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77A - 탈기 장치 - Google Patents

탈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77A
KR20180072577A KR1020170176235A KR20170176235A KR20180072577A KR 20180072577 A KR20180072577 A KR 20180072577A KR 1020170176235 A KR1020170176235 A KR 1020170176235A KR 20170176235 A KR20170176235 A KR 20170176235A KR 20180072577 A KR20180072577 A KR 2018007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ank
pipe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089B1 (ko
Inventor
니노미야 타다시
키요미즈 테츠지
Original Assignee
나루미엔지니어링 컴퍼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루미엔지니어링 컴퍼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루미엔지니어링 컴퍼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7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47Atomizing, spraying, trick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Abstract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높이고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 동관 또는 동합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탱크 내의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Description

탈기 장치 {DEGA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대한 것이다.
호텔, 병원, 집합 주택 등의 대형 건물에서의 급탕 시스템에는 중앙 급탕 방식의 강제 순환 급탕 시스템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순환 급탕 시스템은, 도 1에 그 계통도를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밀폐형 저탕조(1), 밀폐형 저탕조(1)로부터 각 급탕전(給湯栓)(5)까지의 배관인 공급관(2), 각 급탕전(5)의 앞단에서 밀폐형 저탕조(1)까지의 배관인 복귀관(3), 팽창 탱크(4) 및 순환 펌프(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고가(高架) 수조(7)에 저장된 물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 밀폐형 저탕조에 보내져 가열되고, 이 밀폐형 저탕조에서 나온 온수는 공급관(2)을 통해 각 객실 및 설비에 공급되어 급탕전(5)의 개방에 의해 사용되고, 과잉의 온수는 복귀관(3)을 통해 밀폐형 저수조(1)에 되돌아가 다시 가열되며, 물은 사용한 만큼 고가 수조(7)로부터 밀폐형 저수조(1)로 보충된다. 도 1은 순환 펌프를 하층에 설치한 하향 급탕 방식의 일례이고, 도 1의 급탕 방식에서는 밀폐형 저탕조(1)에 보내진 물은 보일러(8)에서 가열된다. 9는 밀폐형 저탕조(1)로부터 보일러(8)로 물을 보내고 보일러(8)에서 밀폐형 저탕조(1)로 가열된 온수를 보내기 위한 순환 펌프이다.
이러한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는, 공급관, 복귀관 등의 배관으로서 인탈산동 등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관이나 동합급관이 사용되는 이유는, 레지오넬라속균 등의 세균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시공성이 뛰어나고 일반적으로 통수(通水)와 함께 관내면에 아산화동, 산화동 등의 안정한 피막이 형성되어 양호한 내식성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환 급탕 시스템의 배관재로서 동관 또는 동합금관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 환경,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Ⅱ형 공식(孔食)이나 궤식(潰食) 등의 부식에 의한 누설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 경험되고 있다.
이러한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의 원인은, 종래 급수 중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순환 급탕 시스템의 순환 배관의 도중에 개방식 탈기 장치를 설치하여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분리 제거하는 것에 의해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로는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밀폐형 저탕조, 상기 밀폐형 저탕조로부터 각 급탕전까지의 배관인 공급관, 각 급탕전의 앞단에서 밀폐형 저탕조까지의 배관인 복귀관, 및 순환 펌프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춘 순환 급탕 시스템에 있어서,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에서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로서,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에 설치되고, 순환 급탕 시스템 운전시에 저수부와 그 상면에 공기 정체부가 존재하는 탱크, 밀폐형 저수조와 연통하고 그 선단부로부터 밀폐형 저탕조까지 공급된 급수를 기포 상태로 공기 정체부에 분출하는 급수관, 처리된 급수를 탱크의 저수부로부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배수관, 일단부는 탱크의 하면 근방에서 저수부 가운데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되어 공기 정체부로 개방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탱크 바깥의 대기 중으로 개방된 흡기관, 일단부는 탱크의 공기 정체부로 개방되고 타단부는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개방되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밀폐형 저탕조로부터 탱크 내로 공급되어 가열되는 급수는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방출되어 수증기화하고, 급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와 분리되어 물방울로 되어 탱크 내의 저수부로 낙하하고, 배수관을 통해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0-255882호 공보
