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527A -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527A
KR20170076527A KR1020160034180A KR20160034180A KR20170076527A KR 20170076527 A KR20170076527 A KR 20170076527A KR 1020160034180 A KR1020160034180 A KR 1020160034180A KR 20160034180 A KR20160034180 A KR 20160034180A KR 20170076527 A KR20170076527 A KR 2017007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voice
user
portable communication
wireles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김선권
박영진
양기동
양종렬
조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07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04W4/008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휴대용 통신기기간에 제1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이종 웨어러블 기기간에 제2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통화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ELEPHONE CONVERSATION BASED ON HETEROGENEOUS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헤드폰(head-phone), 이어버드(ear-bud), 보청기(hearing aid) 등은 그 내부에 스피커를 구비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ear wearable device)로서, 음원(sound source)을 수집 또는 획득하여 스피커를 통해 착용자에게 소리를 들려준다. 귀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기기는 히어러블 기기(hearable device), 청취 보조기기(listening assistive device: LAD)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이러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들은 사용자의 귀 부위에 착용되어, 음원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통신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어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간에 무선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사용된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다수개의 통신기기를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시키고,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방법의 일종이다.
한편, 최근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와 같이 귀 이외에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들이 도입되면서 휴대용 통신기기의 역할을 대행하거나 그 기능을 보조하고 있다. 휴대용 통신기기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제한되었던 응용분야가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의료, 스포츠, 교육, 라이프 스타일, 국방 등 산업분야를 불문하고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휴대용 통신기기의 기능을 대체 또는 지원하는 웨어러블 기기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오히려 웨어러블 기기들간에 충돌로 인한 일부 기능의 사용불능, 기능의 중복 또는 휴대의 불편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본래의 목적에 반하고, 웨어러블 기기들의 착용 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642310는 여러 웨어러블 기기들을 일체형으로 휴대할 수 있는 발명들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방법만으로는 다양한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을 최적화하여 그 성능을 최대로 이끌어 내는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간에 기능이 조화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화를 지원하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어(ear) 웨어러블 기기와 다른 주변 기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이어 웨어러블 기기와 다른 주변 기기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휴대용 통신기기간에 제1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이종 웨어러블 기기간에 제2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제1 블루투스 페어링이고, 상기 제2 무선링크는 제2 블루투스 페어링이며, 상기 제1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마이크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피커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의 활성화와 마이크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1 경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HFP, HSP, HAP 이외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1 경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각각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통화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 및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표준 규격에 따른 명령체계를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휴대용 통신기기와 제1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이종 웨어러블 기기와 제2 무선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제1 블루투스 페어링이고, 상기 제2 무선링크는 제2 블루투스 페어링이며, 상기 제1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고,상기 제2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비활성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스피커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의 외부음성 또는 주변환경소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제1 마이크, 상기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는 형태로 착용되도록 구성된 스피커, 상기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는 형태로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제2 마이크,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 및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표준 규격에 따른 명령체계를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무선링크를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기반으로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통화 편의가 증대될 수 있고, 각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충돌로 인한 기능 사용불능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들 중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 웨어러블 기기가 이어 웨어러블 기기이고, 제2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 시계인 경우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실시하는 경우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는 휴대용 통신기기(100), 제1 웨어러블 기기(1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102)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기기(100), 