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364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364A
KR20180066364A KR1020160166705A KR20160166705A KR20180066364A KR 20180066364 A KR20180066364 A KR 20180066364A KR 1020160166705 A KR1020160166705 A KR 1020160166705A KR 20160166705 A KR20160166705 A KR 20160166705A KR 20180066364 A KR20180066364 A KR 2018006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riving power
video signal
display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873B1 (ko
Inventor
박진규
최경욱
고준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873B1/ko
Priority to US15/793,608 priority patent/US10360165B2/en
Priority to CN201711222857.8A priority patent/CN108172158B/zh
Publication of KR2018006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364A/ko
Priority to US16/438,056 priority patent/US106644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및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커넥터, 제2 영상 신호 및 제2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측정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전달받기 위한 커넥터로 DVI 커넥터, D-sub 커넥터, HDMI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기에서 모니터로 영상을 전달하기 위해, 외부 기기 또한 표시 장치(1000)의 커넥터와 대응하는 DVI 커넥터, D-sub 커넥터, HDMI 커넥터 등을 구비하고, 이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USB 커넥터 및 이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표시 장치에서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커넥터들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케이블이 요구되었다. 이 경우,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과,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별개로 요구되며, 표시 장치의 설치 및 이용에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설치 및 이용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케이블 및 커넥터를 통하여, 영상 신호와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다만,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와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는 경우, 표시 장치가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에 동시에 여러 종류의 전원과 영상 신호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들이 서로 충돌하여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 신호 또는 전원이 동시에 여러 종류가 제공되더라도, 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구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 신호 또는 전원이 동시에 여러 종류가 제공되더라도, 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구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및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커넥터, 제2 영상 신호 및 제2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측정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제2 커넥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에는 별도의 영상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는 별도의 영상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관리부는 기준 전압 검출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 제공부에 기준 전압 검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전원 제공부는 상기 기준 전압 검출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 전압 레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은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압 레벨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은 가능하나,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의 충전은 불가능한 전압 레벨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영상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선택부에 영상 선택 제어 신호를 제공하되, 상기 영상 선택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구동 전원은 하나의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1 커넥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및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커넥터, 제2 영상 신호 및 제2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이고, 상기 표시부는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 이외의 전원을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영상 신호 또는 제3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이고, 상기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1 내지 제3 구동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각종 외부 신호를 제공받는 제4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커넥터는 USB 규격과 상이한 커넥터이고,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외부 신호는 상기 표시부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영상 신호 및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커넥터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 신호 또는 전원이 동시에 여러 종류가 제공되더라도, 이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구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더욱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표시부에 제1 구동 전원이 제공되고,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신호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a 및 도 5b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a 및 도 5b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신호의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 제1 커넥터(12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 제2 커넥터(22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10),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로 제공된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관리부(300),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00), 표시부(400)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선택하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구동 전원과 영상 신호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PC, 노트북, 태블릿이나, 구동 전원만을 제공할 수 있는 어댑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C, 노트북, 태블릿 등은 표시 장치(1000)에 영상 신호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외의, 구동 전력과 영상 신호를 모두 제공하거나, 구동 전력만을 제공하거나, 영상 신호만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가 외부 기기의 예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구동 전원 및/또는 영상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20)는 하나의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 전원 및 영상 신호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동 전원만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영상 신호만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제2 커넥터(220)는 하나의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 전원 및 영상 신호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동 전원만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영상 신호만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커넥터(120)와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된 구동 전원과 영상 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구동 전원을 제1 구동 전원(PW1)으로 지칭하기로 하고,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영상 신호를 제1 영상 신호(DATA1)로 지칭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된 구동 전원을 제2 구동 전원(PW2)으로 지칭하기로 하고,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된 영상 신호를 제2 영상 신호(DATA2)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일 수 있다. 특히,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는 USB Type-C의 규격에 따른 커넥터일 수 있다. USB Type-C의 규격에 따른 커넥터는, 앞뒤의 구분이 없어 연결이 쉬운 장점이 있으며, 데이터 전송 능력은 20Gbps 이상일 수 있고, 전력 송신 및 수신 능력은 100W 이상일 수 있다. 