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195A -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195A
KR20180076195A KR1020160180383A KR20160180383A KR20180076195A KR 20180076195 A KR20180076195 A KR 20180076195A KR 1020160180383 A KR1020160180383 A KR 1020160180383A KR 20160180383 A KR20160180383 A KR 20160180383A KR 20180076195 A KR20180076195 A KR 2018007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asuring
filter
d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동환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나노기술원 filed Critical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8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195A/en
Publication of KR2018007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5Details of probe structures
    • G01N2001/2288Filte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ultra-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measurement unit measuring an amount of scattered light produced by ultra-fine dust included in the air, which is introduced from one side; a first filte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to filter fine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ncluded in the air flowing toward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to measure an amount of scattered light produced by fine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ncluded in the air which has not been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yet. Accordingly, in measuring ultra-fine dust, an effect of fine dust having a relatively great diameter can be suppressed, such that a degree of air contamination caused by ultra-fine dust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ereby enhancing accuracy of measuring a contamination degree of air caused by ultra-fine dust.

Description

초미세먼지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s,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중에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measuring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air contamination due to ultrafine dust among dust contained in air.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매연가스나 소각가스 등으로 인하여 각종 먼지에 의한 대기오염의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크기가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로서 인체의 코점막에 의해 걸러지지 못하고 그대로 폐포까지 직접 침투되므로 천식이나 폐질환 발생률을 증대시키며, 폐포를 통해 혈액속으로 침투하여 각종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caused by various dusts is becoming serious due to exhaust gas or incineration gas. Especially, the ultrafine dust is dust less than 2.5 micrometers in size. It can not be caught by the nasal mucous membrane of the human body, but it penetrates directly into the alveoli. Therefore, it increases the incidence of asthma and lung disease and penetrates into the blood through the alveoli. .

이처럼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에 의한 문제는 심각하기 때문에 환경부고시 등을 통하여 유해물질 배출량을 관리감독하고 있으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의한 오염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 또한 연구개발되고 있다. Since the problem caused by fine dust or ultrafine dust is serious, it is supervised and controll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and the technology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due to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s being developed.

특히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 오염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047호(발명의 명칭 : 다중 발광부 제어 구조를 갖는 광량조절이 가능한 차량 및 실내용 광학식 먼지센서. 이하 선행기술 1) 가 있다.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measure and cope with air pollution caused by ultrafine dust. Therefore, many techniques have been researched and proposed to accurately measure air pollution caused by ultrafine dust.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600047 (entitled: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and a room-use optical dust sensor having a multiple light emitting portion control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s available.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센서의 광학계의 오염과 센서의 이상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공기중에 섞여 있는 상태에서 측정하므로 직경이 큰 미세먼지로 인하여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을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sensor by allowing the sensor to detect the contamination of the optical system and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ensor. However, in the case wher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re mixed in the ai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air contamination due to ultrafine dust due to fine dust having a large diamet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중에서 초미세먼지에 의한 오염을 측정할 때 미세먼지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 fine dus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of air by ultrafine dust as described above and capable of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fine dust when measuring contamination by ultrafine dust in ai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1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ultrafine dust, comprising: a firs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ultrafine dust contained in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A first filter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filtering fine dust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contained in air moved toward the first measurement unit side;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measuring a scattered light amount due to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May be included as one feature.

여기서, 상기 제1측정부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여 얻는 초미세먼지 산란광량정보를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파악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Here, ultrafine dust-scattering light quantity informa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asuring unit side and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by the ultrafine dust, is received from the first measuring unit side and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And a pollution degree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ide An output s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1필터부는, 직경이 2.5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filtering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5 micrometers or more.

여기서,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제2측정부를 지나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 사이에 마련된 필터링위치에 배치되는 제1필터; 상기 제1측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링위치로 상기 제1필터를 공급하는 제1필터공급기; 및 상기 필터링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필터를 상기 제1측정부의 외측으로 회수하는 제1필터회수기;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first filter unit may include a first filter unit and a second filter unit that ar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the first measurement unit so as to remove fine dust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cluded in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 first filter disposed at a filtering position; A first filter supplier for supplying the first filter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measuring unit to the filtering position; And a first fil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first filter disposed at the filtering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easuring unit; May be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1광원; 및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1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the air side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nd emits ligh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or measuring light scattered by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상기 제1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은 200nm 내지 1550nm 사이에 해당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between 200 nm and 1550 nm.

