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498A -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환승 공간으로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환승 공간으로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498A
KR20180070498A KR1020170174145A KR20170174145A KR20180070498A KR 20180070498 A KR20180070498 A KR 20180070498A KR 1020170174145 A KR1020170174145 A KR 1020170174145A KR 20170174145 A KR20170174145 A KR 20170174145A KR 20180070498 A KR20180070498 A KR 2018007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pace
elevator car
carriage
vertica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벨 위크작 타데우즈
제이. 에릭슨 리차드
엔. 파르고 리차드
마네스 엔리코
피. 스웨이빌 브루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7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91For elevator systems with lateral transfers of cars or cabins between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4Transit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 1 수직 통로, 제 2 수직 통로, 및 수직 통로들 간의 이동을 허여하도록 위치된 환승 공간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각 수직 통로들을 따라 그리고 환승 공간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블로커는 통행 조건 및 차단 조건을 가진다. 통행 조건은 환승 공간이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여한다. 차단 조건은 환승 공간이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계된 환승 공간으로의 엘리베이터 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AR MOVEMENT INTO A TRANSFER SPACE ASSOCIATED WITH MULTIPLE VERTICAL PATHWAYS}
다양한 승강기 시스템 구성들이 있다. 많은 승강기 시스템들은 단일 승강구 내에서의 움직임을 위해 위치되는 단일 승강칸을 포함한다. 견인-기반 및 유압식 기계들은 통상적으로 층계참들 사이에서의 승강칸의 움직임이 승객 요청들에 기초하여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많은 상황들에 유용하지만 승강기 시스템 설계자들이 다른 유형들의 시스템들을 개발하도록 촉구하는 상이한 빌딩 및 테넌트(tenant) 고려사항들이 있다.
하나의 제안된 승강기 시스템 구성은 다수의 승강구들 또는 수직 통로들 및 승강기 승강칸이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또 다른 것으로 이행하도록 허용하는 환승 플로어 또는 환승 공간을 포함한다. 다수의 승강칸들 및 다수의 수직 통로들이 사용될 때, 다양한 스케줄링 전략들은 상이한 상황들하에서 상이한 요구들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들의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기 시스템들과 연관된 도전들 중 하나는 그것들이 승강기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들 내에서 승강기 승강칸들의 움직임에 대한 제어를 요구하는 새로운 도전들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은 제 1 수직 통로, 제 2 수직 통로, 및 각각의 수직 통로들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해 위치된 환승 공간을 포함한다. 승강기 승강칸은 상기 각각의 수직 통로들을 따라 및 상기 환승 공간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통과 상태 및 차단 상태를 가진다. 상기 통과 상태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차단 상태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전 단락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 가까이에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수직 통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차단기 및 상기 환승 공간 가까이에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수직 통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단기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어느 하나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내려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승 공간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내려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승 공간 위에 위치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에 위치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상에 위치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와 연관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통과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게 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환승 공간에 캐리지(carriage)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며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1 수직 통로와 정렬될 때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2 수직 통로와 정렬될 때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결정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와 정렬되는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또는 통과 상태에 있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환승 공간에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며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 1 수직 통로와 정렬된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수직 통로와 정렬된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환승 공간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환승 공간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환승 공간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환승 공간에서 상기 캐리지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통로들의 각각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가진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에서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에서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2 위치에 있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및 통과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와 상호 작용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승강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에 붙여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임의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된 범퍼(bumper)를 포함한다.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복수의 수직 통로들 및 수평으로 배향된 환승 공간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에서 유용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환승 공간을 향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통과 상태에, 또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상태에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 가까이에 있는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에, 상기 환승 공간에, 및 상기 승강기 승강칸 상에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된다.
