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755A -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755A
KR20180076755A KR1020160181254A KR20160181254A KR20180076755A KR 20180076755 A KR20180076755 A KR 20180076755A KR 1020160181254 A KR1020160181254 A KR 1020160181254A KR 20160181254 A KR20160181254 A KR 20160181254A KR 20180076755 A KR20180076755 A KR 2018007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signal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235B1 (ko
Inventor
김덕기
이석우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2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3Attenuation of the light according to ambient luminiosity, e.g. for braking or direction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차량에 그대로 두고 내리지 않도록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려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 또는 SCM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게 되어,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휴대기기를 차량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eventing Mobile Device Lost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려는 경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차량에 그대로 두고 내리지 않도록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휴대기기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되므로, 사용자는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또 다른 생활 공간인 차량 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는 다양한 충전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차량에 제공되는 충전 장치는 핸즈프리장치 또는 USB 충전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유선 케이블 및 휴대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있다. 그 중, 무선 충전 장치는 운전 도중 배터리에 직접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어, 최근 고급 차량을 중심으로 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 공명을 이용한 방식과 자기 유도형 방식이 있으며, 이 중 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한 무선 충전 장치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자동차 규약 및 사고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의 시야에서 잘 보이지 않는 센터페시아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어, 운전자의 눈에 쉽게 띄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실수로 무선 충전 장치에 휴대 기기를 올려 놓은 채 그대로 하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휴대 기기를 찾으러 다시 자동차까지 갔다 와야 하므로,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차량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는데, 이때, 차량 내부에 휴대기기를 둘 경우, 휴대 기기의 폭발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67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려는 경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차량에 그대로 두고 내리지 않도록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오픈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놓인 휴대기기를 감지하여 기기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기감지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상기 무선충전부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PSM(Power Seat Module) 또는 SCM(Steering wheel Control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PSM은, 운전자가 승차할 때,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SCM은 운전자가 승차할 때,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점등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오픈신호와,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모두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램프구동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 주변의 조도값을 검출하여 차량 주변이 밝은 상태인지 어두운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오픈신호와,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주변의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기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어가 주차(P)에 위치되면 주차신호를 출력하는 기어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신호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신호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는 차량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하는 도어오픈확인과정;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휴대기기확인과정; 및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PSM(Power Seat Module) 또는 SCM(Steering wheel Control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PSM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SCM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램프제어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램프제어과정은: 상기 제어부는 차량 주변이 밝은 상태인지 어두운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차량 주변이 어두운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오픈확인과정 이전에,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장착된 기어가 주차(P)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는 주차확인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려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 또는 SCM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게 되어,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휴대기기를 차량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주변이 어두운 경우, 무선충전부 또는 무선충젼부 주변에 위치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어두운 차량 실내의 무선충전부에 올려진 휴대기기를 램프의 불빛을 통하여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100)은 도어개폐감지부(130), 기기감지부(140), 제어부(150) 및 제어유닛(160)을 포함하며, 기어위치감지부(110) 및 전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위치감지부(110)는 차량의 기어 상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기어와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기어를 D(Drive)에 놓았는지 또는 P(Parking)에 놓았는지 등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어위치감지부(110)는 기어가 P(Parking)에 위치하였는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전원부(120)는 차량의 이그니션(Ignition: IGN)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IGN OFF를 감지한다. 즉, 차량은 키를 넣으면 일반적으로 ACC, IGN 및 STT의 3 단계를 진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STT에서 시동이 걸린 후, 키를 놓으면 키가 IGN에 가 있게 된다. 이처럼 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에서 내리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시동을 끄게 되므로, 운전자는 키를 ING에서 ACC로 돌려놓게 되는데, 이 상태를 IGN OFF라 한다. 