또한, USB Type-C 이전의 USB 규격들과도 호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는 USB Type-C의 규격에 따른 커넥터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구동 전원 및 영상 신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커넥터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로써 기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와 연결되어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구동 전원 및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제어부(110)는 집적회로(IC) 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다수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20)가 USB Type-C에 따른 규격을 만족하는 커넥터인 경우, 제1 제어부(110)는 USB-Type-C에 따른 규격을 만족하는 컨트롤러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호스트로서 기능할 지, 또는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로서 기능할지에 대하여 네고시에이션(negatitation) 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장치(1000) 내부의 다른 구성에 제공할 수 있다. USB Type-C의 규격에 따른 커넥터는 24개의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24개의 핀 중 하나는 CC(Channel Configuration) 핀일 수 있다. CC 핀은 네고시에이션을 위해 사용되는 싱글 엔드, BMC 인코딩된 4b/5b 신호일 수 있다. 즉, CC 핀을 통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가 호스트로서 기능할 지 또는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계속적인 네고시에이션에 의하여, 호스트의 기능을 수행하던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로 수행하는 기능을 디바이스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0)는 제2 커넥터(220)와 연결되어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된 구동 전원 및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2 제어부(210)는 제1 커넥터(1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0)는 "제1 커넥터(120)-제1 제어부(110)"로 연결된 하나의 쌍과, "제2 커넥터(220)-제2 제어부(210)"로 연결된 하나의 쌍, 총 두 개의 커넥터와 제어부 쌍이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는 서로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주고받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 각각의 역할이 충돌 없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각각 제1 커넥터(120), 제2 커넥터(220)와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조정할 수 있게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 관리부(300)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로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과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아 이를 관리한다. 즉, 제1 구동 전원(PW1)과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여, 이들이 표시부(400)를 구동하기 위하여 충분한 전압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이 각각 제2 커넥터(220)와 연결된 외부 기기 또는 제1 커넥터(120)와 연결된 외부 기기 등을 충전하기에 충분한 전압을 제공하는지 여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을 표시부(4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3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신호 선택부(500)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된 영상 신호 중 어느 것이 표시부(400)로 제공되는지 여부를 선택하여, 이를 표시부(400)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선택부(500)는 복수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10) 및/또는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여 영상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4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400)는 표시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을 통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영상 신호 선택부(500)로부터 제공된 제1 영상 신호(DATA1) 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은 반드시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제1 제어부(110) 또는 제2 제어부(210)의 역할 분담에 따라, 제1 제어부(110) 또는 제2 제어부(210)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00) 내부의 각 구성간의 전원 및 신호의 전달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더욱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2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 및/또는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공받아, 이를 제1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커넥터(12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아 제2 제어부(210)에 제공하거나,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아 제1 외부 기기(11)에 제공하는 역할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1 커넥터(12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지도 않고, 제1 외부 기기(11)에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하지도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외부 기기(11)의 제1 커넥터(120)에 대한 제1 영상 신호(DATA1)의 제공과, 제1 외부 기기(11) 및 제1 커넥터(120) 간의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의 제공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커넥터(12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제1 외부 기기(11)에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하여 제1 외부 기기(11)를 충전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제1 커넥터(12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공받지는 않음과 동시에,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의 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20)는 제1 커넥터(120)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잇다. 즉, 제2 커넥터(220)는 제2 외부 기기(12)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 및/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를 제공받아, 이를 제2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외의 제2 커넥터(220)에 대한 설명은, 제1 커넥터(120)에 대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로부터 제공받은 제1 구동 전원(PW1)을 전압 레벨의 측정을 위하여 전원 관리부(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20)로부터 제공받은 제1 영상 신호(DATA1)를 표시부(400)로의 선택적인 제공을 위하여 영상 신호 선택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는 제2 제어부(210)와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10)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1 모드 변경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제2 구동 전원(PW2)은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받는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2 제어부(210)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제어부(110)가 다른 구성과 주고받는 각종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제어부(110)는 제2 제어부(210)와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주고받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전력 제어 신호(CTRL_PW)는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간의 역할을 공유하고 동작 모드에 있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전력 제어 신호(CTRL_PW)는 제1 제어부(1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단자와, 제2 제어부(2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단자가 버스(BUS)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주고받음으로써 각각의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간의 역할을 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의 일 예시로써,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에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와의 네고시에이션 결과, 제1 외부 기기(11)가 호스트로 결정되는 경우, 이를 제2 제어부(210)에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이용하여 알릴 수 있다. 