제1 웨어러블 기기(1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102)는 모두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타 기기와 무선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기기(100)는 제1 웨어러블 기기(1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102)와 각각 제1 무선링크(L1)와 제2 무선링크(L2)를 형성(또는 설정(configure))하고, 제1 웨어러블 기기(1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102)는 제3 무선링크(L3)를 형성(또는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에 부합하는(compliant)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사설 프로토콜(proprietary protoc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기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기기(100)는 마스터 기기(master device)라 불릴 수 있고, 제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101, 102)는 슬레이브 기기(slave device)라 불릴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기기(1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102)는 동일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로서 개체가 다른 것일 수도 있고, 이종의 웨어러블 기기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신체 착용 부위 또는 그 타입에 따라 이어(ear) 웨어러블 기기, 아이(eye) 웨어러블 기기(또는 스마트 안경), 손목(wrist) 웨어러블 기기(또는 스마트 시계), 넥(neck) 웨어러블 기기, 헤드(head) 웨어러블 기기, 허리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의 웨어러블 기기는 신체 외부에 착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신체 내에 이식되거나 삽입되는 형태의 기기들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종의 웨어러블 기기가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1 웨어러블 기기(101)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들려주거나 소리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기기이고, 제2 웨어러블 기기(102)는 마이크(microphone)를 구비한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웨어러블 기기(101)는 스피커를 구비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이고, 제2 웨어러블 기기(102)는 마이크를 구비한 스마트 시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이어 웨어러블 기기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헤드폰(head-phone), 이어버드(ear-bud), 보청기(hearing aid), 개인 음향 증폭제품(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s: PSAP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웨어러블 기기가 이어 웨어러블 기기이고, 제2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 시계인 경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20)는 휴대용 통신기기(200), 이어 웨어러블 기기(201) 및 스마트 시계(202)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기기(200), 이어 웨어러블 기기(201) 및 스마트 시계(202)는 모두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타 기기와 무선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통신기기(100)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201) 및 스마트 시계(202)와 각각 제1 무선링크(L1)와 제2 무선링크(L2)를 형성하고, 이어 웨어러블 기기(201)와 스마트 시계(202)는 제3 무선링크(L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표준에 부합하는(compliant) 기능을 수행하며, L1은 블루투스 페어(pair)1, L2는 블루투스 페어2, L3은 블루투스 페어3이라 불릴 수도 있다.
블루투스 표준은 그것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기술적 사항이 부가되거나 수정된 여러가지 프로파일들(profile)을 포함한다.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은 그 기능과 어플리케이션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 또는 링크 설정 또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L1, L2, L3은 서로 다른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이라도 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기능(예컨대 통화)을 수행하는 경우, 서로 동일한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될 수도 있다. 예컨대 L1, L2, L3은 모두 동일한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될 수도 있고, L1, L2, L3을 모두 제어하는 단일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로파일은 휴대용 통신기기(200)에서 제공되는 음원을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사용자의 이어 웨어러블 기기(201) 및/또는 스마트 시계(202)에 전송하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또는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기능(예컨대 통화)을 수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들간에 충돌로 인한 일부 기능이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30)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기기(300), 이어 웨어러블 기기(301) 및 스마트 시계(302)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시한다. 이 경우, 휴대용 통신기기(300)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301) 및 스마트 시계(302)와 각각 L1, L2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립한다. 휴대용 통신기기(30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수립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302)에 구비된 마이크에 대고 스피치를 전달할 수 있다(S303). 그런데, 상대방의 음성은 스마트 시계(302)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들릴 뿐(S304), 이어 웨어러블 기기(301)를 통해 들리지 않는다. 즉, 이어 웨어러블 기기(301)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는 다중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에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301)의 스피커 기능이 사용 불능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의 음성을 스마트 시계(302)의 마이크를 통해 듣게 되어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불편함을 겪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30)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기기(400), 이어 웨어러블 기기(401) 및 스마트 시계(402)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시한다. 이 경우, 휴대용 통신기기(400)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401) 및 스마트 시계(402)와 각각 L1, L2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립한다. 휴대용 통신기기(40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수립되면, 사용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401)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S403). 