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172A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172A
KR20180074172A KR1020160177986A KR20160177986A KR20180074172A KR 20180074172 A KR20180074172 A KR 20180074172A KR 1020160177986 A KR1020160177986 A KR 1020160177986A KR 20160177986 A KR20160177986 A KR 20160177986A KR 20180074172 A KR20180074172 A KR 2018007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hole
electro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빈종관
서보민
유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172A/ko
Publication of KR2018007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7F7/081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H01L27/3248
    • H01L27/3262
    • H01L51/006
    • H01L51/0094
    • H01L51/5044
    • H01L51/5056
    • H01L51/5088
    • H01L51/5096
    • H01L51/527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아민기가 바이페닐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아민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실릴기를 가지지 않거나, 2개보다 많은 실릴기를 가지는 치환기가 질소 원자에 연결된 경우에 비하여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에 적용하면, 발광 효율이 향상되고, 전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공 이동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표시소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평면표시소자 중 하나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라고도 불리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낮은 전압에서 (10V 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순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소재의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유기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서 엑시톤(Exciton)을 형성되고 이 에너지에 의하여 유기발광층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는데, 유기 화합물이 여기 상태에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에너지 전이가 발생하고, 발생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여 발광한다.
유기발광층은 발광물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갖거나, 발광 효율 향상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고 백색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소자들을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탠덤(tandem)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는, 각 단위 소자에 양전하 및 음전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하여 각 단위 소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을 포함한다.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유기 소재는 크게 발광 소재와 전하 수송 소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하 수송 소재는 정공 주입 소재, 정공 수송 소재, 전자 수송 소재, 전자 주입 소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낮은 전류 밀도는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에 강한 스트레스를 인가하므로 소재의 안정성 및 소자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정공 수송층이나 정공 주입층의 에너지 준위를 조절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26463호에서는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전하 이동물질을 유기층에 적용하여 유기층의 열화를 억제하고 화소 축소를 방지함으로써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전하 수송 소재는 충분한 전류 밀도가 확보되지 못하였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지고 있는 유기 화합물과, 상기 유기 화합물을 적용하여 발광 효율 및 수명이 개선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아민기가 바이페닐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릴기를 가지는 치환기는 아릴기 또는 헤테로 아릴기와 같은 방향족 치환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아민기가 바이페닐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이 유기발광층, 예를 들어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과 같은 공통층에 적용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발광 소자로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아민기가 바이페닐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은 2개의 아민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정공 수송이나 정공 주입 특성, 전하 생성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요구되는 유기물층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발광 효율이 향상되어 소자의 전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자를 구동할 때 부하를 감소시켜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정공층, 전하생성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 또는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소자 수명 개선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되며, 고 순도의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5은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NMR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FT-MS(푸리에 변환 질량 분광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a와 도 17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전자차단층에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external quantum effinciency, 외부양자효율)와, 파장-EL(electroluminescence, 전계발광)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a와 도 18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정공수송층에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와, 파장-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a와 도 19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에 적용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와, 파장-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기 화합물]
본 발명은 2개의 아민기가 바이페닐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L1 내지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실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렌기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렌기임; a, b, c,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임;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내지 A4 중에서 1개 또는 2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릴기로 치환됨)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B1 내지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본 명세서에서 '치환되지 않은'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란, 수소 원자가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수소 원자는 경수소, 중수소 및 삼중수소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된'에서 치환기는 예를 들어,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할로겐, 시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카르보닐기, 아민기, C1~C8 알킬치환 아민기, C5~C30 아릴치환 아민기, C4~C30 헤테로아릴치환 아민기, 니트로기, 하이드라질기(hydrazyl group), 술폰산기, C1~C20 알킬 실릴기, C1~C20 알콕시 실릴기, C3~C30 사이클로알킬 실릴기, C5~C30 아릴 실릴기, C4~C30 헤테로아릴 실릴기, C5~C30 아릴기, C4~C30 헤테로 아릴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 방향족 고리', '헤테로 사이클로알킬렌기', '헤테로 아릴렌기', '헤테로 아릴알킬렌기', '헤테로 아릴옥실렌기', '헤테로 사이클로알킬기', '헤테로 아릴기', '헤테로 아릴알킬기', '헤테로 아릴옥실기', '헤테로 아릴 아민기' 등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는 이들 방향족(aromatic) 또는 지환족(alicyclic)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개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가 N, O, S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R1 내지 R8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기와 같은 방향족 치환기일 수 있다. 