그러나,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이들의 제거가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며, 그래서 순환 급탕 시스템에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방식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탱크의 공기 정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순환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와, 흡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 배기관의 공기 정체부측의 단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하고 급기관 및 배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에 대하여 열심히 연구를 행하였던 바,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의 정도와, 흡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 배기관의 공기 정체부 측의 단부와의 거리의 사이에 매우 중요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현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서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높이고, 순환 급탕 시스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탱크 내의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탱크 내의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공기 정체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거리가 최대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어느 일방의 근방에 흡기관의 흡기배출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 변의 근방에 배기관의 배기입구를 배치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의 흡기입구의 근방에 송풍 팬을 배치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따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의 흡기 배출구, 및/또는 배기관의 배기입구에 방적 커버를 구비한 구성의 개방식 탈기 장치로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개방식 탈기 장치의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제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순환 급탕 시스템의 동관 또는 동합금관의 부식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순환 급탕 시스템의 계통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흡기배출구와 배기입구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를 구비한 순환 급탕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보일러(8), 밀폐형 저탕조(1), 공급관(2), 복귀관(3), 팽창 탱크(4), 순환 펌프(6, 9), 복수의 급탕전(5), 및 고가 수조(7)로 구성되고, 보일러(8)에서 가열된 온수는 일단 밀폐형 저장조(1)에 저류된 후, 공급관(2)을 통해 각 급탕전(5)에 급탕되고, 남은 온수는 복귀관(3)에 환류되어 보일러(8)에서 재차 가열되게 되어 있다. 온수가 소비되면, 그 소비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이 고가 수조(7)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는, 공급관(2) 및/또는 복귀관(3)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되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저탕조(1) 근방의 공급관에 설치된다(설치위치 A). 순환 급탕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위치 A와 같이 아래쪽이 아니라, 급탕전(5)에 가까운 위쪽에 설치되어도 좋다(설치위치 B). 또한, 설치위치 C와 같이 복귀관에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 2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식 탈기 장치(10)는, 하방에 저수부(12), 상방에 공기 정체부(13)를 구비하는 탱크(11)와,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14)과, 급수관(14)의 선단 부분에 장착되어 공급된 급수를 공기 정체부(13)에 분무 상태로 하여 분출하는 스프레이 노즐(15)과, 탱크(11) 내의 저수부(12)에 모여 처리된 급수를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7)과, 탱크(11)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18)과,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의 공기를 탱크(11) 바깥의 대기중에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P는 처리된 급수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 V는 저수부(12)의 수위(h)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용 밸브이다.
그리고, 흡기관(18)의 공기 정체부(13) 측의 선단인 흡기배출구(19)와 배기관(21)의 공기 정체부(13) 측의 선단인 배기입구(22)의 배치에 관하여, 배기입구(22)와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와의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의 상대적인 거리가 공기 정체부(13)의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공기 정체부(13)의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거리가 최대로 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변 X, X의 어느 한쪽의 변 X의 근방에 흡기배출구(19)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변 X의 근방에 배기입구(22)를 배치하여도 좋고, 같은 방식으로 도 3에 도시된 거리가 최대로 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변 Y, Y의 어느 한쪽의 변 Y의 근방에 흡기배출구(19)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변 Y의 근방에 배기입구(22)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흡기배출구(19)와 배기입구(2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10)의 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포함하고 밀폐형 저탕조(1)에서 가열된 급수는 급수관(14)에서 탱크(11) 내로 보내진다. 