전원부(120)는 ING OFF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도어개폐감지부(130)는 운전석 도어의 오픈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할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차량과 차량 도어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 도어의 오픈 및 클로즈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개폐감지부(130)는 도어의 오픈시 도어오픈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기기감지부(140)는 차량의 무선충전부(미도시)에 놓인 휴대기기를 감지하여 기기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휴대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코일을 이용한 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하여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한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기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기감지부(140)는 예를 들면 상기 무선충전부에 놓인 휴대기기의 중력을 감지하는 중력센서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놓인 휴대기기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지지감지부(140)는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여 있음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공지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유닛(160)은 후술하는 제어부(15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PSM(Power Seat Module)(162) 또는 SCM(Steering wheel Control Module)(164)을 포함한다. PSM(162) 및 SCM(164)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통합 메모리 시스템(100)(Integrated Memory System: IMS)에 관한 것으로, IMS는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 등과 같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도, 위치 등을 변경하여야 하는 대상유닛 즉,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에 대해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위치 또는 각도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PSM(162)은 운전자가 승차하면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하차할 때는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SCM(164)은 운전자가 승차하면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운전자가 하차할 때는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만일, 운전자가 하차하는 과정에서, PSM(162)이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거나 또는 SCM(164)이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게 되면,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여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도어개폐감지부(130)로부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이므로,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어신호를 PSM(162) 또는 SCM(164)으로 출력하여, PSM(162) 또는 SCM(164)이 차량의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는 본인이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50)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 것이므로,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어신호를 PSM(162) 또는 SCM(164)으로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PSM(162) 또는 SCM(164)이 차량의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휴대기기를 차량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50)는 기어위치감지부(110)로부터 주차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기어를 주차(P)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한다(S100).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면, 제어부(150)는 전원부(120)로부터 ING OFF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시동을 껐는지를 확인한다(S110). 이어서, 제어부(150)는 도어개폐감지부(130)로부터 도어오픈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20). 그 후, 제어부(150)는 기기감지부(140)로부터 기기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30). 여기서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S13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시동이 꺼져 있고,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162) 또는 SCM(164)을 포함하는 제어유닛(16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되므로,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는 본인이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S13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시동이 꺼져 있고,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162) 또는 SCM(164)을 포함하는 제어유닛(16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운전자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휴대기기를 차량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100)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조도센서(170) 및 램프구동부(18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100)은 기어위치감지부(110), 전원부(120), 도어개폐감지부(130), 기기감지부(140), 조도센서(170), 램프구동부(180), 제어부(150) 및 제어유닛(160)을 포함한다. 기어위치감지부(110), 전원부(120), 도어개폐감지부(130), 기기감지부(140) 및 제어유닛(16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도센서(17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램프구동부(180)는 제어부(150)가 생성한 점등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무선충전부 주변에 위치한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에 구비되는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조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점등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예를 들면 낮과 밤의 경계에 해당하는 조도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도어오픈신호와,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조도센서(17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주변의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램프구동부(180)로 전달한다.
즉, 제어부(150)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 것이므로,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어신호를 PSM(162) 또는 SCM(164)으로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PSM(162) 또는 SCM(164)이 차량의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차량 주변이 어두운 경우, 제어부(150)는 램프구동부(180)로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충전부 또는 무선충전부 주변에 위치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올려진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50)는 기어위치감지부(110)로부터 주차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기어를 주차(P)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한다(S200).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면, 제어부(150)는 전원부(120)로부터 ING OFF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시동을 껐는지를 확인한다(S210). 이어서, 제어부(150)는 도어개폐감지부(130)로부터 도어오픈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였는지를 확인한다(S220). 그 후, 제어부(150)는 기기감지부(140)로부터 기기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30). 여기서 상기 S200 단계 및 상기 S210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S23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시동이 꺼져 있고,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162) 또는 SCM(164)을 포함하는 제어유닛(16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되므로,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는 본인이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S230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시동이 꺼져 있고,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방치된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조도센서(17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차량 주변이 밝은 상태인지 어두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32). 그 후, 차량 주변이 어두운 상태이면, 제어부(150)는 램프구동부(180)로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S234). 이어서, 제어부(150)는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PSM(162) 또는 SCM(164)을 포함하는 제어유닛(16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하차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차량 주변이 어두운 경우, 제어부(150)는 램프구동부(180)로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충전부 또는 무선충전부 주변에 위치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어두운 차량 실내의 무선충전부에 올려진 휴대기기를 램프의 불빛을 통하여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휴대 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110: 기어위치감지부 120: 전원부
