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649A -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649A
KR20180018649A KR1020180018313A KR20180018313A KR20180018649A KR 20180018649 A KR20180018649 A KR 20180018649A KR 1020180018313 A KR1020180018313 A KR 1020180018313A KR 20180018313 A KR20180018313 A KR 20180018313A KR 20180018649 A KR20180018649 A KR 20180018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ensitivity
hearing
vibration
neck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유퍼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퍼스트(주) filed Critical 유퍼스트(주)
Priority to KR102018001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8649A/ko
Publication of KR2018001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61F11/045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of ner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에서 실행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상기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감도 갭에 따라 진동 발생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NECKBAND FOR PROVIDING ALARM SER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청각 장애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를 말한다. 이러한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을 청각 장애인이라고 한다.
첨단 정보통신 장비의 발달과 함께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장비 또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을 위한 기기 또한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청각 장애인용 자동 수화 전송 시스템, 실시간 문자통역 프로그램, 보청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동 수화 전송 시스템은 수화 동영상을 낮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일반 전송 알고리즘으로 주고 받을 경우 손, 손가락, 얼굴 동작 묘사가 정확하게 이루이지 않아 수화 대화가 어려우며, 이러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다량의 비디오 압축 계산을 위한 상당한 전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시간 문자 통역 프로그램은 회의, 공연, 강연 등 각종 행사장에서 발표되는 내용을 플랫폼에 접속한 상태에서 문자 통역사가 받아 치면서 청각 장애인의 모바일 폰에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청각 장애인 개개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청기의 경우, 그 착용 구조에 의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의 소리 조절에 대한 한계가 있으며, 소리 자체는 들리지만 음성에 대한 분별 능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0959호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로 구성되어 청각장애인들은 통역센터와 원격접속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간청인과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지만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0959호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가 넘어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어폰을 귀에 꼽으면 이어폰이 보청기 기능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청기를 항상 착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넥밴드는,
주변 소리의 감도가 기준 이상이 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주변 소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넥밴드와,
상기 넥밴드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미리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받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넥밴드의 동작 기준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청각 장애인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에 배치된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진동 발생부와,
상기 청각 장애인 단말을 통해 설정된 동작 기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소리의 감도가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감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고, 상기 소리 감도 갭에 따라 제1,제2 진동발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넥밴드는,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의 입력된 소리를 출력하는 제1,제2보청기 이어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하이면, 상기 제1,제2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고, 상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제2 마이크로폰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의 방향에 배치된 진동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청각 장애인에게 진동이 발생한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에서 실행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상기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감도 갭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를 처리하는 제공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마이크로폰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상기 마이크로폰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고, 상기 소리감도 갭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가 넘어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이어폰을 귀에 꼽으면 이어폰이 보청기 기능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청기를 항상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넥밴드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가 클립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청각 장애인 단말(200)을 포함한다.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며 소리를 분석하여 소리의 감도 및 청각 장애인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동작 설정 정보에 따라 동작된다. 이러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3 내지 도 5의 넥밴드 형태와 같이 구현되거나 도 6의 클립 형태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넥밴드 형태로 구현되어 동작 되는 과정은 이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며, 클립 형태로 구현되어 동작되는 과정은 이하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며, 소리의 감도와 동작 설정 정보 중 진동 발생 기준 감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을 동작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진동 발생 모듈을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리 감지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을 모두 동작시키거나 진동 발생 모듈 중 일부 진동 발생 모듈을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이때,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리 감지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소리 감지 모듈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소리 감지 모듈의 방향을 확인하며, 해당 방향의 진동 발생 모듈을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진동 발생 모듈을 동작시킬 때 청각 장애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강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기와 같이, 주변에서 수집된 경적 소리, 초인종 소리, 아기 울음소리 등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리 감지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하이면 소리 감지 모듈 각각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진동 발생 모듈 모두를 동작시켜 청각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청각 장애인 단말(200)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는 청각 장애인이 보유하는 단말로서, PDA,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청각 장애인 단말(200)에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지 않을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청각장애인 단말(200)이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등)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하며, 청각 장애인은 이를 통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설정 정보는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진동시간, 소리 감도의 갭, 진동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기준 감도는 주변에서 인지한 소리의 감도에 따라 진동을 발생할 기준이 감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진동 발생 기준 감도는 청각 장애인에 의해 설정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진동 발생 기준 감도는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을 참조로 결정된다.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에는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은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1레벨이면 아이가 옹알이를 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3레벨이면 아이가 배고프거나 기저귀 갈기를 요청한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5레벨이면 아이가 긴급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진동 발생 기준 감도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추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청각 장애인 단말(200)은 청각 장애인으로부터 알림을 요구하는 소리의 종류를 수신하며,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을 참조로 청각 장애인이 요구하는 소리를 추출하며,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꼭 알려줘야 할 상황 정보에 해당하는 감도의 평균 값으로 진동 발생 기준 감도를 설정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추천할 수 있다.
