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833A -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833A
KR20180069833A KR1020187012313A KR20187012313A KR20180069833A KR 20180069833 A KR20180069833 A KR 20180069833A KR 1020187012313 A KR1020187012313 A KR 1020187012313A KR 20187012313 A KR20187012313 A KR 20187012313A KR 20180069833 A KR20180069833 A KR 2018006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carbon
organic halogen
halogen compound
compound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510B1 (ko
Inventor
가즈유키 시부야
신이치로 야마다
가즈히로 기무라
히로후미 다케쿠마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6304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698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59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less than 1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3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in the range 0.5-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Pore diameter being less than 2 nm, i.e. micropores or nano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지 않는 다공질 탄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메조공 용적이 0.07 (㎤/g) 이상이고,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가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이다.

Description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본 발명은,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성탄으로 대표되는 다공질 탄소는, 흡착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악취의 제거, 액 중의 불순물 제거, 용제 증기의 회수, 제거 등의 각종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수기에는 활성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야자 껍질 활성탄으로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을 충분히 흡착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통액 배율이 크면, 즉, 정수기 중을 흐르는 물의 총량이 커지면, 정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지 않는 정수기에 사용 가능한 다공질 탄소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52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06161호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지 않는 다공질 탄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1> 메조공 (孔) 용적이 0.07 (㎤/g) 이상이고, 세공 (細孔)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가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이다.
<2> 상기 다공질 탄소의 질소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10 (㎡/g) 이상인 상기 <1> 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3> 상기 다공질 탄소의 전체 세공 용적이 0.5 (㎤/g) 이상인 상기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4>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이 0.425 (mm) 이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5> 상기 다공질 탄소의 마이크로공 (孔) 용적이 0.5 (㎤/g) 이상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6>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이 0.1 (mm) 이하인 상기 <4>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7> 상기 다공질 탄소의 원재료가 식물 유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8> 상기 식물 유래의 재료가 벼과 대나무류 유래의 재료인 상기 <7> 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9> 상기 벼과 대나무류가 맹종죽인 상기 <8> 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이다.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이다.
<11>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1,000 배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90 % 이상인 상기 <10> 에 기재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12>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3,000 배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65 % 이상인 상기 <10>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이다.
<13>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6,000 배로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50 % 이상인 상기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이다.
<14>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클로로포름인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지 않는 다공질 탄소를 제공할 수 있다.
(다공질 탄소)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메조공 용적이 0.07 (㎤/g) 이상이고,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가 1.6 이상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성을 갖는 다공질 탄소가,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세공 (포어) 을 많이 가지고 있다. 세공은, 메조공, 마이크로공, 매크로공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메조공은 구멍 직경이 2 nm ∼ 50 nm 인 세공을 말하고, 마이크로공은 구멍 직경이 2 nm 보다 작은 세공을 말하며, 매크로공은 구멍 직경이 50 nm 보다 큰 세공을 말한다.
