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282A -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282A
KR20180067282A KR1020160168823A KR20160168823A KR20180067282A KR 20180067282 A KR20180067282 A KR 20180067282A KR 1020160168823 A KR1020160168823 A KR 1020160168823A KR 20160168823 A KR20160168823 A KR 20160168823A KR 20180067282 A KR20180067282 A KR 2018006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chongmyoungtang
lips
oil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종
Original Assignee
(주)코스메틱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메틱벤처스 filed Critical (주)코스메틱벤처스
Priority to KR102016016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282A/ko
Publication of KR2018006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쉐어 버터(shea butter), 망고씨 버터, 스윗아몬드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및 석류씨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물질, 비즈 왁스(bees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또는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고형화 물질, 및 백복령(Poris cocos),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석창포(Acorus gramineus) 추출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립스틱, 립밤 등의 입술 보호용 외용제에 총명탕의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단순히 입술 외용제를 입술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함은 물론, 입술 상부로 휘산되는 상기 총명탕에 포함된 약리 성분을 자연스럽게 코로 흡입하여 향기 요법에 의해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나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매우 편리하게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Lip External Composition Cpmprising Chongmyungtang Component}
본 발명은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입술 보호용 외용제에 머리를 맑게 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기능성 물질로 혼합함으로써 단순히 입술 보호용 외용제를 입술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총명탕에 포함된 약리 성분의 휘산에 의한 향기 요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맑게 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총명탕은 백복령(Poris cocos),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석창포(Acorus gramineus) 등을 포함하는 한방 처방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총명탕에 대해 "잘 잊어버리는 것을 치료하고 오랫동안 먹으면 능히 하루에 천가지 말을 외우게 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심신의 안정을 통해 마음을 안정되고 평안하게 해줌으로써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키고 뇌의 활성화를 도와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총명탕은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치매 환자나 건망증 환자들에 대한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입증되었기 때문에, 최근에는 주로 수험생이나 건망증이 심한 일반인들의 학습 및 기억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널리 처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총명탕은 탕약의 형태이므로 휴대하기 간편하지 않고, 복용시 마다 적절히 데워서 먹어야 하는 등 복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지속적인 복용이 편리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 1] 등에는 상기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휴대와 복용이 상대적으로 편리한 고형의 양갱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하기 [문헌 1]의 경우에도 양갱의 부피로 인하여 여전히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독서실, 회의실과 같이 음식물의 음용이나 취식이 제한되는 공간이나 외부 이동 중에는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섭취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7244호(2013. 5. 3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험생이나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매우 편리하게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립스틱, 립밤 등의 입술 보호용 외용제에 총명탕의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단순히 입술 외용제를 입술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함은 물론, 입술 상부로 휘산되는 상기 총명탕에 포함된 약리 성분을 자연스럽게 코로 흡입하여 향기 요법에 의해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쉐어 버터(shea butter), 망고씨 버터, 스윗아몬드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및 석류씨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물질, 비즈 왁스(bees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또는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고형화 물질, 및 백복령, 원지, 및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을 상온에서 휘산시키기 위한 휘발성 용제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은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 이소도데칸(Isododec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형화 물질은 2 내지 15 중량부, 상기 기능성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립스틱, 립밤 등의 입술 보호용 외용제에 총명탕의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단순히 입술 외용제를 입술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함은 물론, 입술 상부로 휘산되는 상기 총명탕에 포함된 약리 성분을 자연스럽게 코로 흡입하여 향기 요법에 의해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나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매우 