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087A - 램프소켓 - Google Patents

램프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087A
KR20180067087A KR1020160168466A KR20160168466A KR20180067087A KR 20180067087 A KR20180067087 A KR 20180067087A KR 1020160168466 A KR1020160168466 A KR 1020160168466A KR 20160168466 A KR20160168466 A KR 20160168466A KR 20180067087 A KR20180067087 A KR 2018006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amp
insulating case
termin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223B1 (ko
Inventor
조정열
Original Assignee
(주)룩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룩서스 filed Critical (주)룩서스
Priority to KR102016016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2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일단이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하여 전원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램프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케이싱(100)과;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쌍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부품을 감싸는 절연케이스(2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전원을 안내하는 통전브라켓(300)과;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일단에 접하여 전선의 전원이 통전브라켓(300)으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통전단자(4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단자(400)를 보호하는 캡(500)과; 상기 캡(5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6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의 양단 조립이 용이하고 고정이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램프소켓{Lamp Socket}
본 발명은 램프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일단이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하여 전원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램프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socket)은 전구나 형광등 그리고 진공관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를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소켓은 전구를 고정하기 위한 경우와 형광등을 고정하기 위한 경우와 같이 고정하는 램프 또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구와 일반적인 형광등의 소켓은 단지 램프의 일단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램프를 고정하는 것이므로, 램프의 끝단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특허번호 제10-11773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경우에는 램프의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게 되므로, 램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램프 고정이 견고하게 가능한 소켓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 제10-1177387호 실용신안등록 제20-043298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관형 무전극 램프와 같이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램프의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램프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케이싱(100)과;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쌍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부품을 감싸는 절연케이스(2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전원을 안내하는 통전브라켓(300)과;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일단에 접하며, 외부의 전원이 통전브라켓(300)으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통전단자(4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단자(400)를 보호하는 캡(500)과; 상기 캡(5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브라켓(300)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바디부(310)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전단자(400)와 접하는 접촉부(320)와; 상기 바디부(310)와 접촉부(32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접촉부(320)를 통해 유입되는 전원이 바디부(310)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외부케이싱(100) 및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캡(50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212,232)와 돌기홈(110)이 형성되어 원터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500)에는, 상기 통전단자(400)가 수용되는 단자안착부(510)와, 전선이 통과하는 삽입홈(5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600)에는, 상기 삽입홈(520)에 수용되며, 전선이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밀착하는 지지돌기(6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절연케이스가 구비되고, 이러한 절연케이스의 외부에는 원통 형상의 외부케이싱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중앙부분보다 외경이 큰 램프의 양단을 한 쌍의 절연케이스 사이에 수용한 상태로 외부케이싱에 삽입하게 되면, 램프 양단이 소켓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램프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연케이스와 외부케이싱 그리고, 절연케이스와 캡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원터치에 의해 절연케이스와 외부케이싱 및 캡이 결합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캡에는 통전단자가 수용되는 단자안착부 및 전선이 통과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에는 삽입홈에 수용되어 전선이 캡에 고정되도록 밀착하는 지지돌기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전선의 고정이 용이하고 단자의 연결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상세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상세 구성을 보인 상방 및 하방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은 직관형 무전극 램프와 같이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램프의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도시(도 3 참조)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의 발광부(12)가 양단의 전극부(14)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램프(lamp, 10)의 양단을 고정하여 램프(10)가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전원을 램프에 공급가능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케이싱(100)과,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측에 쌍으로 구비되어 내부의 부품을 감싸는 절연케이스(2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전원을 안내하는 통전브라켓(300)과,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일단에 접하여 전선의 전원이 통전브라켓(300)으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통전단자(4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단자(400)를 보호하는 캡(500)과, 상기 캡(5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케이싱(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케이싱(100)의 좌측단에는 한 쌍의 돌기홈(110)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1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돌기(212,232)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돌기(212,232)의 머리부(232')와 대응되는 머리홈(112)과, 아래에서 설명할 목부(232")와 대응되는 통과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케이스(200)는,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쌍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부품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절연케이스(200)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접촉면에는 핀(pin)이 삽입되는 핀홀(202)이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홀(202)에 핀(pin) 각각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면, 한 쌍의 절연케이스(20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절연케이스(200)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절연케이스(200) 좌측단은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조립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절연케이스(200) 좌측단은 외부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지지단(210)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210)은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좌측단이 접촉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단(210)의 외경은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경보다는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단(210)이 외부케이싱(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지지단(210)의 좌측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오목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220)는 내부에 수용되는 램프(10)가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목부(22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램프홀(250)의 내경은 램프(10)의 발광부(12) 외경보다는 크고, 램프(10)의 전극부(14)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단에는 