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235A -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235A
KR20180074235A KR1020160178117A KR20160178117A KR20180074235A KR 20180074235 A KR20180074235 A KR 20180074235A KR 1020160178117 A KR1020160178117 A KR 1020160178117A KR 20160178117 A KR20160178117 A KR 20160178117A KR 20180074235 A KR20180074235 A KR 2018007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probe
image
hifu
pro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환
Original Assignee
문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환 filed Critical 문지환
Priority to KR102016017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235A/ko
Publication of KR2018007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7/02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racavi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2Ultrasound therapy using the same transducer for therapy and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는 인체에 삽입되는 프로브와, 프로브를 제어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프로브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프로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모션 기법으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프로브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와, 데이터 수신부 내지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THERAPY DEVICE FOR PROSTATE DISEASES USING ONEBODY TRANSDUCER}
본 발명은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립선 관련 질환은 성인 남성에게 가장 빈발하는 질환 중 하나로서, 많은 사람들이 전립선염을 비롯하여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 발기부전 등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그 중전립선염(Prostatitis)은 50세 이하의 청장년에서 가장 흔한 전립선 질환이다.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비뇨기과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조사해 본 결과, 약 25%가 전립선염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들은 일평생 살아가면서 약 50%에서 전립선염의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특히 전립선염은 '임상학적인 무식함의 쓰레기통'이라고 할 만큼 병의 원인과 치료 방법이 아직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알려진 전립선염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나 알파 차단제 등의 약물 요법과 전립선 마사지나 온수좌욕과 같은 일반요법이 있고, 외과적 치료법으로 초단파 온열요법과 레이저 치료가 있다.
전립선염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이 전립선 비대(BP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로서, 남성이 50대가 되면 전립선 내부에 비대성 병변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방광 출구를 둘러싸고 있는 전립선이 비대하면 우선 그 부위를 압박하여 요도가 좁아지므로 방광에서 나오는 오줌줄기가 가늘어지며, 비대의 정도가 점점 심해 가면서 오줌 누기도 점점 어렵게 된다. 50대는 50%, 60대는 60%, 70대는 70% 정도가 전립선 비대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을 만큼 전립선 비대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남성 성인병이다.
치료 방법으로는 라디오파를 이용하여 전립선 조직을 괴사 시키는 튜나(TUNA)요법과 초음파 요법(HIFU)등이 있으며, 수술요법으로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URP)이 있다. 약물 치료도 병행하고 있으나 전립선 조직의 특수성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중에서 종래의 초음파 요법에 사용되는 전립선용 HIFU 장비는 HIFU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프로브와 영상용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 영상 프로브가 각각 사용되었다. 그래서 전립선암 등의 시술 때 2개의 프로브를 번갈아 가며 항문에 삽입해 진단과 치료를 반복하였다. 그 과정에서 위치와 방향이 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 맵핑(Mapping)에 대한 별도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후 하나의 프로브(200)에 앞면에는 트랜스듀서(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뒷면에는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를 가진 일체형 프로브(200)가 등장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일체화시킨 제품은 아니었기에, 시술 때는 진단과 치료를 위해 프로브를 번갈아 가며 삽입을 한다는 단점은 그대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다른 기존 기술로는 진단을 위한 영상장비로 MRI를 이용한 HIFU(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시술장비의 등장이다. MRI를 이용함으로써 초음파 영상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었지만, 실시간으로 영상을 관찰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MRI의 자기장에 HIFU 프로브가 기능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설계해야 한다는 기술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6562호(2005.05.18)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트랜스듀서(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를 일체화시킬 수 있는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는 인체에 삽입되는 프로브와, 프로브를 제어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프로브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프로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모션 기법으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프로브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와, 데이터 수신부 내지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Transducer)와 HIFU 트랜스듀서(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를 온전히 일체화시킴에 따라 진단부위와 치료부위가 일치하는 시술이 가능하고, 시술 때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체형 트랜스듀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체형 트랜스듀서의 작동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브의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체에 삽입되는 프로브(200)와, 프로브를 제어하는 본체(1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프로브(20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40)와,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60)와, 프로브(2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50)와,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모션 기법으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프로브(200)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150)와, 데이터 수신부(140) 내지 냉각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프로브(200)는 초음파를 발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HIFU 트랜스듀서(210)(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와, 전립선에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수신부(250)와, 반사파를 송신하는 송신부(260)와 HIFU 트랜스듀서(210) 및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일체형 트랜스 듀서를 발진시키는 공진부(240)를 포함한다.
