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022A -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022A
KR20180067022A KR1020160168280A KR20160168280A KR20180067022A KR 20180067022 A KR20180067022 A KR 20180067022A KR 1020160168280 A KR1020160168280 A KR 1020160168280A KR 20160168280 A KR20160168280 A KR 20160168280A KR 20180067022 A KR20180067022 A KR 2018006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ter
cigarette
pump
cigarett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266B1 (ko
Inventor
명 섭 엄
Original Assignee
명 섭 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섭 엄 filed Critical 명 섭 엄
Priority to KR102016016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2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며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 및 냄새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는 하부에 케이스 배출구(125)가 형성되고, 일 측에 흡입구(114)가 형성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흡입구(114)와 케이스 배출구(125)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110)의 케이스 배출구(125)와 결합되는 펌프 유입구(137)가 몸체(131)에 형성되고, 몸체(131) 내부에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하는 팬(134)이 설치되며, 몸체(131) 일 측에 토출구(132)가 형성된 펌프(130);로 구성됨으로써, 흡입구(114)로 유입된 담배연기가 케이스(110)의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펌프(130)의 토출구(13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Portable cigarette smoke cleans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하며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 및 냄새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흡연시에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 때문에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에게 간접피해를 주기 때문에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의 끊임없는 충돌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이 사무실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피우지 못하고, 흡연장소로 지정된 후미진 곳으로 이동하여 흡연을 하고 있다.
심지어 이러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장소뿐 아니라, 개인 집에서조차 담배를 피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택은 각 가정의 환기통이 메인 환기통에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집안의 화장실 등에서 담배를 피우면 담배연기와 냄새가 환기통을 타고 다른 가정에까지 퍼져 민원이 발생한다.
또한, 실내뿐 아니라 베란다에서 담배를 피워도 담배연기가 윗층 세대의 베란다와 창문으로 유입되므로 이 또한 민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055호,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1979호, "연기와 냄새 제거 필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밀폐된 곳에서 흡연하더라도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와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인접한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는 하부에 케이스 배출구(125)가 형성되고, 일 측에 흡입구(114)가 형성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흡입구(114)와 케이스 배출구(125)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110)의 케이스 배출구(125)와 결합되는 펌프 유입구(137)가 몸체(131)에 형성되고, 몸체(131) 내부에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하는 팬(134)이 설치되며, 몸체(131) 일 측에 토출구(132)가 형성된 펌프(130);로 구성됨으로써, 흡입구(114)로 유입된 담배연기가 케이스(110)의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펌프(130)의 토출구(13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로 분할 구성되고, 체결수단(113)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부로부터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 및 니코틴필터(121)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필터(117)는 금속 소재로 다공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14)에는 평판 형태의 담배 거치대(115)가 설치되되, 상기 담배 거치대(115)의 일부는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배 거치대(115)에는 담배를 꼽아 고정하는 홈 형태의 고정홈(1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스토퍼(122)가 돌출되고, 제2케이스(112)의 상단에는 제1,2케이스(111,112) 체결시 제1케이스(111) 내부로 삽입되는 압착구(123)가 형성됨으로써, 제1,2케이스(111,112) 체결시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스토퍼(122)와 압착구(123)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는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담배를 피우더라도 담배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와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이웃 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배터리로 가동되므로 여행시 휴대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필터 교체가 용이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의 케이스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의 펌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의 펌프와 케이스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는 도 1과 같이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하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0)의 흡입구(114)를 통해 담배연기를 빨아들이는 펌프(130)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가 체결수단(113)으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를 원통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원통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의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1)의 상부 일 측에 구멍 형태로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14)에는 피우던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판 형태의 거치대(115)가 형성되며, 제1케이스(111)의 측면에 재와 담배꽁초를 수납할 수 있는 꽁초함(116)이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꽁초함(116)에 커버(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111)와 체결수단(113)으로 체결되는 제2케이스(112)의 하부에는 케이스 배출구(125)가 형성된다.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13)은 여러 형태가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 및 니코틴필터(121)가 차례로 적층되어 필터어셈블리가 구성된다.
상기 수분필터(117)는 부직포 형태의 다공성 필터에 물이 적셔진 형태의 필터로서, 담배연기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수분필터(117)는 쇠 수세미와 같이 금속 소재로 다공성 필터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0) 내부로 담배를 떨어뜨리거나, 불씨가 있는 담배재가 케이스(1100 내부로 떨어질 경우, 최상층에 설치된 수분필터(117)가 합성수지 재질이라면 담배불에 의해 녹을 수가 있으므로, 수분필터(117)는 금속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필터(118)는 다공성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서, 수분필터(117)와 함께 담배연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하는 역할을 한다.