이전 단락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기 시스템들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며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된 캐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1의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위치 및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2의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전이 공간에서 수평으로 상기 캐리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환승 공간에서 상기 캐리지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통로들의 각각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갖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1의 수직 통로에서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2의 수직 통로에서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2 위치에 있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및 통과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승 공간에서 상기 캐리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캐리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단락들 중 임의의 것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통과 상태에 있게 하기 위해 제어부를 사용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에 관하여 상기 차단 상태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을 수반하는 도면들은 다음과 같은 간결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승강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라인들(2-2)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실시예의 입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인 승강기 시스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직 통로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이 수직 통로들 사이에서 이행하도록 허용하는 환승 공간으로의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에 대한 제어시 개선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승 공간이 승강기 승강칸이 현재 위치되는 수직 통로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때 환승 공간으로의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복수의 수직 통로들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시에서, 제 1 수직 통로(22), 제 2 수직 통로(24) 및 제 3 수직 통로(26)는 각각 승강기 승강칸이 예를 들면, 승강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3개의 수직 통로들은 논의 목적들을 위해 예시된다. 다른 수들의 수직 통로들 및 다양한 수들의 승강기 승강칸들이 특정한 설치의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직 통로들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환승 공간(28)은 적어도 수직 통로들의 일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도 1의 예시는 수직 통로들의 최하부에서 환승 공간(28)을 효과적으로 도시하지만, 환승 공간(28)은 승강기 시스템(20) 내에서 다양한 수직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지 하나의 환승 공간(28)만이 논의 목적들을 위해 예시된다. 몇몇 실시예들은 복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다수의 환승 공간들을 포함할 것이다.
예시된 환승 공간(28)은 근본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지만 몇몇 실시예들에서 환승 공간은 수직 통로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경사진(또는 감쇠) 배향을 가질 것이다. 본 설명의 이득을 가진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그것들의 수직 통로들의 특정한 배열과 호환 가능하도록 환승 공간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통과 상태 또는 차단 상태에 있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직 통로들의 각각과 연관된 복수의 차단기들이 있다. 제 1 차단기 부재들(30 및 32)은 제 1 수직 통로(22)에 인접하여 환승 공간(28)에 위치된다.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은 제 2 수직 통로(24)와 연관된다. 제 3 차단기 부재들(38 및 40)은 제 3 수직 통로(26)와 연관된다. 차단기 부재들이 통과 상태에 있을 때, 그것들은 승강기 승강칸이 대응하는 수직 통로로부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차단기 부재들이 차단 상태에 있을 때, 그것들은 승강기 승강칸이 대응하는 수직 통로로부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기 부재들은 차단기들이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승강기 승강칸을 지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승강기 승강칸의 하향 움직임을 반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가능하다. 예시적인 차단기 부재들은 차단 및 통과 상태들에 대응하는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금속 빔들 또는 로드(rod)들을 포함한다.
캐리지(44)는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해 수평으로 이동하며 환승 공간(28) 내에서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환승 공간(28) 내에 위치된다. 캐리지(44)의 구성 및 환승 공간(28) 내에서 캐리지(44)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주어진 설치의 특정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본 설명의 이득을 가진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그것들의 특정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캐리지 및 캐리지 이동 메커니즘을 선택하거나 또는 설계하는 방법을 실현할 것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나리오는 환승 공간(28)을 향해 내려가는 제 1 수직 통로(22)에서의 승강기 승강칸(42)을 포함한다. 제 1 차단기 메커니즘들(30 및 32)은 환승 공간(28)이 현재 승강기 승강칸(4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기 승강칸(42)이 환승 공간(28)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위치에 있다.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환승 공간(28) 내에서의 캐리지(44)는 제 1 수직 통로(22)로부터 승강기 승강칸(42)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히 배치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캐리지(44)가 캐리지(44) 상에서의 가이딩 표면(guiding surface)들(46)이 수직 통로의 가이딩 표면들(48)과 정렬되도록 수직 통로에 대해 위치될 때, 환승 공간(28)은 대응하는 수직 통로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캐리지(44)가 좌측으로 더 이동되며(도면에 따라) 제 1 수직 통로(22)와 정렬된다면, 승강기 승강칸(42)은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환승 공간(28)으로 승강기 승강칸(42)의 제어된 환승을 위해 캐리지(44)의 가이딩 표면들(46)로 가이딩 표면들(48)을 따를 수 있다. 특정한 상황의 요구들에 의존하여, 승강기 승강칸(42)은, 예를 들면, 캐리지(44)가 환승 공간(28)을 따라 제 2 수직 통로(24)와의 정렬로 옮기거나 또는 이동함에 따라, 제 2 수직 통로(24)를 따르는 움직임을 위해 환승될 수 있다.
