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43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433A
KR20180068433A KR1020160170096A KR20160170096A KR20180068433A KR 20180068433 A KR20180068433 A KR 20180068433A KR 1020160170096 A KR1020160170096 A KR 1020160170096A KR 20160170096 A KR20160170096 A KR 20160170096A KR 20180068433 A KR20180068433 A KR 2018006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frame
bezel portion
display
hollow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809B1 (ko
Inventor
안성진
김기홍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09B1/ko
Priority to PCT/KR2017/009232 priority patent/WO2018110795A1/ko
Priority to US16/468,580 priority patent/US10750624B2/en
Priority to EP17881309.3A priority patent/EP3544290B1/en
Publication of KR2018006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의 전면(前面)을 가리도록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Apparatus for Display and Frame Memb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외관을 장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에 관한 것이다.
TV 등의 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환경(집)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그 교체 주기가 긴 편이다. 그에 반해, 사용자의 환경은 인테리어, 이사 등으로 인하여 자주 변화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때 쉽게 실증 나지 않고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 무난한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스마트폰)는 미화, 충격 완화 또는 사용 편의성(예: 거치 편의성, 휴대 편의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에 장착되는 별도의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은 착탈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예: 실리콘)로 구성되었다. 이에, 종래의 탄성 재질의 프레임은 구현 비용이 높을 수 있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적어도 일부를 교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의 전면(前面)을 가리도록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부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는, 상기 베젤부의 전면(前面)을 가리도록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부재 각각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중공 영역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적어도 일부를 교체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면으로 구성되는 조각 프레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4면으로 구성되는 조각 프레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각 프레임의 결합 전/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모서리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 조각 프레임을 제1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 조각 프레임의 제2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의 결합 전, 제4 조각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가 결합된 제4 조각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부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부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 조각 프레임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에 사용자가 없는 때는 블랙 스크린 상태로 유지되다가, 주변에 사용자가 있으면 액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기능(예: 벽걸이 TV)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메인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그 외관에 의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베젤부(21_1~21_4) 및 프레임부(30_1~30_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부(21_1~21_4)는 바디부(20)의 테두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20)가 전면 하우징, 후면 하우징 및 베젤부(21_1~21_4)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베젤부(21_1~21_4)는 전면 하우징의 후면 하우징의 테두리에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20)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바디부(20)는 전면 하우징, 후면 하우징과 측면 하우징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젤부(21_1~21_4)는 바디부(20)의 측면 하우징에 덧붙여지는 형태로 바디부(20)의 측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부(21_1~21_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mg1)를 내장 또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부(20)가 총 4 측면을 포함하는 경우에, 베젤부(21_1~21_4)는 적어도 4개의 제1 부재(mg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부재(mg1)는 베젤부(21_1~21_4)의 각 측면(예: 21_1)의 길이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부(21_1~21_4)의 길이가 길수록 제1 부재(mg1)는 많은 개수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젤부(21_1~21_4)의 길이가 길수록 제1 부재(mg1)는 더 긴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mg1)는 자성체 예컨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제1 부재(mg1)는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1 금속(예: 철)일 수 도 있다. 