진동 시간은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일 때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진동을 발생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소리 감도의 갭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 사이의 차이 감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소리 감도의 갭을 설정하는 이유는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인지 또는 이하이지 확인하여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진동 발생 모듈을 모두 동작시키거나 일부분만 동작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일,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진동 발생 모듈 중 더 큰 소리 감도가 측정된 방향의 진동 발생 모듈이 동작되어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되었음을 알린다. 만일,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하이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진동 발생 모듈을 모두 동작시켜 소리가 발생되었음을 알린다.
진동 강도는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일 때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진동을 발생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강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10), 진동 발생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110)은 주변의 소리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한 후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진동 발생부(120) 각각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시간 동안 특정 강도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120)는 마이크로폰(110)의 방향과 대응되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를 측정하며, 소리의 감도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진동 발생부(120)를 동작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진동 발생부(120)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폰(1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진동 발생부(120)를 모두 동작시키거나 진동 발생부(120) 중 일부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이때,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폰(1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마이크로폰(110)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의 방향을 확인하며, 해당 방향의 진동 발생부(120)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30)가 진동 발생부(120) 각각을 동작시킬 때 청각 장애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강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경적 소리, 초인종 소리, 아기 울음소리 등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넥밴드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에 배치된 제1 마이크로폰(110_1), 제2 마이크로폰(110_2), 제1 마이크로폰(110_1)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진동 발생부(120_1), 제2 마이크로폰(110_2)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진동 발생부(120_2)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보청기 이어폰(140_1) 및 제2 보청기 이어폰(140_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각각은 주변의 소리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한 후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제1 진동 발생부(120_1) 및 제2 진동 발생부(120_2) 각각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어느 하나의 진동 발생부만이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를 측정하며, 소리의 감도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감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진동 발생부(120)를 동작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제1 진동 발생부(120_1) 및 제2 진동 발생부(120_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마이크로폰(110_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1 진동 발생부(120_1) 및 제2 진동 발생부(120_2)를 모두 동작시키거나 제1 진동 발생부(120_1) 및 제2 진동 발생부(120_2) 중 일부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의 방향을 확인하며, 해당 방향의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이 제1 마이크로폰(110_1)이면 제1 마이크로폰(110_1)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진동 발생부(120_1)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이 제2 마이크로폰(110_2)이면 제2 마이크로폰(110_2)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진동 발생부(120_2)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해당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린다.
제1 보청기 이어폰(140_1) 및 제2 보청기 이어폰(140_2) 각각은 제1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소리를 출력한다. 청각 장애인은 제1 보청기 이어폰(140_1) 및 제2 보청기 이어폰(140_2)을 귀에 꼽으면 이어폰이 보청기 기능으로 제공받아 주변 소리를 들음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항상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1 보청기 이어폰(140_1) 및 제2 보청기 이어폰(140_2)은 이하의 도 8과 같은 과정을 통해 청각 장애인에 의해 설정된 음성 대역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음성 대역 영역에 따라 작동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보청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가 클립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의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립 형태로 사용자의 특정 부위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참조번호(a)와 같이 클립 형태로 구현되어 청각 장애인의 옷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참조번호(b)와 같이 마이크로폰(110), 진동 발생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110)은 주변의 소리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한 후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진동 발생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를 측정하며, 소리의 감도와 미리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 감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진동 발생부(120)를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에서 수집된 소리의 감도가 청각 장애인이 설정해 놓은 소리의 감도를 넘을 경우, 진동으로 방향을 알려주어 청각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청각 장애인 단말(200)에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되지 않을 경우 미리 지정된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청각장애인 단말(200)이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등)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하며, 청각 장애인은 이를 통해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설정 정보는 도 7과 같이 진동 발생 기준감도(610), 진동 시간(620), 소리 감도의 갭(630), 진동 강도(6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는 주변에서 인지한 소리의 감도에 따라 진동을 발생할 기준이 감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는 청각장애인에 의해 설정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는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을 참조로 결정된다.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에는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은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1레벨이면 아이가 옹알이를 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3레벨이면 아이가 배고프거나 기저귀 갈기를 요청한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아이 울음 소리의 감도가 5레벨이면 아이가 긴급한 상황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추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청각 장애인 단말(200)은 청각 장애인으로부터 알림을 요구하는 소리의 종류를 수신하며,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 테이블을 참조로 청각 장애인이 요구하는 소리를 추출하며, 소리의 감도 별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꼭 알려줘야 할 상황 정보에 해당하는 감도의 평균 값으로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를 설정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추천할 수 있다.
