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032A -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032A
KR20180073032A KR1020160176427A KR20160176427A KR20180073032A KR 20180073032 A KR20180073032 A KR 20180073032A KR 1020160176427 A KR1020160176427 A KR 1020160176427A KR 20160176427 A KR20160176427 A KR 20160176427A KR 20180073032 A KR20180073032 A KR 2018007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pe
wire
fixing bo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581B1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7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5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직선상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간에 단차를 이루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각각 가압함에 따라, 복수 개 파이프간 연결을 위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Pipe connector and pipe additional strengthening for vinyl ho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파이프간 결합 시 고정력을 강화시키며, 이러한 결속조리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를 제작하는 경우,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내부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 고정을 위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공사현장 또는 조선소의 선박 건조현장 등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작업통로와 발판을 설치하거나, 이물질 또는 작업도구 등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비계구조물이 가설된다.
상기와 같은 비계구조물은 통상적으로 파이프 클램프를 이용하여 강철 재질의 비계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90도 방향 또는 요구하는 임의의 방향에 맞추어 교차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따라서, 파이프 클램프는 복수 개의 파이프간의 교차 연결부위에서 비계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농업시설물인 비닐하우스에서도 뼈대를 이루는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조리개를 사용한다.
하지만, 농업시설물에서 사용되는 조리개의 경우에는 결합강도가 비계구조물에서 사용되는 파이프 클램프의 결합강도에 미치지 못하며, 따라서 농업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약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결합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한 비계구조물의 파이프 클램프를 농업시설물에서 사용하기에는 파이프 클램프의 결합방식이 매우 제한적인 관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8702호(2001.01.18.)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79286호(2015.12.15.)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 파이프의 상호간에 결합되는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결속조리개를 이용해 비닐하우스 제작 시, 비닐하우스의 내부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는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속조리개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직선상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고정축의 일측 하단에 상기 고정축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고정축의 타측 상단에 상기 고정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속조리개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각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 체결구를 통해 직렬 상태로 체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내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파이프를 T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몸체 외측에 형성되는 와어어 고정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권취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대는 양 끝단이 돌출되고, 중앙부가 오목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오목한 중앙부가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몸체 외측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봉은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오목한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틱을 포함하여, 상기 스틱에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와,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외측에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와어어 고정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권취봉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클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속조리개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사이에 와이어가 상호 교차하며 권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간에 단차를 이루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각각 가압함에 따라, 복수 개 파이프간 연결을 위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비닐하우스 천장에 아치형태로 배치되는 파이프에 서로 대향하며 결속되는 결속조리개가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파이프에 대한 안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를 이용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속조리개에 파이프와 와이어를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결속조리개(Pipe connector)는 관에 나사를 내거나 가공할 때, 해당 관을 고정시키는 조임쇠로서, 강관 비계의 조립에 사용하는 파이프를 상호간에 결합하는 철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조리개는 제1 클램프(100) 및 제2 클램프(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클램프(100) 및 상기 제2 클램프(200)는 몸체(110, 210), 덮개(120, 220), 고정볼트(130, 230) 및 조임너트(140, 240)를 각각 포함한다.
몸체(110, 210)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덮개(120, 220)는 상기 몸체(110, 210)의 일단에 절곡되어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다.
고정볼트(130, 230)는 상기 덮개(120, 220)의 일단과 상기 몸체(110, 210)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10, 210)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한다.
조임너트(140, 240)는 상기 몸체(110, 210)의 타단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볼트(130, 230)와 나사 조립되고, 이를 통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제1 클램프(100)는 고정축(150)의 일측 하단에 상기 고정축(150)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 클램프(200)는 상기 고정축(150)의 타측 상단에 상기 고정축(150)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클램프(100)와 상기 제2 클램프(200)는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클램프(100)는 세로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하는 반면에, 상기 제2 클램프(200)는 가로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클램프(100) 및 상기 제2 클램프(200)는 서로 동일한 축 상이 아닌 상기 제1 클램프(100)는 고정축(150)의 일측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프(200)는 고정축(150)의 타측 상단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동일한 축 상에서 파이프를 고정하는 것 보다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지며 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는 제1 클램프(100) 및 제2 클램프(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클램프(100) 및 상기 제2 클램프(200)는 몸체(110, 210), 덮개(120, 220), 고정볼트(130, 230) 및 조임너트(140, 240)를 각각 포함한다.
