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33A - 의류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33A
KR20180066533A KR1020160167469A KR20160167469A KR20180066533A KR 20180066533 A KR20180066533 A KR 20180066533A KR 1020160167469 A KR1020160167469 A KR 1020160167469A KR 20160167469 A KR20160167469 A KR 20160167469A KR 20180066533 A KR20180066533 A KR 2018006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duct
duct
clothes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상
유수찬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533A/ko
Publication of KR2018006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는, 서로 이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를 연결하는 바디연결부와, 상기 제1,2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사이공간 상에서 상기 제1,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사이공간 사이로 투입되는 의류에 에어를 분사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상기 의류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흡기덕트에서 상기 배기덕트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바디의 사이공간으로 의류를 투입하고, 의류를 손으로 이동하는 동작만으로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이공간으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의류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신속하게 털어낼 수 있다. 또한,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은 흡기덕트에 의하여 모두 흡입됨으로써, 이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클리닝 장치{Clothes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독주택을 비롯하여 아파트 및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을 출입할 때에는 거의 아무런 위생관념이 없이 출입하였다.
특히, 외출한 후에 귀가하여 실내로 들어올 때, 의류에는 외부의 미세 먼지를 비롯하여 여러 병원균과 화학물질 등 각종 유해성 이물들이 부착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즉, 의복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외출에서 귀가할 때에 의복에 부착된 유해성 이물들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의복에 부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성 이물들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며, 심지어 사용자는 유해성 이물들에 의해 병을 얻게(앓게) 되는 등 위생문제를 유발시킨다.
또한, 유해성 이물들이 부착된 의복을 옷장 등과 같은 의류보관함의 내부에 보관할 경우, 유해성 이물들에 의하여 의복이 손상되거나, 차후 사용자가 의복을 착용 시 유해성 이물들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문제를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012호, “의류 청결 장치”를 살펴보면, 사각형태의 본체의 내부에 의류를 걸어놓고 본체의 내부에서 기체를 분출하여 의류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사상이 개시된다.
상기되는 종래기술에 따르면, 의류 청결 장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도어의 개방하여 착용 중인 의류를 벗어 본체의 내부에 비치된 옷걸이에 걸고, 도어를 폐쇄해야 하므로 조작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 청결 장치의 작동시간 동안 기다리거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간 이외에 비산된 이물이 침전되기 위한 시간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됨으로써,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내공간에서 상기 의류 청결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으면서도 의류를 깨끗하게 클리닝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012호, “의류 청결 장치”
본 발명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는, 서로 이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를 연결하는 바디연결부와, 상기 제1,2바디의 사이에 구비되는 사이공간으로 몸체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에 잡혀진 의류가 상기 제1,2바디의 사이공간을 통과하는 동작으로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공간으로 투입되는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공간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배기덕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공간 상에서 상기 배기덕트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하여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털어내면, 털어진 이물을 포함하는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덕트를 구비하여, 이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덕트를 통해 이물을 포함한 에어를 흡입하거나, 상기 배기덕트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상기 흡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에어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를 유동하는 에어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의류가 투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의류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출구부로 갈수록 사이공간을 협소하게 하여, 상기 배기덕트에서 분사되는 에어 의하여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을 포함하는 에어가 신속하게 상기 흡기덕트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는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기덕트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이물을 털어내는 과정과, 상기 흡기덕트로 에어를 흡입하는 과정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 중 전방 배기덕트는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출구부 또는 사이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어, 상기 전방 배기덕트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입구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바디의 사이공간으로 의류를 투입하고, 의류를 손으로 이동하는 동작만으로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공간으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의류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을 신속하게 털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은 흡기덕트에 의하여 모두 흡입됨으로써, 이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덕트의 사이공간보다 흡기덕트의 사이공간을 협소하게 형성하거나, 입구부의 사이공간보다 출구부의 사이공간을 협소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출구부를 향할수록 에어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고, 증가된 유속에 의하여 신속하게 이물이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에서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주택,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외부공간에서 실내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현관, 복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외부공간에서 겉옷, 외투 등과 같은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에 부착된 이물 등이 제거됨으로써, 깨끗한 상태로 실내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다.