HIFU 트랜스듀서(210)는 공진부(240)에서 인가되는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압이 짧은 시간동안 입력되면, 압전소자가 변형과 복원이 교대로 일어나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압전소자의 진동에너지가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이다.
압전소자는 벌크형과 필름형으로 구분되고 소재에 따라 다시 압전단결정, 압전세라믹, 압전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 본 발명에서 압전소자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로서 다른 소재보다 압전특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압전소자는 오목한 형태로 구성하여 발진된 초음파가 한점에 집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HIFU 트랜스듀서(210)에서 발진된 초음파는 한 점(3×3×12mm)에서 집속되면서 50~60℃의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를 한점에 집속시켜 전립선의 치료부위를 태우거나 절개할 수 있다.
이때, HIFU 트랜스듀서(210)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3~5MHz로 설정하고, 초음파가 치료부위에 닿는 발진거리는 2.0~5.0cm로 설정하며, 초음파 강도는 1300~2000W/cm2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는 상술한 HIFU 트랜스듀서(210)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반사파 수신부(250)와 공진부(240)는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와 일체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신체 내부에 있는 전립선을 초음파를 이용해 위치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초음파 펄스(Pulse)를 전립선에 발진하여 진단부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반사파(Echo)를 수신하고 상태를 분석해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구현된다.
여기서, 반사파는 반사파 수신부(250)에서 수신된다. 즉, 반사파 수신부(2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은 프로브(200)에 구비된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및 반사파 수신부(250)가 형성되고,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및 반사파 수신부(250)를 중심으로 HIFU 트랜스듀서(210)가 설치되어 하나의 하우징에 조립된다.
또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초음파를 인체에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정합층과 불필요한 반사파 신호를 방어해주는 역할을 맡는 흡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HIFU 발진 때와는 다른 주파수를 갖게 되고, 주파수는 6~7.5MHz로 설정한다. 초음파의 발진거리는 전립선의 위치를 고려하여 3.0~4.0cm로 설정한다.
여기서, 초음파는 압전소자의 떨림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일체형인 경우에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가 서로 결합되어 떨림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HIFU 트랜스듀서(210)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서로의 떨림을 간섭하지 않고 초음파를 발진하게 된다.
시술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시술부위의 진단을 위해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를 사용할 경우에는 HIFU 트랜스듀서(210)는 동작하지 않고, 반대로 시술부위를 진단한 후에는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의 동작을 정지 및 화면 캡쳐 상태에서 HIFU 트랜스듀서(210)를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가 상호 교번적으로 작동된다. 즉,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에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온된 구간에서 HIFU 트랜스듀서(210)는 오프된다. 반대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오프된 구간에서는 HIFU 트랜스듀서(210)가 온된다.
즉, HIFU 트랜스듀서(210)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때, HIFU 트랜스듀서(210)의 사용시간은 시술부위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단 몇 초간 발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시술 시 영상의 끊김 현상은 크게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와 적어도 하나의 HIFU 트랜스듀서(210)가 구비된 프로브(2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의 제1실시예와 도 5의 제2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HIFU 트랜스듀서(21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프로브(200)는 본체(100)에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한 연결봉 컨트롤러(130)에 의하여 360도 회전가능한 연결봉(270)의 일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HIFU 트랜스듀서(21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가 설치된다.