나아가, 상기 제1측정부에는 상기 제1수광센서가 다수 포함되되, 다수의 상기 제1수광센서는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측정부 내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first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light-receiving sensors, and the first light-receiving senso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first measurement unit.

여기서, 상기 제2측정부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2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emit light toward the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or measuring an amount of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from the one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상기 제2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an LED or a laser.

또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의 파장이 상기 제2광원의 파장보다 짧은 단파장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The firs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nd emits light to the air side that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nd emits light. The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short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측정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 및 상기 제2필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3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A second filter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filtering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contained in air moved toward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a third measuring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ilter unit and measuring a scattered light quantity due to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ncluded in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나아가, 상기 제2필터부는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second filter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by filtering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more.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측정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미세먼지에 의한 영향이 억제되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measuring ultra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meas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ir by ultrafine dust because the effect of fine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suppressed when measuring ultrafine dust,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제1측정부에서 다수의 수광센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in a first measuring unit included in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ltra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에 포함되는 제1측정부에서 다수의 수광센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per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제1측정부, 제1필터부 및 제2측정부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어부, 출력부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터부 또는 제3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1 to 3,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asuring unit, a first filter unit, and a second measuring unit, and includes a controller, an output unit, and a storage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lter unit or a third measurement unit as shown in FIG.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초미세먼지 측정장치(10)에는 제1측정부(100), 제1필터부(200) 및 제2측정부(300)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정부(100)의 상측에 제1필터부(200)의 제1필터가 위치하고, 제1필터(230)의 상측에 제2측정부가 위치한다. 도면에서 초미세먼지 측정장치(10)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 제1측정부(100), 제1필터부(200) 및 제2측정부(300)가 내재되어 있다.Bas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10 includes a first measuring unit 100, a first filter unit 200, and a second measuring unit 300. As shown in FIG. 1, a first filter of the first filter unit 20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is located above the first filter 230.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the first filter unit 200,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the first filter unit 200,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

그리고, 공기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제2측정부(300), 제1필터부(200) 및 제1측정부(100) 순으로 차례로 지나면서 이동을 하며, 이와 같이 이동을 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한 오염도를 제2측정부(300)와 제1측정부(100) 각각이 미세먼지 등에 의한 공기의 오염상태를 측정을 하게 된다.Then, the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of the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10 into the inside and moves in the order of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the first filter unit 200, and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in this order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and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meas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by fine dust or the like, respectively.

좀 더 살펴보면, 제1측정부(100)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일측을 도 1에서의 상측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In more detail,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measures the scattered light amount due to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Here, one side is schematically shown as an upper side in Fig.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1측정부(100)는 제1광원(110) 및 제1수광센서(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easuring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110 and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20 to measure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due to ultrafine dust.

제1광원(110)은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한다.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to emit light to the incoming air, and emits light.

여기서, 제1광원(110)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은 100nm 내지 1550nm 사이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초미세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볼 때 단파장인 빛일수록 작은 크기의 입자에 의한 산란이 발생되기가 용이하므로, 제1광원(110)은 단파장의 빛을 발광하여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preferably between 100 nm and 1550 n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ght source 110 emits light of a short wavelength because it is easy to cause scattering by small-sized particles as the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is taken into account.

제1수광센서(120)는 제1광원(1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공기 중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정부에 다수개의 제1수광센서(12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20 measures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the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Here, as shown in FIG. 2,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measuremen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그리고, 다수개의 제1수광센서(120)는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도록 제1측정부(100) 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are preferably disposed in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광원(110)으로부터 발광되어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 측으로 조사된 조사광(L)이 초미세먼지와 부딪히면서 다양한 각도로 산란되며, 초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130)은 제1수광센서(120)에 의해 감지된다. The scattered light 130 scattered by the ultrafine dust is scattered by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10. The scattered light 130 scattered by the ultrafine dust is scattered by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10, (Not shown).

이를 위해,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제1수광센서(120)가 하나의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되, 가상의 평면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나의 제1수광센서(120)와 이에 이웃하는 다른 제1수광센서(120)와의 사이각(θ)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For this,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are disposed on one imaginary plane, and one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 And the other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20 adjacent to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20 are arranged to have a certain angle.

다시 말하자면, 가상의 평면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주상에 다수의 제1수광센서(120)가 동일한 사이각(θ)을 가지도록 배치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심점이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are arranged on the circumference having a central point at a certain point on a virtual plane so as to have the same angle of the angle?. He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enter point to correspon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pace where the air moves.

