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894A -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894A
KR20180073894A KR1020160177410A KR20160177410A KR20180073894A KR 20180073894 A KR20180073894 A KR 20180073894A KR 1020160177410 A KR1020160177410 A KR 1020160177410A KR 20160177410 A KR20160177410 A KR 20160177410A KR 20180073894 A KR20180073894 A KR 2018007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ot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co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587B1 (ko
Inventor
박태훈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5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2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망정보수집부,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망관리부, 및 상기 망관리부에서 획득한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고,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 구성이 동적으로 변하더라도 가능한 통신망 연결을 스스로 찾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 사용 가격, 통신 지연, 전력 사용 등을 고려한 최적의 통신망을 찾아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IoT Apparatus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와,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 사물인터넷)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고 인터넷으로 사물 간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인간의 조작이 개입되어야 했지만, IoT의 경우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사람의 도움 없이 서로 알아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IoT 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망이 필요한데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FC), 지그비(ZigBee), 센서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등 자율적인 소통을 돕는 통신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현재 PC, 노트북, 휴대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주변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기술을 IoT 기술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IoT 장치는 다양한 통신망 중에서 하나의 통신망에서만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다. 별도의 통신망을 사용하는 IoT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하여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 간의 변환이 가능한 게이트웨이(gateway)나 라우터(router)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종 통신망을 지원하는 IoT 장치 간의 통신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장치(40, 45)와 IoT 장치(50, 55)는 서로 다른 통신망(60, 70) 내에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IoT 장치(40, 45)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60)은 IoT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IoT 장치(40, 45)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20)를 통하여 서로 간에 통신(80, 83)을 하거나 또는 직접 통신(85)을 할 수 있다. 반면에 IOT 장치(50, 55)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70)은 IoT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망일 수 있어 IoT 장치(50, 55) 간의 통신을 위하여서는 반드시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30)를 거쳐야 서로 간에 통신(90. 93)할 수 있다.
이 경우 IoT 장치(45)와 IoT 장치(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직접 통신(99)이 불가능하고 각 장치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20, 30)를 거쳐 프로토콜 변환기(10)를 거쳐야만 통신할 수 있다. 즉, IoT 장치(45)와 IoT 장치(50)가 거리상으로는 가까운 위치에 있을지라도 각 IoT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망이 서로 다르다면 중간에 많은 추가적인 장치를 거쳐야만 통신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IoT 기기의 사용은 IoT 활성화에 제약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복수 개의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와,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비용 계산을 통하여 가장 적은 비용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망정보수집부,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망관리부, 및 상기 망관리부에서 획득한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고,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관리부는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response message)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응답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의 목적지인 경우에는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망관리패킷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메시지는 메시지가 방송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명령코드 필드, 상기 방송메시지의 발송시간을 나타내는 발신시간 필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통신비용 필드, 상기 방송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자 필드, 및 상기 방송메시지가 거쳐온 경로의 타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답메시지는 메시지가 응답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명령코드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의 발송시간을 나타내는 발신시간 필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통신비용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응되는 방송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자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응되는 방송메시지의 수신자이면서 상기 응답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수신자필드, 상기 응답메시지가 거쳐온 경로의 타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관리패킷처리부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생성 시에,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비용필드에 기재되어 있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추가하여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생성 또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응답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시에 수신한 상기 방송메시지 또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되어 있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추가하여 상기 새로운 방송메시지 또는 상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관리부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이 가장 낮은 망을 선택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은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비용 필드의 값을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이 가장 낮은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 구성이 동적으로 변하더라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을 스스로 찾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 사용 가격, 통신 지연, 전력 사용 등을 고려한 최적의 통신망을 찾아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종 통신망을 지원하는 IoT 장치 간의 통신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의 데이터 전송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300, 301, 303)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답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로서 방송메시지 및 응답메시지에 따른 IoT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시이퀀스 다이아그램 (sequence diagra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송메시지 1 내지 3 및 응답메시지 1 내지 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에서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의 데이터 전송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300, 301, 303)는 복수 개의 통신망(100, 110, 120)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300, 301, 303)는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이것은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 등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300, 301, 303)는 연결할 수 있는 모든 통신망을 동시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시간상의 특정 한순간에는 단순히 하나의 통신망에만 연결하고 시간대 별로 서로 다른 통신망에 연결하는 형태로 복수의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음도 당연할 것이다.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IoT 장치(300)는 다른 IoT 장치(303)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장치 간의 직접 통신(400)에 의하거나 다른 IoT 장치(301)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통신(420) 또는 게이트웨이(210, 220) 및 프로토콜 변환기(200)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통신(410)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IoT 장치(300)는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타 IoT 장치(30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을 발굴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IoT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 송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가장 비용이 저렴한 통신망을 선택하여 데이터 통신을 함으로써 전체 통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300, 301, 303)의 블록도이다.
