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006A -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 - Google Patents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006A
KR20180069006A KR1020187013129A KR20187013129A KR20180069006A KR 20180069006 A KR20180069006 A KR 20180069006A KR 1020187013129 A KR1020187013129 A KR 1020187013129A KR 20187013129 A KR20187013129 A KR 20187013129A KR 20180069006 A KR20180069006 A KR 20180069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receiver
pane
t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203B1 (ko
Inventor
슈테판 드로스테
폴크마르 오페르만
스테팡 가르시아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6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32B17/10192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patterned in the form of columns or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100)으로서, 페인(1),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로부터 제1 신호(S1)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기(10), 제1 신호(S1)를 제2 신호(S2)로 변환하고 제3 신호(S3)를 제4 신호(S4)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기(5), 제2 신호(S2)를 이동 통신 장치(6)로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기(21), 이동 통신 장치(6)로부터 제3 신호(S3)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기(20), 제4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로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기(11)를 포함하며, 수신기(10, 20)와 송신기(11, 21)는 근거리 무선 신호(S1-S4)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설계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
본 발명은 안테나 페인,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행료 정산(toll collection) 및 통행료 결제 시스템(toll payment system)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원칙에 기반을 둔다. 첫째는,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하에서 시종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특정 경로로 주행한 거리에 대한 통행료를 계산하는 통행료 정산이다. 대안적인 통행료 시스템은 통행료의 결제에 따라 정의된 경로 영역에 진입시키는 소위 "통행료 비컨(toll beacons)"을 갖는 제어 지점을 사용한다. 통행료 비컨은 예를 들어 이동식 탐지 장치(On Board Unit, OBU)와 통신하기 위해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표준에 따라 근거리 무선 신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이동식 탐지 장치는 예를 들어 DE 10 2005 055 835 A1에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시스템은 종종 특정 상황에서 통행료 정산소(toll station) 운영자에 의해 공급된 특정 탐지 장치를 필요로 하고, 다수의 통행료 정산소를 통과할 때, 상이한 시스템을 가진 다수의 탐지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다수의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을 이용한 통행료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개선된 차량 안테나 페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항 제1항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은 이동 통신 장치를 통해 전자 결제 작업이 수행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는 전자 결제 시스템을 갖춘 도로 통행료 시스템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중계 기능을 가지고 도로 통행료 시스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이동 통신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안테나 페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차량 안테나 페인은 실제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에서 독립된다. 이동 통신 장치의 소프트웨어만 각각의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에 맞게 조정하면 된다. 실제 결제 작업은 통행료 정산소 운영자가 직접 요금 청구하거나 또는 이동 장치 청구서를 통한 간단한 방식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간단히 "차랑 안테나 페인"으로 지칭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 시스템을 포함한다.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은 적어도
- 페인,
-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기,
-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고 제3 신호를 제4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기,
- 제2 신호를 이동 통신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기,
- 이동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기,
- 제4 신호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기를 포함하며,
- 제1 및 제2 수신기와 제1 및 제2 송신기는 근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와 제1 송신기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5.8 GHz용으로 지정된 EN 12253 또는 5.9 GHz용으로 지정된 EN 302 571에 따른 μwave DSRC,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2.4 GHz, 5 GHz, 또는 60 GHz용으로 지정된 IEEE-802.11, 특히 바람직하게는 IEEE-802.11p에 따라 제1 및 제4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DSRC 스펙트럼의 이용은 이러한 수신기 및 송신기가 기존의 통행료 시스템에서 이미 다수 사용되는 적합한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2 수신기와 제2 송신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ISO/IEC 13157, ISO/IEC 16353, ISO/IEC 22536, 또는 ISO/IEC 28361에 따라,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2.4 GHz, 5 GHz, 또는 60 GHz용으로 지정된 IEEE-802.11에 따라, 또는 블루투스에서 바람직하게는 IEEE 802.15.1.에 따라 제2 및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NFC 스펙트럼의 이용은 이러한 수신기 및 송신기가 바람직하게는 50 cm 미만의 제한된 범위만을 가져서 결과적으로 특히 제3자에 의한 변조(tampering) 위험이 없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변환기는 또한 두 개의 구조적으로 분리된 신호 변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는 제1 신호를 제2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3 신호를 제4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와 제1 송신기는 공통 구조 유닛 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신 및 송신을 위한 동일한 제1 안테나를 가진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2 수신기와 제2 송신기는 공통 구조 유닛 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신 및 송신을 위한 동일한 제2 안테나를 가진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및 제2 송신기가 공통 구조 유닛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페인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부를 분리하는 복합 페인이고, 적어도
- 외면(III)과 내면(IV)을 갖는 내측 페인,
- 외면(I)과 내면(II)을 갖는 외측 페인, 및
- 내측 페인의 외면(III)에 외측 페인의 내면(II)을 면으로(areally)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부를 분리하는데 적합하다. 그 결과, 차량 내부와 마주하는 차량 안테나 페인의 내면(II,IV)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 먼 쪽을 향하는 외면(I,III)이 정의된다.