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지지하는 몸체지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지지부(11)는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지지부(11)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와 상기 몸체지지부(11)를 별도로 제공하여, 상기 몸체(10)와 상기 몸체지지부(11)를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는 적어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다각형뿐만 아닌 원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는 제1바디(11), 제2바디(12) 및 상기 제1바디(11) 및 상기 제2바디(12)를 연결하는 바디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 및 상기 제2바디(1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의 사이에는 사이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를 측면, 즉 X축 방향으로 바라볼 경우, 상기 몸체(10)는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지지부(14)는 상기 바디연결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11), 상기 제2바디(12) 및 상기 바디연결부(13)는 상기 몸체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지지부(14)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지지부(14)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사이공간(103)으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입구부(101)와, 상기 사이공간(103)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상기 의류를 배출할 수 있는 출구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구부(101)와 상기 출구부(102)는 의류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간을 칭하는 용어이며, 상기 사이공간(103)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가 상기 입구부(101)로 투입되어, 상기 출구부(102)로 배출되는 중 상기 사이공간(103) 상에서 상기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사이공간(103)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입구부(101)로부터 상기 출구부(102)를 통과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워시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부(3)는 에어를 발생시키거나, 발생된 에어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에어워시부(3)는 상기 몸체(10) 및 상기 몸체지지부(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부(3)는 배기덕트(20A, 20B), 흡기덕트(30A, 30B), 에어챔버(40) 및 에어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41)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여 에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41)은 상기 에어챔버(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0A, 30B) 및 상기 배기덕트(20A, 20B)는 상기 에어챔버(40)의 내부에서 상기 팬(41)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어를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0A, 30B)는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4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20A, 20B)는 상기 에어챔버(40)에서 발생되는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40)는 상기 몸체지지부(1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40)는 상기 팬(41)의 회동에 의하여 강제유동을 발생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0A, 30B) 및 상기 배기덕트(20A, 20B)는 상기 에어챔버(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0A, 30B) 및 상기 배기덕트(20A, 20B)는 상기 에어챔버(4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흡기덕트(30A, 30B)로부터 에어를 흡입하고, 상기 배기덕트(20A, 20B)를 통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0A, 30B)는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3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20A, 20B)는 상기 배기덕트(20A, 20B)를 유동하는 에어를 분출하기 위한 배기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01)와 상기 흡기구(3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201)와 상기 흡기구(301)는 상기 사이공간(1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구(201)와 상기 흡기구(301) 각각은 상기 몸체(10)의 상하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배기구(201) 및 흡기구(301)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20A, 20B) 및 상기 흡기덕트(30A, 30B)는 상기 제1바디(11), 상기 제2바디(12)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20A, 20B) 및 상기 흡기덕트(30A, 30B)는 상기 에어챔버(40)로부터 상기 제1바디(11) 및 상기 제2바디(12)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1)에 제공되는 상기 배기덕트(20A, 20B)와 흡기덕트(30A, 30B)를 “제1배기덕트(20A)”와 “제1흡기덕트(30A)”로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2)에 제공되는 상기 배기덕트(20A, 20B)와 흡기덕트(30A, 30B)를 “제2배기덕트(20B)”와 “제2흡기덕트(30B)”로 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에서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는 제1바디(11), 제2바디(12), 및 바디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는 상기 바디연결부(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의 사이에는 사이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공간(103)은 입구부(101)와 출구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101)와 상기 출구부(102)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입구부(101)는 상기 출구부(10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입구부(101)가 상기 출구부(102)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의 일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사이공간(103)은 상기 입구부(101)에서 상기 출구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협소해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에는 상기 제1배기덕트(20A)와 제1흡기덕트(30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2)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20B)와 제2흡기덕트(30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1흡기덕트(30A)는 상기 제2배기덕트(20B) 및 제2흡기덕트(30B)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는 도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상기 제1흡기덕트(30A)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배기덕트(20B) 및 상기 제2흡기덕트(30B)의 경우, 상기 제1배기덕트(20A)와 상기 제1흡기덕트(30A)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배기덕트(20B) 및 상기 제2흡기덕트(30B)의 설명은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상기 제1흡기덕트(30A)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배기덕트(20A)는 전방 배기덕트(21)와,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후방 배기덕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배기덕트(21)는 상기 입구부(10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와 상기 후방 배기덕트(2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방향을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의 전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방향을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의 후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와 상기 후방 배기덕트(22)는 에어를 분사하며, 상기 입구부(101)를 통과하여 상기 사이공간(103)으로 투입되는 의류로부터 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30A)는 전방 흡기덕트(31)와, 상기 전방 흡기덕트(31)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후방 흡기덕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는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흡기덕트(32)는 상기 출구부(102)에 인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흡기덕트(32)는 상기 후방 배기덕트(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기덕트(20A)와 상기 제1흡기덕트(30A)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덕트(20A)는 상기 제1흡기덕트(30A)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30A)는 상기 