어떤 승강기 승강칸도 도 1에 예시된 상태에서 제 2 수직 통로에 도시되지 않지만,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은 예를 들면, 캐리지(44)가 상기 통로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해 제 2 수직 통로(24)와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차단 상태에 있다.
도 1의 예는 제 3 수직 통로(26)와 정렬되는 캐리지(56) 상에 지지된 제 2 승강기 승강칸(54)을 포함한다. 제 3 차단기 부재들(38 및 40)은 제 3 수직 통로(26) 및 캐리지(56) 사이에서의 승강기 승강칸(54)의 환승을 허용하기 위해 통과 상태에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차단기 부재들(30 내지 36)은 차단 상태에 있으며 제 1 또는 제 2 수직 통로들(22, 24) 내에서 승강기 승강칸의 통로로 확장된다. 제 3 차단기 부재들(38 및 40)은, 다른 한편으로, 그것들이 승강기 승강칸(54)의 수직 움직임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환승 공간(28) 및 제 3 수직 통로(26) 사이에서 환승하도록 허용한다.
예시적인 차단기 부재들은 승강기 승강칸 및 차단기 부재들 사이에서의 임의의 충격과 연관된 힘들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버퍼(50)를 포함한다. 몇몇 예들에서,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표현되는, 버퍼(50)는 코일 스프링들, 가스 스프링들, 압축 가능한 재료, 또는 이것들의 조합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버퍼(50)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승강기 승강칸(54)의 움직임의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동작한다. 버퍼(50)는 몇몇 예들에서 승강구의 최하부에서의 피트에 위치된 버퍼와 같은, 알려진 승강기 시스템들에서의 다른 위치들에서 사용된 버퍼와 비슷하다. 버퍼(50)는 차단기 부재 상에서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차단기 부재는 적어도 차단기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버퍼(50)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차단기 부재들(30 내지 40)은 몇몇 예들에서 환승 공간 및 수직 통로들 아래에서의 피트 플로어로의 차단기 부재들 상에서의 수직 하중의 환승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면, 압축 부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중들을 플로어로 직접 환승하기 위해 피트 플로어로 확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단기 부재들이 수직 통로들의 벽들에 의해 또는 환승 공간의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은 차단기 부재들에 달려 있는 승객을 가득 태운 승강칸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는 차단기 부재들(30 내지 40)의 위치들 또는 상태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60)는 만약에 있다면, 차단기 부재들 중 어느 것이 통과 상태에 있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 캐리지들(44 및 56)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 제어부(60)는 차단기 부재들을 디폴트로서 차단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해 및 환승 공간(28)이 수직 통로들 중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단지 차단 부재가 통과 상태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프로그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캐리지들 중 하나가 상기 수직 통로 및 환승 공간(28) 사이에서 승강기 승강칸의 환승을 허용하기 위해 제 1 수직 통로와 적절히 정렬된 제 1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제어부(60)는 이 예에서 캐리지들(44 또는 56) 중 하나가 제 2 수직 통로(24)와 적절히 정렬될 때 통과 상태에 있도록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캐리지가 제 3 수직 통로(26)와 적절히 정렬될 때 제 3 차단기 부재들(38 및 40)을 유사하게 제어한다.
