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274A -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274A
KR20180068274A KR1020170085971A KR20170085971A KR20180068274A KR 20180068274 A KR20180068274 A KR 20180068274A KR 1020170085971 A KR1020170085971 A KR 1020170085971A KR 20170085971 A KR20170085971 A KR 20170085971A KR 20180068274 A KR20180068274 A KR 2018006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extract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학
이성규
강현
장석훈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씨엘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엘팜 filed Critical (주)씨엘팜
Publication of KR2018006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NFLAMMATORY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IXERIS DENTATA NAKAI and MELON MIXTURE EXTRACT}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씀바귀(Sowthistle)에는 많은 종이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은 Ixeris dentata NAKAI이고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야생초이다.
씀바귀에 관한 연구는 주요성분으로 수종의 휘발성 풍미성분과 알리파틱(aliphatics)과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enoids) 및 세르퀴테르펜 글리코사이드(sesquiterpene glycoside)등의 성분이 함유됨이 알려져 있으며, 씀바귀의 메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쥐에 대한 개선효과를 가지며 주성분으로는 Cynaroside (luteolin 7-O-β-D-Glucoside)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항돌연변이성과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와 씀바귀 뿌리 추출물의 약리활성 등이 보고되었다.
씀바귀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와 성인병의 예방 등의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에 비해 아직까지 화학 분석적 연구나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멜론의 주성분은 과장, 자당, 포도당 등의 당분으로, 당분은 흡수가 빠르고 즉각적인 에너지원이 되고, 식욕도 증진시킨다. 또한, 멜론에 포함된 구연산은 당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근육 피로의 원인인 젖산을 연소시켜 에너지로 바꾸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피로 회복에도 효과적이다.
멜론의 영양 성분으로 주목되는 성분은 γ-아미노부티르산(GABA)이다. 상기 GABA는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뇌의 흥분을 진정시키고 평상심 유지에 도움을 줌으로써 진정효과, 정신안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항스트레스 작용도 있으므로 스트레스에서 오는 다양한 증상의 완화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한편,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catalase(CAT),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S-transferase 등과 같이 인체 내에는 활성산소에 방어하는 항산화 효소를 가지고 있지만 산업화와 더불어 증가되는 각종 환경오염 물질, 흡연, 스트레스 등에 의해 인체 내의 항산화계의 역할만으로는 방어 체계가 초과되어 단백질 분해, DNA 손상 등이 유발된다.
따라서, 항산화제로 butylated hydroxyanisole(BHA)과 butylated hydroxytoluene(BHT)와 같은 합성물질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의 경우 다량을 섭취하면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천연으로부터 안전한 식이성 항산화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염증은 감염으로 인한 인체 조직손상을 막는 방어기전으로 발전, 발열, 통증과 같은 증상을 수반한다. 이러한 염증반응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신경퇴행성질환과 같은 각종 만성질환과 암 등을 발병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인체 내 면역반응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과 pro-inflammatory cytokine 등과 같은 염증매개물질 생성에 관여하고 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염증매개물질은 염증반응을 유도하며, 숙주의 면역반응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염증성 질환을 유발한다.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981호는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잠분 추출물은 헴 옥시게나제- 1과 시르투인-1의 발현을 증대시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981호
본 발명은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알코올 추출물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된 신경교세포에 처리하여 인 비트로에서 신경교세포에서 생산되는 일산화질소 농도를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BV-2 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 효소(iNOS) 및 일산화질소(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세포생존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생성 저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씀바귀 추출물, 멜론 추출물,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iNOS) 및 일산화질소(NO)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에탄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씀바귀 및 멜론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iNOS) 및 일산화질소(NO)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에탄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씀바귀 및 멜론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을 