몸체(110, 210)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덮개(120, 220)는 상기 몸체(110, 210)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다.
고정볼트(130, 230)는 상기 몸체(110, 210)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한다.
조임너트(140, 240)는 상기 고정볼트(130, 230)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한다.
이러한 제1 클램프(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클램프(200)는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클램프(100)와 상기 제2 클램프(200)는 각 몸체(110, 210)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 체결구(160)를 통해 직렬 상태로 체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는 앞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결속조리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100)에 위치하는 고정볼트(130) 및 조임너트(140)와 제2 클램프(200)에 위치하는 고정볼트(230) 및 조임너트(240)가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100)와 제2 클램프(200)가 체결구(160)를 통해 직렬 상태로 서로 체결되나, 상기 제1 클램프(100) 내 고정볼트(130) 및 조임너트(140)는 상기 제1 클램프(100)의 왼쪽 위치에서 결합되는 반면에, 상기 제2 클램프(200) 내 고정볼트(230) 및 조임너트(240)는 상기 제2 클램프(200)의 오른쪽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클램프(100) 및 제2 클램프(200)가 서로 직렬 상태로 체결되고,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기 제1 클램프(100) 및 제2 클램프(200) 내부에 서로 직렬 상태로 각각 안착되더라도,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의 가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100)는 내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왼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면, 상기 제2 클램프(200)는 상기 제1 클램프(100)에 안착된 파이프와 동일하게 직렬 상태로 안착된 파이프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램프(100)와 상기 제2 클램프(200)는 내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파이프를 T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어, 상기 제1 클램프(100)를 통해 세로 파이프를 고정하고, 상기 제2 클램프(200)를 통해 가로 파이프를 곡선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와이어 고정대 및 와이어 권취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속조리개에 파이프와 와이어를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조리개는 앞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 덮개, 고정볼트 및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에 더하여 와이어 고정대 및 와이어 권취봉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앞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구성요소인 와이어 고정대 및 와이어 권취봉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 고정대(270)는 상기 제1 클램프(100) 또는 상기 제2 클램프(200)의 몸체(110, 210) 외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대(270)는 양 끝단이 돌출되고, 중앙부가 오목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 양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오목한 중앙부가 상기 제1 클램프(100) 또는 상기 제2 클램프(200)의 몸체(110, 210) 외측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권취봉(280)은 상기 와이어 고정대(27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W)를 연결하는데, 상기 와이어 고정대(270)의 오목한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 고정대(270)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틱을 포함하여, 상기 스틱에 와이어(W)가 권취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결속조리개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비닐하우스는 상술한 본 발명의 결속조리개를 통해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파이프가 직선 형태의 기둥 및 아치 형태의 천장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속조리개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클램프는 상술한 몸체, 덮개, 고정볼트, 조임너트, 와이어 고정대 및 와이어 권취봉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결속조리개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구조물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사이에 와이어가 상호 교차하며 권취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아치형태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예를 들어, 총 3개의 결속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아치형태를 이루는 파이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결속조리개 A(C1)와 결속조리개 B(C2)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높이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아치 형태의 파이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에는 결속조리개 C(C3)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결속조리개 A(C1)와 결속조리개 C(C3) 사이에 제1 와이어(W1)가 각각 권취되어 양단이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속조리개 C(C3)의 와이어 고정대에 권취된 제1 와이어(W1)가 결속조리개 B(C2)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제1 와이어(W1)가 결속조리개 A 부터 결속조리개 C를 거쳐 결속조리개 B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구조는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예를 들면, 총 4개의 결속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아치 형태의 파이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결속조리개 A(C1)와 결속조리개 B(C2)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호 높이차를 이루며 배치되고, 아치 형태의 파이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에는 결속조리개 C(C3)가 상기 결속조리개 A(C1)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또한 결속조리개 D(C4)가 상기 결속조리개 B(C2)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조리개 A(C1)와 결속조리개 C(C3) 사이에 제1 와이어(W1)가 각각 권취되어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W1)는 상기 결속조리개 C(C3)와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B(C2)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제1 와이어(W1)가 결속조리개 A 부터 결속조리개 C(C3)를 거쳐 결속조리개 B(C2)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간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개수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조리개 