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63A -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463A
KR20180076463A KR1020160180639A KR20160180639A KR20180076463A KR 20180076463 A KR20180076463 A KR 20180076463A KR 1020160180639 A KR1020160180639 A KR 1020160180639A KR 20160180639 A KR20160180639 A KR 20160180639A KR 20180076463 A KR20180076463 A KR 2018007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dust
temperature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592B1 (ko
Inventor
김종완
이명준
조영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먼지 센서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 이하로 조절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고,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조절부 또는 상기 기류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 {DUST SENSOR AND COMPENSAT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가능한 휴대용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에서 사용되는 먼지 센서는 일반적으로 광학 방식, 즉 먼지에 IR 광원을 비추고 산란되는 빛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먼지 센서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류를 일으키기 위해 소형 팬(FAN)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센서 내부로 흡인하거나, 대류용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열원에 의한 기류를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센서 내부로 흡인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먼지 센서는 소비 전력이 높아서 휴대용이나 전원 공급이 없는 곳에서 배터리를 사용하여 구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 휴대용 기기에서는 팬이나 대류용 저항을 구비하지 않는 먼지 센서가 채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먼지 센서의 측정값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슬림형 공기중 부유입자 측정센서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4236호 (등록일: 2012.06.01.)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먼지 센서의 소비 전력을 줄이면서도 먼지 센서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먼지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먼지 센서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 이하로 조절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고,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조절부 또는 상기 기류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먼지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먼지 센서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한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고,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온도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가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은,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먼지 센서 내부의 유로에 설치된 댐퍼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이면, 팬 또는 대류용 저항 에 의해 기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량 측정값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유량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은,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먼지 센서 내부에 설치된 팬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하한치 미만이면, 히터에 의해 상기 먼지 센서의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측정값이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온도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량 또는 온도를 고려하여 먼지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센서에 구비된 팬이나 대류용 저항의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먼지 센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먼지 센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100)는 먼지측정부(110), 유량측정부(120), 유량조절부(130), 기류발생부(140), 전원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측정부(110)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광학 방식, 레이저 방식 등과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먼지 측정 방식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먼지측정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지 영역을 구비하는 측정모듈(111)과, 측정모듈(111)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측정모듈(111)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로(112)의 일 단은 측정모듈(111)과 연결되어, 측정모듈(111)로 유입 또는 이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유로(112)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후술하는 유량측정부(120) 및 유량조절부(130)가 유로(1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로(112)의 타 단에는 기류발생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유량측정부(120)는 먼지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측정부(120)는 먼지측정부(110)의 유로(1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유량측정부(120)는 유속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정된 유속으로부터 공기의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유량조절부(130)는 먼지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 이하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부(130)는 먼지측정부(110)의 유로(11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유량조절부(130)는 공기조절판(즉, 댐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유량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공기의 유량을 제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기류발생부(140)는 먼지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류를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르면, 기류발생부(140)는 소형 팬(FAN)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먼지 센서(100) 내부로 흡인하도록 구현되거나, 대류용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열원에 의한 기류를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먼지 센서(100) 내부로 흡인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동작하여 기류를 일으킬 수 있다.
