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633A - 민물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민물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633A
KR20180071633A KR1020160174479A KR20160174479A KR20180071633A KR 20180071633 A KR20180071633 A KR 20180071633A KR 1020160174479 A KR1020160174479 A KR 1020160174479A KR 20160174479 A KR20160174479 A KR 20160174479A KR 20180071633 A KR20180071633 A KR 2018007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sinker
main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942B1 (ko
Inventor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최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규 filed Critical 최영규
Priority to KR102016017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9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봉돌 본체; 및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입한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1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2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민물 낚시용 봉돌은 봉돌 자체를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로 구성하고, 수심, 유속 및 바닥 환경 등 찌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추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고기의 작은 입질도 민감하게 센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민물 낚시용 봉돌{A Sinker for Fishing of Fresh Water}
본 발명은 민물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봉돌 본체; 및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를 포함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강 또는 호수 등에서 민물낚시를 할 때에는 물의 수질에 따른 물의 비중이나 물의 탁도 등 낚시할 장소에 따라 찌의 부력 즉 찌의 부상높이를 알맞게 맞추기 위한 찌맞춤을 하기 위해서 납으로 된 봉돌을 깎아 내거나 덧붙여서 봉돌무게를 조절하여 찌의 부력을 조절해준다.
즉, 낚시 줄에 낚시 바늘 및 봉돌을 달고 찌를 연결한 후, 물에 넣어보아서 찌의 부상상태에 따라 찌를 깎아가면서 찌맞춤을 한다.
낚시찌와 봉돌의 무게균형을 적절하게 맞추어주어야 하는 이유는 낚시찌가 수면에서 최적의 상태로 부상되어 있다가 항시 어류의 입질에 따라 낚아채는 시기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획량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낚시터의 물깊이, 물의 비중에 따라 낚시찌가 수면위의 적절한 높이까지 부상하도록 봉돌이나 찌의 무게를 정밀하게 조절해주어야 한다.
봉돌은 낚시 바늘을 가라앉게 하고 그 위쪽에 연결한 찌가 물에 적절히 뜨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봉돌이 낚시찌보다 무거울 경우 낚시찌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식별이 불가능하며, 봉돌이 가벼울 경우에는 낚시찌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찌가 너무 상승되면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봉돌의 무게를 적절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찌의 부력조절수단인 봉돌은 대부분 인체는 물론, 동식물에 매우 유해한 납(pb)으로 된 납봉을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칼이나 니퍼 등을 이용해서 납봉에서 수차례 조금씩 떼어내어 낚시용 찌의 부상 높이를 맞추고 있기 때문에 찌의 부력조절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깎아낸 납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킨다.
즉, 낚시추인 납봉은 낚시터에서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서 수차례 떼어내어서 사용하는 도중에 낚시 바늘이 수초에 걸리거나 돌에 걸려서 물속에서 빼내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낚시 줄을 끊어서 낚시 줄과 함께 낚시터에 그대로 버리게 되므로 납봉으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어서 오염된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인간은 물론, 물속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 및 수초 등 식물에게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고, 그리고 낚시터 주변에도 납봉에서 떼어내어서 버려진 납으로 인하여 낚시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심각한 현 실정으로서, 버려진 납은 결국 먹이사슬을 따라 사람에게 축적돼 무서운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5264호(발명의 명칭 : 낚시용 추)에서는 연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계열의 외피몸체 내부에 웨이트(F)가 매입되는 형태로 인서트 사출형성되고, 외피몸체 일측에 낚시줄을 매달기 위한 고리(124)가 구비된 낚시용 추(100)에 있어서, 상기 외피몸체는 무게부(110) 및 채비 교체부(120)로 구분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조합되는 구조를 갖되, 상기 무게부(110)는 원통형으로 일측에는 낚시용 추의 수중 투하시 수면마찰에 의해 기포를 발생하기 위한 제1 통공(112)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유선형 단부가 형성되고, 유선형 단부로부터 일직선상의 원주상에는 투척시 비거리 및 돌틈사이 끼임 방지를 위한 날개편(114)이 다수개 마련되며, 유선형 단부의 반대측에는 탄성조립이 이루어지는 요홈부(111a)를 갖는 조립편(111) 및 조립편 외측에 걸림턱(111b)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어진 낚시용 추가 개시되어 있고,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7240호(발명의 명칭 : 가변식 낚시용 추)에서는 가변식 낚시용 추에 있어서, 비중이 무거운 황동, 구리 또는 텅스텐 강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며, 낚시줄이 관통되도록 중앙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 단부까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부착홈이 형성된 낚시추; 야광에 의해 물고기들의 집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부착홈에 구비되는 야광수단; 및 상기 낚시추의 상측 및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되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재로 제조되며, 외측으로부터 중앙까지 절개된 줄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낚시줄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낚시추의 이동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가변식 낚시용 추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의 경우 납(Pb)의 사용에 의한 수질 오염의 문제는 황통 및 텅스텐 등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찌의 부력을 맞추기 위한 과정이 여전히 복잡한 문제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봉돌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봉돌 자체를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로 구성하고, 수심, 유속 및 바닥 환경 등 찌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선택할 경우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봉돌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봉돌 자체를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로 구성하고, 수심, 유속 및 바닥 환경 등 찌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선택할 경우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봉돌 본체; 및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를 포함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찌맞춤’은 낚시용 찌가 최대한의 예민하게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찌의 부력에 꼭 맞는 무게의 봉돌을 낚시줄에 결합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봉돌’은 봉돌은 채비의 일부로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있어서 채비를 원하는 장소나 수심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도래’는 본체와 그 양쪽에 있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연결부는 본체에서 빠져나갈 수 없으면서 몸통과는 따로 돌아 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봉돌 본체가 제1 봉돌과 제2 봉돌로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나하면, 봉돌 본체가 제1 봉돌과 제2 봉돌로 선택적 분리가 가능할 경우 수심, 유속 및 바닥 환경 등 찌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선택하여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민물 낚시용 봉돌의 재질은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및 