제1 커넥터(120)에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가 호스트로 동작한다는 정보를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제어부(210)는, 제1 외부 기기(11)가 호스트인 경우에 맞게 동작할 수 있는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커넥터(220)에 또 다른 제2 외부 기기(12)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을 이용하여 제2 외부 기기(12)를 충전하고, 제2 외부 기기(12)로부터 제공되는 제2 구동 전원(PW2)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커넥터(220)에 별다른 제2 외부 기기(12)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2 커넥터(220)를 추후 제2 외부 기기(12)의 연결을 대비하여 충전을 대기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다만, 구체적인 제1 제어부(110)의 동작은 제2 제어부(210)와 주고받은 전력 제어 신호(CTRL_PW)뿐만 아니라,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받은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를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부(110)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가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영상 신호(DATA1)를 표시부(400)로 제공할지, 또는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영상 신호(DATA2)를 표시부(400)로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의 일 예로서, 제1 제어부(110)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공받는 경우, 제1 영상 신호(DATA1)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함과 동시에, 제2 제어부(210)보다 우선하여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영상 신호(DATA1)를 표시부(400)에 제공하도록 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신호 선택부(500)는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2 영상 신호(DATA2)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제1 영상 신호(DATA1)를 표시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제어부(11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1 제어부(110)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1 영상 신호(DATA1)를 제공할 수는 없으나, 제1 제어부(110)보다 우선하여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영상 신호(DATA2)를 표시부(400)에 제공하도록 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2 영상 신호(DATA2)가 제공될 경우, 표시부(400)는 제2 영상 신호(DATA2)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 모두로부터 제1 영상 신호(DATA1) 및 제2 영상 신호(DATA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400)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신호 선택부(500)의 제어에는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가 관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상 신호 선택부(500)는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의 공급 여부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300)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아,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값에 따라 제1 제어부(110)에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10)에 제2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결과값에 따라, 제1 제어부(110)에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1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 제어부(110)에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하는 동작과 제2 제어부(21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는 동작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3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3이 추가적으로 참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300)는 기준 전압 검출부(310) 및 전원 제공부(320)를 포함한다.
기준 전압 검출부(310)는,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구동 전원(PW1)과,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여, 측정된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일 경우,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전원 제공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 레벨은, 표시부(400)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에 충분하고, 디바이스로써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 또는 제2 외부 기기(12)를 충전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의 최소값일 수 있다. 나아가,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는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 중 어느 것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원 제공부(3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원 제공부(320)는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을 제어받아, 이를 제1 제어부(110) 또는 제2 제어부(210)로 분배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제1 구동 전원(PW1)을 제2 제어부(210)로 제공하거나,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받은 제2 구동 전원(PW2)을 제1 제어부(110)로 제공하는 역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원 제공부(320)는 기준 전압 검출부(310)로부터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제공받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기준 전압 검출부(310)로부터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다시 말하면, 제1 구동 전원(PW1)이나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값 중 어느 하나도 기준 전압 레벨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표시부(400)와, 제1 외부 기기(11) 또는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전원 제공부(320)가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제공부(320)는 제1 제어부(110)로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를 제공하고, 제2 제어부(210)로 제2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는 제1 제어부(110)가 소스 모드 또는 싱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2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2)는 제2 제어부(210)가 소스 모드 또는 싱크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모드란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하고, 제1 외부 기기(11) 또는 제2 외부 기기(12)에 제2 구동 전원(PW2) 또는 제1 구동 전원(PW1) 제공하거나, 제공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구동 상태를 지칭하며, 싱크 모드란 제1 외부 기기(11) 또는 제2 외부 기기(12)가 제2 외부 기기(12) 또는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 또는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받거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대기하는 구동 상태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동작의 일 예로서, 기준 전압 검출부(310)에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구동 전원(PW1)이 제1 구동부로부터 제공되고, 기준 전압 레벨 이하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2 구동 전원(PW2)이 제2 구동부로부터 제공되거나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기준 전압 검출부(310)는 전원 제공부(320)에 제1 구동 전원(PW1)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전압 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제공받은 전압 제공부는, 제1 구동 전원(PW1)을 표시부(400) 및 제2 제어부(210)로 제공하고, 제1 제어부(110)가 소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를 제1 제어부(110)에 제공하며, 제2 제어부(210)가 싱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2)를 제2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00)는 전원 제공부(320)로부터 제공받은 제1 구동 전원(PW1)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1 모드 변경 신호를 제공받은 제1 제어부(110)는 전원 관리부(300)를 통하여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고, 마찬가지로 전원 관리부(300)를 통하여 제2 제어부(21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거나 제공하기 위한 대기를 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40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PW1)은 반드시 전원 제공부(320)를 통할 필요는 없으며, 제1 제어부(110)로부터 표시부(400) 및 제2 제어부(210)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싱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 변경 신호를 제공받은 제2 제어부(210)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제2 제어부(21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로 제공하여 제2 외부 기기(12)를 충전하거나,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을 위한 대기 상태에 돌입할 수 있다.