도 3의 블록도에서는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물리 계층 또는 맥 계층 등의 데이터 송, 수신을 프로토콜에 맞추어서 수행하는 블록에 대하여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블록은 기존의 상용화된 단말장치를 참조하여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유추할 수 있을 부분이다. 특히 SDR을 사용하는 경우, 시간대 별로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망에 따른 프로토콜을 다운로딩하여 데이터 송, 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부분도 이미 알려져있는 개념인 바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IoT 장치(300, 301, 303)가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음을 이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중점을 두고 있는바 상기 생략한 부분은 본 발명의 IoT 장치에 통상의 기술자가 유추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300, 301, 303)는 망정보수집부(310), 망관리부(320), 망관리패킷처리부(330), 및 데이터전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모든 장치가 IoT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을 위하여 IoT 장치(300, 301, 303)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IoT 장치(300)는 발신장치, IoT 장치(303)는 수신장치, IoT 장치(301)는 경로장치가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장치는 후술할 방송메시지를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IoT 장치이고, 경로장치는 발신장치에서 송신한 방송메시지가 경유하는 IoT 장치이다.
망정보수집부(310)는 IoT 장치(300)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303, 301)들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의 타 IoT 장치(303, 301)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IoT 장치일 수도 있고, 하나의 통신망과만 연결될 수 있는 종래의 IoT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IoT 장치(300, 301, 303)의 고유정보는 MAC 주소, IP 주소, 사용 통신망 정보일 수 있다. 이때의 사용 통신망은 LAN, WiFi, Bluetooth, 3G, LTE 망일 수도 있고, 그 외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통신망일 수 있다. 특히 IoT 장치(300)가 복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타 IoT 장치(303)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통신망별로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송 가능 여부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IoT 장치(300)가 이동 가능한 경우에, 이동에 따라 전송 가능성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와 응답메시지(response message)를 이용하여 전송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고, 타 IoT 장치(303, 301)의 고유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망관리부(320)는 상기 망정보수집부(310)에서 수집한 타 IoT 장치(303)를 수신장치로 하여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 IoT 장치(303)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303)로의 전송가능한 통신망, 및 데이터 전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의 일 예를 참조하면, 망관리부(320)는 타 IoT 장치(303)로의 전송가능한 통신망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통신망(100, 110, 120)을 이용하여 방송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100, 110, 120)을 통해 방송메시지에 대한 대응으로 전달되어온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303)로 전송 가능한 통신망 및 데이터 전송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때 각 통신망별 패킷의 전송속도도 계산할 수 있다.
망관리패킷처리부(330)는 수신한 방송메시지 또는 응답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즉, 경로장치로서의 IoT 장치(301)의 망관리패킷처리부(330)는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한 대응으로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생성하고, 수신한 응답메시지에 대한 대응으로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경로상의 다음 IoT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장치로서의 IoT 장치(303)의 망관리패킷처리부(330)는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한 대응으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발신장치로서의 IoT 장치(300)의 망관리패킷처리부(330)는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망관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전송부(340)는 특정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망관리부(320)에서 획득한 특정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가능한 통신망 및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고,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의 일 예를 참조하면, IoT 장치(300)가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이고 검측한 데이터를 타 IoT 장치(303)로 전송하고자 할 때, IoT 장치(300)는 망관리부(320)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 개의 통신망(100, 110, 120)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전송부(340)는 복수 개의 통신망(100, 110, 120) 각각에 대한 타 IoT 장치(303)로의 전송가능성 정보와 데이터 전송시에 드는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전송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방송메시지, 응답메시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전송 비용 및 타 IoT 장치(303)로의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가능성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 전송되는 패킷은 도 4의 방송메시지에 이 방송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른 헤더(일 예로 UDP 헤더, TCP 헤더, IP 