참고로, 도 2에서 도면부호 r은 원의 반지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의 제1수광센서(120)가 하나의 중심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중심점은 조사광(L)이 먼지입자에 부딪혀서 산란이 일어나는 지점을 나타낸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r denotes a radius of a circle, and a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center point. It indicates the point where scattering occurs due to collision.

이와 같이 다수의 제1수광센서(120)를 통해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Since the scattered light quantity due to the ultrafine dust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120, it is preferable.

제1측정부(100)의 일측에는 제1필터부(200)가 위치한다. 도 1에서는 상측을 일측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제1측정부(100)의 상측에 제1필터부(200)의 제1필터(230)이 위치하도록 도시되었다. 제1필터부(200)는 제1측정부(100)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제1필터부(200)가 필터링하는 미세먼지의 크기는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를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ilter unit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1, the first filter 230 of the first filter unit 20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because the upper side is schematically shown as one side. The first filter unit 200 filter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oward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fine dust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is less than 2.5 micrometers.

이러한 제1필터부(200)는 제1필터(230), 제1필터공급기(210) 및 제1필터회수기(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ilter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filter 230, a first filter feeder 210, and a first filter recoverer 220.

제1필터(230)는 제2측정부(300)를 지나 제1측정부(100)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제2측정부(300)와 제1측정부 사이에 마련된 필터링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필터링위치란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300) 사이의 위치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1필터(230)이 가로질러서 공기가 제1필터(230)의 면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위치를 말한다.The first filter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and the first measurement unit 300 so as to remove fine dust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o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side through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And is disposed at a filtering position provided between the measurement portions. Here, the filtering position is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and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moves is defined as a position where the first filter 230 crosses and air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230 And the like.

이와 같이, 제1필터(230)에 의해서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미세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는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상태로 제1측정부(10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측정부(100)는 미세먼지에 의한 영향 없이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 정도를 산란광량을 통해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filtered by the fine dust having a size of 2.5 micrometers or more is moved by the first filter 230 to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side including the ultrafine dust. Therefore,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can measur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ir due to the ultrafine dust through the scattered light amount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fine dust.

아울러 먼지의 직경이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미세먼지에 의한 스크린효과로 인하여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오염도에 대한 측정의 부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inaccuracy of the air pollution caused by the ultrafine dust less than 2.5 micrometers due to the screen effect due to the 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2.5 micrometers or more.

제1필터공급기(210)는 제1측정부(100)의 외측에서 제1필터(230)를 필터링위치로 공급하여준다. 제1필터(230)가 제1필터공급기(210)에 의해 공급되는 형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도 1에서는 이러한 제1필터공급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제1필터공급롤러(210)를 도시하였다. 제1필터공급롤러(210)가 회전하면서 제1필터(230)가 제1필터공급롤러(210)로부터 풀리면서 필터링위치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filter feeder 210 supplies the first filter 230 to the filtering position outside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The first filter 230 may be supplied by the first filter feeder 210 in various forms. In FIG. 1, the first filter feed roller 210 is illustrated as an exemplary form of the first filter feeder 210, Respectively. The first filter 230 is moved from the first filter supply roller 210 to the filtering position while the first filter supply roller 210 is rotated.

제1필터회수기(220)는 필터링위치에 배치된 제1필터(230)를 제1측정부(100)의 외측으로 회수한다. 제1필터회수기(220) 또한 제1필터공급기(210)와 마찬가지로 필터링위치로부터 제1필터(230)를 회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도 1에서는 필터링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1필터(230)를 회전에 의하여 제1필터(230)를 감아서 회수할 수 있는 제1필터회수롤러(22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The first filter collecting unit 220 collects the first filter 230 disposed at the filtering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As with the first filter feeder 210, the first filter collectors 220 can also take various forms to retrieve the first filter 230 from the filtering position, and in FIG. 1, the first filter 230 The first filter recovery roller 220 can be wound around the first filter 230 by rotation.

제1필터공급롤러(210)와 제1필터회수롤러(220)가 함께 회전하면서 제1필터(230)가 필터링위치로 공급되고, 제1필터회수롤러(220)측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제1필터(23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filter supply roller 210 and the first filter collection roller 220 are rotated together to supply the first filter 230 to the filtering position and to the first filter collection roller 220 side. Therefore, the first filter 230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of air pollution due to ultrafine dust can be improved.