연결봉(270)은 연결봉 컨트롤러(130)의 구동에 의해 360도 회전되어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와 HIFU 트랜스듀서(210)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넓게 출력될 수 있어 이미지의 획득범위를 넓힐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연결봉(270)에 복 수개의 HIFU 트랜스듀서(210)와 하나의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는 복 수개의 HIFU 트랜스듀서(210)의 발진거리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어 복 수개의 발진거리를 갖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복 수개의 HIFU 트랜스듀서(210) 중에서 발진거리와 시술부위가 일치하는 것만을 사용하여 발진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HIFU 트랜스듀서(21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제2 HIFU 트랜스듀서(210)가 발진하는 동안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복 수개의 트랜스듀서 중 가장 가운데 위치한 트랜스듀서는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 트랜스듀서(230) 및/또는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가 조합된 구성은 시술 및 진단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는 발진거리를 더욱 많이 갖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HIFU 트랜스듀서(210)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연결봉(270)의 양옆에 결합한다. 이 연결봉(270)은 360o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양면의 트랜스듀서를 시술부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실시예는 체내에 프로브(200)의 삽입과 동시에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작동하여 시술부위(전립선의 병변)를 확인하고, 일면에 설치된 발진거리와 시술부위가 일치하는 트랜스듀서(210, 220, 230)를 찾아서 해당 트랜스듀서만 발진을 하여 시술부위를 태워 없애 버린다. 이와 같은 트랜스듀서의 작동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160)에서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프로브(200)를 제어하거나, 프로그래밍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만약, 제2실시예는 일면에 설치된 트랜스듀서의 발진거리와 시술부위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연결봉 컨트롤러(130)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연결봉(270)을 360o로 회전시켜 B형의 트랜스듀서(210', 220', 230')가 시술부위를 향하게 위치하여 시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구현된 바와 같이, 복 수개의 HIFU 트랜스듀서(210, 210')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22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 230')를 구비함에 따라 각 트랜스듀서들의 다양한 발진거리에서 선택할 수 있어 발진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브(200)는 시술과 진단이 동시에 진행이 가능하기에 시간의 단축 및 시술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프로브(200)는 냉각을 위하여 냉각수가 순환공급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 그 일예가 소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브(200)의 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프로브(200)는 냉각수가 순환 공급되도록 튜브가 연결된다. 여기서 냉각수는 본체(100)에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부(150)로부터 공급된다. 냉각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브를 통하여 프로브(200)에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주입 및 순환시켜 프로브(200)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브(200)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데이터 수신부(140)를 통하여 온도센서의 온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냉각부(150)를 제어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프로브(200)를 인체 내부로 프로브(200)를 삽입한 뒤에 디스플레이(160)를 조작하여 영상 초음파를 발진하도록 명령어를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프로브(200)에서 설치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또는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에 구비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를 발진시킨다.
따라서,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비집속 영상용 트랜스듀서를 발진한다. 그리고 반사파 수신부(250)는 전립선에서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하여 본체(1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영상처리부(120)를 구동시키고, 영상처리부(120)는 데이터 수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반사파를 분석하여 복 수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종합한 뒤에 허상을 제거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20)는 정리된 프레임 데이터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영상획득방법은 M(Motion)-mode 기술을 이용한다. 즉, 영상처리부(120)는 전립선에 반사된 반사파(Echo)의 세기를 점의 밝기로 변환하여 움직이는 전립선의 위치와 운동을 표시한다.