편리하게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총명탕의 주요 효능 중 심신을 안정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는 효능이 총명탕의 주재료 중 하나인 석창포의 방향 성분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사용자가 입술 외용제를 입술에 바를 경우 상기 방향 성분 등이 상부로 휘산될 때 향기 요법에 의하여 사용자가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코로 자연스럽게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입술 외용제에 총명탕의 주요 성분을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입술 외용제의 주된 용제로서 기능하는 베이스 물질, 상기 입술 외용제를 립스틱이나 립밤 형태로 제조할 때 고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형화 물질, 및 총명탕의 주 성분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물질은 쉐어 버터(shea butter), 망고씨 버터, 스윗아몬드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또는 석류씨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쉐어 버터는 아프리카에서 자라는 쉐어 트리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약노란색 색상의 지방산 추출물로서 천연 식물성 보습용 버터이며, 거칠고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촉촉한 피부로 만들어 주는 보습효과, 손상된 피부 상처를 재생하는 피부 재생효과, 및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주름이나 처짐을 방지하는 노화 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망고씨 버터는 망고열매의 씨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보습용 버터로서 피부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 윤기를 더해주고 각질과 같은 건조한 피부를 유연하게 하여 깔끔한 피부결을 유지시키며, 거친 피부를 진정시켜 촉촉하고 탱탱한 피부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윗아몬드 오일은 스윗아몬드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오일로 비타민 A,D,E와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인산, 올레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상기 올레산의 함량(약 70~80%의 함량)이 풍부하며 피부 컨디셔닝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침투력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안티 염증 성분과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가려움증, 염증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있어 건성 피부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메도우폼씨 오일(Meadowfoam seed oil)은 메도우폼의 씨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오일로 피부 표면에서의 윤활 작용이 우수하고 건조한 피부에서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천연 토코페롤과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산화방지에 효과가 있으며, 건조한 피부에 수분 방지막을 형성하는 피부 코팅효과로 인하여 수분과 유효성분의 증발을 막아 건조함을 예방하고 각질 진정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로즈힙열매 오일은 로즈힙의 빨간 열매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오일로 비타민 B,C,E 및 리놀레산, 리놀렌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 성분이 지친 피부에 생기를 불어주어 가볍고 매끄러운 질감으로 피부결을 부드럽고 윤택하게 해 주고 피부에 활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미네랄과 항산화성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주름 방지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있으며, 피부세포 재생능력이 있어 다량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생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피부 상처의 흉터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은 해바라기의 씨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오일로 거친 피부를 부드럽게 완화시켜 주고 강한 외부 스트레스에도 피부 보습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포의 구성성분인 레시틴과 비타민 A,E를 함유하고 있어 노화예방에도 효과적이며,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므로 수분 증발을 방지하여 피부 보습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석류씨 오일은 석류의 씨에서 추출한 노란색의 천연 식물성 오일로 에스트로겐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미네랄과 비타민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데, 피부의 표피성장을 활성화하여 표피재생을 도우고 피부에 영양과 활력을 부여하고 윤기와 탄력을 유지시키는 콜라겐 흡수를 도와 피부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 자극성이 적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푸니크산(punicic acid)이라는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피부 보습 유지에도 도움을 주며, 피부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에 대한 보호 능력을 가져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함으로써 생기 있는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형화 물질은 입술외용제를 스틱형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고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비즈 왁스(bees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또는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즈 왁스는 벌집에서 가열압착법·용제추출법 등에 의해 채취하는 동물성 고체랍으로 밀랍이라고도 하며, 주성분은 멜리실알코올의 팔미트산 에스터와 세로트산이고, 이 밖에 여러 가지 지방산·알코올 및 고급탄화수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녹는점이 62~63℃ 수준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고형화되기 때문에 상기 입술외용제를 고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칸델릴라 왁스는 북부 멕시코와 남서부 미국에서 나는 칸델릴라 나무의 잎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성 왁스로 녹는점이 73~77℃ 수준이라 상온에서 엷은 노란색∼황갈색의 덩어리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입술외용제에 광택성과 경직성을 부여하여 고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구성성분은 탄화수소 50%, 고분자량 에스테르 20~29%, 산류 7~9%, 수지 12~14%의 수준이다.
