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511A -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511A
KR20180069511A KR1020160171762A KR20160171762A KR20180069511A KR 20180069511 A KR20180069511 A KR 20180069511A KR 1020160171762 A KR1020160171762 A KR 1020160171762A KR 20160171762 A KR20160171762 A KR 20160171762A KR 20180069511 A KR20180069511 A KR 2018006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shaft
motor
pow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653B1 (ko
Inventor
유정화
감병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6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소방용 워터펌프나 윙바디 개폐용 구동장치와 같이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특수 목적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는, 차체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주행동력으로 출력하는 주행용 모터와, 주행용 모터로부터 이격된 차체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차량 외부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출력하는 PTO 모터와, PTO 모터의 출력축에 기어 또는 스플라인 구조로 연결되며 작업기 구동을 위해 PTO 모터의 출력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PTO 축과,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PTO 모터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PTO 작동 스위치 및 PTO 작동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TO 작동 스위치의 스위치 온(ON)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로 상기 PTO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TO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with Power Take-Off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모터의 추진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용 워터펌프나 윙바디 개폐용 구동장치와 같이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특수 목적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환경 및 에너지적인 측면과 구조의 단순화 측면에서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켜 추진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차량 중에서도 주로 화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트럭의 경우 차량 특성상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보다 범용적이고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을 위해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기를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
회전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기로는, 소방용 워터펌프, 윙바디 개폐용 구동장치, 제설용 브러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기 구동을 위해서는 모터가 출력하는 동력을 외부로 끌어내 상기 작업기에 전달하는 동력인출장치(Power Take Off, 이하 'PTO'라 함)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주행동력을 출력하는 주행용 모터에서 PTO로 동력을 인출시켜 작업기의 구동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주행동력과 작업동력 간 동력 단속을 위한 별도의 PTO 클러치가 필요하며, PTO가 주행모터에 연동되므로 PTO 회전수를 작업기가 요구하는 정격 회전수로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291183호(2002. 09. 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행용 모터와는 별도로 PTO 모터를 구비하여 주행 중에도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PTO 장비(차량에 부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의 정격 요구 회전수에 맞게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출력하는 전기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주행동력으로 출력하는 주행용 모터;
상기 주행용 모터로부터 이격된 차체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차량 외부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출력하는 PTO 모터;
상기 PTO 모터의 출력축에 기어 또는 스플라인 구조로 연결되며, 작업기 구동을 위해 상기 PTO 모터의 출력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PTO 축;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PTO 모터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PTO 작동 스위치; 및
상기 PTO 작동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TO 작동 스위치의 스위치 온(ON)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로 상기 PTO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TO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전륜 차동축 또는 후륜 차동축 상의 임의 지점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후륜 차동축에 인접한 전륜 차동축과 후륜 차동축 사이의 임의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TO 작동 스위치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방향과 크기가 다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로터리 타입 스위치일 수 있으며, PTO 제어부는 상기 PTO 작동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값으로 상기 PTO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TO 축이 차체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작업기가 연결되는 출력단 측이 차체 후미보다 뒤쪽으로 임이 길이 더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TO 축이 차체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작업기가 연결되는 출력단 측이 차체 측면보다 바깥쪽으로 임의 길이 더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PTO 축이 PTO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차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제1 PTO 축과, 상기 제1 PTO 축에서 분기되어 차체 측방으로 인출되는 제2 PTO 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PTO 축과 제2 PTO 축이 만나는 분기부에 PTO 동력분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TO 동력분배기는, 상기 제1 PTO 축에 압입 또는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1 PTO 축과 함께 회전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와, 상기 제1 PTO 축과 마주하는 제2 PTO 축의 선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2 PTO 축과 함께 회전하며 제한된 임의 구간에 걸쳐 제2 PTO 축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와, 상기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를 상기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이격시켜 제1 PTO 축에 대한 제2 PTO 축의 동력 접속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에 의하면, 주행용 모터와는 별도로 PTO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주행 중에도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PTO 장비(차량에 부착되는 작업기)가 요구하는 정격 회전수에 맞게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의 사용이 가능하며, 그 결과 차량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동력 전달 계통을 개략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인축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동력 전달 계통을 개략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평면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동력분배기의 장치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동력 전달 계통을 개략 도시한 평면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인축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10)가 출력하는 전기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순수 전기 자동차로서,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용 모터(20)와, 주행용 모터(20)와 별도로 마련되는 PTO 모터(30), PTO 모터(30)의 출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PTO 축(35), 그리고 PTO 작동 스위치(50)와 PTO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주행용 모터(20)는 차체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PTO 모터(30)는 상기 주행용 모터(20)와 이격된 제2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PTO 축(35)은 상기 PTO 모터(30)가 출력하는 동력을 차량 외부로 인출시키며, PTO 작동 스위치(50)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상기 PTO 제어부(45)의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상기 PTO 모터(30)가 구동됨으로써 PTO 동력이 작업기에 전달된다.