그러나,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402)에 구비된 마이크에 대고 스피치를 전달할 수 없고, 휴대용 통신기기(4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스피치를 전달해야 한다(S404). 즉, 스마트 시계(402)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는 다중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에서 스마트 시계(402)의 마이크 기능이 사용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402)에 구비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활용성을 상실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이 휴대용 통신기기를 중심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사용자가 각 웨어러블 기기들의 기능을 최적,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예시이다. 만약 사용자가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 각각에서 필요한 일부 기능들만을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을 구매하는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502)의 마이크 기능(S503)과 이어 웨어러블 기기(501)의 스피커 기능(S504)의 조합을 통해 통화할 경우, 사용자는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을 수 있고,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의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른 방법은 직접 통신 모드(direct communication mode)라 불릴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60)는 휴대용 통신기기(600), 스피커를 구비한 제1 웨어러블 기기(601) 및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제2 웨어러블 기기(602)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기기(600), 제1 웨어러블 기기(6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602)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타 기기와 무선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제1 웨어러블 기기(6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602)와 각각 제1 무선링크(L1)와 제2 무선링크(L2)를 형성한다. 즉,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L1과 L2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페어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통신기기(600)은 L1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과, L2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기기(6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602)간에는 별도의 무선링크가 설정되지 않으며, L1과 L2 모두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무선링크이다. 또는, L1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무선링크이고, L2는 사설 프로토콜(proprietary protocol)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또는, L1과 L2 모두 사설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여기서, 사설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저전력(BLE) 기반의 하드웨어에서 음향전송을 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또는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과 L2에 모두 HFP가 적용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지원 방법은, L1에 적용된 제1 HPF의 스피커 기능을 활성화하고 마이크 기능은 비활성화하되, L2에 적용된 제2 HPF의 마이크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피커 기능은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활성화는 ON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비활성화는 OFF 또는 차단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단계는, 휴대용 통신기기(600)가 L1을 통해 스피커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마이크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용 통신기기(600)가 L2를 통해 마이크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스피커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단계는, 휴대용 통신기기(600) 또는 제2 웨어러블 기기(602)가 사용자로부터 제2 웨어러블 기기(602)의 스피커를 비활성화(또는 제1 웨어러블 기기(601)의 스피커를 활성화)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1 웨어러블 기기(6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602)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고 다른 하나의 스피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휴대용 통신기기(600)가 수신한 음원 신호(또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제1 웨어러블 기기(601)로 전송한다. 이때,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기능이 비활성화된 L2로 전송하지 않고, 스피커 기능이 활성화된 L1만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기능이 비활성화된 L2로 전송하지만, 제2 웨어러블 기기(602)가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웨어러블 기기(602)는 스피커 제어정보를 null 또는 off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제2 웨어러블 기기(602)로 입력된 사용자의 스피치 신호(또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제2 웨어러블 기기(6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예시의 통화 지원 방법은 슬레이브 기기인 제1 웨어러블 기기(6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602)가 마스터 기기인 휴대용 통신기기(600)에 각각 HFP에 의해 페어링된 상태로서,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만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동일한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HFP를 예시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프로파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HFP, HSP 또는 HAP 이외에 이종 웨어러블 기기 간 제어를 위한 새로운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통화 지원 방법은 휴대용 통신기기(600)가 스피커 기능을 제1 웨어러블 기기(601)에 할당하고, 마이크 기능을 제2 웨어러블 기기(602)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통신기기(600)는 수신된 음원 신호(또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L1을 통해 제1 웨어러블 기기(601)로 전송하고, 제2 웨어러블 기기(602)는 사용자의 스피치 신호(또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L2를 통해 휴대용 통신기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따른 방법은 포워드 통신 모드(forward communication mode)라 불릴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70)는 휴대용 통신기기(700), 스피커를 구비한 제1 웨어러블 기기(701) 및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제2 웨어러블 기기(702)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기기(700), 제1 웨어러블 