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068A -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068A
KR20180066068A KR1020187009464A KR20187009464A KR20180066068A KR 20180066068 A KR20180066068 A KR 20180066068A KR 1020187009464 A KR1020187009464 A KR 1020187009464A KR 20187009464 A KR20187009464 A KR 20187009464A KR 20180066068 A KR20180066068 A KR 2018006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crew
tulip
tightening screw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013B1 (ko
Inventor
볼프강 리에스
라스 슈엔지어츠
알렉산더 뒤르
Original Assignee
요이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5012909.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5012909A1/de
Application filed by 요이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요이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6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76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에 로드(10)를 고정하기 위한 로드 고정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튤립부(3)와, 척추경 나사(2)와, 조임 나사(5)를 포함한다. 이 경우, 로드 클램프(6)는 조임 나사에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런 방식으로 로드의 횡방향 이동을 추종할 수 있다. 이는 바로 척추 수술의 적용에서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본 발명은 튤립부(tulip)와, 척추경 나사(pedicle screw)와, 조임 나사(tightening screw)를 포함하여 뼈에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로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추간판이 손상된 경우, 그러나 척추의 기타 손상 역시도 있는 경우, 보통, 2개 이상의 인접한 척추체(vertebral body)를 척추 유합술(spondylodesis)[척추 융합 수술(vertebral fusion surgery)]을 통해 보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척추체 내로, 뒤쪽 근위에 튤립부 또는 로드 베어링을 구비한 척추경 나사들이 조여진다. 다수의 척추골 내에서 각각 척추경 나사 또는 튤립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로드(transverse rod)는 튤립부들 내에서 조임 나사들에 의해 조임 고정된다.
이런 점에서, 비록 구면 헤드(spherical head) 또는 부분 구면 헤드를 구비한 척추경 나사들을 형성하고 로드와 척추경 나사 헤드 사이에는 압착 요소(pressing element)를 제공함으로써 튤립 헤드 및 척추경 나사가 단축 또는 다축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하에 배향될 수 있게 하는 점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러나 압착 나사들은 항상 (횡방향) 로드에 직접 작용한다. 척추의 곡률(후만증 - 흉부; 척추 전만 - 요부)은 비록 그에 상응하게 만곡된 연결 로드들을 통해 고려되거나 매칭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공지된 장치들의 경우 의도치 않은 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튤립 헤드 내에서 로드를 고정하는 조임 나사가 항상 수직으로, 다시 말하면 평면(plane)적으로 자신의 고유 대칭축의 방향에서 로드 쪽에 작용하고 그렇게 튤립 헤드 내에서도 상기 로드를 수직으로 조임 고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을 방지하면서, 뼈에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상의 튤립 헤드 내에서 로드를 조임 고정할 때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가변성(variability)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조임 나사에 상대적으로 회동(pivot) 가능한 로드 클램프(rod clamp)를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장치로 해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라서, 조임 나사에 추가로, 상기 조임 나사와, 튤립 헤드 내에 조임 고정될 대상인 (횡방향) 로드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 클램프가 제공되며, 상기 로드 클램프는 더 나아가 조임 나사에 상대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써, 척추 유합술 동안, 상기 연결 로드에 의해, 특히 다수의 보강 대상 척추체를 통해 발생하는 불균일성은 보상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후에, 항상 (특히 5㎜ 내지 6㎜의 사전 설정된 범위인) 로드의 지름과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선형 접촉, 접촉선, 및 그에 따라 신뢰성 있는 연결과 균일한 힘 전달이 달성된다. 오직 하나의 점 형태 접촉은 배제된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연결) 로드로 구성되는 시스템 역시도 포함하며, 이런 시스템에서 조임 나사와 로드 클램프 사이에 고정된 로드는 조임 나사 및 로드 클램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선에 걸쳐 연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평면적으로도 연결된다(그러나 오직 하나의 점 형태 연결은 없다.). 이런 사항은, 바람직하게는 5㎜와 6㎜ 사이(제한된 범위 이내)의 상이한 지름을 보유한 연결 로드들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로드 클램프 및 조임 나사가 서로 향해 있으면서 주축(A)(main axis)에 대해 경사져 배향되는 양측 구면 구역(spherical zone)을 포함하고, 이들 구면 구역을 통해 로드 클램프 및 조임 나사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면 구역들은 바람직하게는 조임 나사 및 로드 클램프의 외부면 영역(jacket region)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조임 나사는 자신의 원위 단부의 단부면(distal end of end face)에 [구면형태(spherical layer)의 표면으로서] 구면 구역의 형태로 바깥쪽 원위에서부터 안쪽 근위를 향해 경사져 연장되는 환형 단부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로드 클램프는 구면 구역의 형태로 대응하는 근위 단부면(proximal end face)을 포함한다.
"근위(proximal)"는, 본원 장치의 사용 동안, 집도의 또는 사용자로 (축 방향으로) 향해 있는 본원 장치의 영역을 지칭하며, "원위(distal)"는 집도의 또는 사용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고 그에 따라 환자로 향해 있거나 환자 체내에 위치하는 본원 장치의 영역을 지칭한다.
이 경우,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조임 나사와 로드 클램프를 연결하는 로드 클램프 어댑터가 제공되며, 로드 클램프 어댑터는,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지향되어 조임 나사 내의 반경 방향 노치(radial notch) 내에 유격(play) 하에 맞물리는 근위 돌출부들(proximal protrusion)을 구비한 환형부(annular part)이며, 특히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지향되어 로드 클램프의 반경 방향 노치 내로 맞물리는 원위 돌출부들(distal protrusion)도 제공된다.
근위에서 조임 나사의 단부면 안쪽에는 반경 방향 환형 그루브(radial annular groove)가 언더컷부로서 형성된다. 고정 대상 로드를 위한 로드 클램프는, 조임 나사 쪽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근위 단부에, 주 종축(main longitudinal axis)에 대해 마찬가지로 경사져 연장되고 상기 단부면에 상응하는 단부면을 포함한다. 로드 클램프 역시도 자신의 외부면의 내면 상에 반경 방향 환형 그루브가 구비된다. 이 환형 그루브들 내로는, 결과적으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조임 나사 상에 로드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형성되는, 환형 로드 클램프 어댑터의 돌출부들이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조임 나사 및 로드 클램프는 서로 안쪽에서 맞물어 고정하는 언더컷부들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조임 나사와 로드 클램프 간의 회동 가능한 연결이 제공된다.
