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929A -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929A
KR20180075929A KR1020160179891A KR20160179891A KR20180075929A KR 20180075929 A KR20180075929 A KR 20180075929A KR 1020160179891 A KR1020160179891 A KR 1020160179891A KR 20160179891 A KR20160179891 A KR 20160179891A KR 20180075929 A KR20180075929 A KR 2018007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unit
wearable device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최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철 filed Critical 최병철
Priority to KR102016017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929A/ko
Publication of KR2018007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이 발명은,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로 감지되면 긴급 구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외부 기기와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가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세기 조절부와,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를 감지하기 위한 눌림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한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한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한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각각 전달하는 제1 진동발생부 및 제2 진동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Bone conduction wearab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이 발명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로 감지되면 긴급 구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란 공기 중의 음파가 외이도와 고막·고실소골(鼓室小骨)을 통하여 내이에 도달하여 소리로 들리는 공기전도(空氣傳導)에 대응하는 말로서, 음파가 두개골을 진동시켜 그것이 내이의 액체에 도달되어 감각기에 전달되는 음의 전도과정을 말한다. 골전도의 종류에는 두개골에서 직접 내이로 들어오는 경우의 순수골전도와, 두개골이 3개의 이소골(耳小骨)에 전하고, 이어서 내이에 전달되는 골고실전도(骨鼓室傳導)가 있다.
참고로, 통화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도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신호의 증폭정도를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결정함에 따라 보다 사용자에 최적화된 음질을 제공할 수 있고, 모든 구성요소가 밴드부 및 이와 결합되는 진동 발생부에 배치됨에 따라 본체부를 생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16839(공고일자 2016년 4월 29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시스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번호 10-1616839을 포함한 종래의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화용으로 개발된 것이라서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하기에는 음질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1683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로 감지되면 긴급 구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외부 기기와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가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세기 조절부와,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를 감지하기 위한 눌림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한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한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한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각각 전달하는 제1 진동발생부 및 제2 진동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센서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착용감지센서와, 상기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긴급 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어부는 상기한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맥박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긴급구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진동발생부 및 제2 진동발생부는, 사용자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손목의 자뼈와 노뼈의 돌출부위가 접촉하게 되는 부위의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음성신호 입력부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통화시에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경고신호는 시각적 경고신호, 청각적 경고신호, 미리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인에게 문자로 발송되는 경고 메세지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맥박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긴급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로 감지되면 긴급 구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은, 외부 기기와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0)와, 사용자가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세기 조절부(20)와,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를 감지하기 위한 눌림감지센서(30)와,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센서(40)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착용감지센서(50)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입력부(60)와, 상기한 통신부(10)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한 신호세기 조절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한 눌림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70)와, 상기한 제어부(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각각 전달하는 제1 진동발생부(80) 및 제2 진동발생부(90)와, 상기한 제어부(7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긴급 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통신부(10)와 연결되는 외부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이 아니라, 서버, 기지국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는 상기한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 진동발생부(80) 및 제2 진동발생부(90)는, 사용자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손목의 자뼈와 노뼈의 돌출부위가 접촉하게 되는 부위의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눌림 감지센서(30)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손목과의 간격에 의해 눌려지는 정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제어부(7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맥박감지센서(40)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치착용감지센서(50)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 결합부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음성신호 입력부(60)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통화시에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10)와,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와,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오는 단계(S130)와,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S140)와,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오는 단계(S150)와,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S160)와,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전달하는 단계(S17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은,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210)와,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오는 단계(S220)와,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맥박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단계(S240)와,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50)와,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긴급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26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 동작이 시작되면서(S110), 제어부(70)는 통신부(1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이 아니라, 서버, 기지국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한다(S120). 상기한 통신부(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신호세기 조절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와서(S130),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신호세기 조절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1차적으로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한다(S140). 사용자는 신호세기 조절부(2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내이로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어서 제어부(70)는 눌림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와서(S150), 외부 기기로부터 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눌림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2차적으로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한다(S160). 사용자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느슨하게 착용하여 눌림감지센서(30)와 손목과의 간격이 커지게 됨으로써 눌려지는 정도가 약하게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70)는 진동신호의 세기를 높여줌으로써 간격에 의한 진동 약화를 보상하게 되고, 사용자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밀착 착용하여 눌림감지센서(30)와 손목과의 간격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눌려지는 정도가 강하게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70)는 진동신호의 세기를 낮추어주게 됨으로써 간격에 의한 진동 강화를 보상하게 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진동 발생부(80) 및 제2 진동발생부(90)를 구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S170),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목으로 전달된 제1 및 제2 진동이 손가락과 인체를 통하여 내이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주변환경이 시끄러운 곳에서도 사용자가 방송, 음악, 전화음성을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상기한 진동신호가 음악신호인 경우에 제1 진동발생부(80) 및 제2 진동발생부(90)로부터 발생되는 제1 및 제2 진동은, 사용자의 손목의 자뼈와 노뼈의 돌출부위로 각각 전달되어 서로 다른 경로를 가지면서 내이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진동신호가 전화음성신호인 경우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하여 수신을 하고 음성신호 입력부(60)를 이용하여 발신을 함으로써 상대방과 통화를 하게 되는데, 제3자에게는 사용자가 마치 손가락 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며, 상기한 음성신호 입력부(60)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중인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킴으로써 제어부(70)의 동작이 시작되면(S210), 제어부(70)는 장치착용감지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와서(S220),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30).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70)는 맥박감지센서(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한 후에(S240),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50).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70)는 경고발생부(100)를 작동시켜서 긴급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음을 외부인에게 알려주게 된다(S260).
상기한 경고신호는 시각적, 청각적 경고신호를 포함하며, 미리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인의 모바일 기기로 문자로 발송되는 경고메세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에 따라 신호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로 감지되면 긴급 구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0 : 통신부 20 : 신호세기 조절부
30 : 눌림감지센서 40 : 맥박감지센서
50 : 장치착용감지센서 60 : 음성신호입력부
70 : 제어부 80 : 제1진동발생부
90 : 제2진동발생부 100 : 경고발생부