전원부(150)는 먼지 센서(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전력공급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원부(150)는 태양광 발전 패널과 같은 자가발전수단과 이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축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먼지 센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먼지 센서(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먼지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사전 실험을 통해 도출한 공기의 유량에 의한 먼지측정부(110)의 측정값의 특성을 참조하여 먼지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기초로 유량조절부(130) 또는 기류발생부(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먼지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측정가능 유량범위(즉, 유량 하한치 이상 유량 상한치 이하) 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 하한치 및 유량 상한치는 공기의 유량에 의한 먼지측정부(110)의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유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먼지측정부(110)의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면 먼지측정부(110) 내부의 검지 영역에 대상물이 느리게 통과하여 먼지가 많거나 큰 먼지로 검지하게 될 수도 있으며, 공기의 유량이 더 감소하면 검지 영역으로 통과하는 먼지의 양이 감소하여 먼지가 없는 것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이 유량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유량조절부(130)를 동작시켜 공기의 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유량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이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기류발생부(140)를 동작시켜 기류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측정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먼지 측정이 어려운 정도로 크거나 낮은 경우에는 유량을 제어하고,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에서 측정된 먼지 측정값도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보정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한 먼지 농도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300)는 먼지측정부(310), 온도측정부(320), 통신부(330), 온도조절부(340), 전원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측정부(310) 및 전원부(350)는 도 1에 도시된 먼지측정부(110) 및 전원부(150)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측정부(320)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측정부(320)는 먼지 센서(3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온도측정부(320)가 먼지 센서(300)에 구비되지 않고, 후술하는 통신부(33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공기의 온도값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33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통신부(33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기상정보 제공 서버 등)로부터 공기의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340)는 온도측정부(3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르면, 온도조절부(340)는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FAN)과,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하한치 미만인 경우 먼지 센서(300)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먼지 센서(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먼지 센서(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온도측정부(3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먼지측정부(310)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0)는 사전 실험을 통해 도출한 공기의 온도에 의한 먼지측정부(310)의 측정값의 특성을 참조하여 먼지측정부(310)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온도측정부(3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온도조절부(340)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가 측정가능 온도범위(즉, 온도 하한치 이상 온도 하한치 이하) 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하한치 및 온도 상한치는 공기의 온도에 의한 먼지측정부(310)의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히터에 의한 상승기류가 강하여 먼지측정부(310) 내부의 검지 영역에 대상물이 통과하지 않거나, 너무 빨리 통과해서 검지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또한, 공기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승기류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먼지측정부(310) 내부의 검지 영역에 대상물이 느리게 통과하여 먼지가 많거나 큰 먼지로 검지하게 될 수도 있으며, 상승기류가 더 감소하면 검지 영역으로 통과하는 먼지의 양이 감소하여 먼지가 없는 것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온도측정부(32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온도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온도 하한치 미만인 경우 온도조절부(340)를 동작시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온도가 먼지 측정이 어려운 정도로 크거나 낮은 경우에는 온도를 제어하고,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에서 측정된 먼지 측정값도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보정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한 먼지 농도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S41),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를 초과하면(S42), 유로에 설치된 댐퍼 등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S43).
반면,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이면(S44), 팬 또는 대류용 저항 등에 의해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S45).
한편, 유량 측정값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에 속할 경우, 유량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S4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공기의 온도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S51),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를 초과하면(S52), 팬 등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S53).
반면,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하한치 미만이면(S54), 히터 등에 의해 먼지 센서의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S55).
한편, 온도 측정값이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에 속할 경우, 온도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S56).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은 먼지 센서에 탑재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먼지 센서
110: 먼지측정부
120: 유량측정부
130: 유량조절부
140: 기류발생부
150: 전원부
160: 제어부
300: 먼지 센서
310: 먼지측정부
320: 온도측정부
330: 통신부
340: 온도조절부
350: 전원부
360: 제어부

Claims (10)

  1.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 이하로 조절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발생부; 및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고,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조절부 또는 상기 기류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먼지측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측정부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지 영역을 구비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모듈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또는 상기 측정모듈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일 단은 상기 측정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유로의 타 단은 상기 기류발생부와 연결되는 먼지 센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부에 상기 유량측정부 및 상기 유량조절부가 설치되는 먼지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를 동작시켜 공기의 유량을 제한하고, 상기 유량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하한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류발생부를 동작시켜 기류를 발생시키는 먼지 센서.
  6.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한해 측정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고,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온도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가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공기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먼지 센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동작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팬; 및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하한치 미만인 경우 동작하여 상기 먼지 센서의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9.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먼지 센서 내부의 유로에 설치된 댐퍼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유량 측정값이 기 설정된 유량 하한치 미만이면, 팬 또는 대류용 저항 에 의해 기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량 측정값이 측정가능 유량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유량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
  10.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먼지 센서 내부에 설치된 팬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온도 측정값이 기 설정된 온도 하한치 미만이면, 히터에 의해 상기 먼지 센서의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측정값이 측정가능 온도범위 내에 속하면, 상기 온도 측정값을 기초로 먼지 측정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의 보정 방법.