도 1은 캐리지들(44 및 56)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위치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으로 환승 공간(28)과 연관된 검출기(62)를 포함한다. 검출기(62)는 이 예에서 정보를 제어부(60)로 제공하여 제어부(60)로 하여금 캐리지들(44 및 56)의 각각의 위치들을 결정하며 검출기(62)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각각의 차단기 부재들을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설명을 고려해볼 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양한 검출기 구성들 및 배열들이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적절히 제어할 목적들을 위해 환승 공간(28)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수직 통로와 적절히 정렬된 캐리지의 물리적 존재가 대응하는 차단기 부재들로 하여금 통과 상태로 이동하게 하도록 캐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위해 위치된 차단기 부재들을 갖는다. 정렬 밖으로의 캐리지의 움직임은 차단기 부재들이 차단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야기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기 부재들은, 예를 들면, 유압식 기계, 공압, 자석들, 또는 모터들을 포함한 전용 활성화 수단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캐리지가 수직 통로로부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때, 대응하는 차단기 부재들은 승강기 승강칸이 캐리지에 의해 적절히 수용될 때까지 상기 위치에서 캐리지를 유지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단기 부재들은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캐리지를 유지하는 구조적 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승강칸이 적절히 수용되면, 캐리지는 환승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차단기 부재들은 다시 차단 위치로 이동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차단 상태에서 차단기 부재들 중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승강기 승강칸에 대한 부가적인 속도 제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는 승강기 승강칸이 차단 상태에서 차단 부재에 도달하고 있을 때를 결정하며 그것이 차단 부재에 도달하기 전에 적어도 승강기 승강칸의 속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승강기 승강칸와 연관된 브레이크를 활성화시킨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차단 부재들은 승강칸이 차단 부재에 도달함에 따라 승강기 승강칸 상에서 안전 브레이크를 트리거하도록 위치된 연관된 구조를 갖는다.
제어부(60)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차단기 부재들의 위치들 또는 상태들에 기초하여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승강기 승강칸의 의도된 통로에서 차단기 부재가 그것이 그 외 가져야 하는 통과 상태로 이동하는데 실패한다면, 제어부(60)는 몇몇 교정 동작이 취해질 때까지 상기 방향에서 승강기 승강칸의 추가 움직임을 방지한다.
도 3은 차단기 부재들이 도 1의 예에서의 것들과 같이 환승 공간(28) 내에 위치되는 대신에 수직 통로들 내에 위치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의 예에서, 제 1 차단기 부재들(30' 및 32')은 상기 수직 위치에서 및 환승 공간(28) 가까이에서 제 1 수직 통로(22) 내에 위치된다.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은 제 2 수직 통로(24) 내에 위치된다. 제 3 차단기 부재들(38' 및 40')은 제 3 수직 통로(26) 내에 위치된다. 도 3의 차단기 부재들(30' 내지 40')이 제어되는 방식은 도 1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 4는 차단기 부재들이 승강기 승강칸들 상에서 지지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 예에서, 제 1 차단기 부재들(30" 및 32")은 승강기 승강칸(42) 상에 위치된다.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은 승강기 승강칸(54) 상에 위치된다. 스토퍼(stopper)들(70)이 위치되며 승강기 승강칸이 스토퍼들(70)을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승강기 승강칸 상에서의 차단기 부재들은, 그러나, 차단기 부재들이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스토퍼들(70)을 접촉할 것이다. 도 4의 예에서 차단기 부재들은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디폴트 위치를 가지며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이 요구될 때 통과 상태에 있도록 제어된다. 또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실시예에서, 디폴트 위치는 통과 상태이며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에 대한 제어는 수직 통로 및 환승 통로 사이에서의 움직임이 단지 원하는 상태들하에서만 발생함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기 부재들은 예를 들면, 활성화 버튼 또는 안전 브레이크들의 레버를 접촉함으로써 승강기 승강칸 상에서의 안전 브레이크들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 승강칸 자체를 물리적으로 정지시키기보다는, 차단기 부재들은 안전 브레이크들이 그렇게 하도록 허용하여, 잠재적으로 보다 부드러운 정지를 제공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승강기 승강칸(54) 상에서의 제 2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은 차단 상태에 있다. 환승 공간(28)은 어떤 캐리지도 상기 수직 통로 아래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수직 통로(24)로부터 승강기 승강칸(5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에서 예시되지 않는다. 예시된 위치에서의 차단기 부재들(34" 및 36")을 갖고, 그것들은 승강기 승강칸(54)이 환승 공간(28)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제 2 수직 통로(24)와 연관된 스토퍼들(70)을 접촉할 것이다.