기기(7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702)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타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기기(700)는 제2 웨어러블 기기(702)와 제2 무선링크(L2)를 형성하고, 제1 웨어러블 기기(701)는 제2 웨어러블 기기(702)와 제3 무선링크(L3)를 형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통화 지원 방법은, 휴대용 통신기기(700)가 L2를 설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1 웨어러블 기기(7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L3을 설정하기 위한 개별적인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2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무선링크이고, L3은 사설 프로토콜(proprietary protocol)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또는 L2는 사설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이고, L3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또는, L2와 L3 모두 사설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일례로서, L2과 L3 모두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헤드셋 프로파일(HSP) 또는 보청기 프로파일(HA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2와 L3에 모두 HFP가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면, 일 측면에서의 통화 지원 방법은,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휴대용 통신기기(700)로부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L2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L3을 통해 제1 웨어러블 기기(701)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는 제2 웨어러블 기기(702)에 의해 포워딩된다. 이 경우, 제2 웨어러블 기기(702)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로 출력하지 않도록 차단(또는 마이크를 OFF)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 제어정보를 null 또는 off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는 제1 웨어러블 기기(701)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통화 지원 방법은, 제2 웨어러블 기기(702)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L2를 통해 휴대용 통신기기(7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L2에서, 휴대용 통신기기(700)는 마스터 기기로서 오디오 게이트웨이(Audio Gateway: AG) 역할을 수행하고, 제2 웨어러블 기기(702)는 슬레이브 기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L3에서, 제2 웨어러블 기기(702)는 마스터 기기로서 오디오 게이트웨이(AG) 역할을 수행하고, 제1 웨어러블 기기(701)는 슬레이브 기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 기기들은 자신과 페어링된 타 기기와 상대적인 관계에 의해 마스터 기기 또는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AG는 통화시 오디오 제어권을 가지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2 웨어러블 기기(702)는 휴대용 통신기기(700)에 대하여는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고, 제1 웨어러블 기기(701)에 대하여는 마스터 기기로서 동작한다. 즉, 하나의 제2 웨어러블 기기(702)에서 2가지의 링크를 지원해야 하므로 제2 웨어러블 기기(702) L2를 지원하기 위한 제1 블루투스 모듈 및 L3을 지원하기 위한 제2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웨어러블 기기(702)의 마이크 기능은 활성화되나 스피커 기능은 비활성화되고, 제1 웨어러블 기기(701)의 스피커 기능은 활성화되나 마이크 기능은 비활성화된다. 만약 제1 웨어러블 기기(701)가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으면, 제1 웨어러블 기기(701)의 스피커 기능이 활성화될 뿐 마이크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동작은 별도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단계는,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L3을 통해 스피커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마이크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휴대용 통신기기(700)가 L2를 통해 마이크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스피커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단계는, 휴대용 통신기기(700) 또는 제2 웨어러블 기기(702)가 사용자로부터 제2 웨어러블 기기(702)의 스피커를 비활성화(또는 제1 웨어러블 기기(701)의 스피커를 활성화)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1 웨어러블 기기(701)와 제2 웨어러블 기기(702)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하고 다른 하나의 스피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과 휴대용 통신기기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른 방법은 포워드 통신 모드라 불릴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80)는 휴대용 통신기기(800), 스피커를 구비한 제1 웨어러블 기기(801) 및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제2 웨어러블 기기(802)는 각각 도 7의 휴대용 통신기기(700), 제1 웨어러블 기기(701) 및 제2 웨어러블 기기(702)와 동일하다. 또한 도 8에 따른 통화 지원 방법은 도 7에서의 통화 지원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L2에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제1경로와, L2에서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제2 경로가 서로 다른 프로파일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는 사설 프로토콜(proprietary protocol)에 의해 정의되고, 제2 경로는 HFP, HSP 및 HAP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설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저전력(BLE) 기반의 하드웨어에서 음향전송을 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는 사설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2 웨어러블 기기(802)->휴대용 통신기기(800)로 전송되고,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는 HFP 등에 기반하여 휴대용 통신기기(800)->제2 웨어러블 기기(802)->제1 웨어러블 기기(801)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기기(900)는 마이크(910), 스피커(920),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듈(930), 프로세서(940) 및 메모리(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910)는 웨어러블 기기(900)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마이크(91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웨어러블 기기(900)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94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94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 및 처리하고, 무선통신 모듈(930)로부터 입력되는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92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선통신 모듈(9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스피커(920)는 프로세서(940)에 의해 처리된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출력한다.
