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962A -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962A
KR20180073962A KR1020160177542A KR20160177542A KR20180073962A KR 20180073962 A KR20180073962 A KR 20180073962A KR 1020160177542 A KR1020160177542 A KR 1020160177542A KR 20160177542 A KR20160177542 A KR 20160177542A KR 20180073962 A KR20180073962 A KR 2018007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racket
slab
channel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012B1 (ko
Inventor
김응수
유영동
노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0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Abstract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은 상층의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달대 브라켓에 있어서, 바닥슬래브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슬래브고정부; 슬래브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하여 연장 마련되는 수직연결부; 수직연결부로부터 절곡되며 슬래브고정부의 타단 방향으로 슬래브고정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수평연결부; 수평연결부로부터 절곡 마련되며 수직연결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채널연결부; 및 수직연결부와 수평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과, 달대 브라켓의 채널연결부에 결합되는 캐링 채널; 캐링 채널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바; 및 엠바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Ceiling's Hanger Bracket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Ceil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재 및 부품에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의 상하부 세대간 층간 소음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의 개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층간 소음의 억제는 크게 바닥 시스템을 개량하거나 천장 시스템을 개량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차음 성능이 천장 시스템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바닥 시스템은 비용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기 때문에 경제성 확보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천장 시스템은 일례로 목재틀 구조와 경량틀 구조가 있다. 두 구조는 모두 슬래브와 천장재(석고보드) 사이를 행거나 달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목재틀은 나무 각재를 이용하여 틀을 만들고 천장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목재의 가격 상승과, 습기에 약하여 벌레가 서식하거나 곰팡이에 의한 냄새 발생 등의 목재가 갖는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점차 사용이 줄어 들고 있다.
경량틀 구조는 엠바(M-bar)로 대표되는 경량 철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주거 공간보다는 층고가 높은 일반 사무 공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주거 공간에서도 목재틀을 대체하여 사용이 늘고 있다. 다만, 경량 철제 천장틀이 주거용 공동주택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낮은 천장 높이를 해결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남아 있으며, 특히 거실이나 주방의 우물 천장 부분은 천장 위로 공간이 거의 없어서 철제 천장틀 설치에 난관이 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부 세대에서 발생된 바닥 충격음은 바닥(하부 세대에서는 천장)과 벽체를 통해 하부 세대에 전달되는데 종래의 천장 시스템은 전달되는 고체 전달음을 차단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증폭 전달하여 하부 세대의 쾌적한 주거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하부 세대 거주자가 능동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천장 시스템 또는 그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6318호(2011.11.1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을 통해 전달되는 고체 진동음을 최소화하여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층의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달대 브라켓에 있어서, 바닥슬래브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슬래브고정부; 슬래브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하여 연장 마련되는 수직연결부; 수직연결부로부터 절곡되며 슬래브고정부의 타단 방향으로 슬래브고정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수평연결부; 수평연결부로부터 절곡 마련되며 수직연결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채널연결부; 및 수직연결부와 수평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부는 제1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부는 제2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슬롯은 연통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볼트 헤드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바디는 상기 수평연결부의 제2슬롯을 관통한 후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슬래브고정부를 천장의 바닥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헤드는 상기 수평연결부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하여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연결부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채널걸림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어 상층의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달대 브라켓; 달대 브라켓의 채널연결부에 결합되는 캐링 채널; 캐링 채널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바; 및 엠바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패널;을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링 채널은 상판부와, 상판부로부터 좌우로 절곡 마련되는 제1,2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상기 달대 브라켓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측판부는 좌우 동일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네크로 연결 마련되며, 상기 엠바는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네크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은 달대 브라켓에 마련되는 제1,2슬롯을 포함하는 천공 슬롯이 상층의 바닥슬래브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음이 공기 중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한편 좁아진 본체를 통해 전달되는 고체 진동음을 줄임으로써 방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실제 실험해 본 결과, 약 1 ~ 1.5dB 정도의 소음을 저감하게 되어 하층의 재실자가 정온한 환경에서 쾌적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은 달대 브라켓과 캐링 채널과 엠바가 별도의 공구 없이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층의 주거자가 능동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달대 브라켓을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천장 시스템(100)은 상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1)에 상단이 체결되는 달대 브라켓(110)과, 달대 브라켓(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캐링 채널(130)과, 캐링 채널(130)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바(M-bar)(140)와, 엠바(140)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달대 브라켓(110)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층의 바닥슬래브(1)에 하층의 천장에 해당하는 천장재(천장패널)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슬래브(1)와 캐링 채널(1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달대 브라켓(110)은 공간 형성을 위한 프레임 기능뿐만 아니라 상층에서 발생한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방음 기능을 추가적으로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바닥슬래브(1)와 달대 브라켓(110)은 고정볼트(12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고정볼트(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볼트 헤드(121)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바디(122)를 포함한다. 볼트 바디(122)는 끝단이 상층의 바닥슬래브(1)에 고정되며, 볼트 바디(122)의 나사산에 너트(123)가 나사 결합되어 달대 브라켓(110)을 천장의 바닥슬래브(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캐링 채널(130)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이 개구된 박스 형태를 갖는다. 캐링 채널(130)은 상판부(131)와, 상판부(131)로부터 좌우로 절곡 마련되는 제1,2측판부(132,133)를 포함한다. 상판부(131)는 상층의 바닥슬래브(1)와 대향해서 나란하게 이격 마련되며, 달대 브라켓(11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홈(135)을 구비한다. 브라켓홈(135)은 캐링 채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판부(131)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2측판부(132,133)는 좌우 동일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136)가 마련되며, 걸림돌기(136)와 제1,2측판부(132,133) 사이는 네크(137)로 연결되어 있다. 걸림돌기(136)의 폭은 네크(137)보다 넓게 마련된다.