이로써, 조임 나사와 로드 클램프는, 자신들의 상대적인 회동성에도 불구하고, 소실되지 않게 서로 연결되는 점이 달성된다. 언더컷부의 제공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서, 조임 나사의 언더컷부는 환형 돌출부를 통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로드 클램프의 언더컷부는 주연(periphery)에 걸쳐 배치되는 2개보다 많은 개수의 탄성 핑거부(elastic finger) 상에 형성된다. 환형부들 및 이 환형부들 상의 언더컷부들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8개이다. 마지막에 언급한 구현예를 통해, 맨 먼저, 별도로 제조되는 조임 나사 및 로드 클램프는 축 방향으로의 상호 간 압입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로드 클램프의 핑거부들은 조임 나사의 환형 돌출부 안쪽으로 더 후퇴되고 이에 이어서 핑거부들의 돌출부들은 조임 나사의 환형 돌출부 또는 조임 나사의 언더컷부를 안쪽에서 맞물어 고정한다. 그에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특히 회동 가능한 연결에도 불구하고, 두 부재의 소실 방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조임 나사는 언더컷부로부터 이격될수록 가늘어지는 내부 원추체(inner cone)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다시 말해 조임 나사와 로드 클램프 간에 회동 또는 경동(tilting)이 있을 때에도, 항상 두 부재 간의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가 제공되는 점이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조임 나사의 내부 원추체의 근위 영역 또는 그 테이퍼 영역 쪽으로 이동되는 로드 클램프의 영역이, 바로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통해, 옆쪽으로 밀착되며, 그리고 조임 나사의 리세스(recess)의 대향하는 확대된 영역 또는 그 원위 영역은 상기 영역에서도 역시 그에 상응하게 옆쪽으로 조임 나사의 외주 벽부(peripheral wall)에서 접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로드 클램프는 조임 나사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측에 부분 원형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 원형 리세스는 로드 클램프의 주 대칭축에 대해 수직인 대칭축을 보유하며, 상기 대칭축은 조임 나사의 대칭축과 함께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로드 클램프의 부분 원형 리세스는 자신의 주연의 일부분에 걸쳐서 로드를 에워쌀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조임 나사는 비대칭 나사산을 포함하며, 특히 조임 나사의 나사산에서 나사 조임 방향으로 근위로 지향되는 플랭크(flank)는 조임 나사의 대칭축에 대한 반경 방향 평면(radial plane)에 대해 5°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 특히 3°보다 작거나 같고 0°가 아닌 각도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조임 나사의 나사산에서 나사 조임 방향으로 (원위로) 지향되는 플랭크는 조임 나사의 대칭축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평면에 대해 30°만큼의 각도로 연장된다. 이 경우, 플랭크들은 나사의 수직 종축으로 근위로 지향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조임 나사는, 로드 클램프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측에, 다수의 회전 비대칭형 (비원통형) 함몰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조임 나사의 상기 근위 비원통형 리세스 쪽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나사를 조이기 위한 나사 조임 공구(screw tightening tool)가 본원 장치의 튤립부 내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로드 클램프에 상대적으로 튤립부 내에 장착되는 압착 요소가 제공되고, 특히 상기 압착 요소는 튤립부 내에서 경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압착 요소의 지름은 자신의 단부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튤립부의 내경에 비해 감소되며, 그럼으로써 압착 요소는 튤립부의 내부에서 경동될 수 있게 된다. 튤립부의 압착 요소는 자신의 원위 단부면에서 자신의 근위 단부면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그럼으로써 근위에서 튤립부의 내부 벽부와 압착 요소의 외부 벽부 사이의 반경 방향 유격이 제공되거나, 또는 튤립부의 내부 벽부는, 압착 요소의 근위 단부면의 높이에서 그 원위 단부면의 높이로 갈수록, 압착 요소와 튤립부 간의 반경 방향 유격을 보장하면서 압착 요소의 원위 단부면의 높이로 확대된다.
그에 따라, 원위에서 로드 클램프에 대향하면서 로드 클램프와 자신의 사이에서 로드를 고정하는 압착 요소는, 에워싸는 튤립부의 내부 챔버와 함께, 또는 그와 관계하여, 클램핑 장치를 통해 가능해진, 고정된 로드의 배향을 수용하고 마찬가지로 가능하게 하고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척추경 나사, 압착 요소 및 튤립부를 포함한다. 본원의 고정 장치는 조임 나사 및 로드 클램프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 모두는 캐뉼라 삽입술(cannulization)로 삽입되며, 다시 말해 모든 부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중공부를 포함한다.
튤립부는 척추경 나사를 파지하며, 그리고 뼈 내에서 척추경 나사의 조임 후에는 로드의 지지를 위해 이용된다. 다시 말해, 튤립부는 로드 지지부이면서 로드 지지부로서도 지칭된다.
튤립부는 근위에서 사전 설정된 파괴점을 통해 튤립 연장부와 연결된다. 튤립부와 튤립 연장부는 이 두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암나사부와, 이 두 부분의 벽부 내에서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장공부들(long-hole)을 포함한다.
척추경 나사는, 셀프태핑형(self-tapping) 척추경 나사산을 구비한 척추경 나사 축부를 포함하고, 근위 단부에서는 척추경 나사 헤드를 포함하며, 척추경 나사 헤드는 튤립부에 의해 에워싸인다. 튤립부의 원위 영역에는, 로드를 위한 압착 요소가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 배치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척추경 나사의 나사 축부는 2줄 나사산을 포함하며, 특히 나사 축부의 근위 영역은 4줄 나사산으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척추경 나사 축부의 1/4의 길이에 걸쳐 4줄 나사산으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뼈 내에서 나사의 더 적합한 파지가 달성된다. 2줄 나사산은 2개의 나사 날(screw thread)을 포함한다. 이들 나사 날은 서로 뒤섞여 감기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나사 날 돌출부 또는 치부에서 나사 축부로 향하는 전이부는 전이부의 유한한 곡률 반경으로 라운딩된다. 이로써, 나사의 안정성은 증가되고, 나사 플랭크들의 쪼개짐은 방지된다.