메모리(950)는 프로세서(940)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거나, 무선통신 모듈(930)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 및 무선통신 모듈(930)의 표준 규격에 따른 명령체계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930)과 메모리(950)는 하나의 모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모듈(930)은 마스터 기기인 휴대용 통신기기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거나, 슬레이브 기기인 타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통신 모듈(930)은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WiFi, 사설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무선통신 모듈(930)은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직접 통신 모드에서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통신 모듈(930)은 타 웨어러블 기기와는 별도의 무선링크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1개의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930)은 마이크(910) 기능의 활성화와, 스피커(920) 기능의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통신 모듈(930)은,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마이크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스피커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프로세서(9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940)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마이크(910) 또는 스피커(92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940)는 사용자로부터 스피커(920)를 비활성화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스피커(920)가 비활성화된 경우, 스피커(920)에 관련된 제어정보가 null 또는 off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930)은 마이크(9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워드 통신 모드에서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통신 모듈(930)은 타 웨어러블 기기와는 별도의 무선링크를 설정할 수 있으며, 2개의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9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타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900)에서 마이크(910)가 생략된 것일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930)이 휴대용 통신기기와 연결된 무선링크를 L2라 하고, 타 웨어러블 기기와 연결된 무선링크를 L3라 하자.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L2가 설정되고, 제2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L3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L2과 L3 모두 동일한 종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페어링된 무선링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한 종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헤드셋 프로파일(HSP) 또는 보청기 프로파일(HA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2와 L3에 모두 HFP가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통화 지원 방법은, 무선통신 모듈(930)이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L2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940)가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910)로 출력하지 않되 무선통신 모듈(930)이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L3을 통해 타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는 무선통신 모듈(930)에 의해 포워딩된다.
이후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는 타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마이크(910)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무선통신 모듈(930)이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L2를 통해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한다.
L2에서, 휴대용 통신기기는 마스터 기기로서 오디오 게이트웨이(AG) 역할을 수행하고, 웨어러블 기기(900)는 슬레이브 기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L3에서, 웨어러블 기기(900)는 마스터 기기로서 오디오 게이트웨이(AG) 역할을 수행하고, 타 웨어러블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 기기들은 자신과 페어링된 타 기기와 상대적인 관계에 의해 마스터 기기 또는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AG는 통화시 오디오 제어권을 가지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모듈(930)은 마이크(910)를 활성화하고 스피커(92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통신 모듈(930)은 L3을 통해 스피커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마이크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L2를 통해 마이크 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스피커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통신 모듈(930)은 사용자로부터 스피커(920)를 비활성화할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스피커(92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이어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고, 이어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주변 기기간의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 웨어러블 기기는 도 10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웨어러블 기기(900)와 비교할 때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제2 마이크(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람의 음성은 입을 통해 나올 수도 있고, 귀 또는 외이도를 통해 나올 수도 있다. 사람의 입을 통해 나오는 음성을 외부음성이라 하고, 귀 또는 외이도를 통해 나오는 음성을 내부음성이라 한다. 즉, 사람이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외부음성뿐만 아니라 내부음성이 모두 발생하며, 사람은 자신의 음성을 외부음성과 내부음성이 결합된 형태로 들을 수 있고, 상대방은 외부음성만을 들을 수 있다. 내부음성은 입이 아닌 사람의 외이도와 귀를 통해 나오는 점에서 외부음성과 차이가 있다.