도 1에서는 베젤부(21)의 각 측면(예: 21_1)에 각기 두 개의 제1 부재(mg1)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바디부(20)는 디스플레이 및 회로 구성요소를 내장 또는 구비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상기 회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바디부(20)는 복수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20)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전면 하우징, 전면 하우징과 마주하는 후면 하우징 및 베젤부(21_1~21_4)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에서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은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30_1~30_4)는 제1 부재(mg1)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부재(mg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0_1~30_4)는 제1 부재(mg1)와 제2 부재(mg2) 간의 인력에 의하여 베젤부(21_1~21_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재(mg2)는 자성체 또는 제1 금속일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부재(mg1, mg2) 중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 또는 제1 금속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부재(mg2)는 예를 들어, 프레임부(30_1~30_4)의 전체 영역 중에서 제1 부재(mg1)와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영역에 구비되어, 프레임부(30_1~30_4)가 베젤부(21_1~21_4)과 연접할 때 제1 및 제2 부재(mg1, mg2) 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프레임부(30_1~30_4)를 베젤부(21_1~21_4)에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30_1~30_4)는 베젤부(21_1~21_4)의 각 측면(예: 21_1)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30_1~30_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mg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내지 제3 조각 프레임(30_1~30_3)에는 각기 두 개의 제2 부재(mg2)가 구비되고, 제4 조각 프레임(30_4)에는 나사 부재(4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의 개수를 다양할 수 있지만,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프레임부(30_1~30_4)가 바디부(20)의 위쪽, 왼쪽, 오른쪽 및 아래쪽에 각기 고정되는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예: 30_1)은 제1 금속, 알루미늄 및 무늬목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부위별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의 제1 면(이하, 도 2 및 3의 30_s 참조)은 제1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그 외 면들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예: 30_1)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조각 프레임의 제1 면(30_s)은 제2 부재(mg2)가 내장되는 중공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각 프레임(예: 30_1)에 제2 부재(mg2)가 내장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30_1~30_4) 각각은 제1 및 제2 부재(mg1, mg2) 간의 인력 이외에도,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 및 모서리의 걸림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베젤부(21_1~21_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서리의 걸림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각 프레임(30_1~30_4) 중 적어도 하나(예: 30_4)는 나사 부재(40)에 의하여 베젤부(예: 21_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나사 부재(40)에 의한 조각 프레임(예: 30_4)의 고정 구조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정 부재 예컨대, 제1 및 제2 부재,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 모서리의 걸림 구조 및 나사 부재(40)에 의하여 프레임부(30_1~30_4)를 베젤부(21_1~21_4)에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공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손쉽게 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30_1~30_4)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구성될 수 있다. 조각 프레임(30_1~30_4)은 베젤부(21_1~21_4)를 가릴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미화함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30_1~30_4)은 소정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된 후 외면에 도포액(예: 페인트) 스프레이, 시트지 부착, 무늬용 패턴 식각 등이 적용됨에 따라 미화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착 가능한 프레임부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맞추어 프레임 컬러, 패턴 등을 용이하게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30_1~30_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되는 면의 구조와 크기는 거의 동일하겠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면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30_1~30_4)은 좀더 두껍게 구성될 수 있고, 외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30_1~30_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또는, 외곽)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를 다양한 크기, 형상 및 무늬로 구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 상의 편차 등으로 인하여 베젤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BM(black mount) 영역(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주변부)을 노출하는 경우에, 프레임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BM 영역을 가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자 기능을 수행할 때 좀더 액자처럼 보이도록 지원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환경 미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면으로 구성되는 조각 프레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4면으로 구성되는 조각 프레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조각 프레임의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3를 참조하면, 베젤부(예: 21_1~21_4) 각각은 바디부(20)의 네 테두리를 구성할 수 있다. 각 베젤부(예: 21_1)은 제1 내지 제4 면(21_s, 21_f, 21_l, 21_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21_1~21_4)의 제1 면은 바디부(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부의 제2 면(21_f)은 디스플레이(130)의 표시 방향으로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상기 베젤부(21_1~21_4)의 제3 면(21_l)은 베젤부의 제2 면(21_f)에 연접하면서 디스플레이(130)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상기 베젤부(21_1~21_4)의 제4 면(21_b)은 바디부(20)의 후면 테두리에 연접하여 형성된 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제1 내지 제3 면(30_s, 30_f, 30_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면(30_s, 30_f, 30_l)이 서로 연접하여 'ㄷ'자 형상(A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각 프레임(예: 30_1)이 베젤부(예: 21_1)에 고정되면, 조각 프레임(예: 30_1)의 각 면(30_s, 30_f, 30_l)은 베젤부(예: 21_1)의 각 면(21_s, 21_f, 21_l)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의 제1 면(30_s)은 베젤부의 제1 면(21_s)을 덮고, 조각 프레임의 제2 면(30_f)은 베젤부의 제2 면(21_f)을 덮고, 조각 프레임의 제3 면(30_l)은 베젤부의 제3 면(30_l)을 덮을 수 있다. 