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361A -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361A
KR20180075361A KR1020170104127A KR20170104127A KR20180075361A KR 20180075361 A KR20180075361 A KR 20180075361A KR 1020170104127 A KR1020170104127 A KR 1020170104127A KR 20170104127 A KR20170104127 A KR 20170104127A KR 20180075361 A KR20180075361 A KR 2018007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ser
posture
teeth
wi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전송이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7010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361A/ko
Priority to KR1020170154841A priority patent/KR1019894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의 자세를 판단하는 칫솔자세 판단방법으로서, 상기 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여 칫솔자세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Toothbrush posture determination method and sens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양치시 칫솔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감지장치로서 칫솔과 결합되는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어린 아이들은 양치하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으며, 양치를 해도 구석구석 양치하는 것이 아니라 대충 양치를 끝내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부모가 바로 옆에서 아이들이 직접 양치하는 것을 지켜보지 않는 경우, 아이의 양치 습관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아이들이 관심을 갖고 집중하여 양치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양치 서포트 프로그램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에서 실행되는 양치 서포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아이들이 양치를 치아 전반적으로 골고루 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양치 서포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어린 아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우 양치할 경우 치아의 어느 부분을 집중적으로 닦고, 양치 시간은 어떻게 되는 지 고려하지 않은 채 양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양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양치 습관을 파악하여 올바른 습관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치를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습관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칫솔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양치할 수 있는 양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의 자세를 판단하는 칫솔자세 판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칫솔자세 판단방법은,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상태를 취한상태임을 알리는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는,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상기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을 이중사출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닦고 있는 이빨의 위치를 추정하는 세치(洗齒)위치 판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치위치 판단방법은,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상태를 취한상태임을 알리는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이빨 중 왼쪽 이빨이 닦인 제1누적시간과 오른쪽 이빨이 닦인 제2누적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누적시간과 상기 제2누적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닦고 있는 이빨의 위치를 추정하는 세치(洗齒)위치 판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치위치 판단방법은,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 이빨을 닦으라고 요청하는, 세치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세치행동 요청단계;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세치위치를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세치위치가 상기 세치행동 요청단계에서 지정된 세치위치와 다른 경우 경고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는, 상기 자이로센서 및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상기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자이로센서 및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410)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420)로서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4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422)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자이로센서 및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을 이중사출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칫솔자세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칫솔자세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치습관에 관한 데이터 통계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부모가 아이의 양치습관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칫솔자세를 판단하여 사용자 기기의 스크린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칫솔자세를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칫솔자세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치아 위치에 따라 누적시간을 계산하여 양치 중 및 양치 종료 후 사용자 기기의 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치아 위치에 따른 누적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누적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든 이빨을 골고루 닦을 수 있도록 양치 순서가 정해져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칫솔자세를 판단할 수 있도록 칫솔에 결합될 수 있는 자세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칫솔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감지장치를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자세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칫솔자세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출력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치위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자세감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칫솔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칫솔자세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칫솔(2), 칫솔(2)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자세감지장치(1), 및 사용자 기기(User Device, UD)(3)를 이용할 수 있다.
자세감지장치(1)는 도 1과 같이, 칫솔(2)의 일 단분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자세감지장치(1)는 각속도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사용자 기기(3)에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3)는 무선통신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소형 전자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감지장치(1)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세감지장치(1)는 자이로센서(11), 통신부(12), 칫솔결합부(=홀더부)(13), 배터리(14), 및 버튼(15)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1), 통신부(12), 배터리(14), 및 버튼(15)은 자세감지장치(1)의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칫솔결합부(=홀더부)(13)응 상기 하우징의 일부의 형상을 가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자이로센서(11)는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는 도중의 칫솔의 각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이로센서(11)는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는 도중 칫솔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의 각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속도는 미리 결정된 기준축을 중심으로 하는 값일 수 있다.