입을 통해 나오는 외부음성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다른 소리나 잡음이 필연적으로 섞이게 되는 반면, 사용자의 내부음성은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바깥 세상의 다른 소리나 잡음들이 배제된 비교적 깨끗한 품질로 수신될 수 있으며, 내부음성의 품질은 사용자가 처한 환경이나 시간에 덜 의존적일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음성의 인식 정확도는 외부음성의 인식 정확도보다 높을 확률이 매우 크다. 또한, 내부음성은 외이도의 형상과 길이 등 개인의 고유한 신체적 특성과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보안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외부음성과 내부음성을 동시에 발생시키고, 이를 동시에 들을 수 있다. 제1 마이크(1010)는 사용자의 외부음성을 입력받도록 사용자의 귀속 밖에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이크(1060)는 사용자의 귀 또는 외이도를 통해 나오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마이크(1060)는 스피커(1020)와 함께 사용자의 귀속에 함께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마이크(1060)는 스피커(1020)를 통해 발생하는 소리가 제2 마이크(1060)로 입력되는 것을 막고 사용자의 실질적인(substantial) 내부음성을 프로세서(1020)로 제공하기 위해 내부음성 이외의 다른 소리나 잡음(예를 들어 제2 마이크(1060)와 인접한 스피커(1020)에서 나오는 소리)를 캔슬(cancel)하도록 구성된 캔슬부(canceling unit, 도면에 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캔슬부는 그 기능이 프로세서(10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이크(1060)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이를 프로세서(10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이크(1010)는 사용자의 외부음성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이를 프로세서(10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마이크(1060)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 또는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제1 마이크(1010)와는 구별된다. 제2 마이크(1060)는 사용자의 귀 또는 외이도를 통해 나오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0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40)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기반으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와, 음성인식의 결과를 기반으로 내부음성에 관한 단어의 내용적 의미 및/또는 단어의 의도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어의 의미 또는 의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0)는 디지털 신호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고, 기 저장된 내부음성에 관한 파형과, 현재 입력되는 내부음성에 관한 파형을 매칭 및/또는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음성이 아닌, 내부음성을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 이러한 내부음성 인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간의 상호 교감을 수행하거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이어 에어러블 기기(1000)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40)는 사용자의 외부음성 및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처리된 외부음성과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기반으로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와, 음성인식의 결과를 기반으로 단어의 내용적 의미 및/또는 단어의 의도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어의 의미 또는 의도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0)는 디지털 신호처리 방식에 기반하여 제1 마이크(101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외부음성 및 제2 마이크(106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고,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에 관한 파형과, 현재 입력되는 외부음성 및 내부음성에 관한 파형을 매칭 및/또는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을 모두 사용하여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인식률일 높아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음성과 내부음성을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 이러한 외부음성 및 내부음성 인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간의 상호 교감을 수행하거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이어 에어러블 기기(1000)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신호처리를 위한 초기설정 또는 조절에 있어서, 이어 에어러블 기기(1000)는 제1 마이크(1010)로 입력되는 외부 경로(즉, 외부음성과 주변환경소음이 입력되는 경로)를 제약한 뒤 제2 마이크(1060)로 입력되는 내부 경로(즉, 내부음성 등)에 대한 신호만을 계산할 수 있다. 외부 경로를 제약하는 동작은, 제1 마이크(1010)를 off시키거나, 귀를 막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40)는 제1 마이크(1010)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의 소리(사용자의 외부음성과 외부환경소음이 결합) 및 제2 마이크(1060)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에 관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과 상기 사용자의 외부음성간의 상관성(correlation)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의 소리에 포함된 사용자의 외부음성을 제거하여 상기 외부환경소음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외부환경소음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환경에 최적화된 피팅 파라미터를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음성만을 사용할 때보다, 외부음성과 내부음성을 함께 이용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면 외부환경소음이 효과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40)는 상기 추출된 외부환경소음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환경소음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로써 외부환경소음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사용자 음성이 획득될 수 있다.