기본적으로,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조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열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안정한 모든 전기 절연 기판은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 외측 페인으로 적합하다.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유리, 플로트(float) 유리,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투명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특히 차량의 윈드실드 또는 리어 윈도우로의 차량 안테나 페인의 용도, 또는 높은 광 투과율이 요구되는 다른 용도에서 그러하다. 본 발명에서, "투명"은 가시광 스펙트럼의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가지는 페인을 의미한다. 하지만, 운전자의 교통 관련 시야에 위치하지 않는 자동차 차량 안테나 페인, 예를 들어 루프 패널에 대해서는, 투과율이 예를 들어 5% 이상으로 훨씬 더 낮을 수 있다.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의 두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어서 개별 경우의 요구 사항에 이상적으로 맞추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차량 유리용으로 1.4 mm 내지 2.5 mm이다.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의 크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개별) 페인,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은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는 200 cm²내지 3 m²의 통상적인 면적을 가진다.
페인은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형상은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cathodic sputtering)에 의해 코팅될 수 있도록 가려진 영역(shadow zone)을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페인 또는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은 평평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으로 약간 또는 크게 벤딩된다. 특히, 평평한 페인이 사용된다. 페인은 무색 또는 유색일 수 있다.
내측 페인 및/또는 외측 페인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한다. 그러나 중간층은 또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주조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간층은 서로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나 또는 심지어 복수의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25 mm 내지 1 mm, 전형적으로는 0.38 mm 또는 0.76 mm이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일 수 있고, 적층 후에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과 임의의 다른 중간층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적층, 즉, 중간층을 통한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복합 페인을 제조하기 위해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소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방법, 진공 백(vacuum bag) 또는 진공 링(vacuum ring) 방법, 캘린더 방법(calender method) 또는 진공 래미네이터(vacuum laminato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는 외부로부터 페인의 외면(I) 상에 도달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제1 송신기는 제4 신호가 페인에 의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제2 수신기는 제3 신호가 내부로부터 페인의 내면(I) 상에 도달하는 수신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제2 송신기는 제2 신호가 페인에 의해 내부로 송신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내부로"는 차량 내부로, 즉 페인에서 내면(IV)의 표면 법선 방향으로를 의미한다. 여기서 "외부로"는 차량의 주변으로, 특히 페인에 의해 페인의 외면(I)의 표면 법선 방향으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주변의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과, 이동 통신 장치와 같은 차량 내부의 송신기 및 수신기 유닛 사이에서 통신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및 제2 송신기는 페인의 내면(IV)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대안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및 제2 송신기는 페인의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및 제2 송신기가 습기, 손상 및 변조와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대안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와 제1 송신기는 페인의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수신기와 제2 송신기는 페인의 내면(IV)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는 페인의 내면(IV)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대안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는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신호 변환기가 습기, 손상 및 변조와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페인은 차량의 윈드 실드이다. 유리한 개선점으로, 제2 수신기와 제2 송신기는 페인의 하부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신기 및/또는 제2 송신기와 페인의 하부 에지 사이의 거리는 30 cm 이하이다. 이것은 이동 통신 장치와 제2 수신기 또는 제2 송신기 사이에서 통신을 위해 NFC 신호를 이용할 경우에 특히 유리하며, 이는 NFC 신호가 제한된 범위만을 갖고 이동 통신 장치가 계기판(dashboard) 상에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 통신 장치는 제2 수신기와 제2 송신기의 범위 내에 있고, 동시에 차량 운전자 또는 차랑 탑승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은 이네이블 스위치(enable switch)를 가진다. 이네이블 스위치는 스위치 또는 버튼, 바람직하게는 정전식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제2 신호를 통해 이네이블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가 이동 통신 장치에 송신될 수 있도록, 이네이블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신호 변환기의 전자 장치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네이블 스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 위 또는 안에 배치된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네이블 스위치는 예를 들어 계기판 위 또는 안과 같은 페인 외부에 배치된다.