척추경 나사 축부는 외부면에서 자신의 내부 중심 루멘으로 향하는 관통구들을 구비한다. 나사의 루멘 및 관통구들을 통해 특히 골 시멘트(bone cement)와 같은 페이스트형 매스(paste-like mass)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나사의 삽입 후 관통구들이 척추체의 안쪽에 위치함으로써(뼈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그 다음 시멘트가 상기 관통구들을 통과하여 고정을 위해 척추체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구들이 나사의 원위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는 점이다.
조임 나사의 수나사부는 튤립부의 암나사부에 매칭된다. 튤립부 내에 삽입된 로드는, 조임 나사가 작용하는 대상으로 근위 측에서부터 로드를 에워싸는 로드 클램프와, 원위에서 작용하는 압착 요소 사이에 고정되며, 이를 통해 로드는, 특히 본원의 장치의 축에 대해 90°와 같거나, 또는 같지 않은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개별 요소들의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형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조임 나사의 근위 단부에는, 조임 나사로 토크의 전달을 위해 나사 조임 공구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다수의 비원통형 함몰부가 제공된다. 조임 나사의 외면(outside)은 특히 특수한 톱니 나사산(buttress thread)의 형태인 비대칭형 조임 나사 날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임 나사는 근위에서 자신의 원위 단부면 안쪽에, 원위 단부면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내부 원추체의 형태로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환형 돌출부에는 언더컷부를 통해 근위에서 조임 나사의 루멘을 근위 방향으로 테이퍼 형태로 형성하는 내부 원추체가 이어지며, 이 내부 원추체는 조임 나사의 함몰부의 원위 단부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함몰부보다 더 큰 지름을 보유한다.
로드 클램프는,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노즈부들(nose)을 구비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지향되는 탄성 핑거부들의 열을 포함하며, 노즈부들은, 자신의 언더컷부들로 환형 돌출부를 통해 형성되는 조임 나사의 언더컷부 내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통해, 조임 나사의 언더컷부들과 상호작용한다. 로드 클램프의 원위 단부면은 횡방향 로드의 수용을 위한 부분 원통형 클램프 리세스를 포함한다.
조임 나사의 내부 원추체의 치수 설계를 기반으로, 조임 나사 내에서 로드 클램프의 경동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근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내부 원추체의 구현예를 통해, 로드 클램프의 경동된 위치에서도, 로드 클램프의 노즈부들은 내부 원추체의 내부 벽부와 접촉한다. 이런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배향되고 경동된 위치에서 로드 클램프(6)의 반경 방향 고정이 보장된다.
다축 압착 요소는 자신의 근위 측에 로드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거나 수용하기 위한 부분 원통형 리세스를 포함하며, 그에 반해, 척추경 나사의 구면 나사 헤드를 파지하기 위해, 추가 반구면 또는 구면 리세스가 압착 요소의 원위 단부면 상에 제공된다.
(로드에 대한) 원위 압착 요소는 자신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직경 혹은 폭이 줄어드는) 외부면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면과 튤립부의 내부 벽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써 축 방향으로 배향된 중앙 위치에 대해 튤립부의 내부에서 압착 요소의 경동이 가능해진다.
부분 원통형 리세스는, 5㎜와 6㎜ 사이와 같은 상이한 지름을 보유한 로드들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 반경을 보유한다.
압착 요소는, 자신의 외면 상에, 튤립부의 내부에서 압착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에서부터 튤립부를 통과하여 조여질 수 있는 횡방향 나사들을 위한 압착 표면들을 포함한다.
다축 척추경 나사는 구면 척추경 나사 헤드를 포함하며, 이 척추경 나사 헤드는 다축 압착 요소의 원위 영역 상의 구면 리세스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제한 없이 회동될 수 있다. 나사 헤드 및 그에 따른 척추경 나사(2)는 압착 요소에 의해 (소실 방지되게) 튤립부 내에서 파지되는데, 그 이유는 튤립부가 자신의 원위 단부에 나사 헤드의 지름에 비해 수축된 개구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단축 압착 요소는, 중앙 관통구를 에워싸는 원뿔대형 외주 테두리를 구비하여 척추경 나사의 나사 헤드로 향해 있는 편편한 원뿔대형 원위 단부면을 포함한다.
단축 배향의 경우, 압착 요소 및 척추경 나사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그러나 항상 튤립부 및 이 튤립부 내에 조여진 조임 나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따라서 단축으로 배향된다.
튤립부의 내부 벽부는 단차부(step)를 포함하고 근위에서는 상기 단차부의 안쪽에 확대부(expansion)를 포함하며, 상기 확대부는 근위 방향으로 축을 따라 직경 혹은 폭이 줄어든다. 나사 헤드는 근위에서 상기 단차부까지 튤립부 내에 도달한다. (단축) 압착 요소는 원위에서 상기 도달한 위치에서 비로소 개시되고 자신의 원위 단부에서는 튤립부의 확대부보다 더 작은 지름을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그 해당 위치에서 소정의 측면 유격이 존재하게 되며, 그리고 이런 식으로 결과적으로 클램핑 장치를 통해 허용되는 로드의 편심 배향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수용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축 압착 요소는 튤립부 내에서 약간 경동될 수 있게 된다.
단축 척추경 나사는, 자신의 근위 단부에, 그에 상응하게 회동될 수 있는 (단축) 척추경 나사 헤드를 포함한다. 나사 헤드는 원통형 외부면, 및 편편한 근위 단부면 측 함몰부를 포함하며, 이 함몰부는 압착 요소의 외주 테두리에 매칭되고 마찬가지로 원뿔 환형인 테두리를 포함한다.