제1필터(230)가 미세먼지에 의한 오염이 심해지면 제1필터공급기(210)와 제1필터회수기(220)이 작동을 하여 제1필터(230)의 오염된 부분을 제1필터회수기(220)으로 회수하고 동시에 제1필터공급기(210)으로부터 깨끗한 상태의 제1필터가(230)가 필터링위치로 공급된다. The first filter feeder 210 and the first filter collectors 220 operate to filter the contaminated portion of the first filter 230 into the first filter collectors 220 and simultaneously a first filter 230 in a clean state is supplied from the first filter feeder 210 to the filtering position.

그리고, 제1필터부(200)의 일측에는 제2측정부(300)가 위치한다. 도 1에서는 일측을 상측으로 하여 제2측정부(300)을 도시하였다. 제2측정부(300)는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 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한다.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200. In FIG. 1,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is shown with one side as the upper side.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measures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due to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이러한 제2측정부(300)는 제2광원(미도시) 및 제2수광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not shown)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not shown).

제2광원은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한다. 그리고, 제2수광센서는 제2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한다. The second light source emits light to radiate light toward the incoming air from one side. The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scattered by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from the one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그리고. 제2수광센서는 제2측정부에 다수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s are provided in the second measuring section.

제2광원과 제2수광센서는 앞서 설명한 제1측정부의 제1광원과 제1수광센서와 대동소이 하다. 따라서, 제2광원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광원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며, 제2수광센서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수광센서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are similar to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first measuring unit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light source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described above.

다만, 제2광원이 제1광원과 다른 차이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을 좀 더 하기로 한다. However, since the second light source may have a difference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mainly on the difference.

제2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광원의 종류는 제1광원의 종류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측정하고자 하는 먼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른 종류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econd light source is preferably an LED or a laser. The type of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the same as the type of the first light source, or may be of different typ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ust to be measured.

예를 들어, 제2광원은 LED 로 구성하고 제1광원은 레이저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제1광원의 파장이 제2광원의 파장보다 짧은 단파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정부는 제2측정부에 비하여 먼지의 크기가 초미세인 것을 주된 측정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제2광원보다 제1광원의 파장이 좀 더 짧은 단파장이면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source may be an LED, and the first light source may be a lase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is a short wavelength short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Since the first measuring unit is a main object of measurement that the size of the dus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measuring unit, scattering due to ultrafine dust can be more reliably performed if the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sour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제2광원의 파장영역대로는 100nm 내지 155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wavelength range of the second light source is preferably 100 nm to 1550 nm.

이와 같이 제1측정부(100), 제1필터부(200) 및 제2측정부(300)에 의해 미세먼지를 필터링해내기 이전의 공기의 먼지오염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가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에서 제1측정부가 초미세먼지에 의한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오염도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ir before the fine dust is filtered by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the first filter unit 200,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is measure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due to the ultrafine dust can be accurately measured in the first measurement part of the air filtered by the ultrafine dust.

여기서,초미세먼지 측정장치(10)는 제어부(600) 및 출력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저장부(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Here, the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600 and an output unit 7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800.

제어부(600)는 제1측정부(100)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여 초미세먼지 산란광량정보를 제1측정부(100) 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파악한다. The control unit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side. The control unit 600 measures the amount of ultrasmall dust scattered light amount from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and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I understand.

또한 제어부(600)는 제2측정부(300)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미세먼지 등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여 미세먼지 등에 의한 산란광량정보를 제2측정부(300)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되기 이전의 공기에 대한 오염도를 파악한다.Also, the controller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side. The control unit 600 measures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or the like and transmits scattered light amount information of fine dust or the like from the side of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to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Identif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이와 같이 제어부(600)가 제1측정부(100)와 제2측정부(300)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산란광량정보에 따라 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사용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부(700) 측으로 전달하여 출력부(700)가 초미세먼지 등에 의한 공기 오염도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output unit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by the dust according to the scattered light amou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700 so that the output unit 700 outputs the air pollution degree by the ultrafine dust or the like to the outside.

출력부(700)는 제어부(600)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출력부(700)는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제1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7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0 side. The output unit 700 receives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so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200 can be recognized from outside. Output the pollution degree.

이러한 출력부(700)의 예로서 LCD 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들을 수 있다. An example of such an output unit 700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이와 같이 제어부(600)는 제1측정부(100)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오염도와 제2측정부(300)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오염도를 종합하여 공기 중의 먼지 입자의 크기에 따른 분포비율(비중)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600 calculates the distribution ratio (specific grav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in the air by integrating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d by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d by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And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unit 700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제어부(600)은 제1측정부(100) 또는 제2측정부(300)을 통해 얻은 공기의 오염도를 저장부(800)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600 stores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obtained through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or the second measurement unit 300 in the storage unit 800.

