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911A -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911A
KR20180067911A KR1020160169343A KR20160169343A KR20180067911A KR 20180067911 A KR20180067911 A KR 20180067911A KR 1020160169343 A KR1020160169343 A KR 1020160169343A KR 20160169343 A KR20160169343 A KR 20160169343A KR 20180067911 A KR20180067911 A KR 2018006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eck plate
steel pipe
hollow portion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796B1 (ko
Inventor
정경수
김응수
최인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7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은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주가 굴곡진 몸체;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유출입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유출입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또는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출입형 강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STEEL PIPE AND FLOOR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MAE}
본 발명은 유체출입형 강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철근콘크리트 바닥을 형성하는 작업은 크게 철근을 배근하는 것, 그 철근 주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 이를 양생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바닥 형성 작업은 강철의 특성과 콘크리트 특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건축물의 내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어 여러가지 방식으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바닥구조체인 슬래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강판을 구부려 데크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 데크플레이트에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있다. 데크플레이트는 구부리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주로 사다리꼴형, T형, 트러스 형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는 구조재와 거푸집으로 사용되며, 슬래브의 내구성, 내진성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슬래브의 내구성, 내진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근 등의 보강부재를 데크플레이트에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보강부재를 설치하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즉,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체적을 감소시키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슬래브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양이 줄어듦으로써 발생하는 내력손실에 따른 구조적 보완이 수행된다.
내력손실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통상 데크플레이트 내부에 강관을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에는 데크플레이트와 강관을 배치하는 문제, 작업의 효율성 문제, 이를 시공하는 작업자의 작업 편리성 및 안전성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KR 10-2016-0077421 A (2016.07.04)
본 발명은 시공 및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 강관 및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와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내구성, 내화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강관 및 바닥구조체를 얻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출입형 강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은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주가 굴곡진 몸체;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유출입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유출입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또는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단일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는 마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개수단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차단마개; 및 상기 차단마개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차단마개를 상기 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강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출입수단은, 내부에 유체 이동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유체이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이동관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유체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제1유체이동관;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유체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제2유체이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입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의 중공부는 상기 유출입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외주에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의 유체출입형 강관;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부력방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에서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대면하게 놓이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제1평면부;와, 상기 제1평면부와 높이차를 갖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2평면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은, 상기 경사부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기 제2평면부에 구비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방지유닛은, 상기 고정핀과 상기 몸체의 외주를 감아 상기 몸체를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구조체 시공방법은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의 상기 몸체의 외주에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을 용접하는 강관용접단계;와,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을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강관설치단계;와, 상기 부력방지유닛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강관고정단계;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 및 바닥구조체의 내구성, 내화성 등의 물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향상되며, 현장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와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 시공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먼저, 도 1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100)은 중공부(111)를 구비하고, 외주가 굴곡진 몸체(110) 및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유출입수단(120)을 포함한다.
몸체(110)가 중공부(111)를 구비하면 내부가 빈 공간이 되므로 강관의 무게가 감소되어 운반, 설치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몸체(110)의 외주가 굴곡지게 구비되면 중공부(111)로 인해 손실될 수 있는 구조적 내력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110)의 외주가 굴곡지게 구비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강관의 외주를 밟고 이동하는 작업자가 미끄러지거나,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몸체(110)의 외주가 굴곡지게 구비되면 추후 강관의 외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몸체(110)의 외주와 접촉할 때 미끄러짐 저항이 증가되어 콘크리트가 몸체(110)의 외주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닥구조체의 구조적인 내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출입형 강관(100)은 일측이 중공부(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유출입수단(12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유출입수단(120)은 내부가 빈 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내부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되어 몸체(110)의 중공부(111)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몸체(110)의 중공부(111)로부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유출입수단(120)은 플렉서블 관(flexible pipe)으로 구비되어 강관(100) 내부로 유체를 용이하게 유입하거나, 강관(100) 내부로부터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중공부(111)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출입수단(120)의 타측 즉,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측에는 덮개, 마개, 캡(미도시)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덮개, 마개, 캡 등은 필요에 다라 유출입수단(120)을 개방하여 중공부(111)에 존재하는 유체를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 콘크리트 타설 이전, 타설 시까지는 중공부(111)에 유체를 넣어두고 덮개, 마개, 캡 등으로 유출입수단(120)을 폐쇄하였다가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이후 덮개, 마개, 캡 등을 유출입수단(120)으로부터 제거 또는 분리하여 중공부(111) 내부의 유체를 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 도중에 화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중공부(111)에 수용된 유체를 사용하여 화재 진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몸체(110)의 중공부(111)에 수용되는 유체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몸체(110)의 중공부(111)에 수용되는 유체로는 물이 될 수 있다.