로드 클램프를 포함한 클램핑 장치를 통해, 연결 로드의 경동식 배치는 로드 클램프 및 압착 요소의 상응하는 회동 운동을 통해 조정될 수 있고, 이는 한편으로 고정 장치의 하중,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자의 중압감을 적어도 대폭 감소시키며, 요컨대 이로써 고정 장치의 안정성, 특히 고정 장치의 장기 안정성은 실질적으로 증대된다. 그에 따라, 본원의 장치 내에서 횡방향 로드의 배향의 가변성을 통해, 구조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하기 기재내용에서 제시된다.
도 1은 다축 구현예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로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 도 2의 장치를 도 2의 도면에 비해 90° 미만의 각도로 돌린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클램핑 장치의 제1 구현예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2a의 고정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 내지 도 3의 고정 장치를 도 3의 단면에 비해 90° 미만의 각도로 돌린 상태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로드 클램프가 조임 나사에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구현예의 클램핑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4의 구현예를 본원의 장치의 종축(A)을 중심으로 90°만큼 오프셋 시킨 상태에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b는 로드 클램프 어댑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c는 로드 클램프 어댑터의 원위 단부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특히 클램핑 장치의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제2 구현예의 고정 장치를 도 1 내지 도 3a의 도면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원의 장치의 종축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배향된 횡방향 로드를 포함하는 도 5의 장치를 도 2a에 상응하게 도 5의 단면에 대해 90°만큼 오프셋 시킨 상태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 도 5a의 제2 구현예의 조임 나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 도 5a의 제2 구현예의 로드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로드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구현예의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클램핑 장치를 90° 만큼 축 방향으로 돌린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로드 클램프가 경동된 상태에서 도 8의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클램핑 장치를 90° 만큼 축 방향으로 돌린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축 압착 요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압착 요소를 90° 만큼 축 방향으로 돌린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압착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축 척추경 나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척추경 나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고정 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의 고정 장치의 일부분을 축 방향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0은 단축 압착 요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압착 요소를 90° 만큼 축 방향으로 돌린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의 압착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부분적인 4줄 나사산을 구비한 단축 척추경 나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척추경 나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는, (다축) 척추경 나사(2)와 튤립부(3)를 포함한 고정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1)는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주축(A)을 보유한다. 상기 장치는, 도 2에, 그리고 특히 도 3에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조임 나사(5) 및 로드 클램프(6)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 모두는 캐뉼라 삽입으로 삽입되며, 다시 말해 모든 부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중공부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근위"는, 상기 장치(1)의 사용 동안, 집도의 또는 사용자로 (축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장치의 영역을 지칭하며, "원위"는 집도의 또는 사용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고 그에 따라 환자로 향해 있거나 환자 체내에 위치하는 상기 장치의 영역을 지칭한다.
튤립부(3)는 척추경 나사(2)를 파지하며, 그리고 뼈, 특히 척추골 내에서 척추경 나사의 조임 후에는 로드(10)(도 2, 3)의 지지를 위해 이용되며, 상기 로드는 특히 척추 또는 장골(long bone)의 방향으로, 또는 편평골(flat bone)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다른 뼈/척추골 또는 예컨대 장골의 또 다른 위치에서 척추경 나사들과 함께 추가 튤립부들을 통해 파지되어 뼈/척추골을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튤립부(3)는 로드 지지부이면서 로드 지지부로서도 지칭된다.
튤립부(3)는 자신의 근위 단부에서 사전 설정된 파괴점(7.3)을 통해 튤립 연장부(7)와 연결된다. 튤리부(3)와 튤립 연장부(7)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서, 사전 설정된 파괴점(7.3)은 반경 방향으로 감소되는 횡단면 또는 감소된 벽 두께를 보유한다. 튤립 연장부(7)의 근위 단부(7.4)에서, 상기 튤립 연장부는 상응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연장 축부(8)와 연결하기 위한 수나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튤립부(3) 및 튤립 연장부(7)는 연장 축부(8)처럼 캐뉼라 삽입술로 삽입된다. 튤립부(3) 및 튤립 연장부(7)는 자신들에 걸쳐 연장되는 암나사부(3.1, 7.1)를 포함한다. 추가로, 튤립 연장부(7)의 원위 영역에서, 그리고 튤립부(3)의 근위 영역에서, 상기 두 부재의 벽부에는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장공부들(3.2, 7.2)이 연장되며, 이들 장공부는 축 방향으로 튤립 연장부(7)의 대부분에 걸쳐, 그리고 튤립(3)의 경우는 그의 대략 반에 걸쳐 연장된다.
척추경 나사(2)는, 셀프태핑형 척추경 나사산(2.2)을 구비한 척추경 나사 축부(2.1)를 포함한다. 척추경 나사(2)의 근위 단부에는, 튤립부(3)에 의해 에워싸이는 척추경 나사 헤드(2.3)가 형성된다(도 1 ~ 3).
척추경 나사 헤드(2.3)가 그 내로 삽입되는 튤립부(3)의 원위 영역에는, 압착 요소(9)가 배치되며, 이 압착 요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하기에서 기재된다.
도시된 척추경 나사(2)는 2줄 나사산, 다시 말해 2개의 나사 날(S1, S2)(도 15)을 포함한다. 척추경 나사(2)는 1줄 또는 (2줄이 아닌) 다줄 나사산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척추경 나사 축부(2.1)는 척추경 나사(2)의 외부면(2.5)에 내부 루멘(2.6)으로 향하는 관통구들(2.4)을 구비한다. 루멘(2.6)은 축 방향으로 전체 척추경 나사(2)를 관통한다. 루멘(2.6) 및 관통구들(2.4)을 통해, 세척액 또는 골 시멘트와 같은 액체 및/또는 특히 페이스트형 매스가 삽입될 수 있다.