이들의 혼합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황동, 텅스텐 및 이들의 혼합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동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민물 낚시용 봉돌의 재질을 납을 제외한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및 이들의 혼합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민물 낚시용 봉돌 재질로 납을 사용할 경우 봉돌이 유실되거나 물고기가 삼켜서 폐사할 경우 심각한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봉돌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입한 기포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기포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 복수의 기포 배출구가 형성된 것은 본 발명의 최 핵심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 복수의 기포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봉돌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입한 기포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찌가 1-2 cm 추가 상승을 하게 되는데, 찌의 추가 상승에 의해 물고기의 입질과 바닥의 높이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입한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1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2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낚시줄 결합부 하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는 바람직하게는 무게조절 추를 결합할 수 있는 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무게조절 추를 결합할 수 있는 추 결합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추가추의 결합에 의해 상술한 제1 봉돌과 제2 봉돌로 선택적 분리 및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없는 미세한 부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무게조절 추는 바람직하게는 편납 또는 오링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추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납 또는 오링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상기 편납 또는 오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방식 또는 걸립돌기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에 축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도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제1 봉돌 본체; 및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민물 낚시용 봉돌의 재질은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및 이들의 혼합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봉돌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입한 기포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기포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입한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1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2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낚시줄 결합부 하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민물 낚시용 봉돌은 봉돌 자체를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로 구성하고, 수심, 유속 및 바닥 환경 등 찌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추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민물 바닥 낚시에서 찌맞춤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고기의 작은 입질도 민감하게 센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의 투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에 포함된 제1 봉돌 본체의 추 결합부 및 추 결합부에 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에 포함된 제1 봉돌 본체의 추 결합부에 결합되는 편납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의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가 결합된 상태로 낚시줄 및 낚시 바늘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은 본 발명인 민물 낚시용 봉돌의 제1 봉돌 본체와 제2 봉돌 본체가 분리된 상태로 낚시줄 및 낚시 바늘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 낚시용 봉돌(100)의 사시도, 정면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 낚시용 봉돌(100)은 제1 봉돌 본체(10), 관통공(11), 제1 결합부(12), 기포 배출구(13), 제2 봉돌 본체(20), 제1 낚시줄 결합부(21), 제2 낚시줄 결합부(22), 제2 결합부(23), 추 결합부(30) 및 추(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봉돌 본체(10)는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또는 이들의 혼합 합금으로 제조되고, 관통공(11), 제1 결합부(12) 및 기포 배출구(13)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 위치하고, 낚시줄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결합부(12)는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봉돌 본체와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포 배출구(13)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봉돌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입한 기포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봉돌 본체(20)는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또는 이들의 혼합 합금으로 제조되고, 제1 낚시줄 결합부(21), 제2 낚시줄 결합부(22) 및 제2 결합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낚시줄 결합부(21)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입한 낚시줄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낚시줄 결합부(22)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 위치하고, 낚시 바늘이 결합된 낚시줄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낚시줄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봉돌 본체에 축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도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23)는 상기 제1 낚시줄 결합부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나사산 방식 또는 걸립돌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추 구성은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봉돌 및 제2 봉돌로 조절할 수 없는 미세 부력을 조절하고, 추 결합부(30) 및 무게조절 추(31)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조절 추(31)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낚시용 추를 사용할 수 있으나, 편납 또는 오링 타입의 낚시용 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 결합부(30)는 상기 편납, 오링 또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낚시용 추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상기 편납, 오링 또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낚시용 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 낚시용 봉돌(100)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 낚시용 봉돌(100)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제1 봉돌 본체(10)와 제2 봉돌 본체(20)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제1 봉돌 본체(10)의 관통공(11)에 낚시 원줄을 통과시킨 후, 고정고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봉돌 본체(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 봉돌 본체(10)의 관통공(11)을 관통한 낚시 원줄을 상기 제2 봉돌 본체(20)의 제1 낚시줄 결합부(21)에 결합하는 단계;
(d) 끝단에 낚시 바늘이 결합된 낚시 목줄의 타 끝단을 상기 제2 봉돌 본체(20)의 제2 낚시줄 결합부(22)에 결합하는 단계; 및
(e) 제1 봉돌 본체(10)와 제2 봉돌 본체(20)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찌맞츰을 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찌맞춤 단계에서 상기 추 결합부(30)에 편납 또는 오링을 결합하여 미세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봉돌 본체 10 관통공 11
제1 결합부 12 기포 배출구 13
제2 봉돌 본체 20 제1 낚시줄 결합부 21
제2 낚시줄 결합부 22 제2 결합부 23
추 결합부 30 무게조절 추 31
민물 낚시용 봉돌 100