헤더, 및/또는 MAC 헤더) 및/또는 트레일러(traile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IoT 장치(300, 301, 303)가 송신하는 방송메시지는 명령어코드 필드(510), 발신시간 필드(511), 통신비용 필드(512), 및 발신장치 필드(513)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추가로 수신장치가 아닌 타 IoT 장치를 거쳐서 목적지로 가는 경우에는 방송메시지가 경유한 경로장치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514)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코드 필드(510)는 이 메시지가 방송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4의 예를 참조하면 16진수로 1의 값을 사용하여 방송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발신장치 필드(513)는 방송메시지를 송신한 장치를 나타내고, 발신시간 필드(511)는 방송메시지를 송신한 시간을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는 발신시간 필드(511)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년/월/일/시/분/초로 나타냈지만 이와는 다르게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유닉스(unix) 시간형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경로장치 필드(514)는 방송메시지가 목적지인 수신장치에 도착하기 전에 거쳐간 중간의 IoT 장치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발신장치 필드(513)와 경로장치 필드(514) 모두 도 4의 예에서는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표시하였지만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가 될 수 있는 어떤 것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경로장치 필드(514)의 경우에 복수 개의 장치를 거쳐서 도착한 경우에는 방송메시지가 경유한 모든 IoT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비용 필드(512)는 통신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발신장치의 통신비용에 중간에 거쳐간 경로장치의 통신비용도 모두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2개의 예제 방송메시지(520, 530) 중 하나(520)는 발신장치에서 목적지로 바로 전달된 것으로 경로장치 필드(514)가 없으며 이때의 통신비용 필드(512)는 발신장치가 방송메시지를 송신하는데 드는 비용 또는 이에 더하여 추후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데 드는 비용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다른 방송메시지(530)는 발신장치에서 2개의 경로장치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 전달된 것으로 경유한 2개의 경로장치에 대한 정보가 경로장치 필드(514)에 추가되고, 통신비용 필드(512)은 각 경로장치의 통신비용이 추가된 값일 수 있다. 즉, 중간의 경로장치는 수신한 방송메시지의 뒤에 자신의 고유번호(도 4의 예에서는 MAC 어드레스)를 추가하고, 통신비용 필드(512)에 수신한 방송메시지의 통신비용 필드(512)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더하여 업데이트한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만들어서 다음 경로장치 또는 목적지인 수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비용은 데이터 수신/송신에 필요한 비용일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장치의 에너지 소비 비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송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장치 및/또는 경로장치의 망정보수집부(310)는 수신한 방송메시지를 이용하여서도 타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송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장치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메시지를 방송메시지의 발신장치 필드(513)가 나타내고 있는 발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답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 전송되는 패킷은 도 5의 응답메시지에 이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른 헤더(일 예로 UDP 헤더, TCP 헤더, IP 헤더, 및/또는 MAC 헤더) 및/또는 트레일러(traile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장치가 송신하는 응답메시지는 명령어코드 필드(610), 발신시간 필드(611), 통신비용 필드(612), 발신장치 필드(613) 및 수신장치 필드(61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추가로 타 IoT 장치를 거쳐서 발신장치로 가는 경우에는 응답메시지가 경유한 경로장치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코드 필드(610)는 이 메시지가 응답메시지임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5의 예를 참조하면 16진수로 FE의 값을 사용하여 응답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발신장치 필드(613)는 본 응답메시지에 대응되는 방송메시지를 송신한 장치를 나타내고, 수신장치 필드(615)는 응답메시지를 송신한 IoT 장치를 나타내며, 발신시간 필드(611)는 응답메시지를 송신한 시간을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는 발신시간 필드(511)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년/월/일/시/분/초로 나타냈지만 이와는 다르게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유닉스(unix) 시간형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경로장치 필드(614)는 응답메시지가 목적지인 발신장치에 도착하기 전에 거쳐간 중간의 IoT 장치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발신장치 필드(613), 수신장치 필드(615) 및 경로장치 필드(614) 모두 도 5의 예에서는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표시하였지만 다른 형태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경로장치 필드(614)의 경우에 복수 개의 장치를 거쳐서 도착한 경우에는 응답메시지가 지나간 모든 경로의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비용 필드(612)는 통신을 수행하는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응답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메시지의 통신비용 필드(512)에 있던 비용에 더하여 수신장치의 통신비용 및 중간에 거쳐간 경로장치의 통신비용도 모두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2개의 예제 응답메시지(620, 630) 중 하나(620)는 수신장치에서 발신장치로 바로 전달된 것으로 경로장치 필드(614)가 없으며 이때의 통신비용 필드(612)는 발신장치가 송신한 방송메시지의 통신비용 필드(512)에 나타나 있는 통신비용에 수신장치가 패킷을 수신하고 발신하는데 소요된 비용을 더한 비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다른 응답메시지(630)는 수신장치에서 2개의 경로장치를 경유하여 발신장치로 전달된 것으로 경유한 2개의 경로장치에 대한 정보가 경로장치 필드(614)에 추가되고, 통신비용 필드(612)은 각 경로장치의 통신비용이 추가된 값일 수 있다. 