제외한 실험 대상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또는 항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간을 제외한 실험 대상은 치료, 관찰 대상인 포유동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학 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mL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제제화되어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기능화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제 형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석 식품으로 이용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알코올 추출물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된 신경교세포에 처리하여 인 비트로에서 신경교세포에서 생산되는 일산화질소 농도를 저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물의 유효량은 10 내지 100μg/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
씀바귀 및 멜론의 혼합 추출물은 씀바귀 분말에 대해 멜론의 중량 비율을 10%씩 증가시키면서 혼합하였으며, 혼합 비율별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에탄올 및 물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씀바귀 및 멜론 혼합물 100 g에 1L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72시간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물 이름 혼합 비율(중량%)
(씀바귀: 멜론)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WID EID 100:0
WML EML 0:100
WS1 ES1 90:10
WS2 ES2 80:20
WS3 ES3 70:30
WS4 ES4 60:40
WS5 ES5 50:50
WS6 ES6 40:60
WS7 ES7 30:70
WS8 ES8 20:80
WS9 ES9 10:90
WID: water extract of Ixeris dentata NAKAI,
EID: ethanol extract of Ixeris dentata NAKAI,
WML: water extract of Melon,
EML: ethanol extract of Melon,
WS: water extract of sample,
ES: ethanol extract of sample
실험예 1.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응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표 1에 기재된 혼합 추출물 1 mg을 증류수 1 mL에 녹이고 10배 희석한 희석액 2 mL에 2배 희석한 Folin 시약 2 mL을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3분간 방치한 후 10% Na2CO3 2 mL을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UVIKON 922, Kontron, Italy)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이 때 tann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gallic acid의 최종농도가 0, 5, 25, 50, 75 μg/mL 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씀바귀와 멜론의 함량을 달리하여 혼합 후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혼합 추출물 폴리페놀 함량
(mg/g)
혼합 추출물 폴리페놀 함량
(mg/g)
WID 77.64±4.26 EID 93.87±3.26
WML 84.72±5.66 EML 97.31±2.13
WS1 99.18±2.61 ES1 117.55±5.27
WS2 97.89±1.73 ES2 119.40±1.00
WS3 96.53±0.96 ES3 119.79±10.91
WS4 88.57±2.31 ES4 115.72±1.92
WS5 88.72±7.12 ES5 127.13±1.73
WS6 91.18±5.62 ES6 109.49±4.71
WS7 91.34±4.23 ES7 105.37±2.16
WS8 84.13±2.21 ES8 105.16±3.15
WS9 83.57±1.17 ES9 105.27±1.82
씀바귀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77.67 mg/g, 93.87 mg/g이었고, 멜론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84.72 mg/g, 97.31 mg/g으로 나타났다.
각 혼합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83.57 내지 99.18 mg/g의 함량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05.16 내지 127.13 mg/g의 함량을 보였다. 특히, 씀바귀와 멜론을 1:1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을 하였을 때(ES 5), 가장 높을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표 1에 기재된 혼합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 용액 30 μL와 에탄올에 용해한 60 μM DPPH 용액 30 μL를 각각 가하고, 상온에서 2분 동안 반응시켜 capillary tube에 옮긴 다음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JES-PX 2300, JEOL, Japan)로 측정하였다.
이 때 ESR spectrophotometer의 측정조건은 magnetic field의 경우 336.5±5 mT, microwave power의 경우 5 mW, modulation frequency의 경우 9.41 GHz이다. modulation 항산화 시료에 대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ESR signal intensity for medium containing the additives of concern/ESR signal intensity for the control medium) X100
상기 실시예 1의 표 1에 기재된 혼합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 ug/mL의 농도로 측정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혼합 추출물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 혼합 추출물 DPPH 라디컬 소거 활성 (%)
WID 41.14±0.23 EID 65.36±0.29
WML 45.92±1.55 EML 67.05±1.21
WS1 51.01±0.21 ES1 77.19±0.91
WS2 50.63±0.01 ES2 80.15±0.15
WS3 50.17±0.79 ES3 80.50±1.63
WS4 47.80±1.78 ES4 75.92±1.39
WS5 47.50±2.90 ES5 85.15±0.14
WS6 48.26±0.26 ES6 71.14±0.60
WS7 48.34±0.58 ES7 69.37±1.49
WS8 45.46±1.36 ES8 69.37±2.85
WS9 45.38±1.67 ES9 69.30±1.60
씀바귀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41.14%, 65.36%이었고, 멜론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45.92%, 67.05%로 나타났다.