이와 같은 초미세먼지 측정장치(10)에 제2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lter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필터부(410, 420, 430)는 제1필터부(210, 220, 230. 도 1참조)와 마찬가지로 제2필터공급기(410), 제2필터(430) 그리고 제2필터회수기(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제2측정부의 일측을 상측으로 하여 제2필터부가 위치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4 is a schematic view of an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econd filter units 410, 420, and 430 may include a second filter feeder 410, a second filter 430, and a third filter unit 430, like the first filter unit 210, 220, And a second filter collecting unit 420. FIG. 4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second filter unit is positioned with one sid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s the upper side.

이와 같은 제2필터부는 제1필터부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제2필터공급기(41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필터공급기(210)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며, 제2필터회수기(420)에 대한 설명은 제1필터회수기(22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The second filter unit is similar to the first filter unit.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ilter feeder 410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filter feeder 210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ilter recoverer 420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filter recoverer 220 .

다만, 제2필터(430)는 제1필터(230)에 비하여 필터링하는 입자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제2필터(430)가 필터링하는 먼지입자의 크기가 좀 더 크다. 예를 들어, 제2필터부는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필터부에 의하여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가 필터링된 공기의 미세먼지 등에 의한 오염도를 제2측정부가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2측정부는 먼지입자의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미세먼지에 의한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second filter 430 differs from the first filter 230 in that the particle size to be filtered is different. That is,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430 is larg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ilter section filters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more. The second filter unit can measur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more by the fine dust of the air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In this case, the second measuring unit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degree due to the fine dust particles having a size of 10 micrometers or less.

따라서, 먼지의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에 의한 스크린효과로 인하여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에 의한 공기오염도에 대한 측정의 부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inaccuracy of measurement of air pollution caused by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less owing to a screen effect caused by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more.

여기에 제3측정부(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nd the third measuring unit 500 may be further included.

제3측정부(500)은 제2필터부(410, 420, 430)의 일측에 위치한다. 도 4에서는 일측을 상측으로 삼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3측정부(500)은 제2필터부(410, 420, 430)에 의해 필터링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한다.The third measuring unit 50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ilter units 410, 420, and 430. In Fig. 4, one side is schematically shown as an upper side. The third measuring unit 500 measures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due to the dust included in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s 410, 420, and 430.

보다 큰 크기의 먼지입자를 대상으로 제3측정부(500)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제3측정부(500)의 광원의 파장은 제1측정부(100) 및 제2측정부(300)의 광원의 파장보다도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hird measuring unit 500 measures air pollution with respect to the dust particles of a larger size,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of the third measuring unit 500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300 Is long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오염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일정 크기 이하의 먼지를 대상으로 산란광량을 측정하므로 먼지의 크기에 따른 구간 별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크기의 먼지가 공기의 오염도에 차지하는 비중 또는 공기의 오염도에 기여하는 기여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ultra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is measured with respect to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 measuring the contamination degree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measur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grasp the contribution of the dust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or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또한 초미세먼지보다도 큰 먼지를 필터링한 상태에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초미세먼지보다 큰 크기의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 측정의 부정확성이 억제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ollution degree due to the ultrafine dust can be measured while filtering the dust larger than the ultrafine dus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accuracy of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by the ultrafine dust due to the fine dust larger than the ultrafine dust .

따라서, 미세먼지에 대한 측정시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미세먼지에 의한 영향이 억제되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초미세먼지에 의한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influence of the fine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n the measurement of fine dust is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degree of air contamination by the ultrafine dust.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the air pollution degree by the ultrafine du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by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제1측정부
110 : 제1광원 120 : 제1수광센서
130 : 산란광 L : 조사광
200 : 제1필터부
210 : 제1필터공급기 220 : 제1필터회수기
230 : 제1필터
300 : 제2측정부
100: first measuring unit
110: first light source 120: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130: scattered light L: irradiation light
200: first filter unit
210: first filter feeder 220: first filter collector
230: first filter
300: second measuring unit