상기 'ㄷ'자 형상 구조로 인하여,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 방향에서 표시 방향의 역방향(도 2의 화살표 참조)으로 베젤부(예: 21_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각 프레임(예: 30_1)은 제4 면(31_b)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각 프레임(예: 30_1)의 제4 면(31_b)은 조각 프레임(예: 30_1)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베젤부(예: 21_1)에 결합하는 과정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예: 30_1)의 제4 면(31_b)는 베젤부(예: 21_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면(30_s)과 제4 면(31_b)의 내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벌어진 후 원상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각 프레임의 결합 전/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모서리의 정면도이다. 도 4에서는 조각 프레임의 모서리 영역의 걸림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 방향에 평행하는 면의 측면이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서리 영역(도 4의 B 참조)의 걸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모서리 영역의 걸림 구조에 의하여 다른 조각 프레임(예: 30_3)과 연접하여 서로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 조각 프레임(30_3)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른쪽 측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조각 프레임(30_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끼워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조각 프레임(30_1)은 베젤부(21_2)에 고정될 위치보다 약간 왼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시 방향에서 그 역방향으로 'ㄷ'자 형상 구조를 이용하여 끼워질 수 있다. 이어서, 제1 조각 프레임(30_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도 4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여 제3 조각 프레임(30_3)과 연접할 수 있다. 제1 조각 프레임(30_1)은 모서리 영역의 결합 구조(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조각 프레임(30_3)은 제2 조각 프레임(21_2)의 모서리와 맞물리는 구조(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조각 프레임(30_1)과 제3 조각 프레임(30_3)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4 조각 프레임(30_4)도 제1 조각 프레임(30_1)과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4 조각 프레임(30_1, 30_4)은 그에 연접하는 제2 및 제3 조각 프레임(30_2, 30_3)과 연접하는 모서리의 걸림 구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조각 프레임(30_2)도 제3 조각 프레임(30_3)과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의 결합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왼쪽과 오른쪽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조각 프레임(30_2, 30_3)은 그에 연접하는 제1 및 제4 조각 프레임(30_1, 30_4)의 모서리 걸림 구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모서리 영역의 걸림 구조로 인하여 모서리 영역이 날카롭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조각 프레임(예: 30_1)을 베젤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 조각 프레임을 제1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 조각 프레임의 제2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의 결합 전, 제4 조각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부재가 결합된 제4 조각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나사 부재를 이용한 결합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각 프레임(30_1~30_4)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제4 조각 프레임(30_4)은 제1 면에 개방 영역(C)을 포함하고, 개방 영역(C)에 의하여 베젤부의 제1 면(예: 21_s)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베젤부(21_1~21_4)의 제1 면(예: 21_s)은 스피커, 전원케이블 등과 같이 외부 노출이 필요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4 조각 프레임(30_4)은 개방 영역(C)에 의하여 제1 구성요소의 용이한 노출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각 프레임(30_1~30_4)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제4 조각 프레임(30_4)은 나사 부재(4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부 베젤부(21_4)와 결합될 수 있다. 나사 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해, 하부 베젤부(21_4)와 제4 조각 프레임(30_4)에는 각기 복수의 제1 홀(23)과 복수의 제2 홀(3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40)는 제4 조각 프레임(30_4)의 하부에서 하부 베젤부(21_4)의 내부 방향으로 끼워져, 제1 홀(23)과 제2 홀(33)을 관통한 후 하부 베젤부(21_4)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나사 부재(40)와 하부 베젤부(21_4) 중 적어도 하나는 조각 프레임(예: 30_1)과 하부 베젤부(21_4)와 결합한 나사 부재(40)를 하부 베젤부(21_4)의 내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나사 부재(40)가 제1 홀(23)과 제2 홀(33)을 관통할 때, 나사 부재(40)의 머리는 제4 조각 프레임(30_4)의 하부에 걸리고, 나사 부재의 돌기(예: 42)는 하부 베젤부(21_4)의 내면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나사 부재(40)는 머리와 돌기(예: 42)에 의하여 제1 및 제2 홀(23, 33)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부재(40)는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되되, 몸통의 끝단 가까이에 돌기(예: 42)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예: 42)는 나사 부재(40)의 머리의 반대쪽에 위치한 나사 부재(40)의 끝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나사 부재(40)의 몸통의 일 둘레에 형성되어, 일 둘레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예: 42)는 나사 부재(40)의 몸통의 일 둘레를 따라 