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174A -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174A
KR20180069174A KR1020160170374A KR20160170374A KR20180069174A KR 20180069174 A KR20180069174 A KR 20180069174A KR 1020160170374 A KR1020160170374 A KR 1020160170374A KR 20160170374 A KR20160170374 A KR 20160170374A KR 20180069174 A KR20180069174 A KR 2018006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adjacent
driver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314B1 (ko
Inventor
홍원길
권영빈
김경선
서동혁
정서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3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은 복수의 주차면으로 구성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RECOMMENDED PARKING LOCATION}
본 발명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추천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백화점, 놀이공원, 대형마트 및 복합쇼핑몰 등과 같은 시설에는 대형 주차장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설치된 대형 주차장의 경우에는, 특정한 층이나 구역별로 주차가능한 차량 대수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그 특정한 주차 구역 내에서 비어있는 주차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장은 단순히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 및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머무르고 있어서, 각 운전자별로 선호하는 위치나 조건을 만족하는 주차면의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선호도, 주차의 용이성 및 이동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44413호(발명의 명칭: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 2014년 9월 1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차의 용이성 및 주차 후의 이동 편의성에 기초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추천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은 복수의 주차면으로 구성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 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점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S는 상기 추천점수이고, Adj는 상기 공주차면별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이고, α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Gap은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주차간격이고, β는 상기 주차간격에 대한 가중치이고, Distmax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이고, Dist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이고, γ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접정보가 상기 인접주차면의 차량 주차 여부 및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주차간격은 상기 인접주차면을 촬영한 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수행하여, 상기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하는 단계; 및 상기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으로부터 상기 공주차면과 상기 인접주차면 간의 주차선과 상기 주차된 차량 간의 최소 간격을 산출하여, 상기 주차간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거쳐 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모니터,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모니터,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이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복수의 주차면으로 구성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점수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S는 상기 추천점수이고, Adj는 상기 공주차면별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이고, α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 에 대한 가중치이고, Gap은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주차간격이고, β는 상기 주차간격에 대한 가중치이고, Distmax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이고, Dist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이고, γ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접정보가 상기 인접주차면의 차량 주차 여부 및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주차간격은 상기 인접주차면을 촬영한 대상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하고, 상기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으로부터 상기 공주차면과 상기 인접주차면 간의 주차선과 상기 주차된 차량 간의 최소 간격을 산출하여, 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모니터,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모니터,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이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차의 용이성 및 이동 편의성에 기초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차 위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별로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추천점수에 따라 주차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각 운전자별로 맞춤형 주차 위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간격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인접주차면에 주차한 차량과 주차선 간의 주차간격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주차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CCTV(폐쇄회로TV)용 카메라, 주차면 상부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 및 주차면에 부착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 복수의 주차면 중에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복수의 공주차면을 선별할 수 있다. 한편, 주차면는 차량 1대가 주차되도록 구획된 영역이고, 공주차면은 주차면 중 차량이 주차되지 않아 비어있는 주차면이고, 인접주차면은 공주차면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인접한 주차면으로서, 차량의 주차 여부와는 무관한 주차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주차면은 양 옆으로 그리고 앞뒤 중 어느 한쪽으로 인접한 주차면이 존재하거나, 양 옆으로만 인접한 인접주차면이 존재(예, 앞뒤 중 어느 한쪽으로는 기둥이나 벽면이 존재)하거나, 양 옆 중 한 곳으로만 인접주차면이 존재(예, 나머지 한 곳에는 기둥이나 벽면이 존재)하거나, 또는 주차면이 단독으로 존재(예, 양 옆으로 모두 기둥이나 벽면이 존재)하여 인접주차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인접주차면의 개수를 0개, 1개, 2개 및 3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인접주차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할 때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고려할 필요가 작아지므로, 인접주차면의 개수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할 때의 주차 용이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인접정보는 공주차면에 맞닿은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점유 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정보는 인접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그리고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접주차면이 비어있거나, 주차간격이 넓은 경우에 운전자가 그 공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하기 더 쉬우므로, 인접정보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할 때의 주차 용이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는 주차면의 중심지점으로부터 운전자가 거치가게 될 출구 또는 입구(예, 지하주차장의 엘리베이터 또는 비상계단)까지의 도보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운전자가 주차 후에 도보로 이동하기 편리하므로,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의 이동 편의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주차장의 출구와 입구가 구별된 경우에, 출입구까지의 거리는 출구까지의 거리와 입구까지의 거리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인접주차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고, 인접주차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추천점수가 낮아지도록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인접주차면이 주차되어 있거나, 주차간격이 좁을수록 추천점수가 낮아지고, 인접주차면이 비어있거나, 주차간격이 넓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도록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추천점수가 낮아지고,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도록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추천점수를 산출할 때, 인접주차면의 개수, 인접정보에 포함된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 개인별로 인접주차면의 개수, 주차간격 및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추천점수에 대한 3가지 고려 요인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미리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위의 3가지 고려 요인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그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운전자별 맞춤형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입차 및 출차 시의 접촉 사고를 우려하는 운전자는 인접주차면의 개수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가 0개 또는 1개인 공주차면의 추천점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차가 서투른 운전자는 주차간격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차간격이 넓은 공주차면의 추천점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행이 불편한 운전자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출입구까지의 거리가 짧은 공주차면의 추천점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접주차면의 개수 및 출입구까지의 거리는 일단 주차장이 완성된 후에는 변경이 발생하지 않는 요인이므로, 각 주차면별로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반면에, 주차간격은 차량의 주차 여부나 주차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값으로, 카메라 등을 이용한 실시간 측정이 필요한 값일 수 있다. 이때, 주차간격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천점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S는 추천점수이고, 3은 인접주차면의 개수의 최대값이고, Adj는 인접주차면의 개수이고, α는 인접주차면의 개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Gap은 인접정보에 포함된 주차간격이고, β는 주차간격에 대한 가중치이고, Distmax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이고, Dist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이고, γ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이다.
