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108A - 액체 분리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리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108A
KR20180075108A KR1020160179066A KR20160179066A KR20180075108A KR 20180075108 A KR20180075108 A KR 20180075108A KR 1020160179066 A KR1020160179066 A KR 1020160179066A KR 20160179066 A KR20160179066 A KR 20160179066A KR 20180075108 A KR20180075108 A KR 2018007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present
liquid separa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균
Original Assignee
오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균 filed Critical 오일균
Priority to KR102016017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108A/ko
Publication of KR2018007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원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체를 포함하는 식재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액체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사이드격벽(110)과 바닥부(120)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 뚜껑(200)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음식이 담겨지는 바닥면이 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액체 분리 격벽(300):을 포함하는, 액체 분리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포장 용기에 담겨지는 액체를 포함하는 식재에 대해, 액체의 범람 없이 식재를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분리 포장 용기{PACKING CONTAINER FOR PICKLED RADISHES}
본원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체를 포함하는 식재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액체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대한 배달과 테이크 아웃이 보편화되면서, 주된 음식 뿐만 아니라 보조 음식에 맞춰진 포장 용기가 널리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는 종이로 제조되고, 각각의 격벽을 통해 제공되는 포장용기류와 소량의 반찬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액체를 담아서 포장하는 용기는 플라스틱 용기에 그 상부에 탈착 가능한 캡으로 구성된 용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단순히 국물 등의 음식을 담을 때에는 용기와 캡으로 구성된 용기가 편리하지만, 음식류 중에 액체와 더불어 액체에 포함되는 식재를 함께 포장하되, 취식을 할 때에는 식재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에 있어서 액체의 처리 문제가 해결되지 못해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종래의 기술 중의 하나로서 치킨과 함께 개별 포장되는 치킨 무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용기에 액체와 무를 함께 포장하고 용기의 윗부분은 필름류로 열압착 시켜 포장을 하되, 이를 취식하는 사람은 필름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범람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된 치킨 무와 별개로 플라스틱 칼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포장 용기 내의 액체의 범람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으며, 범람으로 인한 식취 거부감의 발생 또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액체류를 포함하여 그 액체에 담지되는 식재를 포장함에 있어서, 액체류를 위생적이면서 편리하게 제거하고, 액체에 담지된 식재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액체 분리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사이드격벽과 바닥부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음식이 담겨지는 바닥면이 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액체 분리 격벽:을 포함하는, 액체 분리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은 전체 또는 일부가 위생 박막 필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은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은 무와 국물을 포함하는 동치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포장 용기에 담겨지는 액체를 포함하는 식재에 대해, 액체의 범람 없이 식재를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의 투영 사시도
도 2는 기울어진 형태 및 일부에 형성된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의 투영 사시도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 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사이드격벽(110)과 바닥부(120)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 뚜껑(200)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음식이 담겨지는 바닥면이 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액체 분리 격벽(300):을 포함하는, 액체 분리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은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육각기둥의 경우에는 사이드격벽(110)이 4개가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하나의 곡면이 둘러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격벽과 바닥부(120)는 용기 본체를 이루면서 상호 연결되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통상 상기 용기 본체(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질 플라스틱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삽탈식 또는 열접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플라스틱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질 박말의 필름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특징으로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300)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면서, 사이드격벽(100)과 연결되면서 음식이 담겨지는 공간(S1)과 그 하부에 빈공간(S2)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액체 분리 격벽(300)의 상부는 음식이 담겨지는 바닥면이 되고, 그 하부쪽은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은 전체 또는 일부(도 2의 인출번호 320 참조)가 위생 박막 필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생 박말 필름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날카로운 도구, 예시적으로 이쑤시개와 같은 도구를 통해 통공을 쉽게 뚫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기울어진 형태 및 일부에 형성된 박막 필름을 포함하는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의 투영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300)은 상기 용기의 바닥부(120)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체 분리 격벽(300)이 도 1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위생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쑤시개와 같은 통공수단을 통해 상기 용기 뚜껑(200)의 불특정 부위에서 뚫어서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일부에 위생 박막 필름이 형성된 경우에는 통공 가이드 표시부(210)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부위에 이쑤시개를 통해 통공을 형성시키면서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의 일부에 형성된 위생 박막 필름(320)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의 일부가 폴리에틸렌인 경우 액체 분리 격벽의 나머지 부분(310)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경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에 담겨지는 음식은 음식은 무와 국물을 포함하는 동치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무지, 마늘장아찌 등 액체를 통해 식재가 포장될 수 있는 음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도 3의 I - II선 단면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식재와 액체가 포함되는 본원의 액체 분리 포장 용기를 이쑤시개(T)를 통공 가이드 표시부(210)를 향해 수직으로 뚫은 다음 계속해서 하강시켜 폴리에틸렌 재질의 액체 분리 격벽의 일부(320)에 통공을 형성시키게 되면, 음식이 담겨지는 공간(S1)의 액체는 통공을 통해 과 그 하부에 빈공간(S2)으로 일정량이 흐르게 되고, 예시적으로 박막 필름으로 열압착으로 밀폐시킨 용기 뚜껑(200)을 제거할 때, 포장용기 내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종전과 같이 액체를 모두 버리고 식재만 취식하는 경우와 달리 액체가 어느 정도 담겨지게 되므로, 취식의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다.
100 : 용기 본체 110 : 사이드격벽
120 : 바닥부 200 : 용기 뚜껑
300 : 액체 분리 격벽

