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897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897A
KR20180072897A KR1020160175375A KR20160175375A KR20180072897A KR 20180072897 A KR20180072897 A KR 20180072897A KR 1020160175375 A KR1020160175375 A KR 1020160175375A KR 20160175375 A KR20160175375 A KR 20160175375A KR 20180072897 A KR20180072897 A KR 20180072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compressor
outdoo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463B1 (ko
Inventor
곽민석
황길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5/00Testing or calibrating of thermo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3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of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구비하는 실내기;실외열교환기, 실외팬,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제어부의 방열을 위해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제어부를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에 결합된 온도센서가 오작동하더라도,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포함될 수 있다. 제품에 따라서, 상기 팽창밸브가 실외기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압축기는 주파수 가변 압축기(즉, 인버터 압축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 제어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제어부(인쇄회로기판, PC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전력 공급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은 제어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어부의 온도(또는, 제어부에 결합된 히트싱크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여,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제어부의 과열에 의한 제어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제어부 또는 히트싱크에 결합되는 온도센서가 불량인경우(즉,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 또는 히트싱크의 온도와 관계없이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불량인 온도센서가 교체 또는 수리될 때까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킬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 또는 히트싱크에 결합된 온도센서가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도센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도센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어부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구비하는 실내기; 실외열교환기, 실외팬,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제어부의 방열을 위해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은 기설정된 제2온도 이하일 때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를 계속해서 구동시키되,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난방모드에서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기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에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압축기를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를 최저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압축기가 구동되는 구동개시단계; 상기 제어부에 결합된 히트싱크의 온도가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감지단계;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어되는 압축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제어단계에서 상기 압축기는 계속적으로 구동되되,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가 판단되고,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 이후에,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이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작동모드가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최저 주파수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와 상기 제2판단단계 사이에,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 또는 히트싱크에 결합된 온도센서가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어부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외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팽창밸브(300)는 실내기(I)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팽창밸브(300)는 실외기(O)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아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기(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기(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주파수 가변 주파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인버터 압축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에서 냉매와 실내공기는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팽창밸브(300)는 냉매를 감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팽창밸브(30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0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300)는 실내열교환기(200)와 실외열교환기(400) 중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밸브(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서 증발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를 향해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00)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에서 냉매와 실외공기는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 중 적어도 하나는 마이크로 채널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 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여 기상 냉매만 압축기(100)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00)는 압축기(100)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00)는 실내열교환기(200) 또는 실외열교환기(400)에서 증발되어 압축기(100)를 향하는 이상냉매에서 기상 냉매만을 분리하여 압축기(100)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는 상기 실외기(O)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C)에 대하여,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외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O)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0) 내에는 압축기(100), 실외열교환기(400), 실외팬(410) 및 어큐뮬레이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O)에는 상기 압축기(100) 및 상기 실외팬(410)을 제어하는 제어부(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에는 상기 제어부(C)의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H)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H)에는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7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온도센서(710)는 상기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온도센서(710)는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외팬(410)이 구동되면, 외부공기는 실외기(O) 후방의 공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실외기(O) 내로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0)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후에, 실외기(O) 전방의 공기토출구(7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O)의 내부 공간은 크게 열교환실(S1) 및 기계실(S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50)의 내부공간은 열교환실(S1) 및 기계실(S2)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S1) 및 상기 기계실(S2)은 상기 실외기(O) 내에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판(6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S1)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및 상기 실외팬(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70)는 상기 열교환실(S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50)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S2)에는 상기 압축기(100)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S2)에는 전술한 유로전환밸브(600)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열교환실(S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및 상기 실외팬(4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팬(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외팬(4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에 비해 공기토출구(7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에 결합되는 히트싱크(H) 역시, 상기 열교환실(S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H)는 상기 제어부(C)에 결합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에 비해 공기토출구(7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410)이 구동하면, 외부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상기 제어부(C)와 히트싱크(H), 및 상기 공기토출구(70)를 순차적으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C)에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부(C)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제어부(C)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상기 제어부(C)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H)에 결합된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C)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하거나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트싱크(H)의 정확한 온도를 판단할 수 없어 과열에 의한 제어부(C)의 손상에 대비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은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불량 또는 손상에 따른 오작동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어부(C) 또는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압축기(100)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제어부(C)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였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C)는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부(C)로 공급되는 전력 자체를 차단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온도센서(710)가 교체 또는 수리될 때까지, 공기조화기를 운전할 수 없어서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 또는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기조화기(C)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제어가 필요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기조화기(10)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공기조화기(10)를 운전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90) 및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90) 및 상기 제2온도센서(720)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90)를 통해 작동모드 및 설정온도 등을 포함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C)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압축기(100), 유로전환밸브(600) 및 실외팬(4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센서(720)는 상기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C)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된 경우라도, 공기조화기(10)가 정지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온도센서(710)는 내부저항(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가 제어부(C)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즉,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대응하는 온도가 미리 메모리(미도시)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히트싱크(H)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를 산출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단선이 발생되면(또는, 내부저항이 단선되면)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제1온도센서(710)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한 값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쇼트가 발생되면(도는 내부저항이 쇼트되면)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0볼트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C)에서 판단된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에 기초해서도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은 기설정된 제2온도 이하일 때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0볼트로 감지되는 경우(제1온도센서에 쇼트가 발생한 경우)의 히트싱크(H)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는 센서의 종류 또는 내부 저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경우(제1온도센서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의 히트싱크(H)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 역시 센서의 종류 또는 내부 저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 히트싱크(H)의 온도를 통하여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100)를 계속해서 구동시키되,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되더라도, 상기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10)의 구동 또는 압축기(100)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부(C)에 과열이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에 과열이 발생될 수 없는 상황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C)는 압축기(100)를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C)에 과열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C)는 압축기(100)를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모드에서 실외열교환기(400)는 증발기로 작동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저온의 공기로 인해 실외기(O)의 내부는 저온환경이 될 수 있다.