제1바디(11)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20A)보다 내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흡기덕트의 전방 흡기덕트(31)에서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전방 흡기덕트(31)에서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흡기덕트(32)에서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후방 배기덕트(22)에서 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11)와 상기 제2바디(12)의 사이공간(103) 중 상기 제1흡기덕트(30A)가 위치한 사이공간(103)은 상기 제1배기덕트(20A)가 위치한 사이공간(103)보다 협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배기덕트(20A)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은 사이공간(103)이 협소해지는 상기 제1흡기덕트(30A)에 의하여 더욱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이 상기 제1흡기덕트(30A)로 신속하게 흡입됨으로써, 상기 사이공간(103) 상에서 이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상기 제2흡기덕트(30B)는 짝수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홀수로 제공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배기덕트(20A)는 전방 배기덕트 및 후방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기덕트(30A)는 상기 전방 배기덕트 및 후방 배기덕트의 사이에 중간 흡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1)가 작동하면,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로부터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상세히,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의 전방 배기덕트(21) 및 후방 배기덕트(22)로부터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상기 제2배기덕트(20B)로 분사되는 에어는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의 몸체(10) 내에 구비된 에어챔버(40)의 내부에 배치된 팬(41)의 회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팬(41)이 회동하여,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상기 제2배기덕트(20B)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가 작동하면, 제1흡기덕트(30A) 및 제2흡기덕트(30B)는 사이공간(103) 상의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상세히, 제1배기덕트(20A) 및 제2흡기덕트(30B)의 전방 흡기덕트(31) 및 후방 흡기덕트(32)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30A) 및 상기 제2흡기덕트(30B)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덕트(30A) 및 상기 제2흡기덕트(30B)로 흡입되는 에어로부터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상기 몸체(1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흡기덕트(30A) 및 제2흡기덕트(30B)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40)를 거쳐,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의류(2)가 투입되는 것을 인식한 후,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의 입구부(101)로 의류(2)가 투입되는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10)의 입구부(101)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이공간(1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101)로 투입된 의류(2)는 상기 입구부(101)에서 출구부(102)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2)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2)는 사용자의 손에 잡혀 상기 입구부(101)에서 상기 출구부(102)를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2)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손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류 클리닝 장치(1)의 사이공간(103)으로 투입되는 의류(2)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에 의하여 의류로부터 이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클리닝 장치(1)는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을 에어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으로 의류를 잡고, 입구부(101)로부터 출구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의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2)가 입구부(101)로 투입되면,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에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의 전방 배기덕트(21)에서 상기 의류(2)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상기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이 털어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에 의하여 털어내진 이물이 상기 입구부(10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의 전방 배기덕트(21)는 상기 입구부(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사이공간(103) 또는 출구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의 배기구(201)가 경사지도록 배치되면, 상기 배기구(201)로부터 토출되는 에어는 상기 사이공간(103) 또는 상기 출구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지도록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상기 의류(2)에서 털어내진 이물은 상기 입구부(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배기덕트(2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상기 의류(2)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은 전방 흡기덕트(3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로 흡입된 에어는 에어챔버(40)를 거쳐,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로 다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로 흡입되는 에어에 포함된 이물은 필터 등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배기덕트(21)로부터 분사된 에어에 의하여 의류(2)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을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를 통해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배기덕트(21)는 상기 전방 흡기덕트(31)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의 중심선에서 상기 전방 배기덕트(21)까지의 거리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전방 흡기덕트(31)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흡기덕트(30A) 및 제2흡기덕트(30B)의 전방 흡기덕트(31)의 사이공간은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의 전방 배기덕트(21)의 사이공간보다 협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방 배기덕트(21)의 사이공간보다 상기 전방 흡기덕트(31)의 사이공간이 협소함으로써, 협소해진 공간에 의하여 상기 전방 흡기덕트(31)에서 흡입되는 에어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즉, 신속하게 이물이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배기덕트(21) 및 상기 전방 흡기덕트(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배기덕트(22) 및 상기 후방 흡기덕트(32)를 더 통과함으로써,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흡기덕트(32)는 상기 출구부(10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출구부(102)로 이동하는 의류(2)에 잔존하는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배기덕트(22)에 의하여 비산되는 이물이 상기 출구부(10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기덕트(30A) 및 제2흡기덕트(30B)의 후방 흡기덕트(32)의 사이거리가 상기 제1배기덕트(20A) 및 제2배기덕트(20B)의 후방 배기덕트(22)의 사이거리보다 협소함으로써, 상기 후방 흡기덕트(32)의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의류(2)를 상기 입구부(101)에서 상기 출구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복 이동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의류(2)에 부착된 이물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2)를 잡은 사용자의 손을 이동시키는 속도에 의하여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속도를 조절 가능하다.