엠바(140)는 통상적인 경량철골 천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재로, 캐링 채널(130)의 걸림돌기(136)에 네크(137)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엠바(140)는 바닥판(141)과, 바닥판(141)으로부터 좌우로 절곡 마련되는 제1,2측판(142,143)을 포함한다. 또한, 제1,2측판(142,143)은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 마련되어 단면이 'M' 형상을 갖도록 하는 레일(144)을 포함하고, 이 레일(144)이 캐링 채널(130)의 대향하는 좌우측 걸림돌기(136) 및 네크(137)에 끼워진다.
엠바(140)와 캐링 채널(13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천장에 설치된다. 예컨대, 달대 브라켓(110)은 천장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고, 복수의 달대 브라켓(110)들은 캐링 채널(130)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엠바(140)는 캐링 채널(130)에 직교 방향으로 촘촘히 연결 설치된다. 엠바(140)는 복수의 천장패널(150) 간 이음 부분을 밀착 시공해야 하므로, 캐링 채널(130)에 비해 간격이 조밀하게 배치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달대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달대 브라켓(110)은 금속재의 경우 주물 제작하거나 금속판재를 프레스나 절곡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비금속의 경우 합성수지재를 성형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달대 브라켓(110)는 순차적으로 슬래브고정부(111)와 수직연결부(113)와 수평연결부(115)와 채널연결부(116)를 포함하며, 이 부재들(111,113,115,116)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슬래브고정부(111)는 상층의 바닥슬래브(1)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중공(112)을 구비한다. 중공(112)에는 고정볼트(120)가 관통 결합된다.
수직연결부(113)는 슬래브고정부(111)로부터 절곡 마련된다.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래브고정부(111)와 수직연결부(113)의 절곡 부위에는 절곡가이드(112a)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연결부(113)는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상층의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음용 제1슬롯(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결부(115)는 수직연결부(113)의 슬래브고정부(111)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연장 마련되는 것으로, 수직연결부(113)로부터 절곡 마련된다.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연결부(113)와 수평연결부(115)의 절곡 부위에는 절곡가이드(113a)가 마련될 수 있다. 수직연결부(113)로부터 절곡된 수평연결부(115)는 슬래브고정부(111)와 이격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밴딩된다. 수평연결부(115)는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상층의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음용 제2슬롯(114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연결부(113)의 제1슬롯(114a)과 수평연결부(115)의 제2슬롯(114b)은 연통해서 마련될 수 있으며, 연통되어 하나의 천공형 슬롯(114)으로 마련될 경우 공기 저항력이 작아져 방음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천공형 슬롯(114)으로 인해 좁아진 본체 즉 수직연결부(113)와 수평연결부(115)는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체 진동음을 줄일 수 있어 방진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채널연결부(116)는 수평연결부(115)의 단부에 연장 마련되는 것으로, 수평연결부(115)로부터 절곡 마련된다. 절곡된 채널연결부(116)는 수직연결부(113)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을 가진다.
채널연결부(116)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걸림바(117)가 마련된다. 채널걸림바(117)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 채널걸림바(117) 중 어느 하나가 캐링 채널(130)의 브라켓홈(135)에 끼워짐으로써 천장에 높이 조절되어 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달대 브라켓(110)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공에 앞서 달대 브라켓(110)은 금속재로 마련될 경우 절곡하여 준비한다.
상층의 바닥슬래브(1)에 고정볼트(120)를 체결하기 위한 위치를 설정하고, 볼트홀(2)을 천공한다. 그리고, 고정볼트(120)가 달대 브라켓(110)의 수평연결부(115) 및 슬래브고정부(111)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준비하는데, 이때 수평연결부(115)와 슬래브고정부(111) 사이에 너트(123)를 삽입하여 고정볼트(120)가 볼트 헤드(121)로부터 수평연결부(115)의 제2슬롯(114b), 너트(123), 슬래브고정부(11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층의 바닥슬래브(1) 볼트홀(2)에 고정볼트(120)를 체결 고정한다. 달대 브라켓(110)은 너트(123)가 슬래브고정부(111)에 밀착됨으로서 천장의 바닥슬래브(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120)의 볼트 헤드(121)는 수평연결부(115)에 대해 소정 거리(G) 이격하여 하측에 마련된다. 이는 천장 시스템의 각 부재들이 과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층의 바닥슬래브(1)에 복수의 달대 브라켓(110)이 설치되면, 캐링 채널(130)을 이용하여 이들을 연결한다. 캐링 채널(130)의 설치 높이는 달대 브라켓(110)의 채널연결부(116) 양측면에 마련되는 톱니 형상의 채널걸림바(117)를 캐링 채널(130)의 브라켓홈(135)에 선택적으로 끼워 조절할 수 있다. 브라켓홈(135)의 넓이는 채널걸림바(117)의 산보다는 좁고 골보다는 넓게 마련된다.