통신부(12)는 자이로센서(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는 자이로센서(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결합부(13)는 칫솔의 일단부를 간편하게 자세감지장치(1)에 끼울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칫솔결합부(13)에는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켓은 복원력을 가지며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배터리(14)는 자이로센서(11)와 통신부(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버튼(15)은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자세감지장치(1) 및 사용자 기기(3)에에게 상기 기준자세를 취했음을 알리기 위해 누르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기준자세는 예컨대, 사람이 직립한 상태, 고개를 좌우로 기울이지 않은 상태, 칫솔의 길이방향이 수직선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 칫솔을 앞니 근처에 위치시킨 상태, 및 상기 칫솔 중 치아에 닿는 부분이 칫솔의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자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자세는 예컨대, 칫솔의 길이방향이 코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 칫솔을 앞니 근처에 위치시킨 상태, 및 상기 칫솔 중 치아에 닿는 부분이 칫솔의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상태를 모두 만족하는 자세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자세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기기(3)가 양치에 사용되고 있는 칫솔의 칫솔자세를 판단하기 위하여, 자세감지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칫솔자세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출력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기기(3)의 스크린 화면(31)에는 화면 출력 정보(예컨대, I311, I312, 및 I313)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31)에서, 사용자 기기(3)에서 화면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화면 출력 정보는 예컨대, ① 미리 결정된 기준자세 묘사정보(I311), ② 상기 기준자세를 취할 것을 요청하는 행동요청정보(I312), ③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리는 완료 시 버튼 누름 요청정보(I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2)에서, 사용자 기기(3)에서 생성된 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와 같이, 사용자 기기(3)의 스크린 화면(31)을 통해 상기 기준자세 묘사정보(I311)와 함께 ② 기준자세 행동요청정보(I312)를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자세 묘사정보(I311)는 예컨대, 치아들의 중심부분에 위치한 앞니 쪽에서 칫솔을 수직방향으로 잡은 상태를 묘사하는 이미지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자세'란, 치아에 대하여 중앙부에서 칫솔을 수직방향으로 잡은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요청정보(I312)는 예컨대, '위 그림처럼 칫솔을 잡아주세요.' 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이후, 예컨대 도 4a와 같이, 칫솔(1)에 결합된 자세감지장치(2)에 배치된 버튼(15)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함께 완료 시 버튼 누름 요청정보(I313)를 사용자 기기(3)의 스크린 화면(31)을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예컨대, 완료 시 버튼 누름 요청정보(I313)는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칫솔의 버튼을 눌러주세요.' 와 같은 문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칫솔'은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칫솔(2)과 자세감지장치(1)를 통합하여 '칫솔'이라고 지칭한 것일 수 있다.
단계(S11)에서, 자세감지장치(1)는, 사용자가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자세감지장치(1)의 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버튼이 눌렸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버튼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S33)에서, 사용자 기기(3)가 자세감지장치(1)의 통신부(12)로부터 상기 기준자세를 취해졌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4)에서, 사용자 기기(3)에서, 자세감지장치(1)의 자이로센서(11)가 출력한 자이로센서 출력값을 자세감지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이로센서 출력값은 자세감지장치(1)의 통신부(12)로부터 사용자 기기(3)의 통신부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S35)에서, 사용자 기기(3)에서, 상기 수신한 자이로센서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의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할 수 있다.
단계(S34) 및 단계(S35)는 사용자가 양치를 완료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기기(3)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에서 상술한 단계(S35) 이후에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기기(3)의 스크린 화면(31)을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a)는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도 6의 (b)는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도 6의 (c)는 중심부 이빨(앞니)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6의 (d)는 왼쪽 이빨이 닦인 제1누적시간과 오른쪽 이빨이 닦인 제2누적시간의 상대적인 면적을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단계(S110)에서,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로부터 기울어진 각도값으로서, 상기 갱신된 기울어진 각도값을 기준으로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갱신된 기울어진 각도값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양치하는 사람의 왼쪽 방향을 나타내는 값이면,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은 왼쪽 이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갱신된 기울어진 각도값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양치하는 사람의 오른쪽 방향을 나타내는 값이면,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은 오른쪽 이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갱신된 기울어진 각도값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양치하는 사람의 오른쪽 방향도 아니고 왼쪽 방향도 아니라면,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은 중싱부 이빨(앞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앞니의 안쪽면(앞니의 두 면 중 입술쪽 면과 혀쪽 면 중에서 혀쪽 면)을 닦을 때에 칫솔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다.
단계(S111)에서,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의 위치가 치아의 중심부(앞니), 왼쪽, 오른쪽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11)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계속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계(S111)에 따른 상기 판단은 예컨대 0.5초마다 한 번씩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112)에서,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이 왼쪽 이빨이라면(a),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크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6의 (a)와 같이 스크린 화면(31)에 출력될 수 있다.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3)는 왼쪽 이빨이 닦인 시간을 나타내는 제1파라미터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S113)에서,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이 오른쪽 이빨이라면(b),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크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6의 (b)와 같이 스크린 화면(31)에 출력될 수 있다.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3)는 오른쪽 이빨이 닦인 시간을 나타내는 제2파라미터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S114)에서, 현재 닦이고 있는 이빨이 중심부 이빨(앞니)이라면(c), 중심부 이빨(앞니)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크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부 이빨(앞니)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6의 (c)와 같이 스크린 화면(31)에 출력될 수 있다. 중심부 이빨(앞니)이 닦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기기(3)는 중심부 이빨(앞니)이 닦인 시간을 나타내는 제3파라미터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파라미터, 상기 제2파라미터, 및 상기 제3파라미터는 도 3에 나타낸 단계(S33)가 완료되면 초기화될 수 있다.