다른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네이블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키(key) 또는 이동 통신 장치의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한 영역이다. 이것은 이네이블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가 이동 통신 장치에서 직접 결정되고 평가될 수 있으므로, 기술적인 장비가 더 필요하지 않고 또한 이동 통신 장치로 별도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미 언급했듯이,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복합 페인의 경우에 페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페인이 내측 페인,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및 외측 페인으로 구성된다면,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내측 페인과 중간층 사이, 중간층과 외측 페인 사이, 또는 둘 이상의 중간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송신기와 수신기는 수동 및 능동 전기 부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간단한 안테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라인,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인쇄 및 소성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 바람직하게는 은 함유 스크린 인쇄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물론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라인,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인쇄 및 소성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쇄 및 소성된 전기 전도성 페이스는 유리하게는 3 μm 내지 20 μm의 두께를 가지고 0.001 ohm/square 내지 0.03 ohm/square, 바람직하게는 0.002 ohm/square 내지 0.018 ohm/square의 시트 저항을 가진다. 이러한 전기 전도성 구조는 산업 생산 공정에 통합하기 쉽고 생산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전기 전도성 포일(foil),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과 특히 구리, 은, 금 또는 알루미늄 포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들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포일은 또한 캐리어 필름,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중합체 캐리어 필름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캐리어 필름 상의 이러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단일 유닛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고, 이후 생산 중에 차량 안테나 페인에 편리하고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무코팅(coating-free) 분리 영역, 특히 무코팅 분리 라인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으로부터 절연된 전기 전도성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또한 이러한 분리 영역이 제공된 전기 전도성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수신기, 제1 송신기, 제2 수신기, 제2 송신기, 신호 전도체, 및/또는 이네이블 스위치는 만약 통상적인 경우에서처럼 전기 전도성 층, 예를 들어 전기 가열 페인 및 태양 방사선을 위한 필터가 통합된 페인에 이미 배치된 경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분리 라인의 폭은 30 μm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70 μm 내지 140 μm이다. 이러한 얇은 분리 라인은 신뢰할 수 있고 충분히 높은 전기 절연을 허용하고, 동시에 차량 안테나 페인을 통한 시야를 약간 방해하거나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층은 예를 들어 DE 20 2008 017 611 U1, EP 0 847 965 B1, 또는 WO2012/052315 A1에 공지되어 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 예를 들어 2, 3, 또는 4 개의 전기 전도성 기능층을 포함한다. 기능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또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함유한다. 기능층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은 함유 합금을 함유한다. 이러한 기능층은 특히 가시광 스펙트럼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과 함께 유리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기능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 nm 내지 25 nm이다. 기능층의 두께에 대한 이 범위에서, 가시광 스펙트럼 범위에서 유리하게 높은 투과율 및 특히 유리한 전기 전도성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이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인접한 기능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층 구조는 자기장 강화 음극 스퍼터링(magnetic field enhanced cathodic sputtering)과 같은 진공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증착 작업에 의해 얻어진다.
다른 적합한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인듐 산화 주석(ITO), 불소 도핑 산화 주석(SnO2:F) 또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 아연(ZnO:Al)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전기 전도성 층은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임의의 코팅일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페인이, 예를 들어 윈도우 영역 내의 페인에서와 같이 들여다보기(through-vision)가 가능하도록 의도되는 경우,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층은 2 μm 이하의 두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의 총 두께를 가지는 단일층 또는 복수의 개별 층의 층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은 0.4 ohm/square 내지 200 ohm/square의 시트 저항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층은 0.5 ohm/square 내지 20 ohm/square의 시트 저항을 가진다. 이러한 시트 저항을 가지는 코팅은 12 V 내지 48 V의 일반적인 온보드(on-board) 전압을 가지는 가열 차량 윈도우 또는 500 V까지 일반적인 온보드 전압을 갖는 전기 차량에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전도성 층은 심지어 전기 회로가 없이 예를 들어 그의 적외선 흡수 또는 반사 특성으로 인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통행료 결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
- 제1 신호를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1 수신기로 송신하는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
-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1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제4 신호를 수신하는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 및
-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2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제3 신호를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2 수신기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장치는 결제 작업이 수행되었을 때, 즉, 이네이블(enabled)된 때, "결제 완료" 신호를 제3 신호로서 제2 수신기로 송신한다.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 및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는 예를 들어 통행료 시스템의 구성 요소이고 통행료 비컨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행료 결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이네이블 스위치는 신호 변환기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이네이블 스위치의 작동 시, "이네이블" 신호가 제2 송신기에 의해 제2 신호로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에 의해 제1 신호를 송신하고,
b) 제1 신호를 차량 안테나 페인의 제1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여 신호 변환기로 라우팅하고,
c) 제1 신호를 신호 변환기에 의해 제2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송신기로 라우팅하고,
d) 제2 신호를 제2 송신기에 의해 송신하고 이동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신호를 수신하고,
e) 결제 작업을 이동 통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하고,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동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제 완료" 신호를 제3 신호로서 송신하고,
f)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고 신호 변환기로 전달하고,
g) 제3 신호를 신호 변환기에 의해 제4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송신기로 전달하고,
h) 제4 신호를 제1 송신기에 의해 송신하고,
i) 제4 신호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운영을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단계 j)에서는, 제4 신호가 "결제 완료" 신호인지 확인하고, 제4 신호가 "결제 완료" 신호인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소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단계 e)에서 제2 신호의 수신 전 3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의 시간(t) 내에 이네이블 스위치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네이블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에만 결제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통행료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작업의 정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이동 통신 장치 상의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장치에 설치되고 그곳에서 실행된다.