주행용 모터(20)는 배터리(1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주행동력으로 출력한다. 주행용 모터(20)는 차체의 제1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위치는 바람직하게, 도 1의 예시와 같이 좌, 우측 전륜(FW) 사이를 연결하는 전륜 차동축(1) 또는 좌, 우측 후륜(RW) 사이를 연결하는 후륜 차동축(2) 상의 임의 지점, 예컨대 중앙부일 수 있다.
주행용 모터(20)는 차량 운전석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예를 들어 족답식 페달(250)과 이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센서(252)로 이루어진 출력 조절기(25)를 통해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출력 조절기(25)의 신호 세기에 상응하는 제어 값을 제어유닛, 예컨대 ECU(40)가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값으로 주행용 모터(20)의 구동을 통제함으로써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PTO 모터(30)는 상기 주행용 모터(20)와 독립된 배선 경로를 통해 배터리(1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고 차량 외부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을 출력한다. PTO 모터(30)는 상기 주행용 모터(20)로부터 이격된 차체의 제2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위치는 상기 후륜 차동축(2)에 인접한 상기 전륜 차동축(1)과 후륜 차동축(2) 사이의 임의 지점일 수 있다.
PTO 모터(30)는 운전자에 의한 상기 PTO 작동 스위치(50) 조작 시 PTO 제어부(45)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로 구동될 수 있다. PTO 작동 스위치(5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PTO 모터(30)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기 위해 기능하며, PTO 작동 스위치(50)의 스위치 온(ON) 시 PTO 제어부(45)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PTO 모터(30)가 구동된다.
PTO 작동 스위치(50)는 PTO 모터(3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방향과 크기가 다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로터리 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형 포텐셔미터나 엔코더 방식의 로터리 타입 PTO 작동 스위치(50)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포텐셔미터나 엔코터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PTO 제어부(45)는 상기 PTO 작동 스위치(50)가 출력하는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그 결정된 제어 값으로 상기 PTO 모터(30)를 조절함으로써 PTO 출력을 조절한다. 즉 PTO 작동 스위치(50) 조작 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0)로부터 상기 PTO 모터(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PTO 출력을 제어한다.
PTO 제어부(45)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전술한 제어유닛, 예를 들어 ECU(40) 회로에서 별도의 제어 영역을 할당 받아 상기 ECU(40)가 PTO 제어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ECU(40)와는 독립된 회로기 형태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O 모터(30)의 출력축(부호 생략)에 PTO 축(35)이 직결된다. PTO 축(35)은 기어 전동 또는 스플라인 연결 방식으로 상기 출력축에 직결될 수 있으며, 상기 PTO 모터(30)가 출력하는 동력을 차량 외부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외부에서 연결되는 PTO 장비, 즉 특수 용도의 작업기에 PTO 모터(30)가 출력하는 동력을 전달한다.