단계(S115)에서, 양치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양치가 종료될 때까지 단계(S110) 내지 단계(S115)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양치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예컨대 자이로스코프의 출력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근거로 판단하거나, 또는 자세감지장치(1)의 버튼이 미리 결정된 특정 패턴으로 눌렸는지 여부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16)에서, 단계(S115)에서 양치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왼쪽 이빨이 닦인 제1누적시간과 오른쪽 이빨이 닦인 제2누적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S117)에서, 제1누적시간 및 제2누적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d)와 같이, 왼쪽 이빨이 닦인 제1누적시간(예컨대, 1분)과 오른쪽 이빨이 닦인 제2누적시간(예컨대, 2분)이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제1누적시간과 상기 제2누적시간의 상대적인 면적을 이미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의 일 실시예에서는 왼쪽 이빨, 오른쪽 이빨, 및 중심부 이빨 3개로 구분하여 서술하였지만, 이빨의 위치를 더 세분화하여 단계(S110) 내지 단계(S117)를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3)에서 자이로센서(11)의 출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였을 때,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도 아니고 왼쪽도 아니지만,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앞니의 안쪽 면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치위치 판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기기(3)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에서 상술한 단계(S35) 이후에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치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 기기(3)의 스크린 화면(31)을 나타낸 것으로, 도 8의 (a)는 아래 바깥쪽 부분의 이빨을 닦고 있는 화면이고, 도 8의 (b)는 위 바깥쪽 부분의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도 6의 (c)는 아래 안쪽 부분의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6의 (d)는 아래 수평 부분(오른쪽)의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면,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칫솔 중 이빨에 닿는 접촉부위(칫솔에 구비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 중 이빨에 접촉되는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위가 향하는 방향을 기초로 복수 개의 이빨 중 어느 부분이 닦이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단계(S210)에서, 사용자 기기(3)에서, 사용자에게 미리 지정된 부분을 닦도록 요구하는 요청인 행동요청을 표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a)와 같이 아래 바깥쪽 부분의 이빨을 닦는 이미지를 표출함으로써, 아래 바깥쪽 부분의 이빨을 닦도록 행동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정된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양치 진행-바(progrees bar)(310)를 화면에 표출하고, 그리고 상기 지정된 부분에 복수 개의 세균들(320)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상기 부분양치 진행-바(310)는 상기 지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양치가 어느 정도 완료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분양치 진행-바(310)가 채워질수록 상기 화면에 표출되는 세균들(320)의 개수가 줄어들도록 표현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에 세균(320)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양치가 0%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단계(S210)에서,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을 나타내는 상기 부분양치 진행바(310)의 진행률을 0%로 초기화할 수 있다.
단계(S211)에서, 사용자 기기(3)는, 자세감지장치(1)의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자세감지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출력값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212)에서, 단계(S211)에서 수신한 출력값을 이용하여 칫솔의 기울어진 각도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S213)에서, 현재 갱신된 각도에 따라 판단된 세치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세치위치의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갱신된 각도에 따라 판단된 세치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세치위치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14)에서, 상기 판단된 세치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세치위치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경고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는 다시 단계(S210)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다시 돌아간 단계(S210)에서는, 단계(S210)의 바로 이전 단계가 단계(S214)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10)의 바로 이전 단계가 단계(S214)였다면,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을 변경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상기 부분양치 진행-바(310)의 진행률을 0%로 초기화하지는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215)에서, 상기 판단된 세치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세치위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분양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분양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즉, 단계(S212), 단계(S213), 및 단계(S215)로 구성되는 루프를 1순환할 때에, 1순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예컨대 단계(S212), 단계(S213), 및 단계(S215)가 각각 다음 단계로 천이할 때에 미리 결정된 시간을 기다린 후에 천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210)에서 특정한 지정된 부분에 대한 세치 행동 요청을 최초로 한 때로부터 시작하여, 단계(S213)에서 상기 판단된 세치위치가 상기 미리 지정된 부분의 세치위치와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운트 값을 저장하기 위한 카운트 파라미터가 상기 사용자기기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10)에서 특정한 지정된 부분에 대한 세치 행동 요청을 최초로 요청할 때에, 상계(S210)에서는 상기 카운트 파라미터의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
단계(S215)에서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15)에서는 새로운 세치위치를 지정하고, 그리고 단계(S215)로부터 단계(S210)로 천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S215)에서 상기 카운트한 횟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15)에서는 새로운 세치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그리고 단계(S215)로부터 단계(S212)로 천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윗앞니의 바깥면에 대한 양치가 진행 중인 상태로서, 부분양치 진행-바(310)의 완료 진행 표시를 미리 결정된 도형(315)을 추가함으로써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부분양치 진행-바(310)에는 도 8의 (d)와 같이, 총 5개의 도형(315)이 채워질 수 있으며, 도 8의 (b)는 부분양치가 20% 진행된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의 (c)는 부분양치가 40% 진행된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d)는 부분양치가 90% 진행된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자세감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9b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정면도, 도 9c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배면도, 도 9d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좌측면도, 도 9e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우측면도, 도 9f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평면도, 및 도 9g는 칫솔자세감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도 1에 도시한 자세감지장치(1)의 다른 예일 수 있다.