결합단(23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230)은 상기 캡(500)이 씌워져 결합되는 부분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단(230)은 상기 절연케이스(200)이 중앙 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체결돌기(212,232)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지지단(210)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좌측돌기(212)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돌기(232)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돌기(212)는 상기 외부케이싱(100)에 형성되는 돌기홈(110)에 수용되는 부분이며, 상기 우측돌기(232)는 상기 캡(500)의 돌기홈(11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체결돌기(212,232)는, 우측 화살표 형상을 가지는 머리부(232')와, 상기 머리부(232')의 좌측에 형성되어 머리부(232')가 상기 지지단(210)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목부(232")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부(232")의 폭(도 1에서는 상하 길이)은 상기 머리부(232')의 폭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도 1에서는 상하 길이)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12,232)가 상기 돌기홈(1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다음에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이러한 체결돌기(212,232)가 돌기홈(1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돌기(212,232)가 돌기홈(1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부(232")가 탄성에 의해 벌어져 체결돌기(212,232)의 머리부(232')가 돌기홈(110)의 머리홈(112)에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싱(100)과 절연케이스(20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체결돌기(212,232)가 돌기홈(1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외부케이싱(100)과 절연케이스(200)의 형상을 찌그러지게 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통전브라켓(300)은 우측 외부의 전원을 상기 램프(10)의 전극부(14)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통전브라켓(300)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선(L)과 램프(10)가 서로 통전되도록 전원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통전브라켓(300)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바디부(310)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전단자(400)와 접하는 접촉부(320)와, 상기 바디부(310)와 접촉부(32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접촉부(320)를 통해 유입되는 전원이 바디부(310)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램프(10)의 전극부(14)에 접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전단자(400)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부(320)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접촉부(320)가 서로 멀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부(320)로 유입된 전원이 상기 바디부(310)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접촉부(320)와 바디부(31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안내부(330)의 좌측단은 상기 바디부(310)의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330)의 우측단은 상기 한 쌍의 접촉부(320)의 좌측단과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통전단자(400)는 전선(L)과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접촉부(320)가 수용되어 탄성에 의해 접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단자(400)는 좌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우측단에는 전선(L)이 결합된다. 그리고 개구된 좌측을 통해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접촉부(320)가 삽입되어 내면에 접하게 된다.
물론, 상기 통전단자(400)는 전선(L)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우측단은 전선(L)과 통전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320) 우측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접촉부(320)가 탄성에 의해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면에 지속적으로 접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500)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단자(4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우측을 차폐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캡(500)의 좌측단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돌기(232)가 끼워지는 돌기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캡(500)도 상기에서 설명한 절연케이스(200)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우측돌기(232)가 상기 캡(500)의 돌기홈(110)에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외부케이싱(100) 및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캡(50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212,232)와 돌기홈(110)이 형성되어 원터치 결합된다. 즉,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외부케이싱(100) 및 캡(500)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단에서 상기 외부케이싱(100)와 캡(500)을 밀착시키면 절연케이스(200)에 외부케이싱(100)과 캡(500)이 각각 원터치로 겹합된다.
한편, 상기 캡(500)에는, 상기 통전단자(400)가 수용되는 단자안착부(510)와, 전선이 통과하는 삽입홈(5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부(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5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캡(500)의 내부에는 좌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단자안착부(510)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자안착부(510)에 상기 통전단자(400)가 수용된다.
상기 삽입홈(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500)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전선(L)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자안착부(510)에도 전선(L)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홈(5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브라켓(600)의 지지돌기(610)도 수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600)은, 상기 캡(5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전선(L)이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밀착하는 지지돌기(61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600)의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돌기(610)에 밀려 전선(L)이 상기 캡(5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610)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홈(612)이 더 형성된다. 즉, 반원 형상의 전선홈(612)이 좌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전선(L)의 좌측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조립 및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각각의 부품이 분리된 상태에서 후방(도 2a에서)측의 절연케이스(200) 내부에 상기 통전브라켓(300)을 안착시킨 다음, 통전브라켓(300)의 안쪽에 상기 램프(10)의 전극부(14)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우측단에는 통전단자(400)와 고정브라켓(600)을 결합시킨 후, 우측으로부터 상기 외부케이싱(100)을 접근시킨다. 상기 외부케이싱(100)이 상기 절연케이스(200)에 점차 근접하면, 상기 좌측돌기(212)가 외부케이싱(100)의 돌기홈(110)에 삽입되어 절연케이스(200)와 외부케이싱(1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는 상기 통전단자(400)에 전선(L)을 고정시키고, 우측으로부터 상기 캡(500)을 접근시키면 상기 캡(500)이 절연케이스(200)의 우측단에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어 램프 소켓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케이스(200)에 체결돌기(212,232)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100)과 캡(500)에 각각 돌기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절연케이스(200)에 돌기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100)과 캡(500)에 각각 체결돌기(212,23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소켓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통전단자(400)는 다수의 램프가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가상하여 직선 형태의 전선에 연결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통전단자(400)가 통상의 형광등(내부전극 타입)과 같이 기존의 형광등케이스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는 상기 통전단자(400)에 전선(L)이 결합되지 않으며, 우측단에는 한 쌍의 단자돌기(4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자돌기(402)는 일반 형광등(내부전극 타입)의 단자돌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형광등이 체결되는 일반적인 형광등브라켓에도 체결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돌기(402)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캡(500)을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단자돌기(402)는 상기 캡(500)을 관통하여 우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통상의 형광등(내부전극 타입) 좌우 양단과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이다.
100. 외부케이싱 110. 돌기홈
200. 절연케이스 210. 지지단
220. 오목부 230. 결합단
300. 통전브라켓 310. 바디부
320. 접촉부 330. 연결부
400. 통전단자 500. 캡
510. 단자안착부 520. 삽입홈
600. 고정브라켓 610. 지지돌기
L. 전선