다만, 제2 제어부(210)에 제1 구동 전원(PW1)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제2 제어부(21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가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실제로 충전되는지 여부는,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CTRL_PW)의 정보 교환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전원 관리부(300)는 제1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과 제2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된 제2 구동 전원(PW2)이 표시부(400)와, 제1 외부 기기(11) 또는 제2 외부 기기(12)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제1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1) 및 제2 모드 변경 제어 신호(MCS2)로써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며. 실제 제1 외부 기기(11)와 제2 외부 기기(12)가 호스트 또는 디바이스로 동작하는지, 아니면 호스트와 디바이스로 모두 동작하지 않도 제1 커넥터(120) 또는 제2 커넥터(220)와의 전력 송신 및 수신을 차단하는지 여부는 제1 커넥터(120)와 제1 외부 기기(11)의 네고시에이션 및 제2 커넥터(220)와 제2 외부 기기(12)의 네고시에이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전력 제어 신호(CTRL_PW)의 정보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커넥터(12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와, 제2 커넥터(22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10)는 서로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주고받으며 정보를 교환하고, 전력 관리부를 통하여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을 동시에 관리하므로,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된다 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제1 외부 기기(11) 및 제2 외부 기기(12)의 역할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역할을 변환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커넥터(12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와, 제2 커넥터(22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10)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를 공유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와 제2 영상 신호(DATA2)를 동시에 관리하므로,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영상 신호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제1 외부 기기(11) 및 제2 외부 기기(12) 중 어떠한 기기가 표시부(40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400)에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과, 제1 영상 신호(DATA1) 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가 어떻게 영상으로 표시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가 추가적으로 참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00)의 종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기타 다른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400)는 표시 패널(410), 스캔 구동부(420), 데이터 구동부(430), 패널 전원 공급부(440) 및 타이밍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4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L), 스캔 라인(SL)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스캔 라인(SL)은 스캔 구동부(4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DL)은 데이터 구동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410)은 스캔 라인(SL) 및 데이터 라인(DL)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m*n개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420)는 타이밍 제어부(450)로부터 스캔 구동 제어 신호(CTRL1)를 제공받아 복수의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각 화소(PX)에 연결된 복수의 스캔 라인(SL)에 순차적으로 스캔 신호를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부(430)는 타이밍 제어부(450)로부터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TRL2)를 제공받아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각 화소(PX)에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각각 데이터 신호를 제공 한다.
패널 전원 공급부(440)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1 구동 전원(PW1) 또는 제2 구동 전원(PW2)을 제공받아 구동되며, 타이밍 제어부(450)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신호(CTRL3)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여 제1 전원 전압(ELVSS) 및 제2 전원 전압(ELVDD)을 생성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패널 전원 공급부(440)는 스캔 구동부(420), 데이터 구동부(430) 및 타이밍 제어부(45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50)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 신호(DATA1) 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를 영상 데이터 신호(DAT)로 변경하여 데이터 구동부(430)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45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타이밍 제어부(450)는 제1 영상 신호(DATA1) 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에 대응하여, 스캔 구동부(420), 데이터 구동부(430) 및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스캔 구동 제어 신호(CTRL1),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TRL2) 및 패널 전원 공급 제어 신호(CTRL3)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전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연결되는 도면이며, 서술할 순서도가 많아 이를 각각 서로 다른 도면부호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커넥터(120)에 외부 기기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220)에 외부 기기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전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20)와 제2 커넥터(220)의 위치에 따른 차이를 제외하면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커넥터에 케이블이 연결된다(S110).
제1 커넥터(120)에 제1 외부 기기(11)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면, 제1 커넥터(120)로 입력되는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표시부(400)를 원활하게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20)와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PW1)으로, 표시부(400)를 원활히 구동시키는 것을 가장 우선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의 실시예를 가정하며, 이 경우 기준 전압 레벨은 표시부(400)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 레벨로 정의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제1 구동 전원(PW1)을 최우선으로 표시부(400)에 제공하지 않고, 예시적으로, 제2 커넥터(220)에 제2 외부 기기(12)가 연결되어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을 우선한다면, 기준 전압 레벨은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 레벨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의 설정 변경에 의하여, 예시적으로,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400)에 제2 커넥터(220)로부터 전원이 제공중인지, 즉,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
제2 커넥터(220)로부터 제2 구동 전원(PW2)이 표시부(400)에 이미 제공되고 있어, 제1 구동 전원(PW1)이 표시부(400)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면, 제1 구동 전원(PW1)이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표시부(400)가 반드시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구동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 전원(PW1)과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에 따라 어느 것이 표시부(400)에 제공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로 한다. 다만, 이의 결정 기준은 설정하기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이미 제공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과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을 비교한다(S140).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구동되던 표시부(400)를, 이후에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변경하고, 제2 제어부(210)와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고,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51). 여기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거나,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결과, 제1 제어부(110)는 소스 모드로 동작하고(S161a), 제2 제어부(210)는 싱크 모드로 동작(S161b)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00)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고(S171a), 제2 제어부(210)와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S171b).