진동 시간(620)은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 감도(610) 이상일 때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진동을 발생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소리 감도의 갭(630)은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소리 감지 모듈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의 감도 사이의 차이 감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소리 감도의 갭(630)을 설정하는 이유는 소리 감도의 갭(630)이 특정 값 이상인지 또는 이하이지 확인하여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배치된 진동 발생 모듈을 모두 동작시키거나 일부분만 동작시키기 위해서이다.
진동 강도(640)는 주변에서 수신된 소리의 감도가 진동 발생 기준감도(610) 이상일 때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진동을 발생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강도를 의미한다.
또한, 청각 장애인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도 8과 같이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청각 장애인이 사용자가 듣기 어려운 음성 대역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음성 대역 영역에 따라 이어폰이 작동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보청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10: 마이크로폰
120: 진동 발생부
130: 제어부
200: 청각 장애인 단말

Claims (4)

  1. 주변 소리의 감도가 기준 이상이 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주변 소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넥밴드와;
    상기 넥밴드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미리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받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넥밴드의 동작 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청각 장애인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에 배치된 제1 마이크로폰(110_1) 및 제2 마이크로폰(110_2)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110_1)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 진동 발생부(120_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110_2)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2 진동 발생부(120_2)와;
    상기 청각 장애인 단말을 통해 설정된 동작 기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110_1)(110_2)을 통해 입력된 소리의 감도가 설정된 진동 발생 기준감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진동 발생 기준 감도 이상이면,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110_1)(110_2) 각각을 통해 수신된 소리 감도의 갭을 산출하고, 상기 소리 감도 갭에 따라 제1,제2 진동발생 모듈(120_1)(120_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는,
    상기 제1,제2마이크로폰(110_1)(110_2)의 입력된 소리를 출력하는 제1,제2보청기 이어폰(140_1)(140_2)을 더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하이면, 상기 제1,제2 진동 발생부(120_1)(120_2)를 동작시켜 상기 청각 장애인에게 소리 발생 사실을 알리고, 상기 소리 감도의 갭이 특정 값 이상이면, 상기 제1,제2 마이크로폰(110_1)(110_2) 중 더 큰 감도의 소리가 수신된 마이크로폰의 방향에 배치된 진동발생부를 동작시켜 상기 청각 장애인에게 진동이 발생한 방향에서 소리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각장애인 단말에서 설정하는 넥밴드의 동작 설정 정보는,
    진동 발생 기준감도(610), 진동 시간(620), 소리 감도의 갭(630), 진동 강도(640)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KR1020180018313A 2018-02-14 2018-02-14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KR20180018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13A KR20180018649A (ko) 2018-02-14 2018-02-14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313A KR20180018649A (ko) 2018-02-14 2018-02-14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31A Division KR101833030B1 (ko) 2015-10-26 2016-03-07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649A true KR20180018649A (ko) 2018-02-21

Family

ID=6152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313A KR20180018649A (ko) 2018-02-14 2018-02-14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6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024A (ko) 2018-12-08 2020-06-17 김현우 진동으로 돌발상황의 방향을 알려주는 넥밴드
KR20210109940A (ko) * 2020-02-28 2021-09-07 조도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청각장애인 보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024A (ko) 2018-12-08 2020-06-17 김현우 진동으로 돌발상황의 방향을 알려주는 넥밴드
KR20210109940A (ko) * 2020-02-28 2021-09-07 조도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청각장애인 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4619B2 (en) Earphone software and hardware
US92710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onal enhancement of sound using small microphone arrays
KR101756674B1 (ko)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KR101250929B1 (ko) 진동패턴 알림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CN106535027B (zh) 监测降噪耳机降噪效果的装置和可调节降噪效果的主动降噪耳机
US10959008B2 (en) Adaptive tapping for hearing devices
EP2874410A1 (en) Communication system
CA2135175A1 (en) Bone conductive ear microphone and method
US10945083B2 (en) Hearing aid configured to be opera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250951B1 (ko) 위험요소 감지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US2012011415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CN116324969A (zh) 具有定位反馈的听力增强和可穿戴系统
KR10238611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17073850A1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1800696B (zh) 听力辅助方法、耳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18649A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넥밴드
KR101833030B1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250934B1 (ko) 양귀 삽입형 보청기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KR20160137290A (ko) 헤드셋의 하울링 및 에코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361987B (zh) 一种运动耳机及其控制方法、装置、设备
CN112188341B (zh) 一种耳机唤醒方法、装置、耳机及介质
KR10163732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JP3952870B2 (ja) 音声伝送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2947B1 (ko)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