실외기(O)의 내부가 저온환경인 경우, 제어부(C) 및 히트싱크(H)가 과열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없거나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난방모드에서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상기 압축기(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기조화기(10)가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C)는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제어부(C) 및 히트싱크(H)가 설치된 실외기(O) 내의 환경이 난방모드와 달리 저온환경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는 냉방모드와 제상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온도센서(720)를 통해 감지된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에는 계속적으로 압축기(100)를 정상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에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도 제어부(C) 또는 히트싱크(H)의 과열 우려가 없으므로, 제어부(C)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약 15℃ 내지 약 25℃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약 20℃가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가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로 구동되고,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실외기(O) 내에 배치되는 제어부(C) 또는 히트싱크(H)가 과열되어, 제어부(C)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압축기(100)를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높이기 위해서는 제어부(C)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제어부(C)가 과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최저 주파수로 제어하여 제어부(C)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100)를 최저 주파수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C) 온도 또는 상기 제어부(C)에 결합된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기조화기(10)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내기(I) 및 실외기(O)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표시부(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D)는 공기조화기(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실외기(O)보다 실내기(I)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표시부(D)에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D)에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D)가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710)가 불량이거나 사용 중에 손상된 경우에도, 공기조화기(10)의 구동은 계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D)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0)가 구동되는 구동개시단계(S100), 제어부(C)에 결합된 히트싱크(H)의 온도가 제1온도센서(71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감지단계(S200),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S300), 및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제어되는 압축기제어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개시단계(S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작동모드 및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이 시작되며,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단계(S200)에서는 제어부(C)에 결합된 히트싱크(H)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센서(71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의 과열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C)의 방열을 위해 상기 제어부(C)에 결합된 상기 히트싱크(H)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다. 제어부(C)는 제1온도센서(7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C)가 과열되지 않도록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1온도센서(710)로부터 제어부(C)로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판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기제어단계(S700)에서는 제1판단단계(S300)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제어단계(S700)는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 이하로 제어되는 제한제어단계(S710) 및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정상제어단계(S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00)의 제한제어단계(S710)에서 압축기(100)의 주파수는 기설정된 주파수 이하로 제어되거나 또는 최저 주파수로 제어될 수 있다. 정상제어단계(S720)에서 압축기(100)의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제어단계(S700)에서 상기 압축기(100)는 계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C)의 온도 또는 히트싱크(H)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710)가 불량이거나 상기 제1온도센서(710)가 오작동하는 경우라도, 공기조화기를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이 판단된 경우, 그 정보를 표시부(D)에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표시단계(S400)에서는 상기 표시부(D)에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이상 여부와 관려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D)가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D)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71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온도센서(710)의 교체 또는 수리가 되기 전까지도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성기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제어단계(S700)에서 압축기(100)가 정상적으로 또는 제한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S300) 이후에,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판단단계(S500)는 상기 정보표시단계(S40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판단단계(S300)와 상기 제2판단단계(S500) 사이에 상기 정보표시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S300)에서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판단단계(S500)에서는 공기조화기의 현재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인지 또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는 냉방모드 및 제상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판단단계(S500)에서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이면,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판단단계(S500)에서 공기조화기가 현재 난방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제어단계(S700)에서 압축기(100)는 정상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S720). 압축기(100)의 정상상태 제어는 압축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온도센서(7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되고 있으면,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상상태로 계속될 수 있다. 이는,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실외기(O)의 내부는 저온환경이 되어, 실외기(O) 내에 배치되는 제어부(C) 및 히트싱크(H)가 과열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판단단계(S500) 이후에, 실외온도와 기설정된 온도(Tset)를 비교하는 제3판단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작동모드가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판단단계(600)에서는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Tset) 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실외온도에 따라서 압축기(100)가 정상상태로 제어되거나(S720) 또는 제한적으로 제어(S710)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는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Tset)와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Tset)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온도(Tset)는 대략 15℃ 내지 25℃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 전술한 제2온도센서(720)에 의해 감지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Tset) 이하이면, 실외기(O)에 구비되는 제어부(C) 및 히트싱크(H)의 과열 우려가 없기 때문에, 압축기(100)는 정상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S720).