칫솔자세감지장치(400)는 본체(410) 및 상기 본체(410)에 결합된 홀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420)는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410)에는 자이로센서 및 통신부가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버튼(4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411)은 도 2에서 도시한 버튼(15)을 의미할 수 있다.
홀더부(420)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42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422)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422)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4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422)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의 자세를 판단하는 칫솔자세 판단방법으로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상태를 취한상태임을 알리는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칫솔자세 판단방법.
  2.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닦고 있는 이빨의 위치를 추정하는 세치(洗齒)위치 판단방법으로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기준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상태를 취한상태임을 알리는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및 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어금니가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빨 중 왼쪽 이빨이 닦인 제1누적시간과 오른쪽 이빨이 닦인 제2누적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누적시간과 상기 제2누적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6. 사용자 기기에서, 칫솔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칫솔자세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닦고 있는 이빨의 위치를 추정하는 세치(洗齒)위치 판단방법으로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가 결합된 상기 칫솔의 기준자세를 묘사하는 묘사정보, 및 상기 칫솔이 상기 기준자세를 갖도록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기준자세가 취해졌음을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칫솔을 이용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 이빨을 닦으라고 요청하는, 세치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세치행동 요청단계;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1회 이상 수신하여, 상기 출력값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출력값을 기초로 상기 칫솔이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왼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왼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상기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빨들 중 오른쪽 이빨이 닦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세치위치를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세치위치가 상기 세치행동 요청단계에서 지정된 세치위치와 다른 경우 경고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는,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상기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치위치 판단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는,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상기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자세 판단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자세감지장치는,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통신부가 수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된 홀더부로서 상기 칫솔의 손잡이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칫솔의 손잡이의 일단부를 끼우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의 입구에는 상기 포켓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들로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가 상기 포켓에 끼워지면 상기 일단부에 접촉된 상기 돌기들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변형에 따른 상기 돌기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돌기들이 상기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포켓과 상기 돌기들을 이중사출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칫솔자세 판단방법.
KR1020170104127A 2016-12-26 2017-08-17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KR20180075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27A KR20180075361A (ko) 2016-12-26 2017-08-17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KR1020170154841A KR101989415B1 (ko) 2017-08-17 2017-11-20 칫솔 자세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8806 2016-12-26
KR1020160178806 2016-12-26
KR1020170104127A KR20180075361A (ko) 2016-12-26 2017-08-17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86A Division KR20190019800A (ko) 2017-11-20 2017-11-20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361A true KR20180075361A (ko) 2018-07-04

Family

ID=6291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27A KR20180075361A (ko) 2016-12-26 2017-08-17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54A1 (ko)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라데이 상자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WO2020032291A1 (ko) * 2018-08-08 2020-02-13 비아이에스그룹(주) 치아 식별형 iot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54A1 (ko)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라데이 상자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WO2020032291A1 (ko) * 2018-08-08 2020-02-13 비아이에스그룹(주) 치아 식별형 iot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7352B1 (en) Toothbrush orientation system
US20220354625A1 (en) Oral hygiene system with visual recognition for compliance monitoring
WO2016104442A1 (ja) 歯ブラシモジュール、歯ブラシ用アタッチメント、歯磨き補助システム、歯磨き評価システム、歯磨き補助装置、及び歯磨き補助プログラム
US10064711B1 (en) Smart toothbrush and floss method and system
CN108066030A (zh) 口腔护理系统和方法
US20220079329A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CN110403345A (zh) 牙刷系统
CN111918620B (zh) 用于测量口弓几何形状和基于口弓测量选择牙套的系统和方法
JP6690166B2 (ja) 歯ブラシモジュール、及び歯磨支援システム
US20220151754A1 (en) Oral care method using electric toothbrush which is capable of being interlinked with application
KR20180075361A (ko)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KR101565516B1 (ko) 칫솔 부착용 패치와 이를 이용한 양치 학습방법
CN108430264B (zh) 用于提供刷洗过程反馈的方法和系统
CN111587077B (zh) 确定口部护理设备的位置
CN111724877A (zh) 刷牙评价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383750A (zh) 刷牙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101989415B1 (ko) 칫솔 자세 감지 장치
KR20190019800A (ko) 칫솔자세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감지장치
KR20190056944A (ko) 스마트 칫솔과 연동되는 양치 가이드 모듈 및 스마트 칫솔과 양치 가이드 모듈로 구성되는 스마트 칫솔 시스템
US11534034B2 (en) Smart soap
KR20230055835A (ko)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양치 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