매크로공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물이나 공기 등이 지나는 길이 되어 메조공·마이크로공으로 유도하여, 흡착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용적이 있는 편이 좋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으면 저분자량 물질의 흡착에는 불리해진다. 마이크로공은, 저분자량 물질의 흡착에는 유효하지만, 특별히 통액 배율이 클 때에는,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메조공 용적이 크면 저분자량 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착 가능하며, 또한 통액 배율이 어느 정도 커도 흡착성 능력이 잘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가 1.6 이상이면, 특별히 저분자량 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특성을 갖는 다공질 탄소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흡착 성능이 우수하고,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흡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어느 효과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의 특성>
더욱 양호한 흡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다공질 탄소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탄소에 있어서의 질소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탄소에 있어서의 전체 세공 용적은, 0.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은, 0.4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세공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물이나 공기 등이 접촉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1 차 입자의 입자경이 0.4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는, 2 차 응집되어 있어도 되고, 더욱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이면, 상기 다공질 탄소는 과립상이나 칩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공 용적이 큰 편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저분자 물질의 흡착에는 유효한 점에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마이크로공 용적은, 0.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성의 측정 방법>
상기 다공질 탄소의 특성은, 예를 들어, 이하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메리틱스 재팬 합동 회사 제조의 3FLEX 를 사용하여, 질소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고, 비표면적은 BET 법으로, 전체 세공 용적은 1 점 흡착법으로, 메조공 용적은 BJH 법으로, 마이크로공 용적은 HK 법으로, 마이크로공 영역의 세공 분포는 DFT 법으로,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 DFT 법에 의해 마이크로공 영역의 세공 분포를 구하고,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
탄화 처리 및 부활 (賦活) 처리를 한 다공질 탄소를 30 mg 준비하고, 상대압 (P/P0) 0.0000001 내지 0.995 의 범위를 측정하는 조건으로 설정한 3FLEX 를 사용하여, 비표면적, 전체 세공 용적, 메조공 용적, 마이크로공 용적, 마이크로공 영역의 세공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 LA-950 (HORIBA 사 제조) 을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LA-950 을 사용하여, 습식법에 의해 입자경 0.01 ㎛ ∼ 3,000 ㎛ 의 범위에서 입자경 분포를 측정한다.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이란, 가로축을 입자경, 세로축을 개수 빈도로 플롯한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분포의 중앙치에 대응한 입자경 (메디안경) 을 말한다.
<다공질 탄소의 재료>
상기 다공질 탄소의 원재료는, 식물 유래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유래이면, 메조공이나 마이크로공의 용적치를 상기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환경 부하가 적은 점에서도, 식물 유래로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식물 유래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벼과 대나무류 유래의 재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벼과 대나무류로는, 구체적으로, 왕대속 (죽순대), 아구세속, 사방죽속, 업평죽속 (육중죽, 업평죽, 쿠마나리히라, 메다라나리히라, 히메야샤다케, 비젠나리히라, 케나시나리히라, 야샤다케, 닛코우나리히라, 아오나리히라), 당죽속 (당죽), 이대속 (야쿠시마다케, 이대, 멘야다케, 락쿄우야다케), 아즈마자사속 (레이코시노, 죠우보우자사, 겐케이치쿠, 남부시노, 마에자와자사, 스에코자사), 얼룩조릿대속 (키타미코자사, 미야마스즈, 게이비쿠마자사, 록코우미야마자사, 야마토자사, 요나이자사, 쿠자카이자사, 킨타이자사, 샤코탄치쿠, 후시부토자사, 타나하시자사, 야리쿠마소자사, 고텐바자사, 하츠로우자사, 오오시다자사, 히메카미자사, 남부스즈, 후시게히메카미자사, 칸사이자사, 미야마쿠마자사, 탄자와자사, 아리마코스즈이누스즈, 스즈다케, 쿠마스즈한게스즈, 케스즈, 킨타이치시마, 네마가리다케), 칸치쿠속, 메다케속 (류우큐치쿠, 칸잔치쿠, 타이민치쿠, 메다케하가와리메다케, 스다레요시고키다케, 보우슈우네자사, 아즈마네자사, 죠우호우지다케, 오로시마치쿠, 케네자사), 밤부사속 (소르니·밤부), 시치쿠속, 봉래죽속 (봉래죽, 슈치쿠, 다우산치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벼과 대나무류가 왕대속의 죽순대 (맹종죽)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죽순대를 원재료에 사용한 다공질 탄소는, 특히 메조공의 조정이 용이하다.
<다공질 탄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탄화 처리나 부활 처리를 거침으로써 제조된다.
탄화 처리는, 중온 (300 ℃ 내지 1000 ℃) 또한 무산소 상태에서 증소 (蒸燒) (건류) 로 하는 것을 말하고, 부활 처리는, 탄소 재료의 세공 구조를 발달시켜, 세공을 부가하는 것을 말한다. 부활 처리는,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하여 탄화물을 고온 (800 ℃ 내지 1,400 ℃) 에서 일정 시간 건류함으로써, 단위 질량당 표면적을 크게 한다.
