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600A -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600A
KR20180072600A KR1020180041333A KR20180041333A KR20180072600A KR 20180072600 A KR20180072600 A KR 20180072600A KR 1020180041333 A KR1020180041333 A KR 1020180041333A KR 20180041333 A KR20180041333 A KR 20180041333A KR 20180072600 A KR20180072600 A KR 2018007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insertion hole
vehicle
narrow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242B1 (ko
Inventor
황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4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측을 덮는 바디부와, 바디부와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측을 덮는 커버부와, 바디부에 구비되고, 차체의 볼트가 삽입공에 설치되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WIRING PROT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부의 일측에 진입유도부가 형성되어 볼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끼울 수 있으므로 조립이 자유로워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 등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해주는 구성요소로써,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배선을 세트화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링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유동되어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 파손되는 등 차량의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종 서포트(Support) 부재, 예를 들어 클립이나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이하, 와이어링 프로텍터라 함)를 사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바디부에 구비된 나사공에 차에패널이 구비된 볼트를 끼운 후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몸체의 나사공에 볼트를 끼우는 과정에서 반드시 측면 수직방향으로만 끼워야 하므로 체결시 가해지는 힘의 세기가 커야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번거로우며, 그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0687호(2007.05.15,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와이어링 프로텍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바디부의 일측에 진입유도부가 형성되어 볼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끼울 수 있으므로 조립이 자유로워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측을 덮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측을 덮는 커버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차체의 볼트가 삽입공에 설치되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는 결속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입유도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삽입공으로 진입시키도록 상기 삽입공에서 일측 너비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진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는 바디고정부; 상기 바디고정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진입홀부 및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볼트장착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입홀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진입되고,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더 큰 간격을 갖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확장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삽입공으로 안내하는 협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진입측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와 상기 협소부의 경계부위에는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자는 간격축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소부는 상기 간격축소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까지 연결되되, 상기 설치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소부의 간격(b)은 상기 볼트의 나사산의 최대 직경(a)에 비해 같거나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상기 협소부에 파고 들어가면서 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바디부의 일측에 진입유도부가 형성되어 볼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끼울 수 있으므로 조립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차체에 설치한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서 진입유도부를 상측에서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서 진입유도부를 하측에서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유도부에서 진입홀부의 저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홀부에 볼트가 진입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볼트 조립고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차체에 설치한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서 진입유도부를 상측에서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서 진입유도부를 하측에서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유도부에서 진입홀부의 저면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홀부에 볼트가 진입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볼트 조립고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바디부(100), 커버부(200), 결속부(300) 및 진입유도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엔진룸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류 부품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2)를 차체(1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된 진동에 의해 와이어링 하네스(2)가 흔들리고 엔진룸 내의 차체(10) 등에 부딪치면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엔진룸에 구비된 와이어링 하네스(2)를 바디부(100)와 커버부(200)를 포함하는 프로텍터로 고정할 필요성이 있다.
바디부(100)는 와이어링 하네스(2)의 일측을 덮는 구성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2)의 어느 반쪽을 삽입 및 안착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커버부(200)는 바디부(100)와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2)의 타측을 덮는 구성으로서, 와이어링 하네스(2)의 다른 반쪽을 삽입 및 안착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반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바디부(100)와 커버부(200)는 결속부(3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속부(300)는 바디부(100) 또는 커버부(200)에 구비되는 걸림홈(310)과, 걸림홈(310)에 결합되도록 커버부(200) 또는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걸림후크(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홈(310)은 바디부(100)에 형성되고, 걸림후크(320)는 커버부(2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걸림홈(310)은 바디부(100) 외측 가장자리에 ㄷ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후크(320)는 걸림홈(310)에 삽입시 탄성적으로 젖혀지도록 켜버부(20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진입유도부(400)는 바디부(100)에 구비되고, 차체(10)의 볼트(20)가 삽입공(110)에 설치되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진입유도부(400)는 커버부(200)를 결합한 바디부(100)를 차체(10)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볼트(20)에 조립할 때, 볼트(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진입유도부(400)는 바디부(100)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부재(410)와, 설치부재(410)에 구비되어 볼트(20)를 삽입공(110)으로 진입시키도록 삽입공(110)에서 일측 너비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진입홀부(420)를 포함한다.
설치부재(410)는 바디부(100)에 고정되는 바디고정부(411)와, 바디고정부(4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2)와, 연장부(412)에서 연결되고, 진입홀부(420) 및 삽입공(110)이 형성되는 볼트장착부(413)를 포함한다.
설치부재(410)는 차체(10)의 상측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굴곡부(414)가 형성된다. 굴곡부(414)는 ㄱ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20)가 진입홀부(420)를 통해 설치부재(100)에 삽입될 때, 설치부재(410)의 굴곡부(414)가 차체(10)의 모서리에 안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므로 굴곡부(4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하중을 분산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진입홀부(420)는 설치부재(410)에 형성되어 볼트(20)가 진입되고, 볼트(20)의 직경보다 더 큰 간격을 갖는 확장부(430)와, 확장부(430)와 연결되고, 확장부(430)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볼트(20)를 삽입공(110)으로 안내하는 협소부(450)를 포함한다.
확장부(430)는 진입측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면부(440)는 양측 한 쌍 형성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오므려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볼트(20)를 확장부(430)로 진입시킬 때 좌우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가운데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장부(430)와 협소부(450)의 경계부위에는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자는 간격축소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축소부(460)는 진입홀부(420)의 내측면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간격축소부(46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오므려지게 형성되므로, 볼트(20)의 직경과 대응될 정도로 협소해지다가 다시 점차 벌려지므로, 볼트(20)의 외주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협소부(450)는 간격축소부(460)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삽입공(110)의 가장자리까지 연결되되, 설치부재(4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협소부(450)의 간격(b)은 볼트(20)의 나사산의 최대 직경(외경, a)에 비해 같거나 좁게 형성되어 볼트(20)의 나사산이 협소부(450)에 파고 들어가면서 가조립되도록 구성된다.
협소부(450)의 간격(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 나사산의 골의 직경(외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20) 나사산은 최대 직경을 갖는 산과, 최소 직경을 갖는 골로 이루어진다.
협소부(450)의 간격(b)이 볼트(20) 나사산의 골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볼트(20) 나사산의 골의 내측부위가 협소부(450)에 부딪치므로 볼트(20)가 협소부(450)에 삽입되질 못할 우려가 있다.
이로써, 협소부(450)의 간격(b)은 볼트(20) 나사산의 산의 직경(a)과 골의 직경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트(20) 나사산의 산의 직경(a) ≥ 협소부(450)의 간격(b) ≥ 볼트(20) 나사산의 골의 직경의 범위를 갖는다.
협소부(450)의 두께는 삽입공(110)의 깊이 즉, 설치부재(410)의 두께에 비해 5~40% 이내의 범위로 현저하게 얇게 형성함으로써, 도 6의 확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부(450)의 내측면을 파고들어가므로 볼트(20)에 견고하게 가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연이어, 볼트(20)와 협소부(4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30)를 체결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바디부의 일측에 진입유도부가 형성되어 볼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끼울 수 있으므로 조립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와이어링 하네스 10 : 차체
20 : 볼트 30 : 너트
100 : 바디부 200 : 커버부
300 : 결속부 310 : 걸림홈
320 : 걸림후크 400 : 진입유도부
410 : 설치부재 411 : 바디고정부
412 : 연장부 413 : 볼트장착부
420 : 진입홀부 430 : 확장부
440 : 안내면부 450 : 협소부
460 : 간격축소부