130: 도어개폐감지부 140: 기기감지부
150: 제어부 160: 제어유닛
162: PSM 164: SCM
170: 조도센서 180: 램프구동부

Claims (10)

  1.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오픈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폐감지부;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놓인 휴대기기를 감지하여 기기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기감지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상기 무선충전부에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PSM(Power Seat Module) 또는 SCM(Steering wheel Control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PSM은, 운전자가 승차할 때,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SCM은 운전자가 승차할 때,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점등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오픈신호와,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모두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램프구동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의 조도값을 검출하여 차량 주변이 밝은 상태인지 어두운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오픈신호와,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주변의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기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어가 주차(P)에 위치되면 주차신호를 출력하는 기어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신호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지 않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신호와 상기 도어오픈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기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6. 제어부는 차량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하는 도어오픈확인과정;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휴대기기확인과정; 및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가지고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 또는 스티어링 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것을 확인하면,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제어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PSM(Power Seat Module) 또는 SCM(Steering wheel Control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PSM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시트를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SCM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하차 유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운전자가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를 방치한 상태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또는 콘솔박스 또는 상기 무선충전부에 위치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램프제어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과정은:
    상기 제어부는 차량 주변이 밝은 상태인지 어두운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차량 주변이 어두운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확인과정 이전에,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장착된 기어가 주차(P)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는 주차확인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제어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어가 주차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충전부에 휴대기기가 놓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방법.
KR1020160181254A 2016-12-28 2016-12-28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KR10189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54A KR101896235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54A KR101896235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55A true KR20180076755A (ko) 2018-07-06
KR101896235B1 KR101896235B1 (ko) 2018-09-07

Family

ID=6292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54A KR101896235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1157A (zh) * 2021-10-21 2022-01-11 深圳市怡华兴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移动设备充电保护装置
CN114523901A (zh) * 2022-02-10 2022-05-24 佛吉亚歌乐电子(丰城)有限公司 移动终端遗留在车内的提示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24U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도어록킹 방지장치
JPH10291446A (ja) * 1997-02-20 1998-11-04 Toyota Motor Corp 移動体用電話システム
KR20040023403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 자동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97864Y1 (ko) * 2005-06-13 2005-10-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조명장치
KR20140073672A (ko) 2012-12-06 2014-06-1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 경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24U (ko) * 1996-11-05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도어록킹 방지장치
JPH10291446A (ja) * 1997-02-20 1998-11-04 Toyota Motor Corp 移動体用電話システム
KR20040023403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 자동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97864Y1 (ko) * 2005-06-13 2005-10-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조명장치
KR20140073672A (ko) 2012-12-06 2014-06-1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1157A (zh) * 2021-10-21 2022-01-11 深圳市怡华兴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移动设备充电保护装置
CN114523901A (zh) * 2022-02-10 2022-05-24 佛吉亚歌乐电子(丰城)有限公司 移动终端遗留在车内的提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235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8827A1 (en) In-vehicle device controller
US9076324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in-vehicle device
US9836905B2 (en) System for causing garage door opener to open garage door and method
JP5994364B2 (ja) 携帯機器収容装置
US20150097652A1 (en) Entry system for vehicle
JP2013198322A (ja) 車載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6075762B2 (ja) 車載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EP37120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 in vehicle
JP2009177938A (ja) 車両の充電状態表示装置
KR101896235B1 (ko) 차량 내 휴대기기 방치 방지 시스템
KR101664294B1 (ko) 적응적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537163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7367788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78315A1 (en) Timer reminder device and in-vehicle device
CN106364421B (zh) 电话遗留在箱中的通知系统和方法
JP6546949B2 (ja) 車両
JP2009148041A (ja) プラグイン車両用充電システム
RU2633144C2 (ru) Автомобиль, имеющий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рядки накопителя энергии автомобиля
JP5753066B2 (ja) 車載充電装置
KR101922897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2029432A (ja) 電源装置
KR101674173B1 (ko) 차량 시동 기능을 가진 블랙박스 및 그 방법
JP2014183677A (ja) 車載用無接点充電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064521A (ja) 車両用照明制御装置
KR20210051100A (ko) 휴대폰 어플을 이용한 차량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