메모리(1050)는 특정 단어에 대한 i) 내부음성 정보 또는 ii)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correlation)을 고려한 정보와 상기 특정 단어의 의미에 대응하는 동작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50)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기반으로 단어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1010)가 “켜짐”이라는 사용자의 외부음성을 수신하고 제2 마이크(1060)가 “켜짐”이라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040)는 내부음성의 “켜짐” 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고려한 “켜짐”을 메모리(1050)에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됨을 확인한 뒤, “켜짐”이 의도한 동작(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전원이 켜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는, 제1 마이크(1010)가 “스마트폰 페어링”이라는 사용자의 외부음성을 수신하고 제2 마이크(1060)가 “스마트폰 페어링”이라는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040)는 내부음성의 “스마트폰 페어링” 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고려한 “스마트폰 페어링”을 메모리(1050)에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됨을 확인한 뒤, “스마트폰 페어링”이 의도한 동작(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를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규격에 의해 페어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보안의 측면에서, 내부음성은 외이도의 특이한 형상과 길이 등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프로세서(1040)가 내부음성의 신호처리를 수행할 때 해당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실제 소유자의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 앞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소유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의 패턴 또는 특징점들을 데이터화하여 미리 저장하는 보안설정단계를 초기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40)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 소유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의 패턴 및/또는 특징점들과, 현재 제1 및/또는 제2 마이크(1010, 1060)를 통해 입력되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의 패턴 및/또는 특징점들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입력되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의 패턴 및/또는 특징점들이 미리 저장된 소유자의 고유한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의 패턴 및/또는 특징점들과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040)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지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소유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에,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를 식별하는 고유한 ID 또는 근거리 통신망(i.e. 블루투스, wifi 등)에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할당된 PN(pseudo noise) 코드 또는 ID 정보를 결합한 것을 보안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 또는 프로세서(1040)는 소유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에 고유한 ID 또는 할당된 PN 코드 또는 ID 정보를 스크램블링(scrambling) 방식으로 결합하여 결합 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합 코드 정보를 외부 주변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주변기기는 상기 결합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거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외부음성 인식 기반의 보안 시스템의 경우 녹취되어 제3자에 의해 사용될 경우 해킹 등에 취약한 단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보안 시스템의 경우 내부음성이 녹취되기 어렵고 지문과 같은 소유자의 고유한 특징을 기반으로 실제 소유자 여부를 판단하기에 용이하며, 따라서 해킹에 강인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일례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와 연동 가능한 외부 주변기기(이종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폰, 가전, 차량, 장비, 기계 등)나 액세서리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기기나 액세서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040)는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무선통신 모듈(1030)을 통해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가내 또는 사무실의 조명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의 주문을 수행하거나, 음식의 배달을 주문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의 주문, 음식의 배달, 예약 등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통용되는 정보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ID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연동된 휴대기기(i.e. 스마트폰 등)의 ID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별도의 주소를 사용함이 없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ID 및/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연동된 휴대기기(i.e. 스마트폰 등)의 ID가 사용자의 주소 정보와 맵핑된 DB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주문된 물품을 배송하거나 예약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내부음성을 기반으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장착된 생체 센서들(i.e. 체온 센서, 혈압 센서, 산소레벨 센서, 칼로리 체크 센서, 이동속도 센서, 심전도 센서, 감정센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스피커(1020)를 통해 오디오로 알려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피팅(fitting)을 셀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의 피팅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외부 주변기기의 보안 또는 인증방법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차량 또는 휴대기기의 LOCK을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나 지문입력 방식으로 해제할 수도 있고, 이와 별도로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차량 또는 휴대기기와 연동되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자신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제공하여 인증을 완료함으로써 차량 또는 휴대기기의 LOCK을 해제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그것과 연동된 차량 또는 외부 주변기기에 UNLO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사용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수신하여 그대로 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휴대기기로 전송해주고, 휴대기기에서 사용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인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에 생체 센서가 구비된 경우,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사용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과 함께 보안용으로 사용 가능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예를 들어, Beacon 기반의 광고 PUSH의 수신 허용, 사용자의 운동정보 기록/지원, 위험지역 안내, 방향 안내, 지역별 필요정보의 수신, 날씨 정보 등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정보를 제공받는 맞춤형 서비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 또는 그것에 연동된 외부 주변기기(스마트폰 등)가 광고/혜택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해당 광고의 수신 허용 여부를 내부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가 생체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 및 생체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정보의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와 같은 스포츠를 즐기고 있을 때,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현장의 풍속/풍향, 방향, 거리, 날씨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어 웨어러블 기기(1000)는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의 내부음성(또는 내부음성과 외부음성의 상관성)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교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휴대용 통신기기간에 제1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이종 웨어러블 기기간에 제2 무선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입력된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지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제1 블루투스 페어링이고, 상기 제2 무선링크는 제2 블루투스 페어링이며,
    상기 제1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마이크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피커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의 활성화와 마이크 기능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1 경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HFP, HSP, HAP 이외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1 경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는 각각 핸즈프리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HSP), 보청기 프로파일(hearing aid profile: HAP)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지원 방법.