즉, 중간의 경로장치는 수신한 응답메시지의 뒤에 자신의 고유번호(도 5의 예에서는 MAC 어드레스)를 추가하고, 통신비용 필드(612)에 수신한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 필드(612)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더하여 업데이트한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만들어서 다음 경로장치 또는 목적지인 발신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비용은 데이터 수신/송신에 필요한 비용일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장치의 에너지 소비 비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송신장치 및/또는 경로장치의 망정보수집부(310)는 수신한 방송메시지를 이용하여서도 타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망관리부(320)는 방송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술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로서 방송메시지 및 응답메시지에 따른 IoT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시이퀀스 다이아그램 (sequence diagram)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송메시지 1 내지 3 및 응답메시지 1 내지 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신장치(700)는 수신장치(703)의 존재 유무 및 수신장치(703)로의 데이터 전송시의 통신비용을 획득하기 위하여 방송메시지1(740)을 생성(710)하고 전송(720)할 수 있다. 방송메시지1(740)은 전술한 것처럼 명령어코드 필드, 발신시간 필드, 통신비용 필드, 및 발신장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메시지1(740)을 수신한 경로장치1(701)은 방송메시지1(740)의 뒤에 경로장치 필드를 추가하여 타 IoT 장치와 구별할 수 있는 자신의 고유번호(가령 MAC 어드레스)를 붙이고, 통신비용 필드에 방송메시지1(740)의 통신비용 필드 값에 자신이 데이터를 수신/처리/송신 시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더하여 통신비용 필드를 업데이트한 방송메시지2(741)를 생성(711)하고, 전송(721)할 수 있다.
방송메시지2(741)를 수신한 경로장치2(702)는 경로장치1(701)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방송메시지2(741)의 뒤에 타 IoT 장치와 구별할 수 있는 자신의 고유번호(가령 MAC 어드레스)를 붙이고, 통신비용 필드에 방송메시지2(741)의 통신비용 필드 값에 자신이 데이터를 수신/처리/송신 시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더하여 통신비용 필드를 업데이트한 방송메시지3(742)을 생성(712)하고, 전송(722)할 수 있다.
방송메시지3(742)을 수신한 수신장치(703)는 방송메시지3(742)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1(743)을 생성(713)하고 전송(723)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1(743)은 전술한 것처럼 명령어코드 필드, 발신시간 필드, 통신비용 필드, 발신장치 필드, 및 수신장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장치 필드는 응답메시지1 생성을 야기한 방송메시지3(742)의 발신장치 필드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고, 수신장치 필드에는 수신장치의 고유번호를 기재하며, 통신비용 필드는 방송메시지3(7420)의 통신비용 필드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추가한 값을 기재할 수 있다.
수신장치(703)에서 생성된 응답메시지1(743)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경로장치2(702) 및 경로장치1(701)을 경유하여 발신장치(7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경로장치2(702)와 경로장치1(701)은 방송메시지2(741) 및 방송메시지3(742)을 생성한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응답메시지2(744)와 응답메시지3(745)을 생성할 수 있다.
발신장치(700)는 응답메시지 수신 여부를 이용하여 수신장치(703)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수신장치(703)가 방송메시지를 송신한 통신망으로는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수신장치(703)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방송메시지를 전송한 통신망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장치(70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방송메시지를 전송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또한 발신장치(700)는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수신장치(703)로 데이터전송시에 소요되는 통신비용을 응답메시지(도 6의 예에서는 응답메시지3)의 통신비용 필드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에서 수신장치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통신망 및 통신비용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제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획득한 수신장치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통신망 및 통신비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에서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는 연결 가능한 복수 개의 통신망 각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타 IoT 장치로 방송메시지를 송신(S810)하고, 타 IoT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S820)한다. 특정 통신망의 경우에는 어떤 이유로든 타 IoT 장치로의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반면에 또 다른 통신망의 경우에는 타 IoT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고, 방송메시지를 수신한 타 IoT 장치는 이에 대응하여 방송메시지를 보낸 IoT 장치로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IoT 장치는 이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처럼 응답메시지에는 통신비용 필드 및 경유장치 필드, 전송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IoT 장치는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내의 응답메시지 수신 여부를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또 수신한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 필드를 이용하여 각 통신망을 사용시의 데이터 전송 비용을 계산(S830)할 수 있다.