일례로,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페닐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펜탄레닐기, 인데닐기, 인데노인데닐기, 헵탈레닐기, 바이페닐레닐기, 인다세닐기, 페날레닐기, 페난트레닐기, 벤조페난트레닐기, 디벤조페난트레닐기, 아줄레닐기, 파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닐레닐기, 크라이세닐기, 테트라페닐기, 테트라세닐기, 플레이다에닐기, 파이세닐기, 펜타페닐기, 펜타세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노플루오레닐기 또는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되지 않거나 축합된(fused) 호모 아릴기, 및/또는 피롤릴기, 피리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테트라지닐기, 이미다졸일기, 피라졸일기, 인돌일기, 이소인돌일기, 인다졸일기, 인돌리지닐기, 피롤리지닐기, 카바졸일기, 벤조카바졸일기, 디벤조카바졸일기, 인돌로카바졸일기, 인데노카바졸일기, 벤조퓨로카바졸일기, 벤조티오카바졸일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시놀리닐기, 퀴나졸리닐기, 퀴노졸리닐기, 퀴놀리지닐기, 퓨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벤조퀴놀리닐기, 벤조이소퀴놀리닐기, 벤조퀴나졸리닐기, 벤조퀴녹살리닐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 페리미디닐기, 페난트리디닐기, 프테리디닐기, 신놀리닐기, 나프타리디닐기, 퓨라닐기, 파이라닐기, 옥사지닐기, 옥사졸일기, 옥사디아졸일기, 트리아졸일기, 디옥시닐기, 벤조퓨라닐기, 디벤조퓨라닐기, 티오파이라닐기, 잔테닐기, 크로메닐기, 이소크로메닐기, 티오아지닐기, 티오페닐기, 벤조티오페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디퓨로피라지닐기, 벤조퓨로디벤조퓨라닐기, 벤조티오디벤조퓨라닐기 또는 N-치환된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되지 않거나 축합된 헤테로 아릴기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1에서 링커(연결기)인 L1 내지 L4는 방향족 연결기일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L1 내지 L4가 방향족 연결기인 경우, L1 내지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페닐렌기(phenylene), 바이페닐렌기(biphenylene), 터페닐렌기(terphenylene), 테트라페닐렌기(tetraphenylene), 인데닐렌기(indenylene), 나프틸렌기(naphthylene), 아줄레닐렌기(azulenylene), 인다세닐렌기(indacenylene), 아세나프틸렌기(acenaphthylene), 플루오레닐렌기(fluorenylene), 스파이로-플루오레닐렌기, 페날레닐렌기(phenalenylene), 페난트레닐렌기(phenanthrenylene), 안트라세닐렌기(anthracenylene), 플루오란트레닐렌기(fluoranthrenylene), 트리페닐레닐렌기(triphenylenylene), 파이레닐렌기(pyrenylene), 크라이세닐렌기(chrysenylene), 나프타세닐렌기(naphthacenylene), 피세닐렌기(picenylene), 페릴레닐렌기(perylenylene), 펜타페닐렌기(pentaphenylene), 헥사세닐렌기(hexacenylene), 피롤릴렌기(pyrrolylene), 이미다졸일렌기(imidazolylene), 피라졸일렌기(pyrazolylene), 피리디닐렌기(pyridinylene), 피라지닐렌기(pyrazinylene), 피리미디닐렌기(pyrimidinylene), 피리다지닐렌기(pyridazinylene), 트리아지닐렌기(triazinylene), 이소인돌일렌기(isoindolylene), 인돌일렌기(indolylene), 인다졸일렌기(indazolylene), 푸리닐렌기(purinylene), 퀴놀리닐렌기(quinolinylene), 이소퀴놀리닐렌기(isoquinolinylene), 벤조퀴놀리닐렌기(benzoquinolinylene), 프탈라지닐렌기(phthalazinylene), 나프티리디닐렌기(naphthyridinylene), 퀴녹살리닐렌기(quinoxalinylene), 퀴나졸리닐렌기(quinazolinylene), 벤조퀴놀리닐렌기, 벤조이소퀴놀리닐렌기, 벤조퀴나졸리닐렌기, 벤조퀴녹살리닐렌기, 시놀리닐렌기(cinnolinylene), 페난트리디닐렌기(phenanthridinylene), 아크리디닐렌기(acridinylene), 페난트롤리닐렌기(phenanthrolinylene), 페나지닐렌기(phenazinylene), 벤즈옥사졸일렌기(benzoxazolylene), 벤즈이미다졸일렌기(benzimidazolylene), 퓨라닐렌기(furanylene), 벤조퓨라닐렌기(benzofuranylene), 파이라닐렌기(pyranylene), 티오페닐렌기(thiophenylene), 벤조티오페닐렌기(benzothiophenylene), 티오파이라닐렌기(thiopyranylene), 티아졸일렌기(thiazolylene), 이소티아졸일렌기(isothiazolylene), 벤조티아졸일렌기(benzothiazolylene), 이소옥사졸일렌기(isoxazolylene), 옥사졸일렌기(oxazolylene), 트리아졸일렌기, 테트라졸일렌기, 옥사디아졸일렌기(oxadiazolylene), 트리아지닐렌기(triazinylene), 디벤조퓨라닐렌기(dibenzofuranylene), 디벤조티오페닐렌기(dibenzothiophenylene), 카바졸일렌기, 벤조카바졸일렌기, 디벤조카바졸일렌기, 인돌로카바졸일렌기, 인데노카바졸일렌기, 이미다조피리미디닐렌기(imidazopyrimidinylene) 및 이미다조피리디닐렌기(imidazopyridinylen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화학식 1에서 L1 내지 L4를 구성하는 방향족 고리의 개수가 많아지면, 전체 유기 화합물에서 공액화(conjugated) 구조가 지나치게 길어져서, 유기 화합물의 에너지 밴드갭이 지나치게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L1 내지 L4를 구성하는 방향족 고리의 개수는 1 내지 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이다. 또한, 정공의 주입 및 이동 특성과 관련해서, L1 내지 L4는 각각 5-원자 고리(5-membered ring) 내지 7-원자 고리(7-membered ring)일 수 있으며, 특히 6-원자 고리(6-membered ring)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내지 L4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페닐렌기, 피리디닐렌기, 피라지닐렌기, 피리미디닐렌기, 피리다지닐렌기, 트리아지닐렌기, 파이라닐렌기, 티오페닐렌기 또는 티오파이라닐렌기이다.
또한, 화학식 2에서 B1 내지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 알킬기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2개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아민기는 1개 또는 2개의 실릴기로 치환된 작용기와 연결된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삼중항 에너지 준위가 높아서 전자 저지 능력이 우수하며,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에 적용하면, 발광 소자에서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향상되므로, 발광물질층으로의 정공 주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물질층에서 생성된 엑시톤이 정공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물질층에서 전하 불균형에 따라 정공층과의 계면 발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에 적용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발광 효율이 향상되어 발광 소자의 전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 소자의 구동에 따른 부하를 감소시켜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의 정공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에 적용하면, 발광물질층으로의 정공 주입이나 정공 수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수송 능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 깊은 최저 비점유 분자궤도 함수(deep LUMO)를 가지는 화합물이나 정공 주입 물질을 도핑하여 전하생성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자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유기물층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양극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한 정공은 유기발광층 방향인 음극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하 생성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 예를 들어 정공수송층 및/또는 정공주입층과 같은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에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정공 주입 물질이나 정공 수송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2개의 아민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1개 또는 2개의 실릴기로 치환된 작용기가 2개의 아민기에 연결되어, 정공 이동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에 적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효율 향상에 따라, 발광 소자의 전류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소자 구동에 의한 부하가 감소되면서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및 표시장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공 이동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 등과 같은 유기물층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유기물층에 적용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110) 및 제 2 전극(120)과,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13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130)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141)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142)으로 이루어지는 정공층(140)과,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144)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146)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148)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10)은 일함수(work function)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양극(anode)이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1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인듐-주석-아연-산화물(indium-tin-zinc oxide; ITZO), 인듐-구리-산화물(indium-copper-oxide; ICO), 아연산화물(ZnO) 및/또는 알루미늄:아연산화물(Al:ZnO; AZO)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12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음극(cathode)이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120)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 예를 들어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유닛(130)을 구성하는 발광물질층(144)은 호스트(host)에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발광물질층(140)이 청색(B) 광을 발광할 경우, 발광물질층(140)은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광 호스트 물질에 형광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물질층에 사용되는 형광 호스트 물질은 4,4'-비스(2,2'-디페닐비닐)-1,1'-비페닐(4,4'-bis(2,2'-diphenylyinyl)-1,1'-biphenyl; DPVBi), 9,10-디-(2-나프틸)안트라센(9,10-di-(2-naphtyl)anthracene; ADN), 2,5,8,11-테트라-t-부틸페릴렌(tetra-t-butylperylene; TBADN), 2-터르-부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2-tert-butyl-9,10-di(2-naphthyl)anthracene), 2-메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2-methyl-9,10-di(2-naphtyl)anthracene; MADN), 및/또는 2,2',2"-(1,3,5-벤자인트리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 TBPi)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발광물질층(144)이 청색 발광을 하는 경우, 청색 형광 도펀트 물질은 4,4'-비스(9-에틸-3-카바조비닐렌)-1,1'-바이페닐(4,4'-bis(9-ethyl-3-carbazovinylene)-1,1'-biphenyl; BCzVBi) 및/또는 디페닐-[4-(2-[1,1;4,1]테트라페닐-4-일-비닐)-페닐]-아민(diphenyl-[4-(2-[1,1;4,1]terphenyl-4-yl-vinyl)-phenyl]-amine; BD-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층(144)이 녹색(G) 광을 발광할 경우, 상기 발광물질층(144)은 카바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호스트 물질에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도펀트(예를 들어, Ir(ppy)3, Ir(mppy)3 등)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층(144)이 적색(R) 광을 발광할 경우, 상기 발광물질층(144)은 카바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호스트 물질에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도펀트(예를 들어, Btp2Ir(acac) 등)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펀트 소재는 호스트 소재를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전자수송층(146)은 발광물질층(144)과 제 2 전극(120)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주입층(148)은 전자수송층(146)과 제 2 전극(120) 사이에 위치한다.