  10. 통화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기기로서,
    스피커;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 및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표준 규격에 따른 명령체계를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휴대용 통신기기와 제1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이종 웨어러블 기기와 제2 무선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의 오디오 신호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링크는 제1 블루투스 페어링이고, 상기 제2 무선링크는 제2 블루투스 페어링이며,
    상기 제1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페어링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이종 웨어러블 기기는 각각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스피커를 비활성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스피커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스피커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6. 웨어러블 기기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의 외부음성 또는 주변환경소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제1 마이크;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귀속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스피커;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귀속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제2 마이크;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 및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표준 규격에 따른 명령체계를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무선링크를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외부음성 및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신호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과 외부음성 간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환경소음을 추출하는 것을 수행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외부환경소음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환경소음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하거나,
    상기 추출된 외부환경소음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에 최적화된 피팅 파라미터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보안 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과 외부음성 간의 상관성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관성을 기반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보안 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관성을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고유한 상관성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보안 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무선링크에 의해 할당된 고유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내부음성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보안 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가전을 제어하는 신호, 온라인 쇼핑의 주문을 위한 제어 신호, 생체 센서를 제어하는 신호,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 차량을 제어하는 신호, 장비를 제어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




KR1020160034180A 2015-12-24 2016-03-22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76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44 2015-12-24
KR20150186444 2015-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527A true KR20170076527A (ko) 2017-07-04

Family

ID=5935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180A KR20170076527A (ko) 2015-12-24 2016-03-22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52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13A1 (ko) * 2019-03-05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2291678A (zh) * 2020-04-03 2021-01-29 南京西觉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
KR102250431B1 (ko) * 2019-12-23 2021-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그룹핑 방법
KR102337262B1 (ko) * 2020-07-23 2021-12-09 진잉지 무선 예약 단말기
WO2022080683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098004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46033A1 (ko) * 2020-12-31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
EP4181516A4 (en) * 2020-10-16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EP4254407A4 (en) * 2020-12-31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VOICE INPUT/OUTPUT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13A1 (ko) * 2019-03-05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943079B2 (en) 2019-03-05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haring channel information in Bluetooth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250431B1 (ko) * 2019-12-23 2021-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그룹핑 방법
CN112291678A (zh) * 2020-04-03 2021-01-29 南京西觉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
CN112291678B (zh) * 2020-04-03 2023-11-21 南京西觉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设备
KR102337262B1 (ko) * 2020-07-23 2021-12-09 진잉지 무선 예약 단말기
WO2022080683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EP4181516A4 (en) * 2020-10-16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US11871173B2 (en) 2020-10-16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WO2022098004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22146033A1 (ko) * 2020-12-31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입출력 제어 방법
EP4254407A4 (en) * 2020-12-31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VOICE INPUT/OUTPUT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527A (ko) 이종 웨어러블 기기들에 기반하여 통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US11671773B2 (en) Hearing aid device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KR101694592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는 착용형 장치
US20180336901A1 (en) Ear-borne Audio Device Conversation Recording and Compressed Data Transmission
US11304013B2 (en) Assistive listening devi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streams within sound fields
US9510112B2 (en) External microphone array and hearing aid using it
US10045130B2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WO201720555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US20180005623A1 (en) Voice Enhancing Device with Audio Focusing Function
CN107609371B (zh) 一种消息提示方法及音频播放设备
WO2014186580A1 (en) Hearing assistive device and system
WO2020142679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utomatic transcription using ear-wearable device
EP3323567B1 (en) Robot and robot system
KR101672951B1 (ko)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JP6554275B2 (ja) カードホルダ、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196246A1 (en) Wearable communication interface
US9699567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3732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US966829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system
KR101672942B1 (ko)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JP4664341B2 (ja) 赤外線通信装置
US20230292064A1 (en) Audio processing using ear-wearable device and wearable vision device
KR101672949B1 (ko) 멀티미디어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멀티미디어 음의 수신 제어 방법
KR20160111751A (ko)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