각 혼합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41.14 내지 51.01%의 소거능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5.36 내지 85.15%의 소거능을 보였다. 특히, 폴리페놀 함량과 유사하게 씀바귀와 멜론을 1:1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을 하였을 때(ES 5),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실험예 3. 세포 생존율 측정
LPS로 자극된 BV-2세포에서 LPS(lipopolysaccharide) 및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ell biability를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1X105 cell/ml)세포를 96-well plate에 180 μL씩 분주하여 12시간 이상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시료를 각각의 조건에 따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0.5 mg/mL MTT가 함유되어 있는 배지 200 μL를 첨가한 다음 4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sulfoxide (DMSO) 100 μL 첨가하여 생성된 formazone결정을 용해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활성을 가지는 세포의 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씀바귀 및 멜론 추출물에 대한 세포내 독성 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인 ES5를 100, 200, 400, 6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도 1). 이는 염증 유도 물질인 LPS와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LPS로 활성화된 신경교세포에서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NO 생성저해 작용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염증 유발 인자인 LPS를 각 농도별로 자극된 신경교세포에서 생산되는 일산화질소(NO) 농도에 의존적으로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NO 측정은 24 well plate에 세포를 5 x 105cell/을 seeding 한 후, LPS와 추출물을 농도차를 두어 첨가 한 후, 24시간 동안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각각 50 μL씩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0.1% N-(1-naphth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2.5% H3PO4)와 반응 시킨 후, 파장이 540nm인 Sunrise basic 96-well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인 ES5의 경우 400, 600 ug/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NO 소거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씀바귀와 멜론 혼합 추출물이 신경염증을 억제하는데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험예 5.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측정
콜린성 뉴런(neuron)의 손상으로 대뇌피질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함량을 급격하게 낮추어 주게 되며 이것은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서 기억력 손상의 주요한 결과 중의 하나이다. 아세틸콜린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 AChE) 억제제의 사용은 콜린성 뉴런을 활성화하여 알츠하이머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측정을 Ellman 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효소는 일정량씩 분주하여, -80℃ 하에서 보관하였으며, 최종 농도는 0.03 unit의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기질은 0.1 M의 sodiumphosphate buffer(pH 8.0)에 녹인 1000 μM의 acetylcholine iodide를 사용하였으며, 발색 시약은 39.6 mg의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DTNB)와 15 mg 의 sodium bicarbonate를 0.1 M의 sodiumphosphate buffer (pH 7.0) 10 ml 에 녹여 제조하였다.
효소 반응은 다음과 같이 전개하였다. 2 ml의 sodiumphosphate buffer(pH 8.0)에 200 μl의 DTNB 용액과 100 μl의 효소 (0.03 U) 를 가한 뒤 37에서 10 분간 preincubation을 하고, 기질 200 μl 를 가해 3 분간 반응 후 흡광도 (412 n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씀바귀 추출물(EID) 및 멜론 추출물(EML) 보다 씀바귀 및 멜론의 혼합 추출물(ES5)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Claims (13)

  1.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 및 일산화질소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씀바귀 및 멜론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젤리, 캔디, 껌 또는 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 및 일산화질소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10.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1.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12.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알코올 추출물을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자극된 신경교세포에 처리하여 인 비트로에서 신경교세포에서 생산되는 일산화질소 농도를 저해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의 유효량은 10 내지 100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085971A 2016-12-13 2017-07-06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8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69619 2016-12-13
KR1020160169619 2016-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74A true KR20180068274A (ko) 2018-06-21

Family

ID=6280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71A KR20180068274A (ko) 2016-12-13 2017-07-06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2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981A (ko) 2010-07-29 2012-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981A (ko) 2010-07-29 2012-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ini et al. Traditional uses, bioactive composition,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Phyllanthus emblica fruits: A comprehensive review
Fahmy et al. Pomegranate juice as a functional food: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polyphenols, therapeutic merits, and recent patents
Arora et al. Nutritional significance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The wonder plant
Baliga et al. Phytochemistry and medicinal uses of the bael fruit (Aegle marmelos Correa): A concise review
Perera et al. Perspectives on geraniin, a multifunctional natural bioactive compound
Masoodi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fruit Aristotelia chilensis (Maqui) for modern health: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Srinivasa et al.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seed: promising source of nutraceutical
KR20180106103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0896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25289A (ko) 대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ehta et 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innamomum tamala Nees & Eberm. and Medical Implication: A Review
KR20180075763A (ko)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Hassan et al. Irvingia gabonensis baill.(African Mango):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ethnopharmacological significance, unveiling its long-standing history and therapeutic potential
Lal et al. Traditional, medicinal and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 Longan
Handayani et al. Kecombrang (Etlingera elatior) Leaves Ethanol Extract Effect to Lens and Erythrocyte Aldose Reductase Activity in Wistar strain white rats (Rattus norvegicus) Streptozotocin induced
KR20180106105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8274A (ko) 씀바귀 및 멜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eiris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Salacia reticulata: Botanical, Ethnomedicin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Insights
KR20180106104A (ko) 유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180109156A (ko)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m et al. Phyllanthus emblica
Innih et al. Effects of tetracarpidium conophorum on iron overload‐induced cardiac toxicity in Wistar rats
KR20180109297A (ko) 복분자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1614A (ko) 생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