일례로, 전자수송층(146)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수송층(146)은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2-바이페닐-4-일-5-(4-터셔리-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biphenyl-4-yl-5-(4-t-butylphenyl)-1,3,4-oxadiazole; PBD), 스파이로-PBD, 리튬 퀴놀레이트(lithium quinolate; Liq), 2-[4-(9,10-디-2-나프탈레닐-2-안트라세닐)페닐]-1-페닐-1H-벤즈이미다졸(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 3-(바이페닐-4-일)-5-(4-터르부틸페닐)-4-페닐-4H-1,2,4-트리아졸(3-(biphenyl-4-yl)-5-(4-tertbutylphenyl)-4-phenyl-4H-1,2,4-triazole; TAZ),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 트리스(페닐퀴녹살린)(tris(phenylquinoxaline; TPQ) 및 1,3,5-트리스(N-페닐벤즈이미다졸-2-일)벤젠(1,3,5-tris(N-phenylbenzimiazole-2-yl)benzene; TPBi)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에, 전자수송층(146)은 전술한 유기 물질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금속 화합물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은 전술한 유기 화합물을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수송층(146)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성분은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및 세슘(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및/또는 마그네슘(Mg),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과 같은 알칼리토금속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전자수송층(146)은 단층 구조가 아니라 2개 이상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주입층(148)의 소재로는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lithium quinolate), 리튬 벤조에이트(lithium benzo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44) 사이에 정공층(14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공층(140)은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44)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141)과, 정공주입층(141)과 발광물질층(144)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142)을 포함한다.
정공주입층(141)은 무기물인 제 1 전극(110)과 유기물인 정공수송층(142)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141)은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MTDATA, m-MTDATA), 프탈로시아닌구리(copper phthalocyanine; CuPc), 트리스(4-카바조일-9-일-페닐)아민(Tris(4-carbazoyl-9-yl-phenyl)amine; TCTA),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바이페닐-4,4"-디아민(N,N'-diphenyl-N,N'-bis(1-naphthyl)-1,1'-biphenyl-4,4"-diamine; NPB; NPD), 1,4,5,8,9,11-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보니트릴(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HAT-CN), 1,3,5-트리스[4-(디페닐아미노)페닐]벤젠(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DAPB),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phene)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2,3,5,6-tetrafluoro-7,7,8,8-tetracyanoquinodimethane;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N-(biphenyl-4-yl)-9,9-dimethyl-N-(4-(9-phenyl-9H-carbazol-3-yl)phenyl)-9H-fluoren-2-amin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141)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은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에, 정공주입층(141)은 2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극(110) 쪽에 위치하는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과 정공수송층(14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100)에 따라 정공주입층(14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정공수송층(142)은 발광물질층(144)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정공수송층(1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호스트 또는 도펀트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수송층(142)이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은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바이페닐-4,4'-디아민(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 NPD, 4,4'-비스(N-카바졸릴)-1,1'-바이페닐(4,4'-bis(N-carbazolyl)-1,1'-biphenyl; CBP)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은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0 중량%로 혼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142)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공주입층(14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발광물질층(144)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은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고,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정공층(140)이 정공주입층(141)과 정공수송층(142)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정공층(14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도펀트, 예를 들어,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1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수송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층은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44) 사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도펀트가 도핑된 1층의 정공층(140)만 존재하더라도 정공 주입과 정공 수송 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때, 정공 주입 도펀트는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과,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130)으로서,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44)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정공층(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에 연결되어 있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140)에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 도펀트나 정공 수송 물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자를 구동할 때 부하를 감소시켜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2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210) 및 제 2 전극(220)과, 제 1 및 제 2 전극(210, 2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23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230)은 발광물질층(244)을 포함하며, 제 1 전극(210)과 발광물질층(244) 사이에 위치하는 엑시톤 차단층인 전자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243), 발광물질층(244)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246) 및 전자주입층(248)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2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2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발광물질층(244)은 호스트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물질층(244)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246)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조티아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수송층(246)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246)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24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 리튬 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공이 발광물질층(244)을 지나 제 2 전극(220)으로 이동하거나, 전자가 발광물질층(244)을 지나 제 1 전극(210)으로 가는 경우, 소자의 수명과 효율에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200)는 발광물질층(244)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엑시톤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210)과 발광물질층(244) 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제어, 방지할 수 있는 전자차단층(243)이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자차단층(243)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전자 저지 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발광물질층(244)의 제 1 전극(210) 쪽 계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차단층(243)을 형성하는 경우, 발광물질층(244)에서 생성된 전자가 전자차단층(243)에서 저지되어 발광물질층(244) 내에 속박된다. 발광물질층(244)에서 전자가 속박되면서, 전자와 정공은 발광물질층(244)에 균형있게 주입될 수 있으며, 발광물질층(244)에서 엑시톤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계면 발광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발광 효율과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발광물질층(244)과 전자수송층(246) 사이에 다른 엑시톤 차단층으로서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HBL, 미도시))이 위치하여 발광물질층(244)에서 전자수송층(246)으로의 정공 이동을 방지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차단층(미도시)의 소재로서 전자수송층(246)에 사용될 수 있는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조티아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차단층(미도시)은 최고준위 분자점유궤도(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레벨이 낮은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BCP) 및/또는 비스(2-메틸-8-퀴놀리노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Ⅲ)(bis(2-methyl-8-quinolinolato)(4- phenylphenolato)aluminum (Ⅲ); BAlq)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기발광다이오드(200)는 제 1 전극(210)과 발광물질층(220) 사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차단층(243)을 포함한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전자차단층(243)에 적용하여, 정공이 제 1 전극(2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2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3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310) 및 제 2 전극(320)과, 제 1 및 제 2 전극(310, 3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33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230)은 발광물질층(344)을 포함하며, 제 1 전극(310)과 발광물질층(344)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층(340)과, 정공층(340)과 발광물질층(344)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차단층(343), 발광물질층(344)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346) 및 전자주입층(348)을 포함한다. 정공층(340)은 정공주입층(341)과 정공수송층(34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3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3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발광물질층(344)은 호스트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물질층(344)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346)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조티아졸,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수송층(346)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346)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34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 리튬 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주입층(341)은 무기물인 제 1 전극(310)과 유기물인 정공수송층(342)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41)은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41)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41)은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공주입층(341)은 생략될 수 있다.