이러한 동작의 예시로서, 제2 커넥터(220)에 노트북과 같은 기기가 연결되어 표시부(400)가 구동되고 있던 중, 제1 커넥터(120)에 전원 공급을 주 역할로 하는 어댑터가 연결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즉, 노트북이 표시부(400)를 구동함으로써 배터리를 소모하던 중, 표시 장치(1000)의 또 다른 커넥터, 즉, 제1 커넥터(120)에 어댑터가 연결됨으로써, 표시 장치(1000)에서 실시간으로 제1 커넥터(120)와 제2 커넥터(220)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00)는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고, 노트북은 어댑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반면,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2 구동 전원(PW2)의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경우, 표시부(400)가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태를 유지하되, 제1 제어부(110)와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가 오히려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52). 여기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거나,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결과, 제1 제어부(1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하고(S162a), 제2 제어부(210)는 소스 모드로 동작(S162b)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0)와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는,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S172a), 표시부(400)는 여전히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S172b).
이러한 동작의 예시로서, 제2 커넥터(220)에 어댑터와 같은 기기가 연결되어 표시부(400)가 구동되고 있던 중, 제1 커넥터(120)에 노트북이 연결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즉, 어댑터가 표시부(400)를 구동하던 중,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원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어댑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원을 제공하는 노트북이 연결됨으로써, 노트북이 오히려 어댑터에 의하여 충전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의 상태에 대응하여, 제1 외부 기기(11)와 제2 외부 기기(12)가 갖는 역할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결정해줄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S120),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중이지 않은 경우(S131)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400)는 구동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제1 구동 전원(PW1)이 표시부(400)를 구동하도록 동작하고,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2 제어부(210)와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를 충전하거나, 이러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 즉시 충전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고,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53). 여기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거나,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결과, 제1 제어부(110)는 소스 모드로 동작하고(S163a), 제2 제어부(2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63b). 이에 따라, 표시부(400)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S173a), 제2 제어부(210)와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S173b).
이러한 동작의 예시로서,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아무 기기도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전원만을 출력하는 노트북과 같은 외부 기기가 제2 커넥터(220)에 연결되어 있던 중, 어댑터나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원을 출력하는 또 다른 노트북과 같은 외부 기기가 제1 커넥터(120)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S120)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중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20), 제2 제어부(210)에는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로부터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제어부(110)와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도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54). 여기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거나,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결과, 제1 제어부(1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하고(S164a), 제2 제어부(210)는 소스 모드로 동작(S164b)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0)와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외부 기기(11)는 제2 구동 전원(PW2)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S174a), 표시부(400)는 제2 구동 전원(PW2)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74b).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 간의 제어 신호, 즉, 전술한 전력 제어 신호(CTRL_PW)에 따라서, 제1 외부 기기(11)가 충전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동작의 예시로서, 제2 커넥터(220)에 어댑터와 같은 기기가 연결되어 표시부(400)가 구동되고 있던 중, 제1 커넥터(120)에 노트북이 연결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즉, 어댑터가 표시부(400)를 구동하던 중,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없는 노트북이 추가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노트북이 어댑터에 의하여 충전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원(PW1) 및 제2 구동 전원(PW2)의 상태에 대응하여, 제1 외부 기기(11)와 제2 외부 기기(12)가 갖는 역할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결정해줄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고(S120),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S132)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지 않아 구동되지 않고 있는데, 새롭게 연결된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도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전원을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155). 여기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거나,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결과, 제1 제어부(1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하고(S165a), 제2 제어부(210) 또한 싱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65b). 이에 따라, 표시부(400)는 구동되지 않아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를 통한 또 다른 제1 구동 전원(PW1)의 입력을 대기하고(S175a), 제2 제어부(210)는 제2 커넥터(220)를 통한 또 다른 제2 구동 전원(PW2)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175b).