캐링 채널(130)이 시공된 후에는 엠바(14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천장패널(150)을 시공한다. 엠바(140)는 캐링 채널(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걸림돌기(136) 중 하나에 레일(144)이 네크(137)를 감싸는 형태로 캐링 채널(13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립된다. 이웃하는 엠바(140) 사이에는 석고보드와 같이 규격화된 천장패널(150)이 볼트나 걸림바(미도시)를 이용하여 연결 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천장 시스템은 달대 브라켓(110)에 마련되는 제1,2슬롯(114a,114b)을 포함하는 천공이 상층의 바닥슬래브(1)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음이 공기 중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한편 달대 브라켓의 본체를 타고 전달되는 고체 전달음을 줄임으로써 방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실제 실험해 본 결과, 약 1 ~ 1.5dB 정도의 소음을 저감하게 되어 하층의 재실자가 정온한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시스템은 달대 브라켓(110)과 캐링 채널(130)과 엠바(140)와 천장패널(150)이 별도의 공구 없이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1..바닥슬래브 100..천장 시스템
110..달대 브라켓 111..슬래브고정부
113..수직연결부 114..슬롯
115..수평연결부 116..채널연결부
120..고정볼트 130..캐링 채널
135..브라켓홈 136..걸림돌기
137..네크 140..엠바
144..레일 150..천장패널

Claims (7)

  1. 상층의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달대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바닥슬래브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슬래브고정부;
    상기 슬래브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하여 연장 마련되는 수직연결부;
    상기 수직연결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슬래브고정부의 타단 방향으로 슬래브고정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수평연결부;
    상기 수평연결부로부터 절곡 마련되며 상기 수직연결부와 나란하게 연장 마련되는 채널연결부; 및
    상기 수직연결부와 수평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는 제1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부는 제2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슬롯은 연통 마련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볼트 헤드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바디는 상기 수평연결부의 제2슬롯을 관통한 후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슬래브고정부를 천장의 바닥슬래브에 고정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헤드는 상기 수평연결부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연결부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채널걸림바를 구비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어 상층의 바닥슬래브에 고정되는 달대 브라켓;
    상기 달대 브라켓의 채널연결부에 결합되는 캐링 채널;
    상기 캐링 채널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엠바; 및
    상기 엠바의 저면에 마련되어 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패널;을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캐링 채널은 상판부와, 상판부로부터 좌우로 절곡 마련되는 제1,2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상기 달대 브라켓의 채널연결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측판부는 좌우 동일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네크로 연결 마련되며, 상기 엠바는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네크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천장 시스템.
KR1020160177542A 2016-12-23 2016-12-23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10194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42A KR101943012B1 (ko) 2016-12-23 2016-12-23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42A KR101943012B1 (ko) 2016-12-23 2016-12-23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62A true KR20180073962A (ko) 2018-07-03
KR101943012B1 KR101943012B1 (ko) 2019-01-28

Family

ID=6291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42A KR101943012B1 (ko) 2016-12-23 2016-12-23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27B1 (ko) * 2019-10-24 2020-10-08 김은경 수치지도의 지형지물 위치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의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33Y1 (ko) * 2008-02-28 2008-08-08 (주)신성강건 경량철골식 천장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27B1 (ko) * 2019-10-24 2020-10-08 김은경 수치지도의 지형지물 위치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의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012B1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655B2 (en) Modular system for continuously insulat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securing exterior cladding to the structure
US20090282759A1 (en) Relocatable building wall construction
US10196816B2 (en) Ceiling system
KR100740254B1 (ko)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101548905B1 (ko)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101943012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JP4914161B2 (ja) 縦桟の取付け構造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101943018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KR20130125253A (ko) 절곡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방진 달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방진천장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2007031935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20034846A (ko) 천장재 고정 장치
KR101081041B1 (ko) Pvc를 이용한 주택 라운드 우물천장 설치구조
CA2847473C (en) Modular system for continuously insulat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securing exterior cladding to the structure
KR102371704B1 (ko) 스크린 루버
JP6254792B2 (ja) 天井下地材
US20240018778A1 (en) Ceiling suspension bracket
KR20200045691A (ko) 입체적 방음 공간을 형성하는 천장 패널과 이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장치
KR101083760B1 (ko) 흡음패널이 결합된 벽체구조물
JP6416589B2 (ja) 高遮音階段
CN205502290U (zh) 一种新型隔音阻尼墙结构
JP3881875B2 (ja) 天井施工用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天井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