또한, 상기 카바우나 왁스는 브라질 납(Wax)야자(Palm) 나무에서 채취하는 천연 식물성 왁스로 녹는점이 82~87℃ 수준으로 상온에서 덩어리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입술외용제에 광택성과 경직성을 부여하여 고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총명탕의 주된 재료인 백복령(Poris cocos),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및 석창포(Acorus gramineus)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약리 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약리 성분의 추출은 일예로서 한방에서 약용식물의 제약기술인 포제 가공과 상기 포제 가공된 약재를 에탈올 용매를 이용하여 약리 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열수 추출법,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 공지된 유효 성분 추출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포제 가공 기술과 에탄올 용매를 이용한 약리 성분 추출 또는 기타 유효 성분 추출 기술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유효성분 추출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백복령(Poris cocos)은 20년 이상 된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구멍쟁이 버섯과의 버섯일종으로, 상기 백복령 중에서 특히 내부에 소나무 뿌리가 있는 경우를 백복신이라 한다.
이러한 백복령에는 다당류인 베타 파키만(β-pachyman)이 무게의 약 93%나 들어 있고, 트리터펜(triterpenes)류 화합물인 파킴산(pachymic acid), 투물로스산(tumulosic acid), 3-β-hydroxylanosta-7,9(11),24-trien-21-oil acid가 들어 있으며, 칼륨,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에르고스테롤이 들어있다.
또한,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이 있어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는데, 정신을 안정시켜 주고, 항스트레스 작용을 하며, 심장을 보해서 놀람, 성냄, 두려움 등을 진정시켜 주는 작용을 해주고 마음 또한 편온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는 폐경, 비경, 심경, 신경, 방광경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원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성분인 테누게닌(tenuigenin)A,B, onjisaponin A,B,E,F,G, 폴리가리톨(polygalytol), 테누이딘(tenuid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원지는 독성이 없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얄려져 있는데, 한방에서는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혼란된 정신을 진정시키며, 담을 제거하여 정신을 맑게 하여 심신불안, 수면장애, 건망증, 가슴 떨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역대 본초서에는 상기 원지의 효능이 안신개규, 녕심안신, 진심, 양심, 거담리규, 화담지해, 소산옹종, 소종해독, 교통심신, 강지익정, 익지, 총이명목 등이며, 주치는 심신불안, 실면다몽. 미혹건망, 경계불매, 신지황홀, 해담불상, 창양종독, 유방종통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석창포(Acorus gramineus)는 천남성과 식물인 석창포의 뿌리로서 따뜻한 성질이고 독성이 없으며,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한방에서는 습기를 제거하여 위장기능을 돕고, 담을 제거하여 기의 통로를 열고, 정신을 맑게 하며 정신의 기능을 북돋아 인체의 맑은 기운의 상승을 돕게 되므로 정신이 혼미하거나, 머리가 맑지 않고, 기억력이 저하되거나, 치매 등의 증상에 효과가 있고, 진정작용, 기억력 증가, 심혈관 질환 예방, 항암, 중풍치료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서도 석창포는 건망증과 뇌병치료에 약효가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에 수록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석창포 추출액은 치매를 억제하고 뇌신경 재생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이러한 석창포에는 아사론(asaron), 칼라메온(calameone), 에우게놀(eugenol) 등 방향성 정유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전분, acotin, tannin, vitamin C, alkanoid,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휴물렌(a-humulene), 세키손(sekishone), 아미노산, 유기산 및 당류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데, 특히 상기 방향성 정유물질에 포함된 알파-아사론(α-asarone), 베타-아사론(β-asarone), 오이게놀(eugenol) 등의 향기 성분이 진정작용과 함께 뇌신경에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총명탕의 여러 가지 약리 작용 중 심신의 진정작용과 뇌신경에 대한 약리 작용을 가지는 성분의 일부가 상기 석창포에 포함된 방향성 정유물질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코의 점막을 통해 뇌에 상기 약리 성분을 전달하는 이른바 향기 요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술한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코 아래에 있는 입술에 바르는 입술외용제에 포함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향기 요법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상술한 기능성 물질(즉, 총명탕의 약리 성분)들이 상온에서 더욱 활발하게 휘산될 수 있도록 휘발성 용제 물질을 더 포함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로서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 이소도데칸(Isododec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들 휘발성 용제 물질들은 입술외용제를 입술에 바를 경우 입술 보호를 위한 유효성분(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 물질)의 발림성을 좋게 하고 바른 후에는 즉시 휘발됨으로써 끈적임이나 유효성분이 외부에 묻어 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휘발시에는 입술외용제에 포함된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외부로 휘산시키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의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의 경우 색상 발현을 위한 색소 물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색소 물질이 천연 식물성 색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의 