이러한 동작의 예시로서,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아무 기기도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전원만을 출력하는 노트북과 같은 외부 기기가 제2 커넥터(220)에 연결되어 있던 중,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는 전원만을 출력하는 또 다른 노트북과 같은 외부 기기가 제1 커넥터(120)에 추가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된 바 있는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의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표시부에 제1 구동 전원이 제공되고,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신호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5a 및 도 5b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5a 및 도 5b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에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S151 단계와, S153 단계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a 및 도 5b의 S152 단계와 S154 단계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5a 및 도 5b의 S155 단계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전압 검출부(310)가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제1 구동 전원(PW1)이 입력되었다는 신호인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전원 제공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S151_a). 이에 따라, 전원 제공부(320)는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에 의하여 정상 동작할 수 있다(S151_b).
다음으로,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는 전력 제어 신호(CTRL_PW)를 서로 교환하여, 제1 제어부(110)와 제1 외부 기기(11)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와, 제2 제어부(210)와 제2 외부 기기(12) 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S151_c).
다음으로, 전원 제공부(320)는 표시부(400)로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할 수 있다(S151_d).
다음으로, 전원 제공부(320)는 제1 제어부(110)가 소스 모드로 동작하도록 변경하는 제1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고(S151_e), 제2 제어부(210)가 싱크 모드로 동작하도록 변경하는 제2 모드 변경 신호(S151_f)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제1 제어부(110)는 제1 모드 변경 신호를 제공받는다고 무조건 소스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가 서로 교환한 전력 제어 신호(CTRL_PW)의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준 전압 검출부(310)는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제1 구동 전원(PW1)이 입력되었다는 신호인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전원 제공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S152_a). 이에 따라, 전원 제공부(320)는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에 의하여 정상 동작할 수 있다(S152_b).
다음으로,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는 전력 제어 신호를 서로 교환하여, 제1 제어부(110)와 제1 외부 기기(11)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와, 제2 제어부(210)와 제2 외부 기기(12) 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S152_c).
다음으로, 전원 제공부(320)는 제1 제어부(110)로 싱크 모드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1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52_d).
즉, 도 6에 도시된 방법과는 달리,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와 관련된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준 전압 검출부(310)는 기준 전압 검출 신호(Vdet)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S155_a). 이에 따라, 전원 제공부(32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S155_b).
따라서, 제1 제어부(110)와 제2 제어부(210)는 전력 제어 신호를 서로 교환하여, 제1 제어부(110)와 제1 외부 기기(11)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와, 제2 제어부(210)와 제2 외부 기기(12) 간의 네고시에이션 결과를 서로 공유할 뿐(S155_c), 이외의 다른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의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영상 신호(DATA1)의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신호의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는 제1 커넥터(120)에 외부 기기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220)에 외부 기기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전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20)와 제2 커넥터(220)의 위치에 따른 차이를 제외하면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커넥터(120)에 케이블이 연결된다(S210).
제1 커넥터(120)에 제1 외부 기기(11)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면, 제1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여기서,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220), 표시부(400)에 제2 영상 신호(DATA2)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231).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미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제2 영상 신호(DATA2)가 표시부(400)에 제공되고 있다면, 표시부(400)는 제2 영상 신호(DATA2)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51). 다만, 이는 설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표시부(400)에 제1 영상 신호(DATA1)에 의한 영상의 표시를 묻는 추가적인 화면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됨과 동시에(S220), 표시부(400)에 제2 영상 신호(DATA2)의 제공이 없는 상태인 경우(S231),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241).
여기서,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전술한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10)는 제1 영상 신호(DATA1)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할 것이며, 이를 표시부(400)에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담은 영상 선택 제어 신호(CTRL_DP)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로 제공함과 동시에, 제1 영상 신호(DATA1)를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 신호(DATA1)는 영상 신호 선택부(500)에 의하여 표시부(400)에 제공될 수 있으며(S252), 제1 영상 신호(DATA1)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부(4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20)에 제1 영상 신호(DATA1)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220), 표시부(400)에 제2 영상 신호(DATA2)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32).
여기서, 표시부(400)에 제2 영상 신호(DATA2)가 제공되는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표시부(400)는 제2 영상 신호(DATA2)를 제공받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53).
반면, 표시부(400)에 제2 영상 신호(DATA2)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220), 제1 영상 신호(DATA1) 및 제2 영상 신호(DATA2)가 모두 표시부(400)로 제공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는 각각 제1 영상 신호(DATA1) 또는 제2 영상 신호(DATA2)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254).
