隔离限压保护器
CN212180203U (zh) 一种用于阀门壳体的检漏装置
JP3190409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US4416146A (en) Plastic pipe tester with feedback controlled pressurizer
CN102175384B (zh) 隔离限压保护压力采集装置
CN115523343A (zh) 一种用于弹簧式安全阀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10858612U (zh) 一种压井液恒压变排量供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