A(C1)와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D(C4) 사이에 제2 와이어(W2)가 각각 권취되어 양 단이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속조리개 D(C4)에 권취된 제2 와이어(W2)는 상기 결속조리개 D(C4)와 서로 직선상으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B(C2)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제2 와이어(W2)가 결속조리개 A(C1)부터 결속조리개 D(C4)를 거쳐 결속조리개 B(C2)를 서로 교차하며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해 서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사이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이루는 파이프간 결합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비닐하우스의 내부 구조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간에 단차를 이루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각각 가압함에 따라, 복수 개 파이프간 연결을 위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는 비닐하우스 천장에 아치형태로 배치되는 파이프에 서로 대향하며 결속되는 결속조리개가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제1 클램프 200: 제2 클램프
110, 210: 몸체 120, 220: 덮개
130, 230: 고정볼트 140, 240: 조임너트
1500: 고정축 160: 체결구
270: 와이어 고정대 280: 와이어 권취봉

Claims (8)

  1.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직선상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단차를 이루며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고정축의 일측 하단에 상기 고정축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고정축의 타측 상단에 상기 고정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3.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각 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 체결구를 통해 직렬 상태로 체결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내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파이프를 T자 형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몸체 외측에 형성되는 와어어 고정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권취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대는
    양 끝단이 돌출되고, 중앙부가 오목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오목한 중앙부가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몸체 외측에 맞닿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봉은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오목한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틱을 포함하여, 상기 스틱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
  8.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에 있어서,
    파이프가 안착되는 개구홀을 갖는 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절곡되어 안착된 파이프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개구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가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 조립되어 가압된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너트와,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외측에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와어어 고정대 및 상기 와이어 고정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권취봉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클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결속조리개가 비닐하우스의 파이프에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결속조리개 사이에 와이어가 상호 교차하며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리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KR1020160176427A 2016-12-22 2016-12-22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KR10193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27A KR101931581B1 (ko) 2016-12-22 2016-12-22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27A KR101931581B1 (ko) 2016-12-22 2016-12-22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32A true KR20180073032A (ko) 2018-07-02
KR101931581B1 KR101931581B1 (ko) 2018-12-21

Family

ID=6291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27A KR101931581B1 (ko) 2016-12-22 2016-12-22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47B1 (ko) 2018-09-07 2019-03-13 이돈영 완성형 비닐 라운딩접촉형 비닐하우스용 연결 클램프 자동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형성된 완성형 비닐 라운딩접촉형 비닐하우스용 연결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084B2 (ja) * 1998-06-25 2001-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動カーテン装置
JP2010138930A (ja) * 2008-12-09 2010-06-24 Marusa:Kk パイプ抱持用ク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47B1 (ko) 2018-09-07 2019-03-13 이돈영 완성형 비닐 라운딩접촉형 비닐하우스용 연결 클램프 자동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형성된 완성형 비닐 라운딩접촉형 비닐하우스용 연결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581B1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081C (en) Intercoupled piping assembly
KR101164327B1 (ko) 각형 강관파이프 구조물용 다축 연결조인트
KR101931581B1 (ko)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KR20180062151A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KR101505169B1 (ko) 수직대와 횡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연결구
JP4908362B2 (ja) ジョイント
JP4707158B1 (ja) 中空角材の接合構造、及び浴室ユニット設置台
KR102352746B1 (ko) 비계파이프의 결속장치
KR101575091B1 (ko) 시스템 서포트용 대각재
CN211447284U (zh) 用于圆钢管桁架结构的装配式檩条连接组件
KR101929313B1 (ko) 파이프 지지부재
KR20140020581A (ko) 비계 파이프의 미끄럼방지용 클램프
KR20150010900A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JP5430483B2 (ja) 連結金具
KR101992938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950001201Y1 (ko) 온실 구조물 파이프의 고정 클램프
KR20140127094A (ko) 가시설 비계
JP5856602B2 (ja) 骨格用自在継ぎ手
JP4774319B2 (ja) 柱と土台の接合装置
JPH0449340A (ja) 柱と梁の嵌込み接合構造
CN114753484B (zh) 一种钢结构桁架的连接组件及具有其的钢结构桁架
JP6599178B2 (ja) 連結構造
KR20180009062A (ko) 건축용 동바리 및 비계 겸용 수평지지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