승강기 승강칸(42) 상에서의 차단기 부재들(30" 및 32")은 캐리지(44)가 승강기 승강칸(42)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히 위치되기 때문에 승강기 승강칸(42)이 제 1 수직 통로(22) 및 환승 공간(28) 사이에서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그것들이 스토퍼들(70)과 접촉하거나 또는 그 외 상호 작용하지 않을 통과 상태에 있다. 이 예에서, 차단기 부재들(30" 및 32")은 차단기 부재들이 통과 상태에 있을 때 스토퍼들(70)과의 접촉 또는 상호 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승강기 승강칸의 중심을 향해 들어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차단기 부재들은 다른 것들에서 디폴트 위치가 차단 위치에 있는 동안 통과 상태에 대응하는 디폴트 위치를 갖는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 및 동작들은 논의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배타적이지 않다. 이들 특징들의 조합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상이한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해 개시된 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차단기 부재들의 다양한 구성들은 승강기 승강칸이 수직 통로 및 수평으로 배향된 환승 공간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되는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어떻게 각각의 승강칸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수직 통로들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들 내에서 승강기 승강칸들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
앞서 말한 설명은 사실상 제한적이기보다는 대표적이다. 반드시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닌 개시된 예들에 대한 변화들 및 수정들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위는 단지 다음의 청구항들을 연구함으로써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수직 통로;
    제 2 수직 통로;
    각각의 수직 통로들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위치된 환승 공간(transfer space);
    상기 각각의 수직 통로들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기 승강칸으로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은 상기 환승 공간을 통해 이동 가능한, 상기 승강기 승강칸;
    통과 상태(passage condition) 및 차단 상태(blocking condition)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blocker)로서, 상기 통과 상태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차단 상태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 가까이에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수직 통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차단기;
    상기 환승 공간 가까이에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수직 통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단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내려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승 공간 위에 위치되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내려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승 공간 위에 위치되는, 승강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에 위치되는, 승강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 위에 위치되는, 승강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와 연관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통과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게 하는, 승강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승 공간에 캐리지(carriage)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및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1 수직 통로와 정렬될 때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결정하며;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2 수직 통로와 정렬될 때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결정하는, 승강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와 정렬되는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또는 상기 통과 상태에 있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승강기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승 공간에서의 캐리지로서, 상기 캐리지는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및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 1 수직 통로와 정렬된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수직 통로와 정렬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환승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환승 공간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환승 공간은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환승 공간에서의 상기 캐리지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guidign surface)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통로들의 각각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갖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제 1 수직 통로에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제 2 수직 통로에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승강기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및 통과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와 상호 작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캐리어 상에서 지지되는, 승강기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에 붙여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임의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된 범퍼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와 연관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통과 상태에 있게 하는, 승강기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환승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의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통과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는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환승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차단 상태에 있는, 승강기 시스템.