정공수송층(3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 예를 들어 TPD, NPD, 및/또는 CBP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3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과,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은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고,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이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공층(340)과 독립적으로 제 1 전극(310)과 발광물질층(344) 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제어, 방지할 수 있는 전자차단층(343)이 위치한다. 전자차단층(343)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광물질층(344)과 전자수송층(346) 사이에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기발광다이오드(300)는 제 1 전극(310)과 발광물질층(344) 사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층(340)과 전자차단층(343)을 포함한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340)과 전자차단층(343)에 사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300)의 발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동 시에 부하가 감소되어 장수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0)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전술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이외에도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적용되어 저 전압에서 화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라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3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과, 제 1 및 제 2 전극(410, 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하부 발광 유닛, 430)과, 제 1 발광 유닛(430)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상부 발광 유닛, 450)과,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430, 45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 46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4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4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발광 유닛(430)은, 정공층(440)과, 제 1 발광물질층(하부 발광물질층, 444)과, 제 1 전자수송층(하부 전자수송층, 436)을 포함한다. 일례로, 정공층(440)은 정공주입층(441)과 제 1 정공수송층(하부 정공수송층, 4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주입층(441)은 제 1 전극(410)과 제 1 발광물질층(444)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441)은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441)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441)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공주입층(441)은 생략될 수 있다.
제 1 정공수송층(442)은 정공주입층(441)과 제 1 발광물질층(444)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발광물질층(444)은 제 1 정공수송층(442)과 제 1 전자수송층(446)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자수송층(446)은 제 1 발광물질층(444)과 전하생성층(460)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발광 유닛(460)은 제 2 정공수송층(상부 정공수송층, 452)과, 제 2 발광물질층(상부 발광물질층, 454)과, 제 2 전자수송층(상부 전자수송층, 456)과, 전자주입층(458)을 포함한다.
제 2 발광물질층(454)은 제 2 정공수송층(452)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전자수송층(456)은 제 2 발광물질층(454)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주입층(458)은 제 2 전자수송층(456)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발광물질층(444, 454) 각각은 호스트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한다. 일례로, 제 1 발광물질층(444)은 청색(B), 적색(R), 녹색(G) 또는 황색(Yellow, Y)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454)은 적색(R), 녹색(G), 청색(B), 황록색(YG) 발광물질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물질층(444)은 청색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454)은 청색보다 장파장인 녹색, 황록색(yellow-green; YG) 또는 오렌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발광물질층(454)이 황록색 발광물질층을 구성하는 경우, 제 2 발광물질층(454)의 호스트 물질로서 CBP가 사용될 수 있고, Ir(2-phq)3와 같은 도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42, 45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42, 452)는 각각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 예를 들어 TPD, NPD, CBP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42, 452)은 각각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42, 452)은 각각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42, 452)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46, 456) 각각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즈티아졸 또는 벤지이미다졸(예를 들어,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36, 456)은 각각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46, 456)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주입층(45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 리튬 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하생성층(460)은 제 1 발광 유닛(430)과 제 2 발광 유닛(45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 유닛(430)에 인접하는 N타입 전하생성층(N-CGL, 462)과 제 2 발광 유닛(450)에 인접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P-CGL, 464)을 포함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462)은 제 1 발광 유닛(430)으로 전자(electron)를 공급하고, P타입 전하생성층(464)은 제 2 발광 유닛(450)으로 정공(hole)을 공급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462)은 Li, Na, K,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및/또는 Mg, Sr, Ba, Ra와 같은 알칼리토금속 화합물로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타입 전하생성층(462)에 사용되는 호스트 유기물은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4,7-dipheny-1,10-phenanthroline; Bphen), MTDATA와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은 약 0.01 내지 30 중량%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4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P타입 전하생성층(4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 예를 들어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464)이 정공 주입 물질 물질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P타입 전하생성층(464)과 제 2 정공수송층(452) 사이 및/또는 N타입 전하생성층(462)과 P타입 전하생성층(464) 사이에 제 2 정공주입층(상부 정공주입층; 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정공주입층을 채택하는 경우, P타입 전하생성층(464)에서 생성된 정공을 제 2 발광 유닛(450)으로 효율적으로 주입,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이들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441)과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에 연결되어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이동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이나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정공층(440), 제 2 정공수송층(452),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464)을 가지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400)의 발광 효율 및 소자 수명이 향상되므로, 효율적인 백색 발광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5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510) 및 제 2 전극(520)과, 제 1 및 제 2 전극(510, 5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하부 발광 유닛, 530)과, 제 1 발광 유닛(530)과 제 2 전극(5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상부 발광 유닛, 550)과,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530, 55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56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5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5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발광 유닛(530)은, 정공층(540)과, 제 1 전자차단층(하부 전자차단층, 543)과, 제 1 발광물질층(하부 발광물질층, 544)과, 제 1 전자수송층(하부 전자수송층, 546)을 포함한다. 정공층(540)은 정공주입층(541)과 정공수송층(542)을 포함한다.
정공주입층(541)은 제 1 전극(510)과 제 1 발광물질층(544) 사이에 위치하며, 정공수송층(542)은 정공주입층(541)과 제 1 발광물질층(544)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전자차단층(543)은 정공수송층(542)과 제 1 발광물질층(54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510)과 제 1 발광물질층(544) 사이에 정공층(540)과, 정공층(540)과 독립적으로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1 전자차단층(543)이 위치한다.