PTO 축(35)은 도 1의 실시 예와 같이, 차체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작업기가 연결되는 출력단 측이 차체 후미보다 뒤쪽으로 임이 길이 더 돌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3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차체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출력단 측이 차체 측면보다 바깥쪽으로 임의 길이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PTO 축(35)은 두 개의 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축은 바람직하게, PTO 모터(30)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차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제1 PTO 축(35a)과, 제1 PTO 축(35a)에서 분기되어 차체 측방으로 인출되는 제2 PTO 축(35b)일 수 있으며, 제1 PTO 축(35a)과 제2 PTO 축(35b)이 만나는 분기부에 PTO 동력분배기(3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동력분배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TO 동력분배기(32)는, 제1 PTO 축(35a)에 압입 또는 스플라인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320)와, 제1 PTO 축(35a)과 마주하는 제2 PTO 축(35b)의 선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2 PTO 축(35b)과 함께 회전하며 제한된 임의 구간에 걸쳐 제2 PTO 축(35b)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322)를 포함한다.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322)는 제1 PTO 축(35a)에 대한 제2 PTO 축(35b)의 동력 접속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326)의 구동에 의해 제2 PTO 축(35b) 상에서 상기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320) 측으로 이동되거나 반대로 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PTO 축(35a)에 제2 PTO 축(35b)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반대로 동력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26)는 바람직하게,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322)를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320) 측으로 밀어내거나 반대로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3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이송기구, 예컨대, 리니어 모터나 볼-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26) 구동 제어용 컨트롤러(미도시)가 별도로 차량 적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PTO 동력분배기(32) 동작에 따른 동력 절환 상태에 따라, 두 개의 PTO 축(35a, 35b)이 동시에 구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차량 후방 및 차량 측방)으로 동시에 동력을 인출시켜 두 개의 작업기를 동시에 구동시키거나, 한 방향(차량 후방)으로만 동력을 인출시켜 작업기 하나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 324는 액츄에이터(326)의 구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322)를 이동시키는 중간부재로서, 이러한 중간부재로는 예를 들어 공지된 변속포크와 같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에 의하면, 주행용 모터와는 별도로 PTO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주행 중에도 동력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PTO 장비(차량에 부착되는 작업기)가 요구하는 정격 회전수에 맞게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의 사용이 가능하며, 그 결과 차량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전륜 차동축 2 : 후륜 차동축
10 : 배터리 20 : 주행용 모터
25 : 출력 조절기 30 : PTO 모터
32 : PTO 동력분배기 35 : PTO 축
35a : 제1 PTO 축 35b : 제2 PTO 축
40 : ECU 45 : PTO 제어부
50 : PTO 작동 스위치 320 :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
322 :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 326 : 액츄에이터

Claims (7)

  1. 배터리가 출력하는 전기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주행동력으로 출력하는 주행용 모터;
    상기 주행용 모터로부터 이격된 차체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차량 외부의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출력하는 PTO 모터;
    상기 PTO 모터의 출력축에 기어 또는 스플라인 구조로 연결되며, 작업기 구동을 위해 상기 PTO 모터의 출력 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PTO 축;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PTO 모터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PTO 작동 스위치; 및
    상기 PTO 작동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TO 작동 스위치의 스위치 온(ON)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로 상기 PTO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TO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전륜 차동축 또는 후륜 차동축 상의 임의 지점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후륜 차동축에 인접한 전륜 차동축과 후륜 차동축 사이의 임의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O 작동 스위치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방향과 크기가 다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로터리 타입 스위치이고,