KR1020160180639A 2016-12-28 2016-12-28 먼지 센서 KR10265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39A KR102654592B1 (ko) 2016-12-28 2016-12-28 먼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39A KR102654592B1 (ko) 2016-12-28 2016-12-28 먼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63A true KR20180076463A (ko) 2018-07-06
KR102654592B1 KR102654592B1 (ko) 2024-04-04

Family

ID=6292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639A KR102654592B1 (ko) 2016-12-28 2016-12-28 먼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833B1 (ko) * 2019-04-03 2019-11-26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20018416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공감센서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947B1 (ko) * 2007-07-18 2008-04-22 구성테크닉스 주식회사 유량 조절이 가능한 습식 먼지 측정 시스템
KR101063966B1 (ko) * 2009-03-23 2011-09-14 김제원 실시간 분진측정장치
KR101154236B1 (ko) 2011-09-21 2012-06-18 (주)랩코 슬림형 공기중 부유입자 측정센서
KR101219527B1 (ko) * 2005-09-14 2013-01-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압배관의 분진농도 측정장치
KR101593044B1 (ko) * 2014-08-11 2016-02-11 주식회사 코어밸런스 컴퓨터 미세먼지 농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27B1 (ko) * 2005-09-14 2013-01-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압배관의 분진농도 측정장치
KR100823947B1 (ko) * 2007-07-18 2008-04-22 구성테크닉스 주식회사 유량 조절이 가능한 습식 먼지 측정 시스템
KR101063966B1 (ko) * 2009-03-23 2011-09-14 김제원 실시간 분진측정장치
KR101154236B1 (ko) 2011-09-21 2012-06-18 (주)랩코 슬림형 공기중 부유입자 측정센서
KR101593044B1 (ko) * 2014-08-11 2016-02-11 주식회사 코어밸런스 컴퓨터 미세먼지 농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833B1 (ko) * 2019-04-03 2019-11-26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20018416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공감센서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592B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9071B2 (en)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ume hood sash
CN102971772B (zh) 在吸入烟雾信号器(asd)中识别阻塞和中断
US11920988B2 (en) Improving, detecting and indicating stability in an industrial temperature dry block calibrator
JP2006322933A (ja) 耐候性試験装置用の非接触温度センサ
KR20150045440A (ko) 가열 장치의 조절 방법 및 가열 장치
KR20180076463A (ko) 먼지 센서 및 이의 보정 방법
CN105570175A (zh) 一种风机恒风量电机驱动控制方法
CN205426914U (zh) 酒精气体浓度校对装置
KR101192283B1 (ko) 일정 풍량 제어를 위한 모터의 교정
US20050145007A1 (en) Flowmeter in-situ calibration verification system
KR20180067885A (ko) 먼지 센서 및 이의 동작 방법
US69787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otal dissolved solids in a steam boiler
CN1808077A (zh) 流量计现场校准检验系统
KR101143366B1 (ko) 정풍량 환기 제어시스템
KR101114448B1 (ko) 댐퍼류 교정장치 및 방법
US1096927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alibrating illuminance
KR101638507B1 (ko) 면풍속 자동제어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가 적용되는 흄후드
US20100088045A1 (en) Flow meter and airflow measurement using an airfoil
JP2020135343A (ja) 流量制御装置
JP2010144975A (ja) 屋外用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1668800B1 (ko) 가열로 연소공기 송풍기 제어 장치
CN113029967A (zh) 一种测量空气湿度的装置及方法
US202101648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ust content of an air stream
JP6094277B2 (ja) ボイラ負荷分析装置
KR100656081B1 (ko) 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과, 고도 측정을 이용한 냉각장치 및냉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