이어져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돌기(예: 42)는 나사 부재(40)의 몸통의 일 둘레에 일 둘레에 수직하는 나사 부재(40)의 바깥 방향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칭 하는 두 개의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돌기(예: 42)의 위치는 나사 부재(40)의 머리와 나사 부재(40)의 돌기(예: 42)의 간격이 제1 홀(23)과 제2 홀(33)의 깊이 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홀(23, 33)과 나사 부재(40)의 접촉면은 나사 부재(40)가 용이하게 관통하면서도 용이하게 탈착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홀(23, 33) 중 적어도 한 홀의 직경은 나사 부재(40)의 몸통의 폭 이상이면서 돌기(예: 42)의 폭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40)는 제1 및 제2 홀(23, 33)을 관통한 후 돌기(예: 42)에 의하여 제1 및 제2 홀(23, 3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하부 베젤부(21_4)에서 나사 부재(40)의 접촉면 및 제4 조각 프레임(30_4)에서 나사 부재(40)의 접촉면은 연성 재질(예: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c 및 5d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조각 프레임(30_4)은 전체적으로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조각 프레임(30_4)이 연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돌기(예: 42)는 제2 홀(33)의 폭 이상이더라도 제2 홀(33)를 통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부 베젤부(21_4)에서 나사 부재(40)의 접촉면에는 탄성 부재(2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는 돌기(예: 42)가 통과하는 중에는 돌기(예: 42)에 의하여 제2 홀(33)의 바깥 방향으로 눌려짐에 따라 제1 홀(23)의 폭을 연장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는 나사 부재의 돌기(예: 42)가 통과하기 전 또는 나사 부재의 돌기(예: 42)과 통과한 이후에는 탄성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됨에 따라 제1 홀(23)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 부재(22)는 하부 베젤부(21_4)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눌려지는 힘 또는 제1 홀(23)의 외부 방향으로 눌려지는 힘이 가해질 때 제1 홀(23)의 폭을 연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돌기(예: 42)가 제1 및 제2 홀(23, 33)의 폭 이상이더라도 제1 및 제2 홀(23, 33)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고, 일단 제1 및 제2 홀(23, 33)을 관통한 이후에는 제1 및 제2 홀(23, 3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나사 부재(40)가 하부 베젤부(21_4)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나사 부재(40)는 좌 베젤부(21_2), 우 베젤부(21_3)와 상부 베젤부(21_1)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4 조각 프레임(30_4)이 나사 부재(40)를 이용하여 베젤부(21_4)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하지만, 제4 조각 프레임(30_4은 제1 부재(예: mg1)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부재(예: mg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부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부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 조각 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6a 내지 6c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부재의 내장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측면에서 베젤부(21_1~21_4)와 결합하는 하우징(h1) 및 제1 부재(mg1)와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우징(h1)의 중공 영역(g1)에 내장되는 제2 부재(mg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부(21_1~21_4)의 제1 부재(mg1)는 자성체이고, 조각 프레임(예: 30_1)의 제2 부재(mg2)는 제1 금속일 수 있다. 베젤부(21_1~21_4)의 제1 면들(예: 31_s)은 각기 복수의 자성체(mg1)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은 적어도 복수의 자성체(mg1)와 연접하거나, 마주하는 위치가 제1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각 프레임(예: 30_1)의 제1 면(30_s)들은 제1 금속으로 구성되고, 그 외 면들(30_l, 30_f, 30_b)은 제1 금속 또는 다른 재질(예: 알루미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은 복수의 자성체(mg1)가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의 제1 면(예: 31_s)의 제1 금속을 당기는 인력으로 인하여 베젤부(21_1~21_4)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에 복수의 자성체가 구비되고, 베젤부(21_1~21_4)가 제1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재(mg1)와 제2 부재(mg2)는 둘 다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mg1, mg2)는 서로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베젤부(21_1~21_4)와 프레임부(30_1~30_4)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부재(mg1, mg2)는 각기 베젤부(21_1~21_4)의 내부와 프레임부(30_1~30_4)의 내부에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서로 연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 자성체(mg1, mg2) 간의 인력으로 인하여 제1 내지 제4 조각 프레임(30_1~30_4)은 베젤부(21_1~21_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c 및 6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각 프레임(예: 30_1)은 내부에 중공 영역(g1)을 포함하고, 중공 영역(g1)에 제2 부재(mg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영역(g1)은 예컨대, 압출 공정에 의하여 조각 프레임(예: 30_1) 상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중공 영역(g1)은 조각 프레임(예: 30_1)의 길이를 따라 조각 프레임(예: 30_1)의 내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부재(mg2)는 베젤부(21_1~21_4)의 각 측면에 구비된 모든 제1 부재(mg1)에 대해 인력이 작용하도록 조각 프레임(예: 30_1)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부재(mg2)는 중공 영역(g1)에 대응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공 영역(g1)에 끼워짐에 따라 중공 영역(g1)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mg2)와 중공 영역(g1)의 크기는 베젤부(21_1~21_4)의 각 측면에 구비된 모든 제1 부재(mg1)와 연접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부재(mg2)는 각 조각 프레임(예: 30_1)이 장착되는 베젤부(21_1~21_4)의 측면에 구비된 제1 부재(mg1)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 제2 