또한, 제 1 발광물질층(544)은 제 1 전자차단층(543)과 제 1 전자수송층(546)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자수송층(546)은 제 1 발광물질층(544)과 전하생성층(56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발광물질층(544)과 제 1 전자수송층(546)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발광 유닛(550)은 제 2 전자차단층(상부 전자차단층, 553)과, 제 2 발광물질층(상부 발광물질층, 554)과, 제 2 전자수송층(상부 전자수송층, 546)과, 전자주입층(548)을 포함한다. 제 2 전자차단층(543)은 전하생성층(560)과 제 2 발광물질층(55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전하생성층(560)과 제 2 발광물질층(544) 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2 전자차단층(5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전자수송층(556)은 제 2 발광물질층(554)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주입층(558)은 제 2 전자수송층(556)과 제 2 전극(52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발광물질층(554)과 제 2 전자수송층(556)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P타입 전하생성층(564)과 제 2 전자차단층(553) 사이 및/또는 N타입 전하생성층(562)과 P타입 전하생성층(564) 사이에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광물질층(544, 554) 각각은 호스트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한다. 일례로, 제 1 발광물질층(544)은 청색(B), 적색(R), 녹색(G) 또는 황색(Yellow, Y)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554)은 적색(R), 녹색(G), 청색(B), 황록색(YG) 발광물질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물질층(544)은 청색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554)은 청색보다 장파장인 녹색, 황록색(yellow-green; YG) 또는 오렌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5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주입층(5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5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수송층(5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례로, 정공수송층(5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 예를 들어 TPD, NPD, CBP 등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5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542)은 다른 정공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543, 553)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543, 553)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546, 556) 각각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즈티아졸 또는 벤지이미다졸(예를 들어,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546, 556)은 각각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546, 556)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주입층(55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 리튬 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하생성층(560)은 제 1 발광 유닛(530)과 제 2 발광 유닛(55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 유닛(530)에 인접하는 N타입 전하생성층(562)과 제 2 발광 유닛(550)에 인접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564)을 포함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562)은 제 1 발광 유닛(530)으로 전자를 공급하고, P타입 전하생성층(564)은 제 2 발광 유닛(550)으로 정공을 공급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562)은 Li, Na, K,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Ra와 같은 알칼리토 금속 화합물로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N타입 전하생성층(562)에 사용되는 호스트 유기물은 Bphen, MTDATA와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은 약 0.01 내지 30 중량%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5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P타입 전하생성층(5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 예를 들어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564)이 정공 주입 물질 물질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실릴기를 가지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가 아민기에 연결되어 있어서 정공 수송 특성,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이나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정공층(540), 전자차단층(543, 553),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564)을 가지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500)의 발광 효율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백색 발광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6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610) 및 제 2 전극(620)과, 제 1 및 제 2 전극(610, 6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하부 발광 유닛, 630)과, 제 1 발광 유닛(630)과 제 2 전극(6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상부 발광 유닛, 650)과,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630, 65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66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6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6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발광 유닛(630)은, 정공층(640)과, 제 1 전자차단층(643)과, 제 1 발광물질층(하부 발광물질층, 644)과, 제 1 전자수송층(하부 전자수송층, 646)을 포함한다. 정공층(640)은 정공주입층(641)과 제 1 정공수송층(하부 정공수송층, 642)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641)은 제 1 전극(610)과 제 1 발광물질층(644)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정공수송층(642)은 정공주입층(641)과 제 1 발광물질층(644)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전자차단층(643)은 정공층(640), 구체적으로 정공수송층(642)과 제 1 발광물질층(64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610)과 제 1 발광물질층(644) 사이에 정공층(640)과, 정공층(640)과 독립적으로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1 전자차단층(643)이 위치한다.
제 1 발광물질층(644)은 제 1 전자차단층(643)과 제 1 전자수송층(646)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자수송층(646)은 제 1 발광물질층(644)과 전하생성층(66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발광물질층(644)과 제 1 전자수송층(646)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 1 정공차단층(하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발광 유닛(650)은 제 2 정공수송층(상부 정공수송층, 652)과, 제 2 전자차단층(상부 전자차단층, 653)과, 제 2 발광물질층(상부 발광물질층, 654)과, 제 2 전자수송층(상부 전자수송층, 656)과, 전자주입층(658)을 포함한다. 제 2 정공수송층(652)은 전하생성층(660)과 제 2 발광물질층(654)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전자차단층(653)은 제 2 정공수송층(652)과 제 2 발광물질층(65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전하생성층(660)과 제 2 발광물질층(654) 사이에 제 2 정공수송층(652)과 독립적으로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2 전자차단층(653)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전자수송층(656)은 제 2 발광물질층(654)과 제 2 전극(620)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주입층(658)은 제 2 전자수송층(656)과 제 2 전극(62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발광물질층(654)과 제 2 전자수송층(656)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 2 정공차단층(상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P타입 전하생성층(664)과 제 2 정공수송층(652) 사이 및/또는 N타입 전하생성층(662)과 P타입 전하생성층(664) 사이에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광물질층(644, 654) 각각은 호스트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한다. 일례로, 제 1 발광물질층(644)은 청색(B), 적색(R), 녹색(G) 또는 황색(Yellow, Y)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654)은 적색(R), 녹색(G), 청색(B), 황록색(YG) 발광물질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물질층(644)은 청색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654)은 청색보다 장파장인 녹색, 황록색(yellow-green; YG) 또는 오렌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6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주입층(6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641)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정공수송층(642) 및 제 2 정공수송층(65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642, 65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 예를 들어 TPD, NPD, CBP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642, 652)은 각각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별도의 정공수송층(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642, 652)은 각각 다른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643, 653)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643, 653)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646, 656) 각각은 옥사디아졸, 트리아졸, 페난트롤린, 벤족사졸, 벤즈티아졸 또는 벤지이미다졸(예를 들어,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646, 656)은 각각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 화합물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646, 656)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주입층(65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 리튬 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하생성층(660)은 제 1 발광 유닛(630)과 제 2 발광 유닛(65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 유닛(630)에 인접하는 N타입 전하생성층(662)과 제 2 발광 유닛(650)에 인접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664)을 포함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662)은 제 1 발광 유닛(630)으로 전자를 공급하고, P타입 전하생성층(664)은 제 2 발광 유닛(650)으로 정공을 공급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662)은 Li, Na, K,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Ra와 같은 알칼리토금속 화합물로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N타입 전하생성층(662)에 사용되는 호스트 유기물은 Bphen, MTDATA와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은 약 0.01 내지 30 중량%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6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P타입 전하생성층(665)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 예를 들어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비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타입 전하생성층(66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664)이 정공 주입 물질 물질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정공 주입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수송 특성,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이나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정공층(540), 전자차단층(643, 653),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제 2 정공수송층(652)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664)을 가지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6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수명을 구현하여 효율적인 백색 발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P타입 전하생성층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이 적층되고 그 사이에 전하생성층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추가적인 발광 유닛과 발광 유닛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또는 전술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조명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는 구동 소자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는 평탄화층(760)과, 평탄화층(760) 상에 위치하며 구동 소자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800)를 포함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710)과, 게이트 전극(730)과, 소스 전극(752)과, 드레인 전극(754)을 포함하는데, 도 7에서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나타낸다.
기판(702)은 유리 기판, 얇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구동 소자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유기발광다이오드(800)가 위치하는 기판(702)은 어레이 기판을 이룬다.
기판(702) 상부에 반도체층(71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71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710) 하부에는 차광패턴(미도시)과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710)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710)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71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710)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71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720)이 기판(702)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720)은 실리콘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72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730) 반도체층(71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720)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제 1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배선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은 게이트 전극(73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절연막(720)이 기판(702)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720)은 게이트 전극(7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7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740)이 기판(702)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740)은 실리콘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740)은 반도체층(710)의 양측 상면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2, 744)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2, 744)은 게이트 전극(730)의 양측에서 게이트 전극(7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2, 744)은 게이트 절연막(720)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720)이 게이트 전극(7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 될 경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2, 744)은 층간 절연막(740) 내에만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74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소스 전극(752)과 드레인 전극(754)이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740) 상부에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전원 배선(미도시)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752)과 드레인 전극(754)은 게이트 전극(73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2, 744)을 통해 반도체층(710)의 양측과 접촉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배선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은 데이터 배선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 2 캐패시터 전극은 드레인 전극(754)과 연결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과 중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 사이의 층간 절연막(740)을 유전체층으로 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룬다.