몸체(110)의 외주는 굴곡이 지게 구비되는데 돌출부(112)와, 상기 돌출부(112)보다 몸체(110)의 중심방향으로 보다 가까이 배치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3)에 의해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단일 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돌출부(112)와 오목부(113)를 가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께가 얇은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단일 판은 강판일 수 있다.
이처럼, 몸체(110)가 두께가 얇은 단일 판으로 구비되면 무게가 가벼워져 시공 및 작업의 편의성은 향상되면서도 돌출부(112)와 오목부(113)를 형성함으로써 내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110)가 얇은 판으로 구비되는 경우, 몸체(110)의 양단부에 마개수단(130)을 추가할 수 있다. 마개수단(130)은 몸체(110)의 외주에 결합되는 뚜껑과 같은 것으로서, 몸체(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차단마개(131), 몸체(1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차단마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차단마개(131,132)가 몸체(110)에 결합되면 몸체(110)의 중공부(111)는 외부와 연결해제되어 중공부(111) 내부의 유체가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제1,2차단마개(131,132)가 몸체(110)와 결합해제되면 몸체(110)의 중공부(111)는 외부와 연결되어 중공부(111) 내부의 유체가 몸체(110)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1,2차단마개(131,132)는 몸체(11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1,2차단마개(131,132)에 따르면 몸체(110)의 양단부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더하여 제1,2차단마개(131,132)의 외주에 보강밴드(133)를 구비하면 제1,2차단마개(131,132)와 몸체(110)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제1,2차단마개(131,132)를 몸체(110) 상에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밴드(133)는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2에는 몸체(110)가 단일 판으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몸체(110)의 내력을 보강하기 위한 굴곡진 부분은 몸체(110) 외주에 결합되는 돌기유닛(115)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돌기유닛(115)은 몸체(110)의 외주에서 상기 몸체(110)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며, 용접 등에 의해 몸체(110)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및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도 3에서 보이듯이,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포함하는 바닥구조체(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200)는 데크플레이트(210), 상기 데크플레이트(210)의 내부공간(210a)에 구비되는 트러스형 철근부(211),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의 몸체(110) 외주에 연결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210)에 대면하게 놓이는 지지용 래티스철근(220)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110)를 고정하는 부력방지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210)에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시공할 때, 유체출입형 강관(100)의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이 데크플레이트(210)와 대면하도록 상기 몸체기 데크플레이트(210) 내부에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은 유체출입형 강관(100)의 몸체(도 2의 110)에 용접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은 복수개의 래티스철근(22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부력에 의해 몸체(도 2의 110)가 떠오르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210)의 철근부(211)에 부력방지유닛(230)을 설치할 수 있다.