먼저, 이동 통신 장치 상에 수신되는 제2 신호를 평가한다. 제2 신호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알려진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의 식별 코드일 경우, 결제 작업을 진행한다. 결제 진행은 예를 들어 이동 무선 요금(선불 또는 후불)의 청구서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제2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결제 완료" 코드를 가진 제3 신호를 이동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한다.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하면, 제3 신호를 송신하지 않거나 또는 "미결제" 코드를 가진 제3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의 유리한 개선점에서, 제3 신호와 함께 이동 통신 장치는 제2 수신기에 식별 코드를 송신하고, 이는 이동 통신 장치(및 차량 사용자)가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에서 식별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의 또 다른 유리한 개선점에서, 결제 작업 동안에나 그 전에, 이네이블 스위치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네이블 스위치가 신호 변환기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2 신호의 "이네이블" 코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통신 장치의 키 또는 디스플레이의 쿼리(query)에 의해 이네이블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이러한 정보(information)를 쿼리한다. 이 경우에는, 이동 통신 장치의 키 또는 디스플레이가 이네이블 스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의 이러한 개선은 결제 작업이 이네이블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부가적으로 인증되므로 결제 작업이 악용 및 변조에 대해 안전하다는 특별한 이점을 가진다.
특히 이것은 이네이블 스위치의 작동이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로부터 신호의 도달과 임시적으로 연관되는(temporally associated) 경우에만 결제 작업이 트리거될 때 그러하다. 따라서, 이네이블 스위치는 예를 들어 여행의 시작 시에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예측되는 모든 통행료 정산소에서 결제를 위해 이네이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네이블 스위치는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의 송신 영역 안으로 차량의 진입하기 직전,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장치에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전 3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 내에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결제 작업이 악용 및 변조에 대해 부가적으로 보호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대안으로, 이동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신호 수신 후에, 운영자는 이네이블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결제 작업을 승인하도록 촉구된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결제 작업이 악용 및 변조에 대해 부가적으로 보호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가진다.
물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발명에 따른 통행료 결제 시스템은 예를 들어 GNSS(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 기반의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육상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운송 수단, 특히 기차, 선박, 및 자동차에서의, 예를 들어 윈드실드, 리어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및/또는 루프 패널에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인 표현이고 실제 스케일이 아니다.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A-A'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b의 절단선 A-A'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료 결제 시스템 운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차량 안테나 페인(100)은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으로 구성되고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은 중간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 복합 페인으로 구현된 페인(1)을 포함한다. 차량 안테나 페인(100)은 예를 들어 승용차의 윈드쉴드이다.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치수는 예를 들어 0.9 m x 1.5 m이다.
도 1a의 평면도는 페인(1)의 외면(I), 즉 차량 외부에서 바라본 외측 페인의 외면(I)을 보여준다.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은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로 이루어진다. 내측 페인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mm이고, 외측 페인의 두께는 2.1 mm이다. 물론,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은 또한 동일한 두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간층은 열가소성 중간층이고 예를 들어 0.76 mm 두께를 가지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이루어진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을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을 부가적으로 도시한다.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은 또한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와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도 포함한다. 물론,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와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는 또한 공유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가지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와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는 예를 들어 도로 상의 통행료 비컨 상에 설치되고,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와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의 수신 및 송신 특성은 도로 상의 차량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는 제1 신호(S1)를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제1 신호(S1)는 예를 들어 통행료 정산소의 코드를 포함한다.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는 제4 신호(S4)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와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는 통행료 정산 시스템의 일부분이고, 적절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통과 제어 시스템 예를 들어 게이트(미도시)에 결합된다.
차량 안테나 페인(100)은 상부 영역에 제1 수신기(10)와 제1 송신기(11)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10)와 제1 송신기(11)는 공유 안테나를 갖는 장치로 구현된다. 제1 수신기(10)는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로부터 제1 신호(S1)를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제1 송신기(11)는 제4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제1 신호(S1)와 제4 신호(S4)는 근거리 무선 신호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5.8 GHz의 반송 주파수를 가지는 EN 12253에 따른 μwave 표준에 따른 DSRC 신호이다.