급수관(14)의 선단부에는 스프레이 노즐(15)이 구비되고, 스프레이 노즐(15)에서 급수를 가능한 한 미세한 입자 상태로 하여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에 광범위하게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정체부(13)에 급수를 광범위하게 분무하기 위해서는 급수를 상방을 향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노즐(15)에 있어서 급수를 분무하는 개소는 1개소이거나 복수 개소라도 좋다. 분무된 급수는 미세한 입자 상태로 되어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로 방출되지만, 60 ℃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증기화(수증기)되고, 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가 분리된다.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와 분리된 수증기는 탱크(11) 내에서 재액화하고 물방울로 되어 탱크(11) 내의 저수부(12)로 낙하하고, 저수부(12)의 급수는 배수관(17)에서 탱크 바깥으로 배출되고, 공급관으로 공급된다. 탱크(11) 내의 공기 정체부(13) 중에 분리된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는 공기 정체부(13) 내의 공기와 함께 탱크(11) 내에 있는 배기입구(22)에서 배기관(21)을 통해 배기출구(23)에서 탱크 바깥으로 배출된다. 배기입구(22)에서의 공기배출은 흡기배출관(19)으로부터 공기 정체부(13)로 공기가 밀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촉진된다. 만약, 흡기관(18)이 막히거나 흡기관(18)을 구비하지 않고 흡기배출관(19)으로부터 공기 정체부(13)로 공기가 밀려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배기관(21)의 배기출구(23)에서의 공기 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 정체부로 방출된 유리 탄소나 잔류 염소는 점차 그 농도가 증가하고, 저수부의 급수 중에 재용해하여 유리 탄소나 잔류 염소의 저감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에서는, 흡기관(18)이 탱크(11)의 하면 근방에서 상방으로, 저수부(12) 내를 통해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저수부(12)의 급수는, 대략 60 ℃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부(12) 내를 통해 있는 흡기관(18)은 그 가열 급수에 의해 가열되고, 나아가 흡기관(18) 내에 체류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가열된 공기는, 흡기관(18) 내를 상승하여 흡기배출구(19)에서 탱크(11) 내로 밀려 들어가고, 탱크(11) 바깥으로 통하는 흡기입구(20)에서 흡기관을 통해 흡기배출구(19)로의 공기의 흐름을 만든다. 흡기관(18)은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기입구(22)는 흡기배출구(19)보다 상부, 더욱 좋게는 탱크(11)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배치에 의해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더욱더 흡기관(18)의 흡기입구(20) 근방에 송풍 팬(24)을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공기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되고,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기관(18) 및/또는 배기관(21) 내에 물이 차서 흡기관의 흡기배출구(19)로부터 배기입구(22)로의 공기의 흐름이 나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관(18)의 흡기배출구(19) 및/또는 배기관(21)의 배기입구(22)에 방적(防滴) 커버(25)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인 순환 급탕 시스템에 설치되는 개방식 탈기 장치의 치수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탱크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는 경우, 도 2에 있어서 저면적(D)을 100,000 ~ 320,000 ㎟ (200 ~ 400 mm × 500 ~ 800 mm의 직사각형 형상), 높이(H)를 500 ~ 10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 급탕 시스템의 운전시에 있어서, 저수부의 수위(h)는 200 ~ 500 mm(높이(H)에 대해 대략 25 ~ 60 %)로 하고, 배기구로에서의 공기배출량(흡기배출구에서의 공기 압입량과 같음)(V2)는 대략 1.5 ~ 13 ㎥/h, 밀폐형 저수조에서 급수관에 공급하는 급수의 순환량(배수관에서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에 배출되는 급수량과 같음)(V1)은 대략 30 ~ 50 ℓ/분 으로 운전된다. 공기배출량(V2)과 급수의 순환량(V1)의 비(V2/V1)는 0.5 ~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에서는 배출공기량에 대해 처리해야 할 급수량이 많아지고, 용존 공기 등의 제거율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6.0을 초과하면, 배출공기량이 많아져 용존 공기 등의 배출과 함께 수증기의 탱크 바깥으로의 유출도 많아지게 되고, 순환수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V2/V1의 범위는 1.0 ~ 5.0 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탱크(11)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로는 원통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그 효과를 실증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에서, 하기의 형상, 치수를 구비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고, 급수 중의 용존 공기, 유리 탄소, 잔류 염소가 어느 정도 분리 제거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개방식 탈기 장치의 치수 형상 : 저면이 300mm×600mm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높이(H)가 800mm인 직육면체의 탱크
흡기입구(22) : 단면적이 약 564㎟의 동관
흡기관(18): 외경이 28.58mm, 두께가 0.89mm, 내단면적이 564㎟의 동관
또한, 흡기배출구(19)를 변 X1(도 2의 좌하방에 있는 저수부의 상면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고, 배기입구(22)를 변 X2(도 2의 우상방의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였다.
저수부의 수위(h)를 약 400mm로 유지하고, 급수량(=배수량)(V1)을 2.4㎥/h, 급수의 온도를 55~65℃로 제어하였다. 이 때, 배기구에서의 공기배출량(V2)은 2.0~2.2㎥/h의 범위내로 거의 일정하였다. 흡기관 내를 흐르는 공기량도 동일하였다. (V2/V1)은 대략 0.8~0.9이다.