Claims (5)

  1.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케이싱(100)과;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쌍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부품을 감싸는 절연케이스(2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선과 램프가 통전되도록 전원을 안내하는 통전브라켓(300)과;
    상기 통전브라켓(300)의 일단에 접하며, 외부의 전원이 통전브라켓(300)으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통전단자(400)와;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일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통전단자(400)를 보호하는 캡(500)과;
    상기 캡(5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전단자(400)가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브라켓(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브라켓(300)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바디부(310)와;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전단자(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전단자(400)와 접하는 접촉부(320)와;
    상기 바디부(310)와 접촉부(32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접촉부(320)를 통해 유입되는 전원이 바디부(310)로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외부케이싱(100) 및 상기 절연케이스(200)와 캡(50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212,232)와 돌기홈(110)이 형성되어 원터치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캡(500)에는,
    상기 통전단자(400)가 수용되는 단자안착부(510)와, 전선이 통과하는 삽입홈(5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600)에는,
    상기 삽입홈(520)에 수용되며, 전선이 상기 캡(500)에 고정되도록 밀착하는 지지돌기(6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소켓.
KR1020160168466A 2016-12-12 2016-12-12 램프소켓 KR10187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66A KR101877223B1 (ko) 2016-12-12 2016-12-12 램프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66A KR101877223B1 (ko) 2016-12-12 2016-12-12 램프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87A true KR20180067087A (ko) 2018-06-20
KR101877223B1 KR101877223B1 (ko) 2018-07-12

Family

ID=6276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466A KR101877223B1 (ko) 2016-12-12 2016-12-12 램프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337A (zh) * 2018-09-19 2019-01-18 广州惠博照明有限公司 一种led灯串及其组装方法
CN110043853A (zh) * 2019-06-04 2019-07-23 上犹县嘉亿灯饰制品有限公司 插接花朵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87Y1 (ko) 2006-09-20 2006-12-07 금산전자 주식회사 장식용 램프소켓 구조체
KR101177387B1 (ko) 2011-03-03 2012-08-30 조정열 듀얼형 외부 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01B1 (ko) * 2003-03-25 2005-02-02 주식회사 플라즈마램프 전극모듈을 갖는 외부 전극형 방전관 및 전극모듈을이용한 외부 전극형 방전관의 전극 형성방법
KR20060125434A (ko) * 2005-06-02 2006-12-06 조정열 금속 소켓, 절연 및 방수 소켓, 전선 가이드 및 이를조합한 외부전극 형광 램프용 소켓
JP2008258125A (ja) * 2007-04-04 2008-10-23 Tachibana Denki Kk 小形電球用ソケット及び小形電球用ソケットの取付け装置
US7611376B2 (en) * 2007-11-20 2009-11-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D socket
CN204268354U (zh) * 2014-06-24 2015-04-15 李晓锋 模拟真火发光的灯泡
KR20160064698A (ko) * 2014-11-28 2016-06-08 장상욱 퍼즐형 연결 멀티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87Y1 (ko) 2006-09-20 2006-12-07 금산전자 주식회사 장식용 램프소켓 구조체
KR101177387B1 (ko) 2011-03-03 2012-08-30 조정열 듀얼형 외부 전극 형광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337A (zh) * 2018-09-19 2019-01-18 广州惠博照明有限公司 一种led灯串及其组装方法
CN110043853A (zh) * 2019-06-04 2019-07-23 上犹县嘉亿灯饰制品有限公司 插接花朵灯
CN110043853B (zh) * 2019-06-04 2024-05-14 上犹县嘉亿灯饰制品有限公司 插接花朵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223B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05055A1 (fr) Dispositif emetteur de lumiere, dispositif de douille et dispositif d'eclairage
JP2017033760A (ja) 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101877223B1 (ko) 램프소켓
US8698382B2 (en) Socket and luminaire
JP2003263917A (ja) 照明器具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TW201734361A (zh) 電燈及具有複數個連接器之電燈插座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JP5769034B2 (ja) 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080088880A (ko) 전구 소켓
KR101651480B1 (ko) 라인 타입 조명기기용 커넥터 유닛
CN218442187U (zh) 一种线条灯及灯具组合
CN214478165U (zh) 磁吸式灯具连接器及灯具
KR101652870B1 (ko)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CN214580953U (zh) 连接开关及灯具
CN212961016U (zh) Led灯具及其连接件
CN211176671U (zh) 一种灯具
CN214198207U (zh) 一种具有插脚保护结构的led灯
KR200272061Y1 (ko) 작업등
KR200469297Y1 (ko) 바형 엘이디 램프
CN213930525U (zh) 拼接组件及其拼接线条灯
KR101634537B1 (ko) 다중 벌브용 홀더
KR200388774Y1 (ko) 분리형 삼파장램프의 접속구조
JP2008235215A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