Claims (12)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1측정부;
상기 제1측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2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A firs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A first filter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filtering fine dust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contained in air moved toward the first measurement unit side;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measuring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due to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Wherein the micro-dust measur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초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여 얻는 초미세먼지 산란광량정보를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파악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오염도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ltrasound dust scattering light amount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by the ultrafine dus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asuring unit side, from the first measuring unit sid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uel cell stack; And
An output for outputting pollution degree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part; Further comprising: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the ultrasonic du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직경이 2.5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er unit comprises:
Wherein the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5 micrometers or more are filt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제2측정부를 지나 상기 제1측정부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측정부 사이에 마련된 필터링위치에 배치되는 제1필터;
상기 제1측정부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링위치로 상기 제1필터를 공급하는 제1필터공급기; 및
상기 필터링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필터를 상기 제1측정부의 외측으로 회수하는 제1필터회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er unit comprises:
A first filter disposed at a filtering position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easuring unit and the first measuring unit so as to remove fine dust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cluded in air moving to the first measuring unit through the second measuring unit; ;
A first filter supplier for supplying the first filter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measuring unit to the filtering position; And
A first fil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first filter disposed at the filtering posi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easuring unit; Wherein the micro-dust measur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1광원; 및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초미세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1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easuring unit comprises:
A first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nd emits light toward the air side that is filtered and introduced by the first filter uni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Wherein the micro-dust measuring device compris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의 파장은 100nm 내지 1550nm 사이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between 100 nm and 1550 n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에는 상기 제1수광센서가 다수 포함되되,
다수의 상기 제1수광센서는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측정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measu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receiving sens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in the first measur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부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2광원; 및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기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오는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2수광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asuring unit comprises:
A second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emit light toward the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or measuring a scattered light amount scattered by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ne sid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Wherein the micro-dust measuring device compris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light source includes:
An LED or a las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1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측으로 빛을 발광하여 조사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의 파장이 상기 제2광원의 파장보다 짧은 단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measurement unit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that i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nd emits light to the air side to be introduced,
Wherein the wavelength of the first light source is shorter than the wavelength of the second light sou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측정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 및
상기 제2필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기 이전의 공기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에 의한 산란광량을 측정하는 제3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filter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filtering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contained in air moved to the second measurement unit side; And
A third measuring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ilter unit and measuring a scattered light amount due to dus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ncluded in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unit; Further comprising: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the ultrasonic dus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먼지입자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먼지 측정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filter unit
Wherein the dust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more are filtered.

KR1020160180383A 2016-12-27 2016-12-27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KR201800761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83A KR20180076195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83A KR20180076195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95A true KR20180076195A (en) 2018-07-05

Family

ID=6292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83A KR20180076195A (en) 2016-12-27 2016-12-27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19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68B1 (en) * 2018-08-13 2019-07-31 주식회사 에이디엠 Security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of facility based on network
KR101998863B1 (en) * 2018-08-13 2019-10-01 주식회사 에이디엠 Communication failure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network facility
KR20210106944A (en) * 2019-03-13 2021-08-31 아크소프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ne dust sensor
US11193871B2 (en) 2019-07-24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68B1 (en) * 2018-08-13 2019-07-31 주식회사 에이디엠 Security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of facility based on network
KR101998863B1 (en) * 2018-08-13 2019-10-01 주식회사 에이디엠 Communication failure manag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network facility
KR20210106944A (en) * 2019-03-13 2021-08-31 아크소프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ne dust sensor
US11193871B2 (en) 2019-07-24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195A (e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le Matter
CN109313114B (en) Automatic power control liquid particle counter with flow and bubble detection system
JP6139541B2 (en) Analysis and control of aerosol flow
JP6455470B2 (en) Particl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097372A1 (en)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and particle detection method used therefor
JP4690789B2 (en) Atmospheric particulate measuring device
CN106153512A (en) Combinational environment sensor
CN104266948A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and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method
CN101680832A (en) Method and system for particle detection
US20130192341A1 (en) Particle precipitator
JP2010091548A (en) Apparatus counting fibers in air with high accuracy
WO2014024556A1 (en) Laminar flow monitoring method for microparticle measurement device, microparticle analysis method, and microparticle measurement device
JP6854332B2 (en) Smoke detector and method of identifying smoke generation location
EP2755020A1 (en) Particle detector
KR20190084537A (en) Dust measuring apparatus
CN102967542A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measuring smoke particles
JP6932792B2 (en) High resolution surface particle detector
JP2019002793A (en) Smoke detector
JP2017146175A (en) Particle measurement device
JP2011095022A (en) Particle sensor
TWI417205B (en) Collector brush copper wear detection system
JP6622075B2 (en) Smoke detector
KR20160109120A (en) Transmission-Type Optical Dust Detecting Device
CN108120659A (en) A kind of particle concentr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from zero calibration
JP5717136B2 (en) Particle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