부재(mg2)는 조각 프레임(예: 30_1)에서 각 제1 부재(mg1)과 인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2 부재(mg2)는 바 부재(34)에 고정되어, 바 부재(34)를 통해 조각 프레임(예: 30_1)의 중공 영역(g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부재(34)는 중공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 부재(34)는 지정된 위치에 서로 지정 간격만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홈(g2)을 구비하고, 홈(g2) 상에 자성체 또는 제1 금속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바 부재(34)는 제1 금속 및 자성체를 제외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베젤부(21_1~21_4)와 조각 프레임(예: 30_1) 상에 복수의 제1 및 제2 부재(mg1, mg2)를 서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배치함에 따라 조각 프레임(예: 30_1)이 베젤부(21_1~21_4) 상에 다소 어긋나는 위치에 장착되더라도, 제1 및 제2 부재(mg1, mg2) 간의 인력에 의하여 올바른 자리를 찾아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의 전면(前面)을 가리도록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하나는, 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자성체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베젤부는, 제1 내지 제3 면을 포함하고,
    베젤부의 제1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형성되고,
    베젤부의 제2 면은, 상기 제1 면과 연접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젤부의 제3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면과 연접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은, 제1 내지 제 3면을 포함하고,
    조각 프레임의 제1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면을 덮고,
    조각 프레임의 제2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2 면을 덮으며,
    조각 프레임의 제3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3 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의 제1 내지 제3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내지 제3 면을 덮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에서 상기 표시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베젤부에 장착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에 평행하도록 형성된 면의 측면이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젤부와 결합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8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각 프레임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제1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각 프레임과 상기 베젤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홀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 부재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홀과 상기 나사 부재의 접촉면은,
    탄성 또는 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2 부재가 내장되는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중공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 영역에 끼워지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중공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바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바 부재가 상기 중공 영역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중공 영역에 내장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부와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베젤부의 전면(前面)을 가리도록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중공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부재 각각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중공 영역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14. 제13항에서,
    상기 베젤부는, 제1 내지 제3 면을 포함하고,
    베젤부의 제1 면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베젤부의 제2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면과 연접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젤부의 제3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면과 연접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조각 프레임 각각은,
    제1 내지 제3 면을 포함하고,
    조각 프레임의 제1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면을 덮고,
    조각 프레임의 제2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2 면을 덮으며,
    조각 프레임의 제3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3 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15. 제13항에서, 상기 조각 프레임 각각의 제1 내지 제3 면은,
    상기 베젤부의 제1 내지 제3 면을 덮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에서 상기 표시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베젤부에 장착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16. 제13항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중공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 영역에 끼워져 상기 중공 영역에 내장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17. 제13항에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중공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는 바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바 부재가 상기 중공 영역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중공 영역에 내장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18. 제13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향에 평행하도록 형성된 면의 측면이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19. 제13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젤부에 구비된 제1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홀을 관통하는 나사 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20. 제19항에서, 상기 제2 홀의 상기 나사 부재가 연접하는 면은,
    연성 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인 프레임 부재.