부력방지유닛(230)은 래티스철근(231)으로 구비되어 데크플레이트(210)의 내부공간(210a)에서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강관이 떠오르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필요에 따라 몸체(110)를 지지용 래티스철근(22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 지지용 래티스철근(220)과 몸체(110)의 결합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부력방지유닛(230)은 래티스철근 이외의 적절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도 4에는 일측에 T형 구조물을 갖는 T형 데크플레이트(21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210)의 내부공간(210a)에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부력방지유닛(230)인 래티스철근(231)의 일측을 T형 구조물(212)에 감고, 타측은 몸체(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한 뒤, 그 단부를 다른 T형 구조물(212)에 감아 고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에도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은 데크플레이트(210)와 대면하게 놓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5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10)에 제1평면부(213)와 상기 제1평면부(213)와 높이차를 갖는 제2평면부(215), 상기 제1평면부(213)와 상기 제2평면부(215)를 연결하는 경사부(214)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오목한 홈(216)을 형성하는 골형 데크플레이트(210)의 내부공간(210a)에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시공하는 경우에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의 일측은 경사부(214)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오목한 홈(216)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부력을 방지하는 부력방지유닛(230)인 래티스철근(231)을 시공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210)의 경사부(214)에는 고정핀(217)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핀(217)은 각각의 제1평면부(213) 마다 설치되어 유체출입형 강관(100)의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시에 유체출입형 강관(100)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티스철근(231)을 상기 고정핀(217)에 고정함으로써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200)는 도 6에서 보이듯이 콘크리트(C)가 타설되었을 때, 유출입수단(120)의 일측이 데크플레이트(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면,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에도 중공부(111)에 존재하는 유체(F)를 중공부(11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또 반대로 중공부(111) 내부로 유체(F)를 유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몸체(11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이격용 래티스철근(221)을 몸체(110)의 상부에 하나 더 추가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실시예를 참고하여 적절한 래티스철근(221)의 개수를 채택하여 유체출입형 강관(100)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이듯이 유체출입형 강관(100)의 4방에 이격용 래티스철근(221)을 추가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도 8에서 보이듯이,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은 유체출입형 강관의 몸체(110)의 외주에 굴곡지게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출입형 강관의 몸체(110)가 데크플레이트(210) 내부에 배치될 때, 상기 데크플레이트(210)와 대면하게 놓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유체출입용 강관(100)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하는 통로와 유체출입용 강관(100)의 내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통로를 구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유출입수단(120)은 몸체(110) 일측에 구비되고, 몸체(110) 내부의 중공부(도 6의 111)와 연결되며, 일단부가 데크플레이트(210)의 외부로 돌출되되, 돌출된 일단부에는 전술한 덮개, 마개, 캡(미도시)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1유체이동관(121)과, 제1유체이동관(121)과 동일하게 구비되되 몸체(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유체이동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유체이동관(121)을 유체의 유입구로 사용하고, 제2유체이동관(122)을 유체의 배출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강관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 유체를 배출하는 제2유체이동관(122)에는 흡입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유체를 강관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유체이동관(121), 제2유체이동관(122) 이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유체이동관이 적용될 수도 있고, 유체이동관이 설치되는 위치는 몸체(110)의 상부, 하부가 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다수개의 몸체(110)가 데크플레이트(2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몸체(110)에 구비된 유체이동관끼리 연결하면, 여러 개의 몸체(110)의 중공부(111)가 연결되어 유체가 여러 개의 몸체(110)의 중공부(111)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9에서 보이듯이,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의 상기 몸체(110)의 외주에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220)을 용접하는 강관용접단계(S310)와,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을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강관설치단계(S320)와, 상기 부력방지유닛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210)에 상기 몸체(110)를 고정하는 강관고정단계(S330)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S340)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의 몸체 외주에 지지용 래티스철근을 용접한 뒤, 이 유체출입형 강관을 데크플레이트 내부 공간에 놓을 수 있다. 이때, 지지용 래티스철근은 데크플레이트의 내벽과 대면하거나 또는 접촉하게 놓일 수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는 시공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방지유닛을 통해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을 데크플레이트 상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유체출입형 강관이 데크플레이트 내부에서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현장에서 시공이 용이한 바닥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유체출입형 강관 110 : 몸체
111 : 중공부 120 : 유출입수단
130 : 마개수단 131 : 제1차단마개
132 : 제2차단마개 133 : 보강밴드
200 : 바닥구조체 210 : 데크플레이트
220 : 지지용 래티스철근 221 : 래티스철근
230 : 부력방지유닛 231 : 래티스철근

Claims (12)

  1. 중공부를 구비하고, 외주가 굴곡진 몸체; 및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유출입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에는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유출입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 또는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되게 구비되는 유체출입형 강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일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하는 마개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수단은,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차단마개; 및
    상기 차단마개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차단마개를 상기 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강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수단은,
    내부에 유체 이동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유체이동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관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유체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제1유체이동관;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유체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제2유체이동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입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의 중공부는 상기 유출입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에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출입형 강관.