차량 안테나 페인(100)은 하부 영역에서 제2 수신기(20)와 제2 송신기(21)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수신기(20)와 제2 송신기(21)는 공유 안테나를 갖는 장치로 구현된다. 제2 수신기(20)는 이동 통신 장치(6)로부터 제3 신호(S3)를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제2 송신기(21)는 제2 신호(S2)를 이동 통신 장치(6)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제2 신호(S2)와 제3 신호(S3)는 근거리 무선 신호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13.56 MHz의 반송 주파수를 갖는 NFC 신호이다. 제2 수신기(20)와 제2 송신기(21)는, 예를 들어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하부 에지(U)로부터 25 cm의 최대 거리로 배치된다. 이것은 이동 통신 장치(6)가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의 대시보드 위 또는 안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NFC 신호의 제한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장치(6)는 NFC 신호용 송신 및 수신 유닛을 가진다. 물론, 이동 통신 장치(6)는 또한 다른 주파수 범위 및 송신 표준을 통해,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차량 안테나 페인(1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NFC를 통한 통신은 NFC 신호의 짧은 범위로 인해 이동 통신 장치(6)와 차량 안테나 페인(100) 사이에서의 통신을 변조하는 것을 대부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제 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악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 제2 송신기(2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 전도체(8)를 통해 신호 변환기(5)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신호 변환기(5)는 전기 전도성으로 전원(9)에 연결된다. 신호 변환기(5)는 제1 신호(S1)(여기서는, 5.8 GHz의 주파수를 갖는 DSRC 신호)를 제2 신호(S2)(여기서는, 13.56 MHz의 주파수를 갖는 NFC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 변환기(5)는 제3 신호(S3)(여기서는, 13.56 MHz의 주파수를 갖는 NFC 신호)를 제4 신호(S4)(여기서는, 5.8 GHz의 주파수를 갖는 DSRC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신호 변환기(5)는 통행료 정산소 운영자의 통행료 정산소 시스템과 차량 사용자의 이동 통신 장치(6)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및 1b에 따라 나타난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 제2 송신기(21)는 각각의 경우에 페인(1)의 내부에 적층, 즉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에 배치된다. 신호 변환기(5)는 예를 들어 페인(1)의 내면(IV)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카메라 커버, 통신 창의 커버, 또는 백미러에 의해 감춰진다. 전기 전도성으로 수신기(10, 20)를 송신기(11, 21)에 연결하는 신호 전도체(8)는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평평한 구리 전도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스트립 전도체(microstrip conductors)이다. 물론,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또는 제2 송신기(21) 또한 페인(1)의 내면(I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변환기(5)는 적절하게 평평한 디자인으로 페인(1) 안에 적층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A-A’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실질적으로 도 1a 및 1b의 형태 및 재료와 일치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오직 차이점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 제2 송신기(21)뿐만 아니라 신호 변환기(5)는 페인(1)의 하부 영역에서 페인(1)의 내면(IV) 상에 하나의 조립체로 전부 함께 배치된다. 이것은 신호 전도체(8), 수신기(10, 20), 송신기(11, 21) 및 신호 변환기(5)가 서로 연결되고, 근거리로 유지되거나 심지어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페인(1)은 이네이블 스위치(7)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이네이블 스위치(7)는 페인(1)에 통합된 정전식 터치 센서이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페인(1)의 내면(IV) 위 또는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에 삽입, 접착 또는 인쇄된 전도체 루프를 포함한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또한 예를 들어 주위의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부터 레이저 절제(laser ablation)에 의해 절연된 페인(1)의 전기 전도성 코팅의 영역일 수도 있다. 이네이블 스위치(7)는 신호 변환기(5)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 변환기(5)의 전자 장치는 이네이블 스위치(7)의 스위칭 신호를 예를 들어 "이네이블" 코드를 갖는 제2 신호(S2)로 변환하고 이동 통신 장치(6)로 전송되도록 구현된다. 이동 통신 장치(6)에서, 이네이블 스위치(7)가 켜졌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즉, "이네이블" 코드의 입력에 의해) 결제 작업이 트리거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료 시스템(300) 운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a) 단계에서, 제1 신호(S1)를 통행료 비컨의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에 의해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는 적절한 수신기에 송신기 존재를 알려주는 소위 "비컨"이라는 주기적인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신호(S1)는 예를 들어 통행료 정산소를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에서, 제1 신호(S1)를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1 수신기(10)에 의해 수신하고 예를 들어 신호 전도체(8)를 통해 신호 변환기(5)로 라우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을 갖는 차량이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의 송신 영역에 진입하면, 제1 수신기(10)는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에 의해 송신된 제1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신호(S1)를 신호 전도체(8)를 통해 신호 변환기(5)로 공급한다.
c) 단계에서, 제1 신호(S1)를 신호 변환기(5)에 의해 제2 신호(S2)로 변환하고 제2 송신기(21)로 라우팅된다. 상이한 주파수 범위, 통신 표준, 및 무선 신호의 범위가 서로 결합되었는지에 관하여 통행료 정산소와 이동 통신 장치(6)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제2 신호(S2)는 예를 들어 제1 신호(S1)의 코드를 포함하지만 상이한 반송 주파수를 사용한다.
d) 단계에서, 제2 신호(S2)를 제2 송신기(21)에 의해 송신하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6)에 의해 수신한다. 이동 통신 장치(6)는 예를 들어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신호(S2)의 주파수 범위와 통신 표준에 적합한 수신 유닛을 가진다. 또한, 이동 통신 장치(6)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간단히 "앱")의 형태로 적절한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가진다.
e) 단계에서, 결제 작업을 이동 통신 장치(6)의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하고,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결제 완료" 신호를 이동 통신 장치(6)에 의해 제3 신호(S3)로서 제2 수신기(20)에 송신한다. "결제 완료" 신호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장치(6)의 식별 및/또는 결제 작업의 긍정적인 완료를 포함하는 코드이다.