상기 탄화 처리 조건이나 상기 부활 처리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메조공 용적 및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를 나타내는 다공질 탄소를 얻을 수 있다.
재료가, 예를 들어 벼과 대나무류 유래의 재료인 경우, 탄화 처리에 제공하는 대나무의 분말의 입경을 조정하는 것도, 원하는 다공질 탄소를 얻는 데에 있어서 유효한 수단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입경이 5 ㎛ 내지 3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 mm 인 대나무의 미 (微) 분말에 대해, 탄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때의 탄화 처리 및 부활 처리의 조건으로는, 구체적으로는, 400 ℃ 내지 1000 ℃ 의 탄화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10 시간, 탄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800 ℃ 내지 1000 ℃ 의 부활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1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시간 내지 5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시간 내지 2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는, 상기 다공질 탄소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방법은,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상기 다공질 탄소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정화용 필터로서 상기 다공질 탄소 재료를 사용하고, 필터 중에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물을 통액함으로써,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다.
이 때, 필터 내에 충전하는 상기 다공질 탄소 재료의 충전 밀도로는, 0.2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에 의하면,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통액 배율이 큰 경우에도 높은 흡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를 사용하면, 통액 배율이 1,00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액 배율이 3,000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액 배율이 6,000 배인 조건하에서도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높은 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농도 0.06 mg/ℓ 로 함유하는 물에 대해, 통액 배율 1,000 배의 조건에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하면, 제거율은 90 % 이상을 나타낸다. 통액 배율 3,000 배의 조건에서는, 제거율은 6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을 나타낸다. 또, 통액 배율 6,000 배의 조건에서는, 제거율은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제거할 수 있는 대상의 화합물로서,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클로로포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는, 클로로포름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원재료로서 왕겨를 사용하였다. 탄소화한 왕겨 (에코 상사 제조) 에 대해, 산 또는 알칼리 처리하고, 그 후, 960 ℃ 에서 1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1 을 얻었다.
활성탄 1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또, 3FLEX (마이크로메리틱스 재팬 합동 회사 제조) 의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서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활성탄 1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1 에 나타낸다.
<클로로포름 제거 시험>
시료수는, 클로로포름을 0.06 ± 0.006 mg/ℓ 의 농도로 조제하였다. 그리고, 내경 4 mm 의 튜브에 활성탄 1 을 1 ㎖ (길이 80 mm) 충전하였다. 시료수를 온도 20 ℃ 에서, 통액 배율 1,000 배의 조건에서 활성탄 충전 칼럼에 통수하였다. 활성탄 충전 칼럼으로부터 유출된 시료수를 채취하고, 클로로포름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량 측정하였다. 칼럼 통과 전의 시료수와 칼럼의 활성탄층을 통과한 시료수를 비교하여, 제거율을 구하였다.
여기서, 통액 배율 (배) 이란, 일정 시간에 있어서, 활성탄의 체적에 대해 통과한 시료수의 체적의 비율을 말한다. 통액 배율 1,000 배일 때의 클로로포름 제거율이란, 공간 속도 SV = 2,000 (단위:1/h) 으로, 클로로포름 수용액을 통액 배율 (통액 체적/활성탄 체적) 1,000 배로 통과시켰을 때, 요컨대, 활성탄 1 ㎖ 에 대해, 클로로포름 수용액을 1,000 ㎖ 흘렸을 때의 제거율을 말한다.
또한, 통액 배율 1,000 배와 동일한 방법으로, 통액 배율 3,000 배, 및 6,000 배에 있어서의 제거율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원재료로서 중국산의 대나무를 사용하였다. 탄소화한 대나무의 칩 (유한 회사 소고 제조) 에 대해, 900 ℃ 에서 1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2 를 얻었다.
활성탄 2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활성탄 2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원재료로서 큐슈산의 맹종죽을 사용하였다. 대나무의 미분말 (입경 (공칭):5 ㎛ ∼ 500 ㎛, 밤부 테크노사 제조) 에 대해, 600 ℃ 에서 6 시간 탄화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900 ℃ 에서 3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3 을 얻었다.