Claims (7)

  1. 외부 기기와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사용자가 진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세기 조절부와,
    사용자에 대한 장치의 밀착도를 감지하기 위한 눌림감지센서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한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한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한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테레오 사운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각각 전달하는 제1 진동발생부 및 제2 진동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맥박감지센서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착용감지센서와,
    상기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긴급 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어부는 상기한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맥박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긴급구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진동발생부 및 제2 진동발생부는, 사용자가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손목의 자뼈와 노뼈의 돌출부위가 접촉하게 되는 부위의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음성신호 입력부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통화시에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고신호는 시각적 경고신호, 청각적 경고신호, 미리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지인의 모바일기기로 문자로 발송되는 경고 메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6. 동작이 시작되면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호세기 조절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1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눌림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신호, 음악신호, 전화음성신호 세기를 2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된 신호세기에 따라 제1 및 제2 진동을 발생시켜서 손목의 노뼈와 자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장치착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맥박감지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맥박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긴급구조를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60179891A 2016-12-27 2016-12-27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75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91A KR20180075929A (ko) 2016-12-27 2016-12-27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91A KR20180075929A (ko) 2016-12-27 2016-12-27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29A true KR20180075929A (ko) 2018-07-05

Family

ID=6292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891A KR20180075929A (ko) 2016-12-27 2016-12-27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92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837A (zh) * 2018-10-25 2019-08-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通话过程中的拍摄控制方法及智能手表
KR20200074698A (ko) * 2018-12-17 2020-06-25 (주)파트론 골전도 음향장치
CN111766773A (zh) * 2019-03-30 2020-10-13 深圳市歆歌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手表
WO2021096216A1 (ko)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3558595A (zh) * 2021-07-29 2021-10-29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监控方法、装置及相关组件
CN114360206A (zh) * 2022-03-21 2022-04-1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智能报警方法、耳机、终端和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4837A (zh) * 2018-10-25 2019-08-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通话过程中的拍摄控制方法及智能手表
KR20200074698A (ko) * 2018-12-17 2020-06-25 (주)파트론 골전도 음향장치
CN111766773A (zh) * 2019-03-30 2020-10-13 深圳市歆歌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手表
WO2021096216A1 (ko) * 2019-11-14 2021-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3558595A (zh) * 2021-07-29 2021-10-29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监控方法、装置及相关组件
CN114360206A (zh) * 2022-03-21 2022-04-1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智能报警方法、耳机、终端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5929A (ko) 골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US10841682B2 (en) Communication network of in-ear utility devices having sensors
EP2991380B1 (en) A hear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KR101756674B1 (ko)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US20180234754A1 (en) Reproduction of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or Acoustic Transparency of Ear Canal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7034734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Information Sharing
US9838771B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a humidity sensor
US10045130B2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JP3200747U (ja) 防災警報ヘルメット
KR20170076527A (ko)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8001010A1 (zh) 智能穿戴设备的语音输出方法及智能穿戴设备
US20130083940A1 (en) Bone Conduction Earphone, Headphone and Operation Method of 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20170347183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WO201720555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US9826303B2 (e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system
CN107609371B (zh) 一种消息提示方法及音频播放设备
CN111683316B (zh) 一种耳机的佩戴校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2014143451A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装置
TWI631983B (zh) 機器人及機器人系統
KR101672951B1 (ko)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101553398B1 (ko)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US20170264993A1 (en) Head set and head set apparatus
KR20180018649A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KR101525468B1 (ko) 청각 보조시스템
CN108924721B (zh) 听力设备及其防啸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