f) 단계에서, 제3 신호(S3)를 제2 수신기(20)에 의해 수신하고 신호 변환기(5)로 전달한다.
g) 단계에서, 제3 신호(S3)를 신호 변환기(5)에 의해 제4 신호(S4)로 변환하고 제1 송신기(11)로 전달한다. 제4 신호(S4)는 예를 들어 제3 신호(S3)의 코드를 포함하지만 상이한 반송 주파수를 사용한다.
h) 단계에서, 제4 신호(S4)를 제1 송신기(11)에 의해 송신한다.
i) 단계에서, 제4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에 의해 수신한다. 수신된 상기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2)에 의해 제4 신호(S4)를 평가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 공급한다. 제4 신호(S4)가 성공적인 결제 작업에 대한 코드("결제 완료" 신호)를 포함하면, 통행료 정산소를 통한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게이트를 올리거나 다른 적절한 배리어를 제거함으로써 통행료 정산소 통과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e) 단계에서 이네이블 스위치(7)가 미리 작동하였는지, 바람직하게는 이네이블 스위치(7)가 작동하였다면 e) 단계의 수행 전 300초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의 시간(t) 내에 이네이블 스위치(7)가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네이블 스위치(7)가 작동된 경우에만 결제 작업을 수행하고,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결제 완료" 신호를 제3 신호(S3)로서 송신한다.
1: 페인
5: 신호 변환기
6: 이동 통신 장치
7: 이네이블 스위치
8: 신호 전도체
9: 전원
10: 제1 수신기
11: 제1 송신기
20: 제2 수신기
21: 제2 송신기
30: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
31: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
100: 차량 안테나 페인
300: 통행료 결제 시스템
A-A': 절단선
S1: 제1 신호
S2: 제2 신호
S3: 제3 신호
S4: 제4 신호
U: 하부 에지
I: 페인(1)의 외면
IV: 페인(1)의 내면

Claims (15)

  1.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100)으로서,
    - 페인(1),
    -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로부터 제1 신호(S1)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기(10),
    - 제1 신호(S1)를 제2 신호(S2)로 변환하고 제3 신호(S3)를 제4 신호(S4)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기(5),
    - 제2 신호(S2)를 이동 통신 장치(6)로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기(21),
    - 이동 통신 장치(6)로부터 제3 신호(S3)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기(20),
    - 제4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로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기(11)를 포함하며,
    수신기(10, 20)와 송신기(11, 21)는 근거리 무선 신호(S1-S4)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설계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수신기(10)와 제1 송신기(11)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5.8 GHz용으로 지정된 EN 12253 또는 5.9 GHz 용으로 지정된 EN 302 571에 따른 μwave DSRC,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2.4 GHz, 5 GHz, 또는 60 GHz용으로 지정된 IEEE-802.11, 특히 바람직하게는 IEEE-802.11p에 따라 신호(S1, S4)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수신기(10)와 제2 송신기(11)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ISO/IEC 13157, ISO/IEC 16353, ISO/IEC 22536, 또는 ISO/IEC 28361에 따라,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스펙트럼에서 바람직하게는 2.4 GHz, 5 GHz, 또는 60 GHz용으로 지정된 IEEE-802.11에 따라, 또는 블루투스에서 바람직하게는 IEEE 802.15.1에 따라 신호(S2, S3)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변환기(5)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도체(8)에 의해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 제2 송신기(21)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인(1)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부를 분리하기 위한 복합 페인으로서,
    - 외면(III)과 내면(IV)을 갖는 내측 페인,
    - 외면(I)과 내면(II)을 갖는 외측 페인,
    - 외측 페인의 내면(II)을 내측 페인의 외면(III)에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수신기(10)는 외부로부터 페인(1)의 외면(I) 상에 도달하는 제1 신호(S1)를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제1 송신기(11)는 페인(1)으로부터 외부로 제4 신호(S4)를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제2 수신기(20)는 내부로부터 페인(1)의 내면(I) 상에 도달하는 제3 신호(S3)를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제2 송신기(21)는 페인(1)으로부터 내부로 제2 신호(S2)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제2 송신기(21), 및/또는 신호 변환기(5)는 내측 페인과 외측 페인 사이 또는 페인(1)의 내면(IV) 상에 배치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인(1)은 차량의 윈드실드이고, 제2 수신기(20) 및 제2 송신기(21)는 페인(1) 하부 에지의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페인(1)의 하부 에지(U)로부터 30 cm 이하의 거리에 배치되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수신기(10), 제1 송신기(11), 제2 수신기(20), 및/또는 제2 송신기(21)는
    - 인쇄되고 소성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 바람직하게는 은 함유 스크린 인쇄 페이스트 및/또는
    - 전기 전도성 포일, 바림직하게는 금속 포일 및 특히 구리, 은, 금 또는 알루미늄 포일, 및/또는
    - 무코팅(coating-free) 분리 영역, 특히 무코팅 분리 라인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 밖의 주위 층으로부터 절연되는 전기 전도성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 안테나 페인(100).