한편, 반도체층(710), 게이트 전극(730), 소스 전극(752) 및 드레인 전극(754)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룬다. 도 7에 예시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710)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730), 소스 전극(752) 및 드레인 전극(754)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소자인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기판(702) 상에 더 형성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730)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드레인 전극(미도시)에 연결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752)은 전원 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소스 전극(미도시)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800)에서 생성된 빛을 흡수하는 컬러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미도시)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을 흡수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 필터 패턴이 각각의 화소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컬러 필터 패턴은 흡수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800) 중의 유기발광층(830)과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미도시)를 채택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는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가 하부 발광 타입인 경우, 유기발광다이오드(800)에 대응하는 층간 절연막(740) 상부에 광을 흡수하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가 상부 발광 타입인 경우, 컬러 필터는 유기발광다이오드(800)의 상부, 즉 제 2 전극(820)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8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소스 전극(752)과 드레인 전극(754) 상부에는 평탄화층(760)이 기판(702) 전면에 형성된다. 평탄화층(760)은 상면이 평탄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754)을 노출하는 드레인 컨택홀(762)을 갖는다. 여기서, 드레인 컨택홀(762)은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4) 바로 위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반도체층 컨택홀(744)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800)는 평탄화층(760) 상에 위치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754)에 연결되는 제 1 전극(810)과, 제 1 전극(81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유기발광층(830) 및 제 2 전극(820)을 포함한다.
1 전극(810)은 각 화소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제 1 전극(610)은 양극(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610)은 ITO, IZO, ITZO, ICO, ZnO 및/또는 A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가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 1 전극(81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층(760)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81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770)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770)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81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 1 전극(810) 상에는 유기발광층(83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층(73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유닛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과 같은 정공층, 전자차단층, 발광물질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하생성층은 N타입 전하생성층과 P타입 전하생성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층(830)이 형성된 상기 기판(702) 상부로 제 2 전극(8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820)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음극(cathode)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620)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은(A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820) 상에는, 외부 수분이 유기발광다이오드(8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78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780)은 제 1 무기 절연층(782)과, 유기 절연층(784)과 제 2 무기 절연층(78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수송 특성,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이나 정공 수송 물질이 혼합어 있는 유기물을, 유기발광층(830) 중에서 정공 주입/수송 특성이나 전자 차단 특성이 요구되는 유기물층에 적용하면, 유기발광다이오드(8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수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700)의 발광 효율과 소자 특성이 또한 증가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A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A1 합성
Figure pat00006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4'-diiodobiphenyl (3.00g, 7.39mmol), 4-aminobiphenyl (3.00g, 17.73mmol), 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0.13g, 0.22mmol), Palladium(Ⅱ) acetate (0.05g, 0.22mmol)과 Sodium tert-butoxide(2.20g, 22.91mmol)를, Toluene(100 mL)에 녹인 후 ,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A1 (2.75g, 5.63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A2 합성
Figure pat00007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1(1.19g, 2.44mmol), (4-bromophenyl)trimethylsilane (1.23g, 5.36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7g, 0.07mmol), Tri-tert-butylphosphine (0.03g, 0.15mmol)과 Sodium tert-butoxide(0.66g, 6.82mmol)를, Toluene(5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A2 (1.30g, 1.66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8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A2 화합물의 분자량은 785.37이었다.
1HNMR (500MHz, CDCl2) 7.59 (d, 4H), 7.50 (m, 8H), 7.43 (m, 8H), 7.32 (t, 2H), 7.20 (m, 8H), 7.12 (d, 4H), 0.26 (s, 18H)
합성예 2: B4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B1 합성
Figure pat00008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p-terphenyl (3.00g, 12.23mmol), (4-bromophenyl)trimethylsilane (2.71g, 11.81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7g, 0.18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3g, 0.37mmol)과 Sodium tert-butoxide(1.65g, 17.12mmol)를, Toluene(12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B1 (3.52g, 8.94mmol)을 얻었다.
2)화합물 B2 합성
Figure pat00009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biphenyl (3.00g, 17.73mmol), 4-bromobiphenyl (3.99g, 17.13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4g, 0.27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33g, 0.53mmol)과 Sodium tert-butoxide(2.39g, 24.82mmol)를, Toluene(17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B2 (4.45g, 13.85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B3 합성
Figure pat00010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B2 (3.00g, 9.33mmol), 4-bromo-4'-iodobiphenyl (3.69g, 10.27mmol), 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0.08g, 0.14mmol), Palladium(II) acetate (0.03g, 0.14mmol)과 Sodium tert-butoxide(1.39g, 14.47mmol)를, Toluene(10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B3 (3.35g, 6.06mmol)을 얻었다.
4) 화합물 B4 합성
Figure pat00011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B1(1.20g, 2.17mmol), B3 (1.32g, 2.39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7mmol)과 Sodium tert-butoxide(0.29g, 3.04mmol)를, Toluene(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B4 (1.48g, 1.71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9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B4 화합물의 분자량은 865.40이었다.
1HNMR (500MHz, CDCl2) 7.66~7.46(m, 20H), 7.45~7.00 (m, 23H), 0.25 (s, 9H)
합성예 3: C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C1 합성
Figure pat00012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bromoaniline (2.74g, 15.93mmol), 4-(trimethylsilyl)phenylboronic acid (3.40g, 17.52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 palladium(0) (0.92g, 0.80mmol), potassium carbonate (6.91g, 50.00mmol)을 Toluene (100mL), Ethanol (25mL) 와 water (25mL) 혼합용액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C1 (1.85g, 7.66mmol)을 얻었다.
2)화합물 C2 합성
Figure pat00013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C1 (1.85g, 7.66mmol), 4-bromobiphenyl (1.73g, 7.40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1g, 0.11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14g, 0.23mmol)과 Sodium tert-butoxide(1.03g, 10.73mmol)를, Toluene(10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C2 (2.30g, 5.84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C3 합성
Figure pat00014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4'-dibromobiphenyl (0.70g, 2.24mmol), C2 (1.94g, 4.94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6g, 0.07mmol), Tri-tert-butylphosphine (0.03g, 0.13mmol)과 Sodium tert-butoxide(0.60g, 6.28mmol)를, Toluene(5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C3 (1.50g, 1.60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0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C3 화합물의 분자량은 937.44이었다.
1HNMR (500MHz, CDCl2) 7.59~7.52 (m, 24H), 7.42~7.39 (m, 4H), 7.31~7.30 (m, 2H), 7.21~7.19 (m, 12H), 0.28 (s, 18H)
합성예 4: D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D1 합성
Figure pat00015
5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bromoaniline (5.00g, 29.07mmol), 9-phenyl-9H-carbazol-3-yl-3-boronic acid (9.18g, 31.97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 palladium(0) (1.68g, 1.45mmol), potassium carbonate (13.82, 100.00mmol)을 Toluene (200mL), Ethanol (50mL) 와 water (50mL) 혼합용액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water와 Dichloromethan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D1 (8.67g, 25.93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D2 합성
Figure pat00016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1 (4.90g, 14.65mmol), (4-bromophenyl)trimethylsilane (3.24g, 14.15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0g, 0.22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7g, 0.44mmol)과 Sodium tert-butoxide(1.97g, 20.51mmol)를, Toluene(13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D2 (4.91g, 10.17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D3 합성
Figure pat00017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2 (0.90g, 1.86mmol), B3 (1.13g, 2.05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6mmol)과 Sodium tert-butoxide(0.25g, 2.61mmol)를, Toluene(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D3 (1.05g, 1.10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1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D3 화합물의 분자량은 954.42이었다.