조임 나사(5)의 수나사부(5.2)는 튤립부(3)의 암나사부(3.1)에 매칭된다(이는 계속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2(도 2a ~ 도 4a 역시 참조)에는, 튤립부(3) 내에 고정된 로드(10)가 (단면도에서) 확인되며, 이 로드는, 조임 나사(5)가 작용하는 대상이면서 근위 측에서 상기 로드를 에워싸는 로드 클램프(6)와, 원위에서 작용하는 압착 요소(9) 사이에 고정된다. 로드(10)의 고정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하기에서 다루어진다.
도 3a에는, (해당 배향이 이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기재되는 개별 요소들의 구현예를 통해 가능해지는 것처럼) 장치 축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로드(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가 절단되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조임 나사(5)(도 3, 3a)는 주축(A)과 일치하는 축 방향 대칭축을 보유한다. 조임 나사(5)의 근위 단부에는 다수의 비원통형 함몰부(5.1)가 제공되며, 이 함몰부는 나사 조임 공구(미도시, 예: 나사 드라이버)에 조임 나사(5)로 토크의 전달을 위한 형상 결합식 맞물림을 제공한다. 함몰부(5.1)는 4각형 또는 다각형으로서, 특히 토륵스 프로파일(torx profile)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조임 나사(5)의 외면은 비대칭형 조임 나사 날(5.2)을 구비하며, 나사 조임 방향(F)은 원위로 지향된다. 도 5에서, 조임 나사 날(5.2)은 톱니 나사산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나사산 유형들, 특히 또 다른 비대칭형 나사산 유형들도 역시 가능하다.
조임 나사 날(5.2)이 특수한 톱니 나사날인 경우, 플랭크들(5.3, 5.4)은 (축 수직인) 반경 방향 평면들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근위 방향으로 경사지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치부 몸체의 원위로 지향되는 플랭크(5.3)는 여기서 30°만큼 경사지고 나사 날의 근위로 지향되는 플랭크(5.4)는 3°만큼 경사지며, 그럼으로써 (두 플랭크 사이의) 플랭크 간 각도는 27°이다. 상기 톱니 나사산은 나사 조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나타낸다.
상기 제1 구현예의 경우, 조임 나사(5)는, 자신의 원위 단부에, 특히 도 3에 상응하게, (구면층의 외부면으로서) 구면 구역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축(A)에 대해 바깥쪽 원위에서부터 안쪽 근위를 향해 경사져 연장되는 환형 단부면(5.9)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 단부면 근위에서 안쪽에는 반경 방향 환형 그루브(5.10)가 언더컷부로서 형성된다. 고정 대상 로드(10)를 위한 로드 클램프(6)는, 조임 나사(5) 쪽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근위 단부에, 축(A)에 대해 마찬가지로 경사져 연장되고 상기 단부면(5.9)에 상응하는 단부면(6.7)을 포함한다. 로드 클램프(6) 역시도 자신의 외부면의 내면 상(단부면 부위의 내측 면)에 반경 방향 환형 그루브(6.8)가 구비된다. 이 환형 그루브들(5.10, 6.8) 내로는, 결과적으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조임 나사(5) 상에 로드 클램프(6)를 고정하기 위해, (주연에 걸쳐 균일하지 않게 배치되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형성되고 여기서는 4개인, 환형 로드 클램프 어댑터의 돌출부(6a.1 및 6a.2)가 맞물린다. 로드 클램프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로드 클램프(6)와 용접된다.
도 5에는, 클램핑 장치(4)의 제2 구현예의 조임 나사(5)가 축 방향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임 나사가 도 3a, 도 3a를 참조하여 기재한 조임 나사와 동일한 점에 한해, 도 3 및 도 3a에 대한 기재내용이 참조된다.
조임 나사(5)는 자신의 원위 단부면 근처 안쪽에, 원위 단부면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내부 원추체의 형태로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환형 돌출부에는 언더컷부(5.6)를 통해 근위에서 조임 나사(5)의 루멘(5.7)을 근위 방향으로 테이퍼 형태로 형성하는 내부 원추체(5.8)가 이어지며, 이 내부 원추체는 축 방향으로 조임 나사(5)의 함몰부(5.1)의 원위 단부 영역에서 종결되고 반경 방향으로는 함몰부(5.1)보다 더 큰 지름을 보유한다.
로드 클램프(6)는 마찬가지로 환형으로 루멘을 구비하여 형성되고(도 6), 자신의 원위 단부면에는 보어(6.1)를 구비하며, 이 보어는 축 방향으로 로드 클램프(6)의 높이의 대략 반에 걸쳐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는 일정한 횡단면을 보유한다. 로드 클램프(6)는, 보어(6.1)의 근위 단부에, 자신의 단부 영역에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노즈부들(6.3)을 구비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지향되는 탄성 핑거부들(6.2)의 열을 포함하며, 상기 노즈부들은 언더컷부들(6.4)을 형성한다. 로드 클램프(6)의 축 방향 대칭축(S')은 조임 나사(5)의 대칭축과 일치한다. 로드 클램프(6)와 조임 나사(5)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하기에서 다루어진다.
로드 클램프(6)의 원위 단부면은 횡방향 로드(10)(도 7)의 수용을 위한 부분 원통형 리세스(6.5)를 포함한다. 로드 클램프(6)는 부분 원통형 리세스(6.5)의 대칭축의 방향으로 양측에 연장부들(6.6)을 포함한다.