KR1020160170096A 2016-12-14 2016-12-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KR10224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96A KR102241809B1 (ko) 2016-12-14 2016-12-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PCT/KR2017/009232 WO2018110795A1 (ko) 2016-12-14 2017-08-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US16/468,580 US10750624B2 (en) 2016-12-14 2017-08-24 Display device and frame member
EP17881309.3A EP3544290B1 (en) 2016-12-14 2017-08-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96A KR102241809B1 (ko) 2016-12-14 2016-12-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433A true KR20180068433A (ko) 2018-06-22
KR102241809B1 KR102241809B1 (ko) 2021-04-19

Family

ID=6255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96A KR102241809B1 (ko) 2016-12-14 2016-12-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0624B2 (ko)
EP (1) EP3544290B1 (ko)
KR (1) KR102241809B1 (ko)
WO (1) WO2018110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4577A (zh) * 2020-12-24 2021-04-27 天津理工大学 一种人工智能导航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403A (ja) * 2011-12-27 2013-08-08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20150102617A (ko) * 2014-02-28 2015-09-07 (주)뉴옵틱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526B2 (en) 2001-03-28 2003-09-09 Rose Displays, Lt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20040063651A (ko) 2003-01-08 200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캐비넷
JP4081448B2 (ja) * 2004-01-14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GB0412092D0 (en) 2004-05-29 2004-06-30 Benn Alastair Flat screen television unit
US20090027583A1 (en) * 2007-07-27 2009-01-29 Mcbroom Michael David Magnetic-based visual display cover arrangement
KR20100085541A (ko)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에이티디에스 디지털액자
US20110089792A1 (en) * 2009-10-16 2011-04-2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housing
DE202009015698U1 (de) * 2009-12-04 2010-03-25 Loewe Opta Gmbh Befestigung eines Frontrahmens für Display-Geräte
KR101137510B1 (ko) * 2010-04-16 2012-04-20 주식회사 한성케이 마감패널 자석 고정바
US8988867B2 (en) * 2010-06-24 2015-03-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30081116A (ko)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BR112015009112B1 (pt) * 2012-10-29 2022-01-25 Sony Corporation Dispositivo de exibição
CN205103517U (zh) * 2015-11-13 2016-03-23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US20170139258A1 (en) * 2015-11-13 2017-05-18 Le Holdings (Beijing) Co., Ltd. Display device
CN105652495A (zh) * 2016-01-21 2016-06-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器框架和显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403A (ja) * 2011-12-27 2013-08-08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150015793A1 (en) * 2011-12-27 2015-01-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50102617A (ko) * 2014-02-28 2015-09-07 (주)뉴옵틱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4896A1 (en) 2020-03-12
EP3544290A4 (en) 2019-12-18
KR102241809B1 (ko) 2021-04-19
EP3544290A1 (en) 2019-09-25
WO2018110795A1 (ko) 2018-06-21
EP3544290B1 (en) 2022-01-05
US10750624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274B2 (en) Screen protection filter
WO2016183998A1 (zh) 移动终端显示结构及移动终端
KR20120079890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9130B1 (ko)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CN205157984U (zh) 一种全息成像系统
JP2014149820A (ja) 電子装置
KR101257036B1 (ko) 스탠드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TWM434969U (en) Protection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800684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레임 부재
JP5180352B2 (ja) 緩衝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機のケース
JP6168798B2 (ja) 表示装置
JP2008241949A (ja) 表示装置
CN105717731A (zh) 一种高增益3d弧形幕
US11366330B2 (en) Multi-use kaleidoscopes and related methods
TWI827568B (zh) 螢幕保護屏
KR101104218B1 (ko) 액자형 문양형성 문
CN107076988B (zh) 眼罩及具有该眼罩的头戴式电子装置
CN108664863A (zh) 基于编码图案的图像数据处理系统
TW201311099A (zh) 可攜式電子裝置
TWM463855U (zh) 電子產品之保護殼結構
JP2018180103A (ja) 表示装置
TWI697760B (zh) 手機固定殼及使用此手機固定殼的頭戴式顯示裝置
CN104202931A (zh) 一种电子设备及其装配方法
KR101546867B1 (ko)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TW200511386A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