  17. 복수의 수직 통로들 및 환승 공간을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에서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환승 공간을 향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 내에서의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통과 상태에 있도록, 또는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승강기 승강칸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환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상태에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시스템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및 상기 환승 공간 내에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수평 움직임을 달성하도록 구성된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1의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위치 및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2의 수직 통로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환승 공간에서 수평으로 상기 캐리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환승 공간에서 상기 캐리지로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통로들의 각각은 상기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딩 표면들을 갖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1의 수직 통로에서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1 위치에 있으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 가이딩 표면들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제 2의 수직 통로에서 상기 가이딩 표면들과 정렬될 때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환승 공간이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승강기 승강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고 상기 제어부가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통과 상태에 있게 하도록 제어부를 사용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기가 상기 수직 통로들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차단 상태에 있도록 위해 상기 제어부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강기 승강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70174145A 2016-12-16 2017-12-18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환승 공간으로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80070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81,754 US20180170714A1 (en) 2016-12-16 2016-12-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ar movement into a transfer space associated with multiple vertical pathways
US15/381,754 2016-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98A true KR20180070498A (ko) 2018-06-26

Family

ID=6255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145A KR20180070498A (ko) 2016-12-16 2017-12-18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환승 공간으로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70714A1 (ko)
EP (1) EP3403964A1 (ko)
KR (1) KR20180070498A (ko)
CN (1) CN108203042A (ko)
AU (1) AU201726159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6940B2 (en) * 2015-08-25 2019-11-26 Otis Elevator Company Alignment system for an elevator car
US20180237269A1 (en) * 2017-02-17 2018-08-23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system modular installation
US20220177273A1 (en) * 2020-12-04 2022-06-09 Otis Elevator Company Autonomous elevator car mover configured for derailment preven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9483A (en) * 1929-08-23 1932-05-24 Lenna R Winslow Elevator
GB1048794A (en) * 1964-04-14 1966-11-23 Transp Patent Ab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conveyor installation
JPH06156928A (ja) * 1992-11-17 1994-06-03 Toshiba Corp 縦横走行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ATE153986T1 (de) * 1993-03-18 1997-06-15 Inventio Ag Vertikal-/horizontal-personenfördersystem
US5695024A (en) * 1995-11-29 1997-12-09 Otis Elevator Company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US7258202B1 (en) * 2004-05-10 2007-08-21 Inventio Ag Creation of temporary safety spaces for elevators
EP2035313B1 (en) * 2006-06-30 2010-11-03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ATE543768T1 (de) * 2008-09-01 2012-02-15 Thyssenkrupp Elevator Ag Tragvorrichtung zum umsetzen eines fahrkorbs eines aufzugs
DE102010030436A1 (de) * 2010-06-23 2011-12-2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WO2012018224A2 (ko) * 2010-08-06 2012-02-09 Kim Nam Young 웜기어형 구동부, 웜기어형 구동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40021674A (ko) * 2011-05-11 2014-02-2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순환식 운송 시스템
EP2636629B1 (en) * 2012-03-06 2015-05-06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US20180029832A1 (en) * 2015-02-05 2018-02-01 Otis Eleva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elevator system installation
EP3133037B1 (en) * 2015-08-18 2018-10-10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oving an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3042A (zh) 2018-06-26
EP3403964A1 (en) 2018-11-21
US20180170714A1 (en) 2018-06-21
AU2017261595B2 (en) 2018-11-08
AU2017261595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494B1 (ko)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180070498A (ko) 다수의 수직 통로들과 연관된 환승 공간으로 승강기 승강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00911399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643666B1 (en) Elevator system
US10773923B2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CN104684834A (zh) 低顶部或低底坑电梯的补偿措施
US20110120809A1 (en) Collision brake for two elevator bodies moving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CN107207195B (zh) 用于致动电梯轿厢制动器的组件
US9764925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KR20180089285A (ko) 엘리베이터 기계 브레이크 제어
EP3556698A1 (en) Elevator machine brake delay control
JP5528592B1 (ja) エレベータ装置
AU2018361450A1 (en) Device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work in an elevator shaft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CN110612266B (zh) 具有两个井道的电梯系统
JP2006315796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KR101943218B1 (ko) 카 순환식 엘리베이터 장치
WO201610331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158440A (ja) エレベータ
EP1828043B1 (en) Elevator counterweight with buffer
JP2008265908A (ja) 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603067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12131625A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