전술한 제1 영상 신호(DATA1) 및 제2 영상 신호(DATA2)의 선택은 순서는 도시된 것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판단 순서는 그 선후가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전원 관리 방법과 도 9에서 설명한 영상 신호의 관리 방법은 각각 개별적 판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하나의 외부 기기가, 영상 신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충전되는 동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전원 관리 방법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전원 관리 방법과 비교하여 기준 전압 레벨이 제1 기준 전압 레벨 및 제2 기준 전압 레벨로 더욱 세분화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표시부(400)에 제2 구동 전원(PW2)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도면부호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20)에 케이블이 연결되면(S310),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1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1).
여기서, 제1 기준 전압 레벨이란,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 충분함과 동시에,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까지도 충분한 전압 레벨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1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321),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고,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S331).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0)는 소스 모드로 동작하고(S341a), 표시부(400)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S351a). 또한, 제2 제어부(2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하고(S341b), 제2 커넥터(220)를 통한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 또는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을 위한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S351b).
한편,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1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S321),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1 기준 전압 레벨보다는 작지만, 제2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322).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레벨이란, 표시부(400)를 구동하기에는 충분하나, 제2 커넥터(220)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은 충분하지 않은 전압 레벨의 최소값을 의미한다.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2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322), 표시부(400)에 제1 구동 전원(PW1)을 제공하고,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S332).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0)는 소스 모드로 동작하고(S342a), 표시부(400)는 제1 구동 전원(PW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S351a). 또한, 제2 제어부(210)는 싱크 모드로 동작하고(S342b), 제2 커넥터(220)를 통한 또 다른 제2 구동 전원(PW2)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352b).
한편, 제1 커넥터(120)를 통하여 제공된 제1 구동 전원(PW1)의 전압 레벨이 제2 기준 전압 레벨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322), 제1 제어부(110) 및 제2 제어부(2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S333).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0)는 싱크 모드로 동작(S343a)하고, 제1 제어부(110)는 제1 커넥터(120)를 통한 제1 구동 전원(PW1)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353a). 제2 제어부(210) 또한 싱크 모드로 동작(S343b)하고, 제2 제어부(210)는 제2 커넥터(220)를 통한 제2 구동 전원(PW2)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353b).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표시부(400)의 구동이 우선순위가 아니라, 표시부(400)를 구동하지 않더라도 제2 커넥터(220)에 연결된 제2 외부 기기(12)의 충전이 우선순위인 경우, 이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커넥터(120) 및 제2 커넥터(220) 등 2개의 커넥터가 실장된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커넥터의 개수는 2개에 제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3개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도, 각각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영상 신호 또는 구동 전원의 송수신에 대하여, 표시 장치에서는 실시간으로 각각의 외부 기기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표시 장치
110: 제1 제어부
120: 제1 커넥터
210: 제2 제어부
220: 제2 커넥터
300: 전원 관리부
400: 표시부
500: 영상 신호 선택부

Claims (20)

  1. 제1 영상 신호 및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커넥터;
    제2 영상 신호 및 제2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처리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측정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원 및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제2 커넥터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에는 별도의 영상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는 별도의 영상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기준 전압 검출부 및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 제공부에 기준 전압 검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전원 제공부는 상기 기준 전압 검출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을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에 필요한 최소 전압 레벨인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 및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압 레벨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은 가능하나, 상기 제2 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의 충전은 불가능한 전압 레벨로 정의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영상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선택부에 영상 선택 제어 신호를 제공하되,
    상기 영상 선택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구동 전원은 하나의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1 커넥터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인 표시 장치.
  12. 제1 영상 신호 및 제1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1 커넥터;
    제2 영상 신호 및 제2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이고,
    상기 표시부는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원 또는 상기 제2 구동 전원 이외의 전원을 제공받지 않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제3 영상 신호 또는 제3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른 커넥터이고,
    상기 표시부는 제1 내지 제3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1 내지 제3 구동 전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구동되는
  15. 제1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각종 외부 신호를 제공받는 제4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커넥터는 USB 규격과 상이한 커넥터이고,
    상기 제4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받은 상기 외부 신호는 상기 표시부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표시 장치.
  16.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영상 신호 및 구동 전원을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상기 구동 전원이 제공되지 않은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에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USB 규격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커넥터인 표시 장치.