이때,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인접주차면의 개수(Adj)가 적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고, 주차간격(Gap)이 넓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고,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Dist)가 짧을수록 추천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한다.
예컨대, 20개의 공주차면이 존재할 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그 20개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추천점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그 추천점수가 가장 높은 3개의 주차면으로 선별주차면을 선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3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운전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예컨대,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3개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한 경우, 그 3개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그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그 3개의 선별주차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공주차면으로 차량을 운행하여 주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차위치정보는 주차장에 설치된 모니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모니터, 운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주차장 차단기를 지나 입구로 진입할 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차량 입구 주변에 설치된 모니터에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차량에 탑재된 수신장치가 주차 위치 안내 장치로부터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에 탑재된 모니터(예, 내비게이션용 모니터 또는 헤드업디스플레이(HUD))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주차 위치 안내 장치로부터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수신장치,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정보(예, MAC 어드레스, IP주소, 전화번호, ID/Password 등)는 차량 번호와 함께 주차 위치 안내 장치에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운전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번호판인식장치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고, 그 차량 번호와 함께 등록된 수신장치,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게 그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차위치정보가 표시될 때,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이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주차장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때, 그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서,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선별한 A3, A4 및 A2의 3개의 선별주차면은 다른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A3, A4 및 A2의 3개의 선별주차면은 각각 청색으로 표시되었으며, 나머지 주차면은 연두색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은 주차의 용이성 및 이동 편의성에 기초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차 위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운전자로부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운전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주차장의 입구 주변에 설치된 비콘(beacon)과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주차 위치 안내 장치에게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GPS 좌표가 미리 등록된 주차장의 위치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 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주차 위치 안내 장치에게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차량의 GPS 좌표가 미리 등록된 주차장의 위치와 소정의 범위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 차량에 탑재된 운전자보조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이 주차 위치 안내 장치에게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때 번호판인식장치에 의해 차량의 번호판이 인식되면,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인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그 인식된 차량의 번호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등록된 번호인 경우, 그 인식된 정보를 주차정보요청신호와 동일하게 간주하여, 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전자에게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한다.
단계 S23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24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운전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그 수신된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및 운전자보조시스템 중 하나에게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보조시스템에게 전송된 주차위치정보는 그 운전자보조시스템과 연동되는 차량의 내부의 모니터 또는 HUD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간격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접정보는 공주차면(510)에 맞닿은 인접주차면(520)에 주차된 차량(530)의 점유 상태에 관한 정보이며, 인접주차면(520)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와 인접주차면(520)에 주차된 차량(530)으로부터 인접주차면(520)과 공주차면(510) 사이의 주차선(540)까지의 간격을 나타내는 주차간격(55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인접주차면(520)을 촬영한 대상이미지를 획득한다.
예컨대, 주차장의 모든 주차면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게 촬영될 수 있도록, 주차장에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그 다수의 카메라 중에서 특정한 인접주차면(520)을 촬영한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대상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수행하여,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한다.
여기서, 허프 변환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분을 추출하는 변환방법이다. 예컨대,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을 통해, 주차선의 색상과 유사한 픽셀값을 갖는 픽셀들을 직선으로 추출하여,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330에서는,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그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으로부터 공주차면과 인접주차면 간의 주차선과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 간의 최소 간격을 산출하여, 주차간격을 산출한다.
예컨대, 주차 위치 안내 장치가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을 이용하여, 주차간격에 대응되는 픽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는 주차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주차면의 가로픽셀수) : (주차간격에 대응되는 픽셀수) = (주차면의 가로 길이) : (주차간격의 길이)와 같은 비례식을 이용하여 주차간격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400)는 산출부(410), 선별부(420) 및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410)는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산출부(410)는 인접주차면의 개수, 인접정보에 포함된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천점수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여기서, S는 추천점수이고, 3은 인접주차면의 개수의 최대값이고, Adj는 공주차면별 인접주차면의 개수이고, α는 인접주차면의 개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Gap은 인접정보에 포함된 주차간격이고, β는 주차간격에 대한 가중치이고, Distmax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이고, Dist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이고, γ는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접정보가 인접주차면의 차량 주차 여부 및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주차간격은 인접주차면을 촬영한 대상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을 수행하여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하고, 그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으로부터 공주차면과 인접주차면 간의 주차선과 주차된 차량 간의 최소 간격을 산출하여, 산출될 수 있다.