Claims (10)

  1. 제1 봉돌 본체; 및
    상기 제1 봉돌 본체와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제2 봉돌 본체를 포함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 낚시용 봉돌의 재질은 황동, 구리, 텅스텐, 철 및 이들의 혼합 합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낚시줄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돌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봉돌 본체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입한 기포를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기포 배출구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상측 끝단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인입한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1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봉돌 본체의 하측 끝단에는 낚시줄을 결합할 수 있는 제2 낚시줄 결합부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낚시줄 결합부 하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민물 낚시용 봉돌.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는 무게조절 추를 결합할 수 있는 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 추는 편납 또는 오링 타입이고, 상기 추 결합부는 상기 편납 또는 오링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된 상기 편납 또는 오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나사산 방식 또는 걸립돌기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결합부는 상기 제2 봉돌 본체에 축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도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 낚시용 봉돌.

KR1020160174479A 2016-12-20 2016-12-20 민물 낚시용 봉돌 KR10196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79A KR101963942B1 (ko) 2016-12-20 2016-12-20 민물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79A KR101963942B1 (ko) 2016-12-20 2016-12-20 민물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33A true KR20180071633A (ko) 2018-06-28
KR101963942B1 KR101963942B1 (ko) 2019-03-29

Family

ID=627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79A KR101963942B1 (ko) 2016-12-20 2016-12-20 민물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50A (ko) * 2020-07-13 2022-01-20 김헌석 움직이는 낚시용 봉돌
KR20220126961A (ko) * 2021-03-10 2022-09-19 이수진 낚시용 미끼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227A (ko) 2021-11-09 2023-05-16 정강호 낚시용 무게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07A (ja) * 2003-06-02 2005-01-20 Minoru Hiragaki 魚釣具
JP2012210198A (ja) * 2011-03-31 2012-11-01 Akira Kashiwagi 釣り用錘
KR20140094823A (ko) * 2013-01-23 2014-07-31 정순영 중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07A (ja) * 2003-06-02 2005-01-20 Minoru Hiragaki 魚釣具
JP2012210198A (ja) * 2011-03-31 2012-11-01 Akira Kashiwagi 釣り用錘
KR20140094823A (ko) * 2013-01-23 2014-07-31 정순영 중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50A (ko) * 2020-07-13 2022-01-20 김헌석 움직이는 낚시용 봉돌
KR20220126961A (ko) * 2021-03-10 2022-09-19 이수진 낚시용 미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942B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KR101963942B1 (ko) 민물 낚시용 봉돌
EP3079465B1 (en) Bait dispensing device for use in fishing
US20050091909A1 (en)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limited resistance dive-action bait-navigating fishing bobber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964289B1 (ko) 낚시찌
KR102370966B1 (ko)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1960488A (en) Fish lure
KR100920452B1 (ko) 낚시찌 감지장치 및 방법
KR20210095600A (ko) 낚시용 싱커
JPH09238604A (ja) 分離型こませ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KR100944251B1 (ko) 민물낚시용 봉돌
CN109169558A (zh) 一种钓鱼用鱼坠
KR102207357B1 (ko) 개량형 낚시 봉돌
KR200324455Y1 (ko)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KR102456712B1 (ko) 교체형 유동찌 고무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101042547B1 (ko) 챔질 도우미 브레이크부레가 장착된 낚시찌
US20170027142A1 (en) Top water fishing lure apparatus
NL2020549B1 (en) A feeder for casting bait for fish
KR101259988B1 (ko) 친환경 낚시 추
US20140041280A1 (en) Buoyant fi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