KR1020160166705A 2016-12-08 2016-12-0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3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705A KR102538873B1 (ko) 2016-12-08 2016-12-0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5/793,608 US10360165B2 (en) 2016-12-08 2017-10-2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711222857.8A CN108172158B (zh) 2016-12-08 2017-11-29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16/438,056 US10664427B2 (en) 2016-12-08 2019-06-1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705A KR102538873B1 (ko) 2016-12-08 2016-12-0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364A true KR20180066364A (ko) 2018-06-19
KR102538873B1 KR102538873B1 (ko) 2023-06-01

Family

ID=6248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705A KR102538873B1 (ko) 2016-12-08 2016-12-0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360165B2 (ko)
KR (1) KR102538873B1 (ko)
CN (1) CN108172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873B1 (ko) * 2016-12-08 2023-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502544B2 (en) * 2020-01-24 2022-11-15 Dell Products, L.P. High-power wireless transmission and conversion
US11996068B2 (en) * 2022-04-26 2024-05-28 Dell Products L.P.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ed shutter controls for external displa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807A (ko) * 2004-10-19 2006-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인터페이스 방법
CN101262582A (zh) * 2007-03-08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连接器控制外部数据传送设备的图像显示装置及其方法
CN101567177A (zh) * 2008-04-25 2009-10-2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和向该显示设备供电的方法
KR101251352B1 (ko) * 2006-12-13 201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콘트롤러 보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7170B1 (en) * 1997-05-05 2003-04-29 Cybex Computer Products Corp. Keyboard, mouse, video and powe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7148909B2 (en) * 1998-05-27 2006-1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nd scaling images on plurality of image source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6587154B1 (en) * 1998-09-30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US20030107566A1 (en) * 2001-12-08 2003-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USB device thereof
KR100846459B1 (ko) * 2001-12-26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형 커넥터를 갖는 액정표시모듈과 이를 구비하는액정표시장치
US7636130B2 (en) * 2003-10-22 2009-12-22 Darwin Chang Television with automatic input switching
CN2899028Y (zh) * 2006-03-28 2007-05-09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显示器
US20070241990A1 (en) * 2006-04-14 2007-10-18 Smith Douglas L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video sources to a display device
US20080126629A1 (en) * 2006-08-11 2008-05-29 Aten International Co., Ltd. Method of wake-up scan for kvm switch
KR20080088854A (ko) * 2007-03-30 2008-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420317B (zh) * 2007-06-08 2013-12-21 雙向溝通連接之usb控制裝置及其運作方法
US20090079814A1 (en) * 2007-09-21 2009-03-26 C&C Technic Taiwan Co., Ltd. Video conference video signal switching
JP4902500B2 (ja) * 2007-11-08 2012-03-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源制御システム
CN101551707A (zh) * 2008-03-31 2009-10-07 宏正自动科技股份有限公司 可将图像信号传输至通用串行总线显示器的切换器及方法
US8195853B2 (en) * 2009-02-19 2012-06-05 Aten International Co., Ltd. Keyboard-video-monitor-periphery (KVMP) switch
KR101677184B1 (ko) * 2010-11-22 2016-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136176A1 (ja) * 2013-03-04 2014-09-1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9431841B2 (en) 2014-03-24 2016-08-30 Nokia Technologies Oy Device to device charging via USB type-C interfaces
CN105335311A (zh) * 2014-07-04 2016-02-1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电源管理方法
TWI590063B (zh) * 2016-04-26 2017-07-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2538873B1 (ko) * 2016-12-08 2023-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807A (ko) * 2004-10-19 2006-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1251352B1 (ko) * 2006-12-13 201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콘트롤러 보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101262582A (zh) * 2007-03-08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连接器控制外部数据传送设备的图像显示装置及其方法
CN101567177A (zh) * 2008-04-25 2009-10-2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和向该显示设备供电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5235A1 (en) 2018-06-14
KR102538873B1 (ko) 2023-06-01
US10360165B2 (en) 2019-07-23
US20190294573A1 (en) 2019-09-26
CN108172158B (zh) 2023-03-28
CN108172158A (zh) 2018-06-15
US10664427B2 (en)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3895B1 (en) Analogue/digital display adaptor and a computer system having the same
US976015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plural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KR101472843B1 (ko) 디스플레이 포트 기능 테스트 장치, 이를 이용하는디스플레이 포트 기능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EP1942486A2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connectors
US7123248B1 (en) Analog multi-display using digital visual interface
US2013000993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N101373589A (zh) 在显示装置中使用的显示控制方法和显示装置
TW201738761A (zh) 顯示裝置
US106644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054880B2 (en) Display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external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91791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US20110087452A1 (en) Test device
KR2010003319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EP1998307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74981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09608A1 (en) Multi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017698B2 (en) Health monitoring device and large area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317897B1 (ko) 테스트 보드 및 그의 구동방법
WO2019163007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TWI541645B (zh) 測試系統及其測試方法
KR20060004410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201321989A (zh) 輸出入裝置以及使用其之顯示設備
US9172932B2 (en) Video signal paths switching in a portable display system
JP5008088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73134B1 (ko)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신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