그러면 IoT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과 데이터 전송 비용 정보를 바탕으로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S840)하고, 선택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S850)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 선택의 조건은 통신비용이 가장 낮은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예로서 방송메시지의 도달 시간이 가장 짧은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방송메시지의 도달 시간은 방송메시지의 발신시간 필드에 있는 정보와 응답메시지의 발신시간 필드에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의 이동 또는 다양한 환경 변화로 전송 가능한 통신망이 수시로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단계 중에서 S810 내지 S830의 단계는 주기적으로 행해져 전송 가능한 통신망 및 데이터 전송 비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복수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와 이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였다. IoT 시대가 대중화되면서 전술한 IoT 장치는 일반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에 맞추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복수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10, 120: 통신망
300, 301, 303; IoT 장치
310: 망정보수집부
320: 망관리부
330: 망관리패킷처리부
340: 데이터전송부
520, 530: 방송메시지
620, 630: 응답메시지

Claims (13)

  1.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로서,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망정보수집부;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망관리부; 및
    상기 망관리부에서 획득한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고,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부는,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응답메시지(response message)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응답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의 목적지인 경우에는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망관리패킷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메시지는,
    메시지가 방송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명령코드 필드;
    상기 방송메시지의 발송시간을 나타내는 발신시간 필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통신비용 필드;
    상기 방송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자 필드; 및
    상기 방송메시지가 거쳐온 경로의 타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는,
    메시지가 응답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명령코드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의 발송시간을 나타내는 발신시간 필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통신비용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응되는 방송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발신자 필드;
    상기 응답메시지에 대응되는 방송메시지의 수신자이면서 상기 응답메시지의 발신자를 나타내는 수신자필드;
    상기 응답메시지가 거쳐온 경로의 타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장치 필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패킷처리부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생성 시에,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비용필드에 기재되어 있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추가하여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패킷처리부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방송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송메시지를 생성 또는,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오는 응답메시지에 대응하여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생성시에 수신한 상기 방송메시지 또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되어 있던 값에 자신의 통신비용을 추가하여 상기 새로운 방송메시지 또는 상기 새로운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에 기재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부는,
    상기 응답메시지의 통신비용필드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 비용을 계산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이 가장 낮은 망을 선택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과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10.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IoT 장치가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신망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한 타 IoT 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통신망 중에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통신망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타 IoT 장치로 방송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 IoT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비용 필드의 값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IoT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망 정보 및 통신망별 데이터 전송 비용을 바탕으로 상기 타 IoT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비용이 가장 낮은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장치에 의한 데이터 통신방법.
KR1020160177410A 2016-12-23 2016-12-23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88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0A KR101882587B1 (ko) 2016-12-23 2016-12-23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0A KR101882587B1 (ko) 2016-12-23 2016-12-23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94A true KR20180073894A (ko) 2018-07-03
KR101882587B1 KR101882587B1 (ko) 2018-07-26

Family

ID=6291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10A KR101882587B1 (ko) 2016-12-23 2016-12-23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8265A1 (zh) * 2019-06-14 2020-12-17 胡永生 智慧物联数据编码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688A (ko) * 2011-02-17 2012-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115872A1 (ko) * 2014-01-31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688A (ko) * 2011-02-17 2012-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115872A1 (ko) * 2014-01-31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8265A1 (zh) * 2019-06-14 2020-12-17 胡永生 智慧物联数据编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587B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4796B2 (en) Routing method in an ad hoc network
JP5606674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制御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CN102084689B (zh) 选择性先验反应式路由
US8732338B2 (en) Mesh network bridge routing
US8203990B2 (en) Wireless-communication system, wireless-communication device, wireless-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09517987A (ja) 無線通信ルートの品質を向上させ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40050085A1 (en) Object-to-object intelligent network (o2n)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transmission channels,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system
EP2165467A1 (en) Packet prioritization in ad hoc networks
JP2006180139A (ja) 制御装置、移動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US10091720B2 (en)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user input
JP2012227641A (ja) 無線通信装置、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選択装置および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選択方法
JP580188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間で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82587B1 (ko) 복수 개의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IoT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4394537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端末装置
KR102023137B1 (ko) 연합형 진화 패킷 코어 서비스 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4913208B2 (ja) アドレス解決方法
EP2524541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optimizing data transf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531528B2 (ja)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サーバ、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306641A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155899B2 (ja) モバイル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非ip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経路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6238113A (ja) パケット転送方法、ルータ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20090062277A (ko) 메쉬 네트워크 시스템, 클라이언트 노드, 메쉬 네트워크시스템의 메쉬 노드에서의 통신 방법,클라이언트노드에서의 통신 방법
JP2014123829A (ja) 子機無線機、親機無線機および経路構築方法
US10687244B2 (en) Methods, first transmit device and relay device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JP6668834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