활성탄 3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활성탄 3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원재료로서 큐슈산의 맹종죽을 사용하였다. 대나무의 분말 (입경 (공칭):0.1 mm ∼ 0.4 mm, 밤부 테크노사 제조) 에 대해, 600 ℃ 에서 6 시간 탄화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900 ℃ 에서 3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4 를 얻었다.
활성탄 4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활성탄 4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원재료로서 큐슈산의 맹종죽을 사용하였다. 대나무의 분말 (입경 (공칭):0.1 mm ∼ 0.4 mm, 밤부 테크노사 제조) 에 대해, 600 ℃ 에서 6 시간 탄화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900 ℃ 에서 1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5 를 얻었다.
활성탄 5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활성탄 5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원재료로서 큐슈산의 맹종죽을 사용하였다. 대나무의 미분말 (입경 (공칭):5 ㎛ ∼ 500 ㎛, 밤부 테크노사 제조) 에 대해, 600 ℃ 에서 6 시간 탄화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900 ℃ 에서 1 시간, 수증기에 의한 부활 처리를 실시하여 활성탄 6 을 얻었다.
활성탄 6 의 제조 조건을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활성탄 6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원재료로서 야자 껍질을 사용하였다. 야자 껍질의 비교용 활성탄 1 (CN240G, 후타무라 화학사 제조)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용 활성탄 1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원재료로서 야자 껍질을 사용하였다. 야자 껍질의 비교용 활성탄 2 (쿠라레콜 GW, 쿠라레 케미칼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용 활성탄 2 의 각종 특성을 계측하였다. 또, 클로로포름의 제거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2 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1]
Figure pct00002
[표 2-2]
Figure pct000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다공질 탄소는, 그 높은 흡착 성능 때문에, 캐패시터의 전극 재료, 각종 흡착제, 마스크, 흡착 시트, 촉매용의 담체 등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메조공 용적이 0.07 (㎤/g) 이상이고, 세공 직경 0.4 nm ∼ 0.6 nm 의 최대 미분 용적치가 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탄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질소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10 (㎡/g) 이상인, 다공질 탄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전체 세공 용적이 0.5 (㎤/g) 이상인, 다공질 탄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이 0.425 (mm) 이하인, 다공질 탄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마이크로공 용적이 0.5 (㎤/g) 이상인, 다공질 탄소.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1 차 입자의 입자경이 0.1 (mm) 이하인, 다공질 탄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소의 원재료가 식물 유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탄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의 재료가 벼과 대나무류 유래의 재료인, 다공질 탄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벼과 대나무류가 맹종죽인, 다공질 탄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공질 탄소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1,000 배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90 % 이상인,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3,000 배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65 % 이상인,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농도 0.06 mg/ℓ 로 함유된 물에 대해, 통액 배율 6,000 배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 경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제거율이 50 % 이상인,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클로로포름인,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KR1020187012313A 2015-10-30 2016-10-26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KR102622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3673A JP6426583B2 (ja) 2015-10-30 2015-10-30 多孔質炭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ハロゲン化合物除去装置
JPJP-P-2015-213673 2015-10-30
PCT/JP2016/081778 WO2017073631A1 (ja) 2015-10-30 2016-10-26 多孔質炭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ハロゲン化合物除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33A true KR20180069833A (ko) 2018-06-25
KR102622510B1 KR102622510B1 (ko) 2024-01-08

Family

ID=5863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313A KR102622510B1 (ko) 2015-10-30 2016-10-26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26583B2 (ko)
KR (1) KR102622510B1 (ko)
CN (1) CN108348890B (ko)
TW (1) TW201728533A (ko)