  10.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으로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
    - 제1 신호(S1)를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1 수신기(10)로 송신하는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
    -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1 송신기(11)에 의해 송신된 제4 신호(S4)를 수신하는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 및
    -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2 송신기(21)에 의해 송신된 제2 신호(S2)를 수신하고 제3 신호(S3)를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2 수신기(20)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장치(6)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장치(6)는 결제 작업이 수행되었을 때 "결제 완료" 신호를 제2 수신기(20)에 제3 신호(S3)로서 송신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
  11. 제10 항에 있어서,
    이네이블 스위치(enable switch)(7)가 신호 변환기(5)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이네이블 스위치(7)는 그의 작동 시 "이네이블" 신호를 제2 신호(S2)로서 송신하는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
  12. 통행료 결제 시스템(300)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a) 통행료 정산소 송신기(31)에 의해 제1 신호(S1)를 송신하고,
    b) 제1 신호(S1)를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제1 수신기(10)에 의해 수신하여 신호 변환기(5)로 라우팅하고,
    c) 제1 신호(S1)를 신호 변환기(5)에 의해 제2 신호(S2)로 변환하여 제2 송신기(21)로 라우팅하고;
    d) 제2 신호(S2)를 제2 송신기(21)에 의해 송신하고 이동 통신 장치(6)에 의해 수신하고,
    e) 결제 작업을 이동 통신 장치(6)의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하고, 결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동 통신 장치(6)에 의해 "결제 완료" 신호를 제3 신호(S3)로서 송신하고,
    f) 제3 신호(S3)를 제2 수신기(20)에 의해 수신하고 신호 변환기(5)로 전달하고,
    g) 제3 신호(S3)를 신호 변환기(5)에 의해 제4 신호(S4)로 변환하여 제1 송신기(11)로 전달하고,
    h) 제4 신호(S4)를 제1 송신기(11)에 의해 송신하고,
    i) 제4 신호(S4)를 통행료 정산소 수신기(30)에 의해 수신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추가의 j) 단계에서, 제4 신호(S4)가 "결제 완료" 신호인지 확인하고, 제4 신호(S4)가 "결제 완료" 신호인 경우 통행료 정산소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e) 단계에서, 이네이블 스위치(7)가 3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초 이하의 시간(t) 내에 동작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네이블 스위치(7)가 작동된 경우에만 결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안테나 페인(100)의, 육상, 항공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운송 수단, 특히 자동차에서의, 예를 들어 윈드실드, 리어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및/또는 루프 패널로서의 용도.
KR1020187013129A 2015-11-10 2016-11-09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 KR102032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3874 2015-11-10
EP15193874.3 2015-11-10
PCT/EP2016/077072 WO2017081052A1 (de) 2015-11-10 2016-11-09 Fahrzeugantennenscheibe oder fahrzeugscheibenantenne für ein mautbezahl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006A true KR20180069006A (ko) 2018-06-22
KR102032203B1 KR102032203B1 (ko) 2019-10-15

Family

ID=5453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129A KR102032203B1 (ko) 2015-11-10 2016-11-09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위한 차량 안테나 페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62468B2 (ko)
EP (1) EP3374972A1 (ko)
JP (1) JP6609044B2 (ko)
KR (1) KR102032203B1 (ko)
CN (1) CN108027988B (ko)
BR (1) BR112018001398A2 (ko)
CA (1) CA2993482A1 (ko)
DE (1) DE202016009078U1 (ko)
MX (1) MX2018005815A (ko)
RU (1) RU2703749C1 (ko)
WO (1) WO2017081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0704B (zh) * 2016-04-27 2021-10-08 Agc株式会社 窗构件及车辆用窗玻璃
DE102016220866A1 (de) * 2016-10-24 2018-04-26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anordnung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olchen Kommunikationsanordnung
WO2020048677A1 (de) * 2018-09-03 2020-03-12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scheibe mit einem transponder
KR20210052619A (ko) 2019-10-29 2021-05-1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결제 장치
CN111342222B (zh) * 2020-03-05 2023-01-03 安徽精卓光显技术有限责任公司 透明天线设备
CN111987445B (zh) * 2020-08-21 2023-12-0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天线玻璃及交通工具
CN111987444B (zh) * 2020-08-21 2023-12-0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天线玻璃及交通工具
CN112158056B (zh) * 2020-09-02 2023-06-20 安徽精卓光显技术有限责任公司 玻璃组件、车载obu组件、车辆及电子费用收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044A (ja) * 1993-01-21 1994-09-13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l アンテナ窓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36429A1 (en) * 2009-12-04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wireless payment authorization method