카본필터(119)는 다공성 필터에 숯가루(카본)를 도포한 형태의 필터로서 담배연기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니코틴필터(121)는 토우라는 물질에 가소제인 트리아세틴을 점착한 필터로서 담배연기에 포함된 니코틴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 및 니코틴필터(121)는 각각 공지된 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는 디스크 형태로 성형되어 제1케이스(11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필터들을 제1케이스(111)에 삽입하면 도 2와 같이 제1케이스(111) 내부에 돌출된 스토퍼(122)에 걸려 필터들이 제1케이스(111) 내부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111) 하부에 제2케이스(112)를 나사 결합하면 도 2와 같이 제2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압착구(123)가 적층된 필터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케이스(110) 내부에서 필터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10)의 하부에 펌프(130)가 결합되는데, 상기 펌프(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31)의 상부에 펌프유입구(137)가 구비되어 케이스(110)가 결합되는 케이스 거치대(135)가 형성되고, 몸체(131)의 일 측에 담배연기와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배툴되는 토출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30)의 내부는 도 2와 같이 모터(133)에 의해 회전하는 팬(134)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펌프(130)의 케이스 거치대(135)에 케이스(110)를 안착하면 제2케이스(112)의 케이스 배출구(125)가 케이스 거치대(135)의 펌프 유입구(137)와 연통되면서, 케이스(110)가 펌프(130)의 케이스 거치대(135)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펌프(130)의 몸체(131)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배터리를 충전식인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가 몸체(1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3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켜면 모터(133)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몸체(131) 내부의 팬(134)이 회전하고, 팬(134)이 회전하면서 케이스(110)의 흡입구(114)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케이스(110)의 케이스 배출구(125)와 케이스 거치대(135)의 펌프 유입구(137)를 통해 토출구(132)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담배를 피우면서 연기를 흡입구(114)로 뿜으면 도 6과 같이 담배연기가 흡입구(114)에서 흡입되고, 흡입된 담배연기가 케이스(110) 내부의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 및 니코틴필터(121)를 통과하면서 담배연기에 포함된 먼지, 냄새 및 니코틴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10)를 통과하면서 담배연기에 포함된 먼지, 냄새 및 니코틴이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제거된 공기는 팬(134)의 공기압송에 의해 펌프(130)의 몸체(131) 내부로 유입된 후 토출구(132)로 배출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가 안착되는 케이스 거치대(135)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136)을 삽입함으로써, 제2케이스(112)의 케이스 배출구(125)와 케이스 거치대(135)의 펌프유입구(137) 사이의 간격을 밀폐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흡연시 담배연기를 흡입구(114)로 뿜으면 담배연기가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먼지, 냄새 및 니코틴이 제거되어 배출되는데, 흡입구(114)에 거치대(115)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피우던 담배를 거치대(115)에 올려 놓고 잠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115)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성형되어 일부는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도 6과 같이 피우던 담배를 거치대(115)에 올려놓으면, 담배불이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펌프(130)의 팬(134)은 계속 돌아가는 상태이므로 거치대(115)에 올려져 담배에서 발생하는 담배연기가 도 6과 같이 지속적으로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되면서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처리되어 토출구(13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15)의 일 측단부에 담배가 삽입되는 고정홈(115a)를 구성함으로써, 피우던 담배를 거치대9115)의 고정홈(115a)에 삽입함으로써 거치대(115)의 담배가 굴러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꽁초함(116)을 설치함으로써, 담배를 피울 때 발생하는 재를 꽁초함(116)에 떨거나, 다 피운 담배꽁초를 꽁초함(116)에 버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꽁초함(116)을 여닫는 커버(미도시)를 구성함으로써 꽁초함(116)에 버려진 재와 꽁초에서 담배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꽁초함(116)을 케이스(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케이스(110)에 꽁초함(116)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는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담배를 피우더라도 담배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와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이웃 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배터리로 가동되므로 여행시 휴대하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필터 교체가 용이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10 : 케이스
111 : 제1케이스
112 : 제2케이스
113 : 체결수단
114 : 흡입구
115 : 거치대
115a : 고정홈
116 : 꽁초함
117 : 수분필터
118 : 방진필터
119 : 카본필터
121 : 니코틴필터
122 : 스토퍼
123 : 압착구
125 : 케이스 배출구
130 : 펌프
131 : 몸체
132 : 토출구
133 : 모터
134 : 팬
135 : 케이스 거치대
136 : 패킹
137 : 펌프유입구

Claims (7)