  9.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제8항의 유체출입형 강관;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부력방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은,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에서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대면하게 놓이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제1평면부;
    상기 제1평면부와 높이차를 갖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2평면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평면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은,
    상기 경사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기 제2평면부에 구비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부력방지유닛은,
    상기 고정핀과 상기 몸체의 외주를 감아 상기 몸체를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12. 제9항의 바닥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의 상기 몸체의 외주에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을 용접하는 강관용접단계;
    상기 지지용 래티스철근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상기 유체출입형 강관을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위치시키는 강관설치단계;
    상기 부력방지유닛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에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강관고정단계;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160169343A 2016-12-13 2016-12-13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0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43A KR101908796B1 (ko) 2016-12-13 2016-12-13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43A KR101908796B1 (ko) 2016-12-13 2016-12-13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11A true KR20180067911A (ko) 2018-06-21
KR101908796B1 KR101908796B1 (ko) 2018-10-16

Family

ID=6280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43A KR101908796B1 (ko) 2016-12-13 2016-12-13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780A (ko) * 2022-01-05 2023-07-12 최영철 합성보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414A (ja) * 1994-11-22 1996-06-04 Kurimoto Ltd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工法および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
JPH09310440A (ja) * 1996-05-20 1997-12-02 Marui Sangyo Kk 中空スラブ用ボイド管支持方法
JP2001107499A (ja) * 1999-08-03 2001-04-17 Daiwa House Ind Co Ltd 中空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00057995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2방향 중공슬래브에 의한 슬림플로어구조
KR20160077421A (ko)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합금 도금강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4414A (ja) * 1994-11-22 1996-06-04 Kurimoto Ltd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工法および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
JPH09310440A (ja) * 1996-05-20 1997-12-02 Marui Sangyo Kk 中空スラブ用ボイド管支持方法
JP2001107499A (ja) * 1999-08-03 2001-04-17 Daiwa House Ind Co Ltd 中空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00057995A (ko) * 2008-11-24 2010-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2방향 중공슬래브에 의한 슬림플로어구조
KR20160077421A (ko)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합금 도금강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780A (ko) * 2022-01-05 2023-07-12 최영철 합성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796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05437B (zh) 装配式混凝土结构的梁板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109320B1 (ko)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1519086B1 (ko) 프리캐스트 t형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교량 시공방법
KR101908796B1 (ko)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4761B1 (ko) 내부중공재의 부력을 방지하는 부력방지부재를 구비한 강합성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920198B1 (ko) 콘크리트 충전형 맨홀 시공용 강박스
KR101229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77092B1 (ko) 조립식 정화조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1761779B1 (ko)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KR101936597B1 (ko)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 및 콘크리트 충전 타입 강관을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KR102022544B1 (ko) 맨홀 인버트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버트 시공방법
KR101301073B1 (ko) 긴장재를 이용한 부벽식 개거수로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19286A (ko) 단부다이아프램을 구비한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KR100926713B1 (ko)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 맨홀, 그를 위한 슬래브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900679B1 (ko) 부식방지 복합맨홀
KR20070055758A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2019736B1 (ko) 중공강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0810425B1 (ko) 측면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JP4060248B2 (ja) 地中構造体
KR20110093325A (ko) 파형강판 구조물
KR102031416B1 (ko) 매트슬래브
KR100954154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JP3684536B2 (ja) 地中連続壁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