이와 달리,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Tset)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어되거나, 상기 압축기(100)의 주파수가 최저 주파수로 제어될 수 있다(S710).
즉, 상기 제3판단단계(S600)에서 전술한 제2온도센서(720)에 의해 감지된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Tset)를 초과한 경우, 실외기(O)에 구비되는 제어부(C)가 과열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C)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100)의 주파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C)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라도,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C)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라도,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정상상태로 제어하거나 제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300 팽창밸브 400 실외열교환기
500 어큐뮬레이터 600 유로전환밸브
710 제1온도센서 720 제2온도센서]
C 제어부 H 히트싱크

Claims (18)

  1.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구비하는 실내기;
    실외열교환기, 실외팬,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제어부의 방열을 위해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는 히트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은 기설정된 제2온도 이하일 때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를 계속해서 구동시키되,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난방모드에서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에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압축기를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고, 실외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를 최저 주파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압축기,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압축기가 구동되는 구동개시단계;
    상기 제어부에 결합된 히트싱크의 온도가 제1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감지단계;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어되는 압축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압축기제어단계에서 상기 압축기는 계속적으로 구동되되,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작동모드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온도가 판단되고,
    상기 제1온도센서의 내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0 볼트일 경우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 이후에,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작동모드가 난방모드이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에서 작동모드가 난방모드 이외의 작동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온도가 기설정된 제1온도 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압축기의 주파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실외온도가 상기 제1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온도가 상기 제1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최저 주파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와 상기 제2판단단계 사이에,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1온도센서의 이상 발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75375A 2016-12-21 2016-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375A KR101880463B1 (ko) 2016-12-21 2016-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375A KR101880463B1 (ko) 2016-12-21 2016-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897A true KR20180072897A (ko) 2018-07-02
KR101880463B1 KR101880463B1 (ko) 2018-07-24

Family

ID=629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375A KR101880463B1 (ko) 2016-12-21 2016-12-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4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0161A (zh) * 2018-08-14 2018-12-21 格力电器(芜湖)有限公司 窗机检验设备
CN111442470A (zh) * 2020-04-07 2020-07-2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设备的故障检测方法、空调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856902A (zh) * 2019-11-12 2021-05-28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KR20210131237A (ko) * 2020-04-23 2021-11-02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220412590A1 (en) * 2021-06-28 2022-12-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ing unit with fan performance monitoring by a temperature sens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939A (ja) * 2000-03-06 2001-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再熱型空気調和装置
JP3504320B2 (ja) * 1994-03-10 2004-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453006B1 (ko) * 2002-02-20 2004-10-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전원부품 과열방지장치
KR20100059522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5585245B2 (ja) *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5669407B2 (ja) * 2010-01-22 2015-0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外機用電装箱、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320B2 (ja) * 1994-03-10 2004-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1248939A (ja) * 2000-03-06 2001-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再熱型空気調和装置
KR100453006B1 (ko) * 2002-02-20 2004-10-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전원부품 과열방지장치
KR20100059522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5669407B2 (ja) * 2010-01-22 2015-02-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外機用電装箱、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5585245B2 (ja) *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0161A (zh) * 2018-08-14 2018-12-21 格力电器(芜湖)有限公司 窗机检验设备
CN112856902A (zh) * 2019-11-12 2021-05-28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CN111442470A (zh) * 2020-04-07 2020-07-2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设备的故障检测方法、空调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10131237A (ko) * 2020-04-23 2021-11-02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220412590A1 (en) * 2021-06-28 2022-12-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ing unit with fan performance monitoring by a temperat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63B1 (ko)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3215B1 (ko) 히트펌프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4283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249452A (ja) 空気調和装置
CN109716035B (zh) 用于空气调节和热水供给的系统
CN107202402B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814956B1 (ko) 멀티에어컨 및 그의 압축기 제어방법
JP2008039388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JP2010190484A (ja) 電子機器冷却装置
KR10191127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186911B2 (ja) 空調装置
KR10183884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 방법
JP485022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20070007673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팽창밸브의 개도제어장치 및 그의개도제어방법
KR2014009179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5071348B2 (ja) 冷凍装置
EP4148333A1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45518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75696B1 (ko) 비상전원공급부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83533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201528A (ja) 空気調和機
KR2008004248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10004058A (ko) 분리형 대용량 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
CN112254313A (zh) 一种空调器和交流电压检测方法
JP2013243463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