  1. 하부에 케이스 배출구(125)가 형성되고, 일 측에 흡입구(114)가 형성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흡입구(114)와 케이스 배출구(125)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스(110)의 케이스 배출구(125)와 결합되는 펌프 유입구(137)가 몸체(131)에 형성되고, 몸체(131) 내부에는 모터(133)에 의해 회전하는 팬(134)이 설치되며, 몸체(131) 일 측에 토출구(132)가 형성된 펌프(130);로 구성됨으로써,
    흡입구(114)로 유입된 담배연기가 케이스(110)의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펌프(130)의 토출구(13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로 분할 구성되고, 체결수단(113)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부로부터 수분필터(117), 방진필터(118), 카본필터(119) 및 니코틴필터(121)가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필터(117)는 금속 소재로 다공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14)에는 평판 형태의 담배 거치대(115)가 설치되되, 상기 담배 거치대(115)의 일부는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거치대(115)에는 담배를 꼽아 고정하는 홈 형태의 고정홈(1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스토퍼(122)가 돌출되고, 제2케이스(112)의 상단에는 제1,2케이스(111,112) 체결시 제1케이스(111) 내부로 삽입되는 압착구(123)가 형성됨으로써, 제1,2케이스(111,112) 체결시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스토퍼(122)와 압착구(123)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KR1020160168280A 2016-12-12 2016-12-12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KR10189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80A KR101893266B1 (ko) 2016-12-12 2016-12-12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280A KR101893266B1 (ko) 2016-12-12 2016-12-12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22A true KR20180067022A (ko) 2018-06-20
KR101893266B1 KR101893266B1 (ko) 2018-08-29

Family

ID=6276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280A KR101893266B1 (ko) 2016-12-12 2016-12-12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2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343A (ja) * 1997-08-25 1999-03-02 Daicel Chem Ind Ltd フィルター素材およびたばこ煙用フィルター
JP2001008675A (ja) * 1999-06-30 2001-01-16 Kaji Kogyo:Kk 携帯用空気清浄器
JP2004223405A (ja) * 2003-01-22 2004-08-12 Daifill:Kk 厨房用フィルタ
JP3177430U (ja) * 2012-05-22 2012-08-02 有限会社グリーンシステム 煙浄化装置
KR20130101979A (ko) 2010-04-22 2013-09-16 켈리 제이. 아다믹 연기와 냄새 제거 필터, 장치 및 방법
KR200476055Y1 (ko) 2014-05-29 2015-01-26 장병준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KR20160025209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대신씨앤에스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1611953B1 (ko) * 2015-02-13 2016-04-29 조영서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430B2 (ja) * 1996-01-26 2001-06-18 太陽工業株式会社 立体トラス用屋根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343A (ja) * 1997-08-25 1999-03-02 Daicel Chem Ind Ltd フィルター素材およびたばこ煙用フィルター
JP2001008675A (ja) * 1999-06-30 2001-01-16 Kaji Kogyo:Kk 携帯用空気清浄器
JP2004223405A (ja) * 2003-01-22 2004-08-12 Daifill:Kk 厨房用フィルタ
KR20130101979A (ko) 2010-04-22 2013-09-16 켈리 제이. 아다믹 연기와 냄새 제거 필터, 장치 및 방법
JP3177430U (ja) * 2012-05-22 2012-08-02 有限会社グリーンシステム 煙浄化装置
KR200476055Y1 (ko) 2014-05-29 2015-01-26 장병준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KR20160025209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대신씨앤에스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1611953B1 (ko) * 2015-02-13 2016-04-29 조영서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266B1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400A (en) Smokeless ashtray
US3966442A (en) Odor masking and filtering ashtray
KR101305914B1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
KR20170130689A (ko) 금연 유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담배 연기 제거기
KR20180067271A (ko) 열 교환형 환기시스템을 구비한 흡연부스
US20110155150A1 (en) Air Smoke Refresher
JP2009261319A (ja) 携帯用タバコ煙清浄器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US10306920B1 (en) Cigarette smoke filtration apparatus
KR101272058B1 (ko) 이동식 흡연실
KR200476055Y1 (ko)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KR101893266B1 (ko) 휴대용 담배연기 및 냄새 처리장치
CN105747275A (zh) 一种可以净化空气的多用途烟灰缸
KR102170681B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공기청정기
KR101667253B1 (ko)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용 담배 재떨이
KR20180095221A (ko) 휴대용 방향 제연기
KR20150095488A (ko) 흡연부스용 재떨이
KR20160069186A (ko) 흡연부스 정화 및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101530362B1 (ko) 흡연부스의 담배연기 관리장치
JP2001008675A (ja) 携帯用空気清浄器
CN214047554U (zh) 一种负压无味烟灰净化装置
KR101583656B1 (ko) 담배연기 정화용 집진장치
JPS6078572A (ja) 灰皿
KR100473406B1 (ko) 물을 이용한 담배연기 정화장치
KR200477171Y1 (ko) 음이온을 이용한 담배연기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