도 8에는, 서로 끼워진 조임 나사(5) 및 로드 클램프(6)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조임 나사(5)와 로드 클램프(6)는 축 방향으로 서로 근접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로드 클램프(6)의 노즈부들(6.3)은 맨 먼저 조임 나사(5)의 원추형 환형 돌출부(5.5)와 접촉하게 된다. 축 방향으로 추가 이동하면, 핑거부들(6.2)이 환형 돌출부(5.5)의 원뿔 플랭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밀착되며, 그럼으로써 추가의 상대적 축 방향 이동이 허용된다. 핑거부들(6.2)의 노즈부들(6.3)이 환형 돌출부(5.5) 건너편의 언더컷부(5.6)에 도달한다면, 노즈부들(6.3)은, 언더컷부들(6.4)에 의해, 환형 돌출부(5.5)를 통해 형성되는 조임 나사(5)의 언더컷부(5.6) 내에 맞물려 고정된다. 그 결과, 조임 나사(5)는 소실되지 않게 로드 클램프(6)와 연결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서로 상대적으로 90°만큼 회전된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조임 나사(5)의 내부 원추체(5.8)의 치수 설계를 기반으로, 도 10 및 도 11에 조임 나사(5)의 대칭축(S)에 대해 약 6°의 경사 각도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조임 나사(5) 내에서 로드 클램프(6)의 경동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근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직경이 줄어드는) 내부 원추체(5.8)의 구현예를 통해, 로드 클램프(6)의 경동된 위치에서도, 로드 클램프의 노즈부들(6.3)은 내부 원추체(5.8)의 내부 벽부와 접촉한다. 이런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배향되고 경동된 위치에서 로드 클램프(6)의 반경 방향 고정이 보장된다. 도 11에는, 도 10의 클램핑 장치(4)가 90°만큼 회전된 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언급한 것처럼) 고정 장치(1)의 다축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 장치는 추가로 다축 압착 요소(9)(도 12 ~ 14)와, 구면 나사 헤드(2.3)를 구비한 상기 기재한 척추경 나사(2)(도 15, 16)를 포함한다.
다축 압착 요소(9)(도 12 ~ 14)는 자신의 근위 측에 로드(10)를 부분적으로 에워싸거나 수용하기 위한 부분 원통형 리세스(9.1)를 포함하며, 그에 반해, 척추경 나사(2)의 구면 나사 헤드(2.3)를 파지하기 위해, 추가 반구면 또는 구면 리세스(9.2)가 압착 요소(9)의 원위 단부면 상에 제공된다.
[로드(10)에 대한] 원위 압착 요소(9)는 자신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외부면(9.4)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면과 튤립부(3)의 내부 벽부 사이에 간극(9.5)이 형성된다(특히 도 3).
이를 통해, 축 방향으로 배향된 중앙 위치에 대해 튤립부(3)의 내부에서 압착 요소(9)의 경동이 가능해진다. 이런 식으로, 압착 요소(9)는 그에 상응하게 기재한 클램핑 장치(4)를 통해 로드(10)에서 가능해진 경동된 배향을 취할 수 있고, 이런 배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튤립부(3)의 벽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장공부들(3.2)의 배향에 대해 각도 오프셋된, 다시 말해 축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배향으로도 고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클램핑 장치(4)는 로드(10)의 상기 기울어진 배향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런 배향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부분 원통형 리세스(9.1)는, 도 3에 도시된 로드(10)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보유한다. 따라서 압착 요소(9)의 근위 개구부에서 대략 로드(10)의 반의 높이에, 로드(10)의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유격(9.6)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이한 지름을 갖는 로드들(10)은 동일한 고정 장치(1)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로드가 예컨대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이용되고 통상적인 것처럼 5.5㎜의 지름을 보유하고 원통형 리세스는 6㎜의 지름을 보유한다면, 6㎜ 지름을 갖는 로드 역시도, 예컨대 보통 5.5㎜ 지름을 갖는 로드가 필요한 강도를 나타내지 못하는 힘이 센 환자, 특히 젊은 환자에게도 이용될 수 있다.
압착 요소(9)의 반경 방향 외면에서 원위 영역에는 서로 대향하면서 함몰된 2개의 압착 표면(9.3)이 튤립부(3)의 내부에서 압착 요소(9)를 고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에서부터 튤립부(3)를 통과하여 조여질 수 있는 횡방향 나사들(3.5)을 위해 제공된다.
다축 척추경 나사(2) 자체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고, 이미 전술한 것처럼 구면 척추경 나사 헤드(2.3)를 포함한다. 척추경 나사 헤드(2.3)는 다축 압착 요소(9)의 원위 영역 상의 구면 리세스(9.2)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나사 헤드(2.3) 및 그에 따른 척추경 나사(2)는 압착 요소(9)에 의해 (소실 방지되게) 튤립부(3) 내에서 파지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튤립부가 자신의 원위 단부(3.3)에 나사 헤드의 지름에 비해 수축된 개구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도 1 ~ 4).
도 17 이하의 도면들에 따른 단축 장치의 경우, 특히 조임 나사(5) 및 로드 클램프(6)를 포함한 클램핑 장치(4)는 앞에서 기재한 다축 고정 장치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클램핑 장치이다. 차이점은, 오직 척추경 나사(2)의 (단축) 척추경 나사 헤드(2.3a)와 (단축) 압착 요소(9a)에만 있으며, 이는 도 19 ~ 24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는, 단축 고정 장치(1)가 측면도(도 17) 및 종단면도(도 18, 19)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재들 및 특징들은 원칙상 도 1 내지 도 16의 다축 구현예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대응하는 부재들 및 특징들 역시도 참조된다. 하기에서는, 상이한 특징들만이 설명된다.
도 17 내지 도 19의 클램핑 장치(1)의 경우, 고정된 횡방향 로드(10)의 원위에서는 단축 압착 요소(9)를 포함한 튤립부(3)가 확인된다. 압착 요소(9)는 척추경 나사 헤드(2.3a)를 파지하며, 그에 반해 척추경 나사(2) 자체는 척추체 내에 조여져 고정된다(미도시). 횡방향 로드(10)의 근위에서 튤립부(3) 내에는 회전용 공구(미도시)에 의해 튤립 연장부(7)의 암나사부(7.1)를 따라 나사 조임 방향(F)으로 조여진 조임 나사(5)가 위치하며, 이 조임 나사는 로드 클램프(6)에 작용한다. 상기 로드 클램프는 (여기서는) 경동된 위치를 취하며, 그에 따라 다축 연장 방향에서 횡방향 로드(10)를 수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단축 압착 요소(9a)는, 다축 압착 요소(9)와 동일하게, 로드(10)의 부분적인 수용을 위한 근위 부분 원통형 리세스(9.1)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그와 달리 원뿔 환형 외주 테두리(9a.3)를 구비하여 척추경 나사(2)의 나사 헤드(2.3a)로 향해 있는 편편한 원뿔대형 원위 단부면(9a.2)도 포함하며, 상기 외주 테두리는 중앙 관통구(9a.4)를 에워싼다(도 20 ~ 22).