    상기 PTO 제어부는 상기 PTO 작동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값으로 상기 PTO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O 축이 차체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작업기가 연결되는 출력단 측이 차체 후미보다 뒤쪽으로 임이 길이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O 축이 차체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작업기가 연결되는 출력단 측이 차체 측면보다 바깥쪽으로 임의 길이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O 축이 PTO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차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제1 PTO 축과, 상기 제1 PTO 축에서 분기되어 차체 측방으로 인출되는 제2 PTO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PTO 축과 제2 PTO 축이 만나는 분기부에 PTO 동력분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TO 동력분배기는,
    상기 제1 PTO 축에 압입 또는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1 PTO 축과 함께 회전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와;
    상기 제1 PTO 축과 마주하는 제2 PTO 축의 선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2 PTO 축과 함께 회전하며, 제한된 임의 구간에 걸쳐 제2 PTO 축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베벨기어 모양의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와;
    상기 종동기어 또는 종동 마찰차를 상기 원동기어 또는 원동 마찰차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이격시켜 제1 PTO 축에 대한 제2 PTO 축의 동력 접속을 단속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KR1020160171762A 2016-12-15 2016-12-15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KR10261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62A KR102618653B1 (ko) 2016-12-15 2016-12-15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62A KR102618653B1 (ko) 2016-12-15 2016-12-15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11A true KR20180069511A (ko) 2018-06-25
KR102618653B1 KR102618653B1 (ko) 2023-12-27

Family

ID=6280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62A KR102618653B1 (ko) 2016-12-15 2016-12-15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0655A1 (en) * 2019-06-04 2020-12-05 Husqvarna Ab Electrically powered, universal accessory dri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22A (ja) * 1994-05-06 1995-11-14 Iseki & Co Ltd モ−タ駆動型トラクタ−
KR200291183Y1 (ko) 1996-12-31 2002-11-23 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동력인출장치의에어식변환구조
KR20140016036A (ko) * 2012-07-30 2014-02-07 이진국 화물자동차용 하이브리드장치
JP2014221639A (ja) * 2014-07-11 2014-11-27 株式会社クボタ Pto制御システム
KR20160000606A (ko) * 2014-06-25 2016-01-05 (주)예성이엔지 변속이 가능한 트랙터용 다기능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22A (ja) * 1994-05-06 1995-11-14 Iseki & Co Ltd モ−タ駆動型トラクタ−
KR200291183Y1 (ko) 1996-12-31 2002-11-23 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동력인출장치의에어식변환구조
KR20140016036A (ko) * 2012-07-30 2014-02-07 이진국 화물자동차용 하이브리드장치
KR20160000606A (ko) * 2014-06-25 2016-01-05 (주)예성이엔지 변속이 가능한 트랙터용 다기능 동력전달장치
JP2014221639A (ja) * 2014-07-11 2014-11-27 株式会社クボタ Pto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0655A1 (en) * 2019-06-04 2020-12-05 Husqvarna Ab Electrically powered, universal accessory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653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620B2 (en)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EP1619063A3 (en) Motor torqu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CN204701468U (zh) 无双腿残疾人可驾驶的机动车辆的刹车、油门控制结构
CN210707598U (zh) 一种汽车自动转向机构及包括其的无人驾驶汽车
KR930012406A (ko) 좌우의 후륜의 각각에 독립하여 조작가능한 전동클러치를 갖춘 4륜 구동형 작업차
US10208852B2 (en) Steering lever system for work vehicle
US20160023715A1 (en) Maneuv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BRPI0700013A (pt) método de controlar um sistema de acionamento de veìculo para um veìculo
KR101324013B1 (ko) 전기 구동식 농용 작업차
KR20180069511A (ko)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JP6548609B2 (ja) 作業車
KR19980701602A (ko) 차량 조향용 모터 피동 장치(a motor-driven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JP2008049965A (ja)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044484B (zh) 驱动系统及驱动方法
US2022016912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shift effect in electric vehicles
KR20180069512A (ko) 동력인출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KR101297649B1 (ko) Mdps 및 컴프레셔 통합 작동 구조
KR20080109963A (ko) 동축 이중 감속기 타입 능동 전륜 조향 장치
KR101315149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20130013282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및 컴프레서 일체화 장치
CN101417667A (zh) 一种应用操纵杆操纵行驶方向的电动汽车
CN201747467U (zh) 低怠速加速防止熄火控制装置
KR20120059315A (ko) 2륜/4륜 구동 차량의 바퀴정렬장치
JP4616698B2 (ja) エンジンカー用送信機
KR102637114B1 (ko)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