Claims (7)

  1.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측을 덮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측을 덮는 커버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차체의 볼트가 삽입공에 설치되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유도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삽입공으로 진입시키도록 상기 삽입공에서 일측 너비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진입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입홀부는, 상기 설치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진입되고, 상기 볼트의 직경보다 더 큰 간격을 갖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확장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삽입공으로 안내하는 협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협소부의 경계부위에는 점차적으로 간격이 좁아자는 간격축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축소부는 상기 진입홀부의 내측면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커버부는 결속부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 또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는 바디고정부;
    상기 바디고정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진입홀부 및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볼트장착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진입측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는 상기 간격축소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삽입공의 가장자리까지 연결되되, 상기 설치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의 간격(b)은 상기 볼트의 나사산의 최대 직경(a)에 비해 같거나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나사산이 상기 협소부에 파고 들어가면서 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0180041333A 2018-04-10 2018-04-10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33A KR101890242B1 (ko) 2018-04-10 2018-04-10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33A KR101890242B1 (ko) 2018-04-10 2018-04-10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968A Division KR101850444B1 (ko) 2016-12-21 2016-12-21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600A true KR20180072600A (ko) 2018-06-29
KR101890242B1 KR101890242B1 (ko) 2018-08-21

Family

ID=6278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33A KR101890242B1 (ko) 2018-04-10 2018-04-10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53A (ko) 2018-12-14 2020-06-24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20210087239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032A (ko) * 1998-11-27 2000-06-15 김태구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마운팅 쿠션 구조
KR20130069030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032A (ko) * 1998-11-27 2000-06-15 김태구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마운팅 쿠션 구조
KR20130069030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53A (ko) 2018-12-14 2020-06-24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20210087239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42B1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291B2 (en) Holding clamp for holding vehicle parts in a vehicle
KR101890242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5044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5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38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39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JP3264583B2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と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及びハーネスクランプ
KR101498826B1 (ko) 자동차용 그로멧
JP2003048495A (ja) 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KR101890241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3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6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37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0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9024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JP2017206197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の車体への組付方法
KR20190074526A (ko) 회전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밴드 케이블을 이용한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장치
KR102496098B1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0120679Y1 (ko) 자동차용 클립
KR20190012876A (ko) 차량용 그로멧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970003671Y1 (ko) 자동차의 ecm 브라켓트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1844857B1 (ko) 그로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