튤립부(3)의 내부 벽부는 단차부(3.7)를 포함하고 근위에서는 상기 단차부의 안쪽에 확대부(3.8)를 포함하며, 상기 확대부는 근위 방향으로 단축으로 가늘어진다. 도 17 이하의 도면에 따른 단축 구현예의 경우, 나사 헤드(9a)는 근위에서 상기 단차부(3.7)까지 튤립부(3) 내에 도달한다. (단축) 압착 요소(9a)는 원위에서 상기 도달한 위치에서 비로소 개시되고 자신의 원위 단부에서는 확대부(3.8)보다 더 작은 지름을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그 해당 위치에서 소정의 측면 유격이 존재하게 되며, 그리고 이런 식으로, 결과적으로, 도 4에서처럼, 클램핑 장치(4)를 통해 허용되는, 다축 장치(1)를 위한 로드의 편심 배향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수용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축 압착 요소(9a)는 튤립부(3) 내에서 약간 경동될 수 있게 된다.
도 22에는, 단축 압착 요소(9a)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로드(10)의 횡방향 프레임에 비해 확대된 리세스(9.1)는 로드(10)의 편심 고정을 허용한다.
특히 도 18,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척추경 나사(2)는 자신의 근위 단부에 그에 상응하게 회동될 수 있는 단축 척추경 나사 헤드(2.3a)를 포함한다. 나사 헤드(2.3a)는 원통형 외부면(2.5)과 편편한 근위 단부면 측 함몰부(2.5a)를 포함하며, 이 함몰부는 외주 테두리(9a.3)에 매칭되고 마찬가지로 원뿔 환형인 테두리(2.6a)를 포함한다(도 19, 도 24).
도 22까지 도시된 척추경 나사들(2)이 나사 축부(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2줄 나사산을 포함하는 반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척추경 나사(2)는 나사 축부(2.1)의 근위 영역에 나사산 또는 나사 축부(2.1)의 길이의 약 1/4 안팎에 걸쳐서 4줄 나사산(2.2.1)을 포함한다. 이런 구현예는 도 1 내지 도 4, 도 15, 도 15에 따르는 다축 척추경 나사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9)

  1. 튤립부(3)(로드 베어링)와, 척추경 나사(2)와, 조임 나사(5)를 포함하여 뼈에 로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조임 나사(5)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로드 클램프(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클램프(6) 및 조임 나사(5)는, 서로 향해 있으면서 주축(A)에 대해 경사져 배향되는 양측 구면 구역(6.7, 5.9)을 포함하고, 상기 구면 구역을 통해 상기 로드 클램프 및 조임 나사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나사(5) 및 로드 클램프(6)는 서로 안쪽에서 맞물어 고정하는 언더컷부들(5.6, 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의 언더컷부(5.6)는 환형 돌출부(5.5)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클램프(6)의 언더컷부들(6.4)은, 노즈부들(6.3)을 구비하여 주연에 걸쳐 배치되는 2개보다 많은 개수의 탄성 핑거부(6.2)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는 근위 방향으로 상기 언더컷부(5.6)로부터 이격될수록 가늘어지는(직경이 줄어드는) 내부 원추체(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나사(5) 및 로드 클램프(6)를 연결하는 로드 클램프 어댑터(6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클램프 어댑터(6a)는,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지향되어 조임 나사(5) 내의 반경 방향 노치 내에 유격 하에 맞물리는 근위 돌출부들을 구비한 환형부이며, 특히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지향되어 로드 클램프(6)의 반경 방향 노치 내로 맞물리는 원위 돌출부들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로드 클램프(6) 및 로드 클램프 어댑터(6a)는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클램프(6)는 상기 조임 나사(5)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측에 부분 원형 리세스(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는 비대칭형 조임 나사 날(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의 나사산(5.2)에서 나사 조임 방향(F)으로 근위로 지향되는 플랭크(5.4)는 상기 조임 나사(5)의 대칭축(S)에 대한 반경 방향 평면에 대해 5°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 특히 3°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의 나사산(5.2)에서 나사 조임 방향(F)으로 (원위로) 지향되는 플랭크(5.3)는 상기 조임 나사(5)의 대칭축(S)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평면에 대해 30°만큼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나사(5)는 상기 로드 클램프(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측에 다수의 비원통형 함몰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클램프(6)에 대향하여 상기 튤립부(3) 내에 장착되는 압착 요소(9, 9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요소(9, 9a)는 상기 튤립부(3) 내에 경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요소(9, 9a)의 지름은 자신의 단부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튤립부(3)의 내경에 비해 작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압착 요소(9, 9a)는 상기 튤립부(3)의 내부에서 경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튤립부(3)의 압착 요소(9)는 자신의 원위 단부면에서 자신의 근위 단부면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그럼으로써 근위에서 상기 튤립부(3)의 내부 벽부와 상기 압착 요소(9)의 외부면(9.4) 사이의 반경 방향 유격(9.6)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튤립부(3)의 내부 벽부는, 상기 압착 요소(9a)의 근위 단부면의 높이에서 그 원위 단부면의 높이로 갈수록, 압착 요소(9a)와 튤립부(3) 간의 반경 방향 유격(9.6)을 보장하면서(보장하도록) 상기 압착 요소(9a)의 원위 단부면의 높이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경 나사(2)의 나사 축부(2.1)는 2줄 나사산(2.2)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나사 축부(2.1)의 근위 영역은 4줄 나사산(2.2.1)으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추경 나사 축부(.21)의 1/4의 길이에 걸쳐 4줄 나사산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KR1020187009464A 2015-10-06 2016-09-01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KR102612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12909.0 2015-10-06
DE102015012909.0A DE102015012909A1 (de) 2015-10-06 2015-10-06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Stabs an einem Knochen
DE202016004114.3 2016-06-30
DE202016004114 2016-06-30
PCT/EP2016/001479 WO2017059941A1 (de) 2015-10-06 2016-09-01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stabs an einem kno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068A true KR20180066068A (ko) 2018-06-18
KR102612013B1 KR102612013B1 (ko) 2023-12-12

Family