Claims (4)

  1. 사이드격벽과 바닥부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음식이 담겨지는 바닥면이 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액체 분리 격벽:을 포함하는,
    액체 분리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은 전체 또는 일부가 위생 박막 필름인 것인,
    액체 분리 포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리 격벽은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인 것인,
    액체 분리 포장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은 무와 국물을 포함하는 동치미인 것인,
    액체 분리 포장 용기.
KR1020160179066A 2016-12-26 2016-12-26 액체 분리 포장용기 KR20180075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66A KR20180075108A (ko) 2016-12-26 2016-12-26 액체 분리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66A KR20180075108A (ko) 2016-12-26 2016-12-26 액체 분리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108A true KR20180075108A (ko) 2018-07-04

Family

ID=6291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066A KR20180075108A (ko) 2016-12-26 2016-12-26 액체 분리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965B1 (ko) * 2021-01-15 2021-07-21 이창현 치킨 무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965B1 (ko) * 2021-01-15 2021-07-21 이창현 치킨 무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0346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KR101211620B1 (ko) 액체 컨테이너용 투입 캡슐
KR101752031B1 (ko) 식품 제조 기계로부터 식료품을 제조하기 위한 캡슐
EP1907300B1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storing food
US9919859B2 (en) Cup with pull-through sleeve
JP2004203491A (ja) 液体食品製品添加物分離維持装置
WO2002064494A1 (en) Portable, stacked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ely storing and dispensing two consumable products, especially cereal and milk
US10391035B2 (en) Medication system with a medication tray and method for creating a delivery-ready medication system
US20140208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goods
US20150360844A1 (en) Container including a capsule for dispensing contents into the container
KR20180075108A (ko) 액체 분리 포장용기
RU2503598C2 (ru) Контейнер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US10633166B2 (en) Food container assembly
US20160272399A1 (en) Universal glove dispenser
KR200477954Y1 (ko) 국수 포장에 구비되는 일인 분 국수 계량 수단
JP2012197110A (ja) ガセット袋及び詰替容器セット
SE513048C2 (sv) Emballage för glass
JP2022130250A (ja) 多層構造食品容器
JP2017114514A (ja) 飲料用容器の蓋体
RU2683983C1 (ru) Полый элемент, подлежащий прикреплению к упаковк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казанного полого элемента
KR20150095179A (ko) 빨대 저장부를 가지는 액체 파우치
KR101648942B1 (ko) 음식용 밀폐 용기
KR101634605B1 (ko) 병 용기 내용물 유동 방지용 텐션 홀더
GB2418196A (en) Collapsible fluid containers, particularly disposable babies' bottles
JP2004001841A (ja) 流動体等を収容する容器及びその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