경우 상기 베이스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형화 물질은 2 내지 15 중량부, 상기 기능성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형화 물질은 제작되는 입술외용제의 형태에 따라 배합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스틱형의 고상으로 입술외용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배합비를 높게 설정하고 고점성 유체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배합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고형화 물질의 경우 상술한 고형화 물질은 상기 배합비를 초과할 경우 입술외용제가 과도한 점성과 경직성을 가지게 되어 제품의 발림성을 저해하게 되고, 상기 배합비 미만일 경우 제품의 점성과 경직성이 낮아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고 입술에 바를 경우 제품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의 경우 상기 배합비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액상의 비율이 과도하게 되어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고 입술에 바를 경우 제품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배합비 미만일 경우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휘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은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립스틱, 립밤 등의 입술 보호용 외용제에 총명탕의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단순히 입술 외용제를 입술에 바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함은 물론, 입술 상부로 휘산되는 상기 총명탕에 포함된 약리 성분을 자연스럽게 코로 흡입하여 향기 요법에 의해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생이나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매우 편리하게 총명탕의 약리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쉐어 버터(shea butter), 망고씨 버터, 스윗아몬드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및 석류씨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물질;
    비즈 왁스(bees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또는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고형화 물질; 및
    백복령(Poria cocos), 원지(Polygala tenuifolia root), 및 석창포(Acorus gramineus) 추출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을 상온에서 휘산시키기 위한 휘발성 용제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은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 이소도데칸(Isododec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형화 물질은 2 내지 15 중량부, 상기 기능성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 상기 휘발성 용제 물질은 5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KR1020160168823A 2016-12-12 2016-12-12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KR20180067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23A KR20180067282A (ko) 2016-12-12 2016-12-12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23A KR20180067282A (ko) 2016-12-12 2016-12-12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82A true KR20180067282A (ko) 2018-06-20

Family

ID=6276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823A KR20180067282A (ko) 2016-12-12 2016-12-12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2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4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816390A (zh) 一种角质调理型美白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9363971A (zh) 一种可食用的今生传奇变色千变口红及其制备方法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5062722A (zh) 一种含桑椹及衍生品的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20100107826A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6908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CN103040713B (zh) 一种防治脂溢性脱发、头痒的中药洗发膏
CN104027399A (zh) 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50147415A1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TW200948374A (en) Skin circulation-improving agent and skin temperature-elevating agent
Schiller et al. The aromatherapy encyclopedia: a concise guide to over 385 plant oils
CN104922051A (zh) 一种缓解眼角皱纹眼袋的中药眼霜及其制备方法
ES2702761T3 (es) Agente de elevación de la temperatura cutánea y composición cosmética, producto alimentario y diversos artículos que contienen dicho agente de elevación de la temperatura cutánea
KR101604109B1 (ko) 야외활동용 천연화장료조성물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CN106309167A (zh) 一种保健花香润唇膏及其制备方法
CN108938510A (zh) 一种滋养型面膜液的制备方法
KR20180067282A (ko) 총명탕 성분을 포함하는 입술외용제 조성물
KR20180094258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입술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80091256A (ko)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Sirsat et al. A review on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cold cream
JP5302526B2 (ja) ヨモギ精油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