1HNMR (500MHz, CDCl2) 8.35 (s, 1H), 8.18~8.17 (d, 1H), 7.66~7.20 (44H), 0.25 (s, 9H)
합성예 5: E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E1 합성
Figure pat00018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biphenyl (2.83g, 16.72mmol), (4-bromophenyl)trimethylsilane (3.70g, 16.16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3g, 0.25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31g, 0.50mmol)과 Sodium tert-butoxide(2.25g, 23.41mmol)를, Toluene(15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E1 (5.24g, 16.50mol)을 얻었다.
2) 화합물 E2 합성
Figure pat00019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E1 (0.60g, 1.89mmol), B3 (1.15g, 2.08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6mmol)과 Sodium tert-butoxide(0.25g, 2.65mmol)를, Toluene(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E2 (0.90g, 1.14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2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E2 화합물의 분자량은 789.37이었다.
1HNMR (500MHz, CDCl2) 7.59~7.39 (m, 25H), 7.31~7.17 (m, 14H), 0.25 (s, 9H)
합성예 6: F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F1 합성
Figure pat00020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biphenyl (2.00g, 11.82mmol), 2-bromodibenzothiophene (3.42g, 13.00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6g, 0.18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2g, 0.35mmol)과 Sodium tert-butoxide(1.59g, 16.55mmol)를, Toluene(11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F1 (3.05g, 8.68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F2 합성
Figure pat00021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C2 (3.00g, 7.62mmol), 4-bromo-4'-iodobiphenyl (3.01g, 8.38mmol), 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0.07g, 0.11mmol), Palladium(Ⅱ) acetate (0.03g, 0.11mmol)과 Sodium tert-butoxide(1.14g, 11.81mmol)를, Toluene(10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F2 (4.25g, 6.80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F3 합성
Figure pat00022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F1 (0.70g, 1.99mmol), F2 (1.37g, 2.19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6mmol)과 Sodium tert-butoxide(0.27g, 2.79mmol)를, Toluene(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F3 (1.15g, 1.28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3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F3 화합물의 분자량은 895.36이었다.
1HNMR (500MHz, CDCl2) 8.00~7.98 (d, 1H), 7.85~7.83 (d, 1H), 7.78 (m, 1H), 7.59~7.20 (m, 38H), 0.27 (s, 9H)
합성예 7: G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G1 합성
Figure pat00023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ibenzofuran-4-boronic acid (3.00g, 14.15mmol), 1-bromo-4-iodobenzene (4.00g, 14.15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 palladium(0) (0.82g, 0.71mmol), potassium carbonate (4.84g, 35.00mmol)을 Toluene (80mL), Ethanol (20mL)와 water (20mL) 혼합용액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water와 Dichloromethan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G1 (3.95g, 12.22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G2 합성
Figure pat00024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biphenyl (1.80g, 10.64mmol), G1 (3.78g, 11.70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5g, 0.16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0g, 0.32mmol)과 Sodium tert-butoxide(1.43g, 14.89mmol)를, Toluene(10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G2 (3.05g, 7.41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G3 합성
Figure pat00025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G2 (0.75g, 1.82mmol), F2 (1.25g, 2.00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5mmol)과 Sodium tert-butoxide(0.25g, 2.55mmol)를, Toluene(35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G3 (1.21g, 1.27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4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G3 화합물의 분자량은 955.41이었다.
1HNMR (500MHz, CDCl2) 8.01~8.00 (d, 1H), 7.93~7.91 (d, 1H), 7.87~7.86 (d, 2H) 7.62~7.20 (m, 41H), 0.28 (s, 9H)
합성예 8: H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H1 합성
Figure pat00026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aminobiphenyl (3.00g, 17.73mmol), 2-bromo-9,9-dimethyl-9H-fluorene (4.68g, 17.13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4g, 0.27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33g, 0.53mmol)과 Sodium tert-butoxide(2.39g, 24.82mmol)를, Toluene(1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H1 (3.05g, 7.41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H2 합성
Figure pat00027
10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H1 (0.70g, 1.94mmol), F2 (1.33g, 2.13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6mmol)과 Sodium tert-butoxide(0.26g, 2.71mmol)를, Toluene(40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H2 (1.17g, 1.29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5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H2 화합물의 분자량은 905.43이었다.
1HNMR (500MHz, CDCl2) 7.63~7.51 (m, 21H), 7.42~7.39 (m, 6H), 7.31~7.20 (m, 14H) 1.41(s, 6H), 0.27 (s, 9H)
실시예 1: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A2 소자)
합성예 1에서 합성된 A4 화합물이 전자차단층에 적용한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작하였다. 인듐-주석-산화물(ITO) 글라스의 발광 면적이 3 ㎜ x 3 ㎜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 한 후 세정하였다. 기판을 진공 챔버에 이송한 후, 베이스 압력이 10-6 Torr가 되도록 한 후 ITO 위에 정공주입층(HAT-CN, 50Å), 정공수송층(α-NPB; 500~1500Å), 엑시톤 차단층인 전자차단층(A2, 150Å), 청색 발광물질층(도펀트 BD-1이 4 중량% 도핑된 호스트 MADN, 250Å), 제 1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100~300Å), 제 2 전자수송층(Li이 2 중량% 도핑된 Bphen, 100Å), 전자주입층(LiF, 5~10Å), 음극(Al, 800~10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증착 후 피막 형성을 위해 증착 챔버에서 건조 박스 내로 옮기고 후속적으로 UV 경화 에폭시 및 수분 게터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을 하였다. 이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9 ㎟의 방출 영역을 갖는다.