ID=5698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464A KR102612013B1 (ko) 2015-10-06 2016-09-01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7846B2 (ko)
EP (1) EP3209229B1 (ko)
JP (1) JP6967290B2 (ko)
KR (1) KR102612013B1 (ko)
CN (1) CN108135640B (ko)
DE (1) DE202016005347U1 (ko)
ES (1) ES2891826T3 (ko)
WO (1) WO2017059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0753B2 (en) * 2009-06-15 2018-05-29 Roger P Jackson pivotal anchor with snap-in-place insert having rotation blocking extensions
AU2010260521C1 (en) * 2008-08-01 2013-08-01 Roger P. Jackson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with sleeved tensioned cords
JP5865479B2 (ja) * 2011-03-24 2016-02-17 ロジャー・ピー・ジャクソン 複合関節とポップ装着式シャンクとを有する多軸の骨アンカー
EP3930607A4 (en) * 2019-02-27 2022-12-14 Lenkbar LLC SPINE FIXATION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0180A1 (en) * 2001-09-03 2005-10-27 Cecile Vienney Spinal osteosynthesis system comprising a support pad
EP2363086A1 (en) * 2010-03-03 2011-09-07 Bertagnoli, Rudolf Transpedicular reduction screw
JP2013046790A (ja) * 2005-10-11 2013-03-07 Roger P Jackson 内側コア及び外側コイル様部材を有する動的固定組立体
US20140236235A1 (en) * 2013-02-15 2014-08-21 Roger P. Jackson Sagittal angle screw with integral shank and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5850A5 (de) * 1990-11-26 1995-10-31 Synthes Ag Verankerungseinrichtung
DE29710484U1 (de) * 1997-06-16 1998-10-15 Howmedica Gmbh Aufnahmeteil für ein Haltebauteil eines Wirbelsäulenimplantats
US6692500B2 (en) * 2001-10-15 2004-02-17 Gary Jack Reed Orthopedic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7951172B2 (en) 2005-03-04 2011-05-31 Depuy Spine Sarl Constrained motion bone screw assembly
US7722651B2 (en) * 2005-10-21 2010-05-25 Depuy Spine, Inc. Adjustable bone screw assembly
US8062340B2 (en) 2006-08-16 2011-11-22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Spinal rod anchor device and method
EP1891904B1 (en) * 2006-08-24 2013-12-25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Bone anchoring device
WO2008118295A2 (en) * 2007-03-26 2008-10-02 Laszlo Garamszegi Bottom-loading pedicle screw assembly
FR2925288B1 (fr) * 2007-12-21 2010-01-15 Michel Timoteo Dispositif de connexion pivotant pour vis d'osteosynthese rachidienne
CN102149344A (zh) * 2008-09-12 2011-08-10 斯恩蒂斯有限公司 用于脊柱杆的复位工具
US8961569B2 (en) * 2010-10-04 2015-02-24 Genesys Spine Locking pedicle screw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9510867B2 (en) 2010-10-15 2016-12-06 Phygen, Llc Fixation screw assembly
CN202161400U (zh) * 2011-07-26 2012-03-14 山东威高骨科材料有限公司 一种动态稳定椎弓根钉
US8911479B2 (en) * 2012-01-10 2014-12-16 Roger P. Jackson Multi-start closures for open implants
US9358046B2 (en) * 2012-12-31 2016-06-07 Globus Medical, Inc. Rod coupling system and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968378B1 (en) * 2015-07-22 2018-05-1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Adaptation sphere sadd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0180A1 (en) * 2001-09-03 2005-10-27 Cecile Vienney Spinal osteosynthesis system comprising a support pad
JP2013046790A (ja) * 2005-10-11 2013-03-07 Roger P Jackson 内側コア及び外側コイル様部材を有する動的固定組立体
EP2363086A1 (en) * 2010-03-03 2011-09-07 Bertagnoli, Rudolf Transpedicular reduction screw
US20140236235A1 (en) * 2013-02-15 2014-08-21 Roger P. Jackson Sagittal angle screw with integral shank and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7290B2 (ja) 2021-11-17
WO2017059941A1 (de) 2017-04-13
EP3209229B1 (de) 2021-07-28
EP3209229A1 (de) 2017-08-30
JP2018531638A (ja) 2018-11-01
US20180296250A1 (en) 2018-10-18
CN108135640A (zh) 2018-06-08
ES2891826T3 (es) 2022-01-31
DE202016005347U1 (de) 2016-10-07
CN108135640B (zh) 2021-11-09
US10667846B2 (en) 2020-06-02
KR102612013B1 (ko)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5040B1 (en) Tool for holding or guiding a receiving part for connecting a shank of a bone anchoring element to a rod
US7896902B2 (en) Multi-axial double locking bone screw assembly
US20060235385A1 (en) Low profile polyaxial screw
US9655652B2 (en) Bone anchoring device
CA2382033C (en) Multi-axial bone screw assembly
US8784455B2 (en) Bone anchoring device
US9005259B2 (en)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rod for coupling the rod to a bone anchoring element and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receiving part
EP0934028B1 (en) Multi-axial bone screw assembly
US20050228382A1 (en) Screw and rod fixation assembly and device
US20140303674A1 (en) Parallel rod connector
EP1903959A2 (en) Bi-polar bone screw assembly
US9339302B2 (e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US8740947B2 (en) Multiple lead bone fixation apparatus
KR20180066068A (ko) 뼈에 로드 고정을 위한 로드 고정 장치
WO2007040553A1 (en) Hybrid jointed bone screw system
KR20010020503A (ko) 척추를 교정해서 지탱하기 위한 배향가능한 고정 장치
US9763718B2 (en) Bone screw
CN117379161A (zh) 一种椎弓根螺钉
JP2015061596A (ja) 骨ねじ、インプラント・プレート、およびそれら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