용존 공기의 지표로서, 용존 산소 농도, 유리 탄소 송도, 잔류 염소 농도를 각각 개방식 탈기 장치의 급수관(도 2의 14)와 배수관(도 2의 17)에서 24시간 모니터링하여 분리 제거의 상황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에서, 흡기배출구(18)를 변 Y1(도 2의 우하방에서 저수부의 상면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하고, 배기입구(22)를 변 X2(도 2의 우상방의 모서리)의 근방에 배치한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24시간 모니터링 후의 용존 산소 농도, 유리 탄소 농도, 잔류 염소 농도의 평균치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에 대하여,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제거율을 대폭 개선한 것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급수중 농도
(㎎/ℓ)
탈기 처리수중
농도 (㎎/ℓ)
급수중 농도
(㎎/ℓ)
탈기 처리수중
농도 (㎎/ℓ)
용존 산소 10 5 10 7
유리 탄소 24 2 24 5
잔류 염소 0.5 0.02 0.5 0.05
1 : 밀폐형 저탕조
2 : 공급관
3 : 복귀관
4 : 팽창 탱크
5 : 급탕전
6 : 순환 펌프
7 : 고가 수조
8 : 보일러
9 : 순환 펌프
10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
11 : 탱크
12 : 저수부
13 : 공기 정체부
14 : 급수관
15 : 스프레이 노즐
16 :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무상태로 분출된 물
17 : 배수관
18 : 흡기관
19 : 흡기배출구
20 : 흡기입구
21 : 배기관
22 : 배기입구
23 : 배기출구
24 : 송풍 팬
25 : 방적 커버
P : 순환 펌프
V : 밸브
A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B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C : 본 발명의 개방식 탈기 장치의 설치부

Claims (4)

  1. 순환 급탕 시스템을 유통하는 급수로부터 용존 산소, 유리 탄소, 잔류 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개방식 탈기 장치에 있어서,
    하방에 저수부, 상방에 공기 정체부를 구비하는 탱크와,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도입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선단 부분에 취부되고 공급된 상기 급수를 상기 공기 정체부로 분무 형태로 분출시키는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저수부에 모여져 처리된 상기 급수를 상기 개방식 탈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부터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관과,
    상기 탱크 내의 상기 공기 정체부의 공기를 상기 탱크 바깥의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관의 흡기배출구와, 상기 배기관의 배기입구의 거리가 상기 공기 정체부 공간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체부는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고, 거리가 최대인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어느 일방의 근방에 상기 흡기관의 상기 흡기배출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 변의 근방에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입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상기 흡기입구의 근방에 송풍 팬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상기 흡기배출구, 및/또는 상기 배기관의 상기 배기입구에 방적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식 탈기 장치.
KR1020170176235A 2016-12-21 2017-12-20 탈기 장치 KR102022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7721A JP2018100807A (ja) 2016-12-21 2016-12-21 脱気装置
JPJP-P-2016-247721 201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77A true KR20180072577A (ko) 2018-06-29
KR102022089B1 KR102022089B1 (ko) 2019-11-04

Family

ID=6265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35A KR102022089B1 (ko) 2016-12-21 2017-12-20 탈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00807A (ko)
KR (1) KR102022089B1 (ko)
CN (1) CN1082177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6778A (zh) * 2018-08-03 2018-12-07 德淮半导体有限公司 超声波扫描显微镜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590A (ko) * 2006-12-11 2006-12-29 박병인 공기정화장치
JP2007216167A (ja) * 2006-02-17 2007-08-30 Nippon Thermoener Co Ltd 脱酸素装置
JP2010255882A (ja) 2009-04-22 2010-11-1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開放式脱気装置
KR2014005541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저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167A (ja) * 2006-02-17 2007-08-30 Nippon Thermoener Co Ltd 脱酸素装置
KR20060135590A (ko) * 2006-12-11 2006-12-29 박병인 공기정화장치
JP2010255882A (ja) 2009-04-22 2010-11-1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開放式脱気装置
KR20140055419A (ko) * 2012-10-3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저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00807A (ja) 2018-06-28
CN108217798A (zh) 2018-06-29
KR102022089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57579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otherwise treating air
CN107106971B (zh) 通过液量产生和处理气体流的装置及使用该装置的设备和方法
CN104296360B (zh) 一种用于除湿机接水盘的水路结构及除湿机
CN101815918B (zh) 具有常压塔的液压系统以及用于热交换液体处理的方法
CN205669068U (zh) 一种循环冲洗式管材酸洗装置
KR20180072577A (ko) 탈기 장치
CN205174675U (zh) 一种室内节能环保型空气加湿器
WO2016121063A1 (ja) 放水路
KR101642799B1 (ko) 수렴형 공기막을 형성하는 천장매립형 주방환기시스템
JP5294476B2 (ja) 開放式脱気装置
CN105318062A (zh) 一种新型排气阀
CN205473988U (zh) 高效环保磷化槽
CN204756881U (zh) 一种低压低噪音蒸汽疏水扩容器
CN210528516U (zh) 一种蒸发浓缩设备
JPH07293952A (ja) 蒸気吹出し式加湿ユニット
CN215275831U (zh) 化学药水槽用带冷却系统的气水分离装置及设备
KR102511423B1 (ko) 액체 부피를 통한 기체 스트림의 제조 및 처리를 위한 설비
JP5115009B2 (ja) サウナ装置
KR101757335B1 (ko) 진공식 무송풍 냉각탑
KR101417655B1 (ko) 진공건조용 이젝터가 구비된 굴비 건조 시스템
CN204891254U (zh) 单效浓缩器
CN109974107A (zh) 加湿喷管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装置
CN107915300A (zh) 加氨系统的送风系统
CN206361775U (zh) 一种方便清洁的运水烟罩
CN213556229U (zh) 清洗盐酸蒸气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