실시예 2: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C3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합성예 3에서 합성된 C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D3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합성예 4에서 합성된 D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E2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합성예 5에서 합성된 E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G3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합성예 7에서 합성된 G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H2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합성예 9에서 합성된 H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 TCTA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TC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3: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S4, S0 소자)
전자차단층으로서 A2 대신에 하기에 표시한 4개의 실릴기로 치환된 화합물 S4(비교예 2)와 실릴기로 치환되지 않은 화합물 S0(비교예 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Figure pat00028
실험예 1: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디 3에서 각각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외부전력 공급원에 연결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모든 유기발광다이오드들의 EL 특성으로서, 전류효율(Cd/A), 전력효율(lm/W), 외부양자효율(EQE), 색좌표, EL 강도를 일정한 전류 공급원 (KEITHLEY) 및 광도계 PR 65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평가하였다. 전자차단층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 측정 결과를 도 17a에, 파장-EL 강도 측정 결과를 도 17b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전류효율, 전력효율, EQE 및 색좌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29
실험예 1에 따르면, 전자차단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자차단층으로 TCTA를 적용한 비교예 1의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전류효율은 최고 58%, 전력효율은 최고 89%, EQE는 최고 54% 향상되었다. 또한, 2개의 실릴기로 치환된 C3 화합물을 전자차단층으로 적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4개 실릴기로 치환된 화합물(S4) 및 실릴기로 치환되지 않은 화합물(S0)을 전자차단층으로 적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전류효율은 최고 38%, 전력효율은 최고 41%, EQE는 최고 38%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전자차단층으로 적용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B4 소자)
정공수송층으로 사용된 α-NPB 대신에 B4를 사용하고, 엑시톤 차단층으로 사용된 A2 대신에 TC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C3 소자)
정공수송층으로 B4 대신에 C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F3 소자)
정공수송층으로 B4 대신에 F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H2 소자)
정공수송층으로 B4 대신에 H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5: 단층 구조 유기발광다이오드 제작( TCTA 소자)
정공수송층으로 B4 대신에 S4(비교예 4)와 S0(비교예 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 단층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특성 평가
실시예 7 내지 8과, 비교예 4 내지 5에서 각각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실험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정공수송층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 측정 결과를 도 18a에, 파장-EL 강도 측정 결과를 도 18b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전류효율, 전력효율, EQE 및 색좌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30
실험예 2에 따르면, 정공수송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정공수송층으로 α-NPB를 적용한 비교예 1의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전류효율은 최고 35%, 전력효율은 최고 55%, EQE는 최고 38% 향상되었다. 또한, 2개의 실릴기로 치환된 C3 화합물을 정공수송층으로 적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4개 실릴기로 치환된 화합물(S4) 및 실릴기로 치환되지 않은 화합물(S0)을 정공수송층으로 적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전류효율은 최고 21%, 전력효율은 최고 21%, EQE는 최고 26%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정공수송층으로 적용한 단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7: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C3 소자)
합성예 3에서 합성된 C3 화합물을 포함하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인듐-틴-옥사이드(ITO) 글라스의 발광 면적이 3 ㎜ x 3 ㎜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 한 후 세정하였다. 기판을 진공 챔버에 이송한 후, 베이스 압력이 10-6 Torr가 되도록 한 후 ITO 위에 정공주입층(HAT-CN; 50Å), 하부 정공수송층(α-NPB, 500~1500Å), 하부 엑시톤 차단층인 전자차단층(TCTA, 150Å), 청색 발광물질층(도펀트 BD-1이 4 중량% 도핑된 호스트 MADN, 250Å), 하부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100~300Å), N타입 전하생성층(Li이 2 중량% 도핑된 Bphen, 100Å), P타입 전하생성층(도펀트 F4TCNQ가 10 중량% 도핑된 C3, 100Å), 상부 정공수송층(C3, 100~300Å), 상부 발광물질층인 YG 발광물질층(Ir(2-phq)3가 5~20% 도핑된 CBP, 300Å), 상부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300~400Å), 전자주입층(LiF, 5~10Å), Al(800~10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증착 후 피막 형성을 위해 증착 챔버에서 건조 박스 내로 옮기고 후속적으로 UV 경화 에폭시 및 수분 게터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을 하였다. 이 유기발광다이오드는 9 ㎟의 방출 영역을 갖는다.
실시예 12: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D3 소자)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합성예 4에서 합성한 D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E2 소자)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합성예 5에서 합성된 E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F3 소자)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합성예 6에서 합성된 F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5: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G3 소자)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합성예 7에서 합성된 G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H2 소자)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합성예 8에서 합성된 H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6: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α- NPB )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C3를 대신하여 α-NP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특성 평가
실시예 11 내지 16과, 비교예 6에서 각각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실험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용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밀도-EQE 측정 결과를 도 19a에, 파장-EL 강도 측정 결과를 도 19b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전류효율, 전력효율, EQE 및 색좌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31
실험예 3에 따르면,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적용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는,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α-NPB를 적용한 비교예 6의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전류효율은 최고 20%, 전력효율은 최고 28%, EQE는 최고 25%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P타입 전하생성층 및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적용한 탠덤 구조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 P타입 전하생성층에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수송 도펀트와 함께 사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류효율, 전력효율, 양자효율과 같은 발광 효율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자의 발광 효율이 향상되는 결과, 소자의 전류 밀도를 감소시켜 소자를 구동할 때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하다.
100, 200, 300, 400, 500, 600, 800: 유기발광다이오드
110, 210, 310, 410, 510, 610, 810: 제 1 전극
120, 220, 320, 420, 520, 620, 820: 제 2 전극
130, 230, 330, 430, 450, 530, 550, 630, 650, 830: 발광 유닛(유기발광층)
140, 240, 340, 440, 540, 640: 정공층
141, 241, 341, 441, 541, 641: 정공주입층
142, 242, 342, 442, 452, 542, 552, 642, 652: 정공수송층
144, 244, 344, 444, 454, 544, 554, 644, 654: 발광물질층
146, 246, 346, 446, 456, 546, 556, 646, 656: 전자수송층
148, 248, 348, 458, 558, 658: 전자주입층
243, 343, 543, 553, 643, 653: 전자차단층
460, 560, 660: 전하생성층
462, 562, 662: N타입 전하생성층
464, 564, 664: P타입 전하생성층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32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L1 내지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실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렌기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렌기임; a, b, c,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임;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내지 A4 중에서 1개 또는 2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릴기로 치환됨)
    화학식 2

    Figure pat00033

    (화학식 2에서, B1 내지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4~C30 헤테로 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L1 내지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개의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지는 아릴렌기 또는 헤테로 아릴렌기이고,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C5~C30 아릴기 또는 C4~C30 헤테로 아릴기이고, 화학식 2에서 B1 내지 B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 알킬기인 유기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유기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4.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며 제 1항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공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층은,
    정공주입층과,
    상기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과,
    상기 정공주입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정공층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차단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8.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유닛은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며 제 1항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9.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
    상기 제 1 발광 유닛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제 1항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기 제 1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이 도핑된 유기층인 N타입 전하생성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유닛은,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 및 제 1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1 발광물질층과 상기 N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자수송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발광물질층과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2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공수송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 사이 또는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기 N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공주입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2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차단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6.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
    상기 제 1 발광 유닛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발광물질층과 상기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며 제 1항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17.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구동 소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되는 제 4 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160177986A 2016-12-23 2016-12-23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8007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86A KR20180074172A (ko) 2016-12-23 2016-12-23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86A KR20180074172A (ko) 2016-12-23 2016-12-23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72A true KR20180074172A (ko) 2018-07-03

Family

ID=6291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986A KR20180074172A (ko) 2016-12-23 2016-12-23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1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745A1 (ja) * 2022-09-29 2024-04-04 日本放送協会 有機薄膜、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有機薄膜太陽電池、及び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745A1 (ja) * 2022-09-29 2024-04-04 日本放送協会 有機薄膜、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有機薄膜太陽電池、及び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756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35062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891168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062533A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장치
KR2021003956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20200077777A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US10700290B2 (en)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0089A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649050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0063923A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20190064009A (ko) 우수한 발광 특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20230078620A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102515819B1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102649051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13121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102598478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642605B1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장치
KR102515820B1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20180074172A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957669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66411A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77042B1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102451310B1 (ko)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KR102630959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667321B1 (ko)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