US20140316685A1 (en) * 2013-04-19 2014-10-23 Kapsch Trafficcom Ag Onboard-installation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3295A (en) * 1950-11-24 1952-10-07 Walter R Stone Rain-controlled switch for convertible top automobiles
FR2757151B1 (fr) 1996-12-12 1999-01-08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comprenant un substrat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pour la protection solaire et/ou l'isolation thermique
DE10138787A1 (de) * 2001-08-07 2003-05-15 Gerrit Roth Elektronische Parkscheibe
EP1913545A4 (en) * 2005-05-16 2010-07-2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CONTACTLESS PAY CARDS IN A TRANSIT SYSTEM
DE102005048351A1 (de) * 2005-10-10 2007-04-12 Robert Bosch Gmbh System zur infrastrukturgestützten Mauterhebung mit einer im Fahrzeug integrierten On-Board-Unit
DE102005055835A1 (de) 2005-11-23 2007-05-24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obilen Detektionseinheit (OBU) in Geltungsbereichen unterschiedlicher Mauterfassungssysteme
DE202008017611U1 (de) 2008-12-20 2010-04-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cheibenförmiges, transparentes, elektrisch beheizbares Verbundmaterial
TWI392174B (en) * 2009-10-09 2013-04-01 Outlet device and the method of connection
US8810462B2 (en) * 2010-01-13 2014-08-19 Origin Gps Ltd. Rigid elements embedded in a motor vehicle windshield
EP2444381A1 (de) 2010-10-19 2012-04-25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CN102682485B (zh) * 2011-03-14 2014-07-09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车载单元
EP2709051B1 (de) * 2012-09-17 2017-03-22 Kapsch TrafficCom AG Verfahren zum elektronischen Verarbeiten eines Verkehrsdelikts und Onboard-Unit hierfür
CN103714585B (zh) * 2013-12-20 2016-08-31 北京握奇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行驶记录功能的车载单元
CN104978593A (zh) * 2014-04-02 2015-10-14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支付方法和非接触ic卡
CN105023299A (zh) * 2014-04-28 2015-11-04 戴姆勒大中华区投资有限公司 联网车载支付系统和支付方法
CN104077815B (zh) * 2014-06-20 2017-12-12 黄立波 一种道路停车收费方法及其系统
CN204044890U (zh) * 2014-06-20 2014-12-24 黄立波 一种道路停车收费系统及车载付费终端
CN104680598A (zh) * 2015-02-05 2015-06-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电子收费系统及实现方法
CN204659596U (zh) * 2015-04-08 2015-09-23 白汝庆 不停车收费系统中的汽车后视镜一体式车载单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044A (ja) * 1993-01-21 1994-09-13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l アンテナ窓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36429A1 (en) * 2009-12-04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wireless payment authorization method
US20140316685A1 (en) * 2013-04-19 2014-10-23 Kapsch Trafficcom Ag Onboard-installation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1052A1 (de) 2017-05-18
CA2993482A1 (en) 2017-05-18
BR112018001398A2 (pt) 2018-09-11
EP3374972A1 (de) 2018-09-19
MX2018005815A (es) 2018-08-01
DE202016009078U1 (de) 2022-01-20
JP2018534678A (ja) 2018-11-22
CN108027988B (zh) 2021-06-18
RU2703749C1 (ru) 2019-10-22
JP6609044B2 (ja) 2019-11-20
KR102032203B1 (ko) 2019-10-15
US20180240284A1 (en) 2018-08-23
CN108027988A (zh) 2018-05-11
US10262468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044B2 (ja) 料金支払システムのための乗り物アンテナペイン
JP2018534678A5 (ko)
KR101972257B1 (ko) 차량 안테나 유리판
EP3450231B1 (en) Window member for vehicle or building
JP6456390B2 (ja) 高周波透過部を有する加熱可能なガラスパネル
CN107206754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RU2705015C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с сенсорной системой, передающ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с сенсорной системой
JP4423384B2 (ja) 透明シート、特にコーティングと放射窓とを備えた窓ガラス
CN112154064B (zh) 在内玻璃板中具有凹槽的复合玻璃板
US20130024169A1 (en) Moisture sensor and/or defogger with bayesian improvements, and related methods
EP3452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versal toll module
US9741179B2 (en) Onboard unit for a vehicular identification system
US10373731B1 (en) Systems with hidden signal paths
EP1698453A1 (en) Panel
JP2011520344A (ja) 保持ソケット付き車両用窓ガラス
CN109562603A (zh) 叠层式组件
US11726588B2 (en) Laminated glass pan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11791533B2 (en) Antenna pane
JP2022500899A (ja) トランスポンダーを有する乗り物ウィンドウ
WO1998016905A1 (en) A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vehicles
EP2872013A1 (en) Method of removing condensation from a refrigerator/freezer door
US20220223995A1 (en) Heatable vehicle window having a transponder
CN210983473U (zh) 一种etc电子标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