선별부(420)는 그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한다.
전송부(430)는 운전자에게 그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차위치정보는 주차장에 설치된 모니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모니터, 운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차위치정보가 표시될 때,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 그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이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수신부(미도시)는 운전자로부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의 주차면으로 구성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 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점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5

    여기서, S는 상기 추천점수이고, Adj는 상기 공주차면별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이고, α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Gap은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주차간격이고, β는 상기 주차간격에 대한 가중치이고, Distmax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의 최대값이고, Dist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이고, γ는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중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정보가 상기 인접주차면의 차량 주차 여부 및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주차간격은
    상기 인접주차면을 촬영한 대상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이미지에 대한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수행하여, 상기 인접주차면을 직선화하는 단계; 및
    상기 직선화된 인접주차면으로부터 상기 공주차면과 상기 인접주차면 간의 주차선과 상기 주차된 차량 간의 최소 간격을 산출하여, 상기 주차간격을 산출하는 단계
    를 거쳐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모니터,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된 모니터,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중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주차위치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주차장의 평면도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이 나머지 주차면과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8. 복수의 주차면으로 구성된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비어있는 복수의 공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주차면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인접정보 및 상기 주차장의 운전자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추천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주차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주차면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주차위치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인 주차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인접주차면의 개수, 상기 인접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접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인접주차면과 공주차면 사이의 주차선까지의 간격인 주차간격 및 상기 출입구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추천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주차 위치 안내 장치.
KR1020160170374A 2016-12-14 2016-12-14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89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74A KR101894314B1 (ko) 2016-12-14 2016-12-14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74A KR101894314B1 (ko) 2016-12-14 2016-12-14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174A true KR20180069174A (ko) 2018-06-25
KR101894314B1 KR101894314B1 (ko) 2018-09-04

Family

ID=6280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374A KR101894314B1 (ko) 2016-12-14 2016-12-14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3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6530A (zh) * 2018-08-01 2018-12-1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停车位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44486A1 (ja) * 2020-08-28 2022-03-03 株式会社アイシン 運転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39131B1 (ko) * 2022-04-26 2023-06-02 주식회사 아람코코리아 스마트 발렛 파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7649780A (zh) * 2023-12-02 2024-03-05 广州市图南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车场车辆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175A (ja) * 2007-12-05 2009-06-25 Toyota Motor Corp 白線検出装置
KR101522605B1 (ko) * 2013-12-27 2015-05-27 (주)미래엔씨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5210583A (ja) * 2014-04-24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枠案内装置及び駐車枠案内システム
KR20160098676A (ko) * 2015-02-10 2016-08-19 (주)파크인서울 주차 차량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175A (ja) * 2007-12-05 2009-06-25 Toyota Motor Corp 白線検出装置
KR101522605B1 (ko) * 2013-12-27 2015-05-27 (주)미래엔씨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5210583A (ja) * 2014-04-24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枠案内装置及び駐車枠案内システム
KR20160098676A (ko) * 2015-02-10 2016-08-19 (주)파크인서울 주차 차량 관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6530A (zh) * 2018-08-01 2018-12-1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停车位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44486A1 (ja) * 2020-08-28 2022-03-03 株式会社アイシン 運転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039518A (ja) * 2020-08-28 2022-03-10 株式会社アイシン 運転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39131B1 (ko) * 2022-04-26 2023-06-02 주식회사 아람코코리아 스마트 발렛 파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7649780A (zh) * 2023-12-02 2024-03-05 广州市图南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车场车辆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314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14B1 (ko) 추천 주차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US115432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84853A1 (zh) 停车位推荐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304823A1 (en) Navig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5901779B2 (ja) 画像データベース地図サービスからアシストシステム内にデータを移す方法
JP4940168B2 (ja) 駐車スペース認識装置
JP6368651B2 (ja) 走行環境認識システム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CN106489173A (zh) 用于确定停车位的方法和空闲停车位辅助系统
KR101968203B1 (ko) 주차관제시스템
JP2010237411A (ja) 広告表示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55328A1 (en) Video bas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side-by-side drive thru load balancing
CN11144388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JP20221032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751112B1 (ko) 영상정보기반 교통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EP3660458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onboard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6785960B2 (ja) 空きスペース通知装置、空きスペース通知システム及び空きスペース通知方法
JP2013149035A (ja) 情報提供装置
KR101573660B1 (ko) 차량 카운트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9185463A (ja) 駐車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管理方法
JP2018013847A (ja) 端末装置、運転補助方法及び運転補助プログラム
JP2007078600A (ja) 通信端末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222416B1 (ja)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情報提供方法
CN105283873B (zh) 用于发现经过车辆的一个或多个人员的方法和系统
JP202001338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