이때,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을 획득할 때는 이미지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EFOVS(Extended Field of View Sonography)이라 부르며,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를 이용해 얻은 이미지를 연속 프레임을 통해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초음파 영상에서 허상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간 통합 이미징(Real time Spatial Compound Imaging) 기술을 적용함도 가능하다. 이는 여러 방향의 각도로부터 얻은 정보를 빠르게 분석하여 하나의 초음파 영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초음파 영상의 허상의 제거로 해상도가 높아지고, 시술 전후의 이미지 대조가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후, 시술자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하여 출력된 영상을 통해 시술부위를 확인하고, 영상용 초음파의 발진을 일시 정지후 HIFU 트랜스듀서(210)를 구동시켜 시술용 초음파를 발진시킨다. 이후 시술 결과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고,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160)에 출력되는 영상을 이미지로서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전과 후를 비교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는 이미지와 환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별도 저장장치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HIFU와 초음파 영상의 일체형 프로브(200)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제어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연결봉 컨트롤러
140 : 데이터 수신부 150 : 냉각부
160 : 디스플레이 200 : 프로브
210, 210', 220, 220' : HIFU 트랜스듀서
230 : 일체형 트랜스듀서 240 : 공진부
250 : 반사파 수신부 260 : 송신부
270 : 연결봉

Claims (1)

  1. 인체에 삽입되는 프로브(200)와, 프로브(200)를 제어하는 본체(10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0)는 프로브(20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40)와,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60)와, 프로브(2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50)와, 데이터 수신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모션 기법으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프로브(200)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부(150)와, 데이터 수신부(140) 내지 냉각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200)는 시술용 초음파를 발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HIFU 트랜스듀서(210)와, 영상용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와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중 적어도 하나와, 전립선에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수신부(250)와, 반사파를 본체(100)에 송신하는 송신부(260)와, HIFU 트랜스듀서(210)와 일체형 트랜스 듀서를 발진시키는 공진부(240)와, 적어도 일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와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중에서 설치되는 연결봉(270)을 포함하고,
    상기 HIFU 트랜스듀서(210)는 공진부(240)에서 인가되는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압이 짧은 시간동안 입력되면, 압전소자가 변형과 복원이 교대로 일어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는 신체 내부에 있는 전립선을 초음파를 이용해 위치를 진단할 수 있도록 초음파 펄스(Pulse)를 전립선에 발진하여 진단부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반사파(Echo)를 수신하고
    상기 일체형 트랜스듀서(230)는
    중심부에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및 반사파 수신부(250)가 형성되고,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 및 반사파 수신부(250)를 중심으로 HIFU 트랜스듀서(210)가 설치되어 하나의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일체형 트랜스듀서(230)의 초음파 영상 트랜스듀서(220)와 HIFU 트랜스듀서(210)는 상호 교번적으로 온오프되고,
    상기 연결봉(270)은 상기 연결봉(270)컨트롤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KR1020160178117A 2016-12-23 2016-12-23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KR20180074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7A KR20180074235A (ko) 2016-12-23 2016-12-23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7A KR20180074235A (ko) 2016-12-23 2016-12-23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35A true KR20180074235A (ko) 2018-07-03

Family

ID=6291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117A KR20180074235A (ko) 2016-12-23 2016-12-23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6853B2 (en) 2019-05-10 2024-02-13 University Of Washington Transrectal ultrasound probe for boiling histotripsy ablation of prostat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6853B2 (en) 2019-05-10 2024-02-13 University Of Washington Transrectal ultrasound probe for boiling histotripsy ablation of prostat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7646B2 (ja) 治療・影像用体腔プローブと、それを用いた治療装置
JP4095729B2 (ja) 治療用超音波装置
US5391140A (en) Therapy apparatus for locating and treating a zone in the body of a life form with acoustic waves
US6361500B1 (en) Three transducer catheter
JP3300419B2 (ja) 血栓溶解治療装置
US20110144544A1 (en) Ultrasound transducer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JPH03251240A (ja) 超音波治療装置
JP2012213646A (ja) 凝血塊を溶解するために組み合わされたイメージング及び治療トランスデューサを使用する方法
JP2007160093A (ja) 高強度焦点超音波システム及び高強度焦点超音波システム用結合ヘッド
JP2727536B2 (ja) 体腔内診断装置
JP2020000625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作動方法
KR20180074235A (ko) 발진거리의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프로브를 구비한 전립선 치료장치
JPH07227395A (ja) 超音波診断治療システム
Shung et al. High frequency ultrasound: a new frontier for ultrasound
Stanghvi et al. Ultrasound intracavity system for imaging, therapy planning and treatment of focal disease
JP2003339700A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H10192289A (ja) 超音波治療装置
JPH10127678A (ja) 超音波診断治療装置
CN211131274U (zh) 超声体内/腔内碎石探头
JP2005124920A (ja) 超音波診断治療装置
JP2000254137A (ja) 超音波治療装置
Thorsen et al. Basic physics of ultrasonography
JP7300029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作動方法
US20230404530A1 (en) Pelvic floor diagnostic-therapeutic treatment chair
JPH04338462A (ja) 超音波治療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