WO (1) WO2017073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6325B (zh) * 2020-12-23 2021-11-11 國立中正大學 竹炭濾芯空氣清淨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161A (ja) 1991-11-15 1994-04-19 Kuraray Chem Corp 活性炭浄水器
JP2001205253A (ja) 2000-01-31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活性炭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KR20140005218A (ko) * 2011-02-10 2014-01-14 소니 주식회사 오염 물질 제거제, 탄소/중합체 복합체, 오염 물질 제거 시트 부재 및 여과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225B2 (ja) * 1994-05-26 1997-11-26 東曹産業株式会社 活性炭の製造方法及び水処理用にその活性炭を使用する方法
JPH11140492A (ja) * 1997-11-11 1999-05-25 Ishihara Kk 孟宗竹炭
JPH11217207A (ja) * 1998-01-30 1999-08-10 Kurimoto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廃材からの活性炭の製造方法
JP2007261918A (ja) * 2006-03-30 2007-10-11 Shiga Pref Gov 竹活性炭の製造方法
TWI367125B (en) * 2008-01-24 2012-07-01 Forestry Bureau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Heavy metal adsorb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3112572A (ja) * 2011-11-29 2013-06-10 Nagaoka Univ Of Technology 水素吸蔵方法及び水素吸蔵材料
CN103693642B (zh) * 2013-12-23 2016-01-06 湖南华银能源技术有限公司 制备竹基活性炭的方法及其生产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161A (ja) 1991-11-15 1994-04-19 Kuraray Chem Corp 活性炭浄水器
JP2001205253A (ja) 2000-01-31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活性炭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KR20140005218A (ko) * 2011-02-10 2014-01-14 소니 주식회사 오염 물질 제거제, 탄소/중합체 복합체, 오염 물질 제거 시트 부재 및 여과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ng, Y. 등, Optimization of highly microporous activated carbon preparation~, Journal of the Taiw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2015, 50, pp.266-275 (2015.01.07.)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631A1 (ja) 2017-05-04
JP2017081799A (ja) 2017-05-18
TW201728533A (zh) 2017-08-16
CN108348890B (zh) 2021-06-29
JP6426583B2 (ja) 2018-11-21
KR102622510B1 (ko) 2024-01-08
CN108348890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423B2 (ja) 浄水器用活性炭及びこれを用いた活性炭カートリッジ
Sekirifa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ctivated carbon from a date stones variety by physical activation with carbon dioxide
US10226752B2 (en) Adsorbent for adsorbing virus and/or bacterium, carbon/polymer composite and adsorbent sheet
Chen et al. Equilibrium and kinetic studies of methyl orange and methyl violet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Phragmites australis
JP6290900B2 (ja) 浄水器用活性炭
WO2016013619A1 (ja) 吸着性能に優れた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79325B1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58450A1 (de) Adsorptive filtereinheit mit verlängerter einsatz- und/oder standzeit
Albuquerque Júnior et al. Removal of cyanobacteria toxins from drinking water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fibers
Hamad et al. Irreversible membrane fouling abatement through pre-deposited layer of hierarchical porous carbons
JP2017200670A (ja) 活性炭成形体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80069833A (ko) 다공질 탄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할로겐 화합물 제거 장치
JP5863532B2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JP2950666B2 (ja) 活性炭浄水器
Kant et al. Adsorption of dye Green B from a textile industry effluent using two different samples of activated carbon by static batch method and continuous process
Momčilović et al. Study on the efficient removal of clopyralid from water using a resorcinol-formaldehyde carbon cryogel
JP2015091565A (ja) セシウム吸着材とそれを用いた除染方法
JP7427849B1 (ja) 水処理用活性炭
Hafshejani et al. Adsorption of acetone from polluted air by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low cost materials
Tsai et al. Novel preparation of bamboo biochar and its application on cationic dye removal
Masdiana et al. Characteristics of PrekotAC as Formulated Filter Aids and Its Performance to Adsorb Volatile Organic Compound
CN107758756B (zh) 一种环保水处理剂
Masdiana et al. CHARACTERISTICS AND ADSORPTION PERFORMANCE OF FORMULATED TRIKOTAC FILTER AIDS
Wang et al. Activated carbon from extracted sawdust waste with alkaline activation by physical mixing
JP2010193718A (ja) シガレットフィルタ用活性炭およびフィルタ付シガ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