1 의류 클리닝 장치 2 의류
3 에어워시부 10 몸체
14 몸체지지부 20A 제1배기덕트
20B 제2배기덕트 30A 제1흡기덕트
30B 제2흡기덕트 40 에어챔버
41 팬 101 입구부
102 출구부 103 사이공간

Claims (10)

  1. 서로 이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를 연결하는 바디연결부와, 상기 제1,2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사이공간 상에서 상기 제1,2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사이공간 사이로 투입되는 의류에 에어를 분사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상기 의류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덕트 및 상기 흡기덕트와 연통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흡기덕트에서 상기 배기덕트로 유동하는 에어를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덕트가 배치되는 상기 제1,2바디의 사이공간은, 상기 배기덕트가 배치되는 상기 제1,2바디의 사이공간보다 협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의류가 상기 사이공간으로 투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사이공간에 투입된 의류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상기 입구부보다 협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제1,2바디의 내면에서 상기 사이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클리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제1몸체에 제공되는 제1배기덕트와, 상기 제2몸체에 제공되는 제2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제1몸체에 제공되는 제1흡기덕트와, 상기 제2몸체에 제공되는 제2흡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배기덕트와 상기 제1,2흡기덕트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배기덕트는,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방 배기덕트와, 상기 전방 배기덕트에서 상기 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후방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흡기덕트는, 상기 전방 배기덕트와 상기 후방 배기덕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흡기덕트와, 상기 출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후방 흡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배기덕트는, 상기 출구부 또는 상기 사이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에어를 경사지도록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10. 서로 이격되는 제1,2바디와, 상기 제1,2바디를 연결하는 바디연결부와, 상기 제1,2바디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사이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공간 사이로 의류가 투입되는 입구부;
    상기 사이공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공간으로 투입된 의류가 배출되며, 상기 입구부보다 협소하도록 제공되는 출구부;
    상기 사이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공간으로 투입되는 의류에 에어를 분사하는 배기덕트;
    상기 사이공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덕트에서 분사된 에어를 흡입하는 흡기덕트;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기덕트로부터 상기 배기덕트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의류 클리닝 장치.
KR1020160167469A 2016-12-09 2016-12-09 의류 클리닝 장치 KR2018006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69A KR20180066533A (ko) 2016-12-09 2016-12-09 의류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469A KR20180066533A (ko) 2016-12-09 2016-12-09 의류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33A true KR20180066533A (ko) 2018-06-19

Family

ID=6279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469A KR20180066533A (ko) 2016-12-09 2016-12-09 의류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5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012A (ko) 2006-02-24 2007-08-29 이희아 의류 청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012A (ko) 2006-02-24 2007-08-29 이희아 의류 청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3234B2 (en)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TWI415589B (zh) 手乾燥裝置
TWI457103B (zh) 手乾燥裝置
TW201635968A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JP2009519826A5 (ko)
CN101686780A (zh) 手干燥装置
US20130067680A1 (en) Suction and collection device
KR20180065594A (ko) 의류 클리닝 장치
KR20180066533A (ko) 의류 클리닝 장치
KR100386259B1 (ko) 배기순환 진공청소기
JP5676143B2 (ja) 洗浄装置
JP6364510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JP2009024907A (ja) 水エアシャワー装置
WO2013073129A1 (ja) 手乾燥装置
KR102040319B1 (ko) 주택 현관에 설치되는 에어샤워장치
JP2008000211A (ja) 手乾燥装置
JP6647598B2 (ja) クリーンブース
JPH08166151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2003106591A (ja) エアシャワー装置,清浄装置の配置構造及び運転方法
JP2001128885A (ja) 手乾燥装置
JP7348339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20090121813A (ko) 청소기의 노즐
JP6848400